KR101226015B1 -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015B1
KR101226015B1 KR1020100095204A KR20100095204A KR101226015B1 KR 101226015 B1 KR101226015 B1 KR 101226015B1 KR 1020100095204 A KR1020100095204 A KR 1020100095204A KR 20100095204 A KR20100095204 A KR 20100095204A KR 101226015 B1 KR101226015 B1 KR 10122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racket
roller
pulley device
wir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603A (ko
Inventor
박영준
조기수
조기용
김태훈
배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0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가 개시된다.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는, 소정의 작업 도구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시스템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1 와이어 인입출부를 형성하며 이송 시스템의 설비 프레임 상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제1 와이어 인입출부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를 형성하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ROLLER DEVICE FOR TRANSFER SYSTEM USING WIR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종 작업 도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도구의 위치 변화에 따른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도르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선박은 일반 건축물 보다 규모가 크고, 건조 공정도 복잡하며, 수많은 부재와 기자재를 조립하여 하나의 움직일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최근 들어서는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선체를 이루는 블록들을 조립하여 선박을 제작하는데, 선체 블록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 선체 블록을 도장하거나 내부에 패널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동 집약적인 선체 블록 작업의 자동화 요구는 지속적으로 있어 왔으며, 이를 위하여 선체 블록의 용접, 도장, 및 검사 등의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각종 자동화 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각종 자동화 설비 중, 와이어의 길이 제어를 통하여 각종 작업 도구를 선체 블록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설비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설비는 와이어의 길이 조절에 따른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도르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르래 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도르래 장치는 단순히 고정 브라켓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작업 도구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와이어의 장력이 일시적으로 소멸하는 경우 와이어가 롤러로부터 이탈되면서 그 롤러와 고정 브라켓 사이에 끼여 와이어의 파손을 야기시키고, 와이어의 길이가 변화하는 과정에 와이어가 브라켓에 마찰되면서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작업 도구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 할 수 있고, 와이어의 장력 변화에 의해 와이어가 롤러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 브라켓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소정의 작업 도구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시스템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1 와이어 인입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송 시스템의 설비 프레임 상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는 이들 사이로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는,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와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는,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롤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 롤러 및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로 유도하는 보조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회전 롤러와 같거나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 롤러와 상기 보조 롤러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롤러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를 사이에 두고 제1 결합판 및 제2 결합판이 상호 결합된 결합판 조립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에 제1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에는 상기 제1 베어링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축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축은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의 상기 고정축에는 중공 형태의 제1 와이어 인입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라켓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 측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조립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에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와 상호 연결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를 장착하기 위한 베어링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제2 베어링을 통해 상기 베어링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로서 홀 형태의 제2 와이어 인입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는, 상기 이송 시스템으로서 도료를 분사하는 도장 모듈을 와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며 도장 대상물의 외판을 도장하는 도장 시스템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는, 상기 도장 대상물로서 선체 블록의 외판을 도장할 수 있는 외부 도장 시스템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작업 도구의 이동 변위에 따라 회전 롤러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작업 도구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하는 경우, 와이어가 회전 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롤러와 롤러 브라켓 사이에 와이어가 끼이면서 파손되거나 롤러 브라켓과의 마찰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장치가 적용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장치가 적용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장치(100)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종 작업 도구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시스템, 예를 들면 도장 대상물의 외판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 시스템(20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장 시스템(200)은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선행 블록의 외판 즉, 선체 블록의 측면을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장 공장의 설비 프레임(1)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장 시스템(200)은 작업 도구로서 도료를 분사하는 도장 모듈(3)과, 도장 모듈(3)에 연결되는 다수의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내는 윈치 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장 시스템(200)은 윈치 모듈(5)을 통해 와이어(W)의 장력과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선체 블록의 외부에서 도장 모듈(3)을 상하 좌우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선체 블록의 측면을 도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장 모듈(3)은 2축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도료를 다중으로 분사하는 자동 도장 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는 선체 블록의 외부에서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수개 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치 모듈(5)은 각각의 와이어(W)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구비되며, 설비 프레임(1)의 바깥쪽에서 와이어들(W)의 길이 제어를 위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장 시스템(200)는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각 와이어(W)의 이동을 지지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장치(10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르래 장치(100)는 각각의 와이어(W)에 대응하여 설비 프레임(1)의 상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한 쌍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르래 장치(100)는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장치(100)는 작업 도구인 도장 모듈(3: 이하 도 1 참조)의 이동 변위에 따라 롤러(당 업계에서는 풀리 라고도 한다)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도르래 장치(100)는 상기에서와 같이 롤러의 각도가 변화하지만 와이어(W: 도 1 참조)가 인입출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도장 모듈(3)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르래 장치(100)는 도장 모듈(3)의 제어 정밀도와 외력에 의해 와이어(W)의 장력이 일시적으로 소멸하는 경우, 와이어(W)가 주변 부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와이어(W)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고정 브라켓(10)과, 롤러 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2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언급한 바 있는 설비 프레임(1)의 상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한 쌍으로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하여 설비 프레임(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와이어(W)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10)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롤러 브라켓(50)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설비 프레임(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브라켓 몸체(11) 및 제2 브라켓 몸체(1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라켓 몸체(11)는 언급한 바 있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는 윈치 모듈(5: 이하 도 1 참조)에 감겨지거나 그 윈치 모듈(5)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W)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는 예를 들어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게 제1 브라켓 몸체(11)에 구비된 원형의 관통 구멍(13a)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에 대한 와이어(W)의 인입이라 함은 와이어(W)가 윈치 모듈(5)로부터 풀려지는 때 관통 구멍(13a)을 통해 제2 브라켓 몸체(12) 쪽으로 이동하는 예로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에 대한 와이어(W)의 인출이라 함은 와이어(W)가 윈치 모듈(5)에 감기는 때 관통 구멍(13a)을 통해 빠져 나오는 예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 몸체(12)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1 와이어 인입출 부(13)의 동일선 상에서 제1 브라켓 몸체(11)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브라켓(50)은 고정 브라켓(10)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 브라켓(50)은 고정 브라켓(10)의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통해 인입출되는 와이어(W)가 소정의 이동 경로를 통과하며 다시 인입출될 수 있는 통로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 브라켓(50)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 공간에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와 연결되는 와이어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그 와이어 이동 경로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롤러 브라켓(50)의 구조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에 대한 와이어(W)의 인입이라 함은 와이어(W)가 윈치 모듈(5)에 감기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통해 인출되는 경우, 이와는 반대로 롤러 브라켓(5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예로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에 대한 와이어(W)의 인출이라 함은 와이어(W)가 윈치 모듈(5)로부터 풀려지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로 인입되는 경우, 이와는 반대로 롤러 브라켓(5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예로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와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는 고정 브라켓(10) 및 롤러 브라켓(50)에 각각 형성되면서 서로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는 롤러 브라켓(50)에 대하여 제1 브라켓 몸체(11)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는 롤러 브라켓(5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롤러 브라켓(50)은 제1 결합판(61) 및 제2 결합판(62)이 상호 결합되며 언급한 바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그 내부 공간에 와이어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결합판 조립체(63)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63)는 고정 브라켓(10)의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1 및 제2 인입출부(13, 53)를 통해 인입출되는 와이어(W)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롤러 브라켓(50)은 와이어(W)의 이동을 지지하면서 도장 모듈(3)의 이동 변위에 따른 와이어(W)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결합판 조립체(63)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결합판 조립체(63)는 한 쪽이 제1 브라켓 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 쪽이 제2 브라켓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결합판 조립체(63)는 와이어(W)의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71)와, 와이어(W)를 어느 하나의 회전 롤러(71) 및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로 유도하는 보조 롤러(72)와,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롤러(71)는 제1 및 제2 와이어 인입출부(13, 53)를 통해 인입출되는 와이어(W)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회전축(81)을 통하여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윈치 모듈(5)에 연결된 와이어(W)는 고정 브라켓(10)의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통해 회전 롤러(71)를 경유하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하여 도장 모듈(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롤러(71)는 가장자리면에 홈이 형성된 풀리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한 쌍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면서 이들 사이로 와이어(W)가 통과하며 그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보조 롤러(72)는 제1 브라켓 몸체(11)의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 롤러(71: 예를 들면 도면에서의 우측 회전 롤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 롤러(72)는 제2 회전축(82)을 통하여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롤러(72)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통해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로 인입되는 와이어(W)를 회전 롤러(71)로 유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롤러(72)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로 인입되며 회전 롤러(71)를 경유하는 와이어(W)를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로 유도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롤러(72)를 통하여 인입되는 와이어(W)의 인입 방향은 회전 롤러(71)를 통하여 인출되는 와이어(W)의 인출 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어(W)의 이동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고려하여 상기 보조 롤러(72)는 회전 롤러(71)와 같거나 다른 직경, 예를 들면 회전 롤러(7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롤러(72)는, 와이어(W)가 회전 롤러(71)와 보조 롤러(72) 사이를 통과(이동)하는 때, 회전 롤러(71)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63)는 언급한 바 있듯이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판 조립체(63)에는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73)이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10)의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는 제1 베어링(85)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축(73)은 결합판 조립체(63)의 양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축(73)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1 베어링(85)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중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베어링(85)은 결합판 조립체(6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각각 결합되며, 결합판 조립체(63)의 고정축(73)이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판 조립체(63)의 고정축(73)은 제1 베어링(85)을 통해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베어링(85)은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결합되는데, 제1 브라켓 몸체(11)에 대해서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13a)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베어링(85)에는 언급한 바 있듯이 결합판 조립체(63)의 고정축(73)이 결합되는 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의 제1 베어링(85)에 결합된 고정축(73)의 중공은 와이어(W)가 인입출될 수 있는 제1 와이어 인입출 통로(87)로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결합판 조립체(63)의 상단부에는 와이어(W)가 인입출될 수 있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로서의 제2 와이어 인입출 통로(89)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 통로(89)는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이 결합되는 때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의 상단부에 형성된 긴 홈이 합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도르래 장치(100)에 있어 상기에서와 같은 롤러 브라켓(50)에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인입출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조립체(90)가 구성된다.
상기 안내 조립체(90)는 결합판 조립체(63)의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에 각각 구성되는 바,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러(91)는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에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와 상호 연결되는 개방부(9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롤러(91)는 제1 및 제2 결합판(61, 62)의 외측에서 각각의 개방부(92)를 덮으며 이들 결합판(61, 6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어링 브라켓(9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 브라켓(94)은 가이드 롤러(91)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베어링 브라켓(94)에는 가이드 롤러(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95)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도르래 장치(100)는 설비 프레임(1)의 상하 양측 모서리부에서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른 와이어(W)의 이동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도장 모듈(3)과 윈치 모듈(5)에 연결되면서 도르래 장치(100)를 경유하며, 윈치 모듈(5)에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도장 모듈(3)과의 연결 길이가 변화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르래 장치(100)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W)는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통해 결합판 조립체(63)의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로 인입되고, 보조 롤러(72)를 통해 한 쌍의 회전 롤러(71) 사이를 통과하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결합판 조립체(63)의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로 인입되고, 한 쌍의 회전 롤러(71) 사이를 통과하며 보조 롤러(72)를 통해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로 유도되며 그 와이어 인입출부(13)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71)는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와이어(W)의 이동을 지지하며, 보조 롤러(72) 또한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와이어 인입출부(13, 53)에 대하여 와이어(W)의 인입 및 인출을 유도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정에서 와이어(W)가 한 쌍의 회전 롤러(71) 사이를 통과하며 보조 롤러(72)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 인입출부(13, 53)에 대한 와이어(W)의 인입 및 인출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장 모듈(3)의 제어 정밀도와 외력에 의해 와이어(W)의 장력이 일시적으로 소멸하는 경우, 와이어(W)가 회전 롤러(71)로부터 이탈되거나 회전 롤러(71)와 제1 및 제2 결합판(61, 62)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와이어(W)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와이어(W)의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롤러 브라켓(50)의 결합판 조립체(63)는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판 조립체(63)의 회전 동작을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판 조립체(63)는 고정축(73)이 결합된 제1 베어링(85)을 통해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11, 12)에 대하여 양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63)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라 도 8a에서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도 8b에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롤러 브라켓(50)의 결합판 조립체(63)가 회전하는 경우, 제1 와이어 인입출부(13)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며,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의 위치는 와이어의 장력방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와이어의 풀림 또는 감김 길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도장 모듈(3)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인입출되는 와이어(W)를 안내 조립체(90)로서 안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장 모듈(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와이어(W)의 길이가 변화하는 과정에, 와이어(W)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인입출되면서 안내 조립체(90)의 가이드 롤러(91)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 롤러(91)는 와이어(W)의 이동으로서 양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한 와이어(W)의 인입출 시, 그 와이어(W)가 가이드 롤러(91)에 의해 안내되므로, 롤러 브라켓(50)에 대한 와이어(W)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53)를 통해 와이어(W)가 인입출되는 과정에 롤러 브라켓(50)에 마찰되는 것을 안내 조립체(90)의 가이드 롤러(91)로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롤러 브라켓(50)과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W)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고정 브라켓 11... 제1 브라켓 몸체
12... 제2 브라켓 몸체 13... 제1 와이어 인입출부
50... 롤러 브라켓 53... 제2 와이어 인입출부
61... 제1 결합판 62... 제2 결합판
63... 결합판 조립체 71... 회전 롤러
72... 보조 롤러 73... 고정축
81... 제1 회전축 82... 제2 회전축
85... 제1 베어링 87... 제1 와이어 인입출 통로
89... 제2 와이어 인입출 통로 90... 안내 조립체
91... 가이드 롤러 92... 개방부
94... 베어링 브라켓 95... 제2 베어링

Claims (10)

  1. 소정의 작업 도구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로서,
    제1 와이어 인입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송 시스템의 설비 프레임 상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인입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가 이들 사이로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롤러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결합판이 상호 결합된 결합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에 제1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 브라켓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 측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조립체가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와 상호 연결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롤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 롤러 및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로 유도하는 보조 롤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 롤러와 상기 보조 롤러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판 조립체에는 상기 제1 베어링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고정축이 설치되되,
    상기 각 고정축은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몸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판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입출부의 상기 고정축에는 중공 형태의 제1 와이어 인입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 조립체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인입출부로서 홀 형태의 제2 와이어 인입출 통로가 형성되는,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KR1020100095204A 2010-09-30 2010-09-30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KR10122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204A KR101226015B1 (ko) 2010-09-30 2010-09-30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204A KR101226015B1 (ko) 2010-09-30 2010-09-30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603A KR20120033603A (ko) 2012-04-09
KR101226015B1 true KR101226015B1 (ko) 2013-01-24

Family

ID=4613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204A KR101226015B1 (ko) 2010-09-30 2010-09-30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833B1 (ko) * 2010-08-24 2013-0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KR101291646B1 (ko) * 2011-06-08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러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롤러 조립체
KR102278246B1 (ko) * 2019-12-23 2021-07-16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602A (en) * 1979-06-01 1982-02-23 Tractel S.A. Device for pressing a cable against the bottom of a pulley groove
JPH01242396A (ja) * 1988-03-22 1989-09-27 Koken Gondora Kk ゴンドラ用索条巻上装置
KR100545631B1 (ko) * 2005-08-09 2006-01-25 (주)그린포닉스시스템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의 가이드장치
US7118094B2 (en) * 2004-05-21 2006-10-10 Space-Age Control, Inc. Rotatable cable guide with cable switching fea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602A (en) * 1979-06-01 1982-02-23 Tractel S.A. Device for pressing a cable against the bottom of a pulley groove
JPH01242396A (ja) * 1988-03-22 1989-09-27 Koken Gondora Kk ゴンドラ用索条巻上装置
US7118094B2 (en) * 2004-05-21 2006-10-10 Space-Age Control, Inc. Rotatable cable guide with cable switching feature
KR100545631B1 (ko) * 2005-08-09 2006-01-25 (주)그린포닉스시스템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의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603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0268B2 (ja) ロボット
KR20120019684A (ko) 케이블을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윈치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226015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KR101236833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US8550267B2 (en) Apparatus for cable management synchronized with telescopic motion
KR102118984B1 (ko) 플렉시블 전선 제조기의 플렉시블 전선관 권취장치
KR101281097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윈치의 와이어 장력 조절 장치, 및 와이어 장력 조절 방법
KR101091708B1 (ko)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101484169B1 (ko) 외벽도장장치
KR20120019713A (ko) 선행 도장 시스템용 도장모듈
EP0574817B1 (en) Device for suspending a working cage
KR101245756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및 그의 와이어 초기 위치 셋팅 방법
KR101390326B1 (ko) 도장장치
KR101194565B1 (ko) 케이블을 이용한 이송장치용 윈치
KR102346795B1 (ko) 외벽 도장 장치
KR100258417B1 (ko) 벽면작업용로봇장치
KR200497778Y1 (ko) 호스 테이핑 장치
US11530565B2 (en) Elevator car door apparatus
US20220080444A1 (en) Coating device
WO2021141556A1 (en) Innovation in facade access systems
JP2017103939A (ja) 自走式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巻付け方法
KR101291646B1 (ko) 롤러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롤러 조립체
KR101052540B1 (ko) 모바일 로봇의 추락방지장치
KR20120015839A (ko) 도장 시스템용 롤러장치
KR20200080595A (ko)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