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271B1 -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271B1
KR101224271B1 KR1020100010810A KR20100010810A KR101224271B1 KR 101224271 B1 KR101224271 B1 KR 101224271B1 KR 1020100010810 A KR1020100010810 A KR 1020100010810A KR 20100010810 A KR20100010810 A KR 20100010810A KR 101224271 B1 KR101224271 B1 KR 10122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oor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wat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129A (ko
Inventor
윤승열
Original Assignee
윤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열 filed Critical 윤승열
Priority to KR102010001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매개로 고층건물에서 한 개의 주입상배관을 통해 소화 급수설비를 설치하여, 소화설비계통에서의 배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의 고층건물이 연결될 경우 고가수조를 병렬로 설치하여 고가수조 및 펌프를 혼용한 소화배관계통방식을 자연낙차방식인 고가수조만으로 소화배관계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은, 고층 건물의 옥탑층에 설치되어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고가수조와; 상기 고가수조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자유낙하 되면서 각 층의 소화용수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는 한 개의 주입상배관과; 건물의 중층부 및 저층부의 최상층에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각각 한 개씩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배관과;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배관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의 압력이 일정하게 감압되면서 분기배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감압밸브 및; 건물의 고층부에 해당하는 각 층으로 주입상배관으로부터 직접 분기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중층부 및 저층부에 각각 설치된 분기배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며, 그 몸체에는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가 연결 설치되는 소화설비 설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APPARATUS FOR SUPPLING WATER USING BY BRANCH PIPE AND PRESSURE REDUCING VALVE}
본 발명은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 각 층의 옥내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 측으로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상배관의 일정 지점에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설치하므로서 한 개의 주입상배관을 매개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들어 건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수계소화설비로서 급수 및 급전, 제어설비 등과 같은 부대설비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부대설비 중 급수설비는 건물의 높이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급수설비는 항상 적정 수압을 유지하여야만 화재 진압작업 시에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스프링클러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옥내 소화전에 원활하게 소화용수가 공급되므로서, 소화전을 개방한 후 호스를 꺼내고 동력소화수펌프를 구동시켜 수조로부터의 소화수를 펌핑하면서 호스로 소화용수를 분사 배출하여 화재 진화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재 진압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건물 각 층에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설비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건물의 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고양정의 펌프가 사용됨과 동시에 고가수조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급수 배관 내의 수압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고층건물에서 소화용수의 수압을 적정 사용압력(스프링클러헤드 사용압력범위: 0.1[Mpa] 내지 1.2[Mpa], 옥내 소화전 사용압력범위: 0.17 [Mpa] 내지 0.7 [Mpa])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배관계통을 구분하여 설치하게 되었다.
또한, 건물의 높이가 70미터 이상인 소방대상물인 경우에는 연결송수관 펌프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소화용수 급수용 배관구성을 저층부와 중층부 및 고층부 등으로 구분하여 소화배관계통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주상복합 형태의 건물인 경우에는 소화용수의 확보에 있어서 비주거부분(상업시설)이 주거부분에 비하여 대략 3배 이상의 소화용수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건물의 주거부분은 건물의 옥탑층에 고가수조가 설치되는 고가수조 방식을 통해 수화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한편, 다량의 소화용수를 요구하는 건물의 비주거부분은 건물의 지하에 수조를 설치한 후 다수 대의 펌프를 매개로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층건물 각 동의 옥탑층에 대략 10톤 정도의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고가수조(10)가 설치된 후, 상기 고가수조(10)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고층부용 배관(12) 및 중층부용 배관(14)을 통해 건물의 고층부(100) 및 중층부(200)의 각 층으로 소화설비 설치배관(40)을 통해 공급되게 됨과 아울러, 건물의 지층부(400)에는 대략 60톤 정도의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지하저수조(19)가 설치된 후 상기 지하저수조에 저장된 소화용수는 다수 개의 펌프(16)를 매개로 다량의 소화용수를 요구하는 비주거부분(상업시설)에 해당하는 저층부(300)의 각 층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16)는 복수 개의 주펌프 및 상기 주펌프의 이상발생 시에 사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예비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참조부호 81는 송수구(8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고층부용 배관(12) 및 중층부용 배관(14)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송수펌프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층부와 중층부 및 저층부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배관을 통해 소화용수가 공급되게 되므로, 급수설비의 시공 시에 다량의 배관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자재비용의 증대 및 시공기간과 인건비의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저층부의 소화용수 공급에는 펌프방식이 적용되게 되므로, 그에 따른 각종 전기설비 및 제어설비 등이 추가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매개로 고층건물에서 한 개의 주입상배관을 통해 소화 급수설비를 설치하므로서, 소화설비계통에서의 배관 사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건물 동이 있는 고층의 주상복합식 건물에서 병렬형태의 배관 설치방식을 채택하여 고가수조 방식으로만 소화 급수설비를 구현하므로서, 펌프방식의 추가설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단일계통의 소화 급수설비를 통해 유지보수 비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은, 고층 건물의 옥탑층에 설치되어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고가수조와; 상기 고가수조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자유낙하 되면서 각 층의 소화용수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는 한 개의 주입상배관과; 건물의 중층부 및 저층부의 최상층에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각각 한 개씩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배관과;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배관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의 압력이 일정하게 감압되면서 분기배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감압밸브 및; 건물의 고층부에 해당하는 각 층으로 주입상배관으로부터 직접 분기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중층부 및 저층부에 각각 설치된 분기배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며, 그 몸체에는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가 연결 설치되는 소화설비 설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분기배관의 하단부 측에는 상기 감압밸브의 고장에 따라 배관 내에 과압이 걸리게 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배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건물 저층부의 분기배관에 설치되는 감압밸브의 출구 측에는 공급된 소화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배관의 높이에 따라 상이하게 입력되는 1차측 소화용수 압력을 1.2[Mpa] 미만으로 감압하여 2차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고층 건물에 소화용수의 공급을 위한 주입상배관이 각각 설치된 경우, 각 건물의 주입상배관은 저층부 또는 지층부에서 상호 취합되면서 병렬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고층 건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차장이 위치하는 지층부에는 1개동의 저층부 분기배관이 지층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후, 지층부의 각 층으로 소화설비 설치배관이 분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고층건물에 각각 주입상배관이 설치되고, 저층부 또는 지층부에서 병렬형태를 이루도록 한 개로 취합된 주입상배관의 하단부 측에는 고가수조에 저장하기 위한 소화용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다수 개의 송수구 및 고층부의 배관에 직접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한 대의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하여 고층건물에서 한 개의 주입상배관을 통해 소화배관계통을 구현하므로서, 소화설비계통에서의 배관 사용량을 크게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건물동에 구비되는 각 주입상배관을 저층부에서 취합하여 고가수조를 병렬형태로 연결하므로서, 다량의 소화용수를 요구하는 비주거부분의 소화수량을 고가수조만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펌프방식의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추가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고양정 펌프 구성의 생략에 따른 제어패널 등의 제거 및 대략 60톤 정도에 이르는 지하저수조 소화용수의 생략을 통해 공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펌프방식에 비해 신뢰성이 높은 고가수조 방식으로만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구현할 수가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가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유지 및 관리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은, 해당 고층건물의 옥탑층에 설치되는 고가수조(10)와, 상기 고가수조(10)로부터 건물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개의 주입상배관(20)과, 상기 주입상배관(2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해당 건물의 각 층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기배관(30) 및 소화설비 설치배관(40)과, 상기 분기배관(30) 측에 적정 압력으로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이 적용되는 고층건물을 대략 40층 내외의 높이를 갖는 주상복합식 건물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고층건물은 옥탑층을 포함하는 지상 27층 이상의 고층부(주거부분)(100)와, 12층 내지 26층 정도의 중층부(주거부분)(200)와, 1층 내지 11층 정도의 저층부(비주거부분)(300) 및, 지하 1층 내지 지하 5층의 지층부(주차장 등)(400)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 기준은 고층건물의 높이 및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고가수조(10)는 고층 건물의 옥탑층에 설치되는 수조로서, 그 내부에는 대략 20톤 내지 40톤 정도의 소화용수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상배관(20)은 상기 고가수조(10)로부터 건물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송수구(8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가 고가수조(10) 측으로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고가수조(10)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자유낙하 되면서 상기 분기배관(30) 및 소화설비 설치배관(40)을 매개로 소화용수로 공급되도록 메인 수로 역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참조부호 90은 상기 고가수조(10) 측에 설치되어, 자유낙하 되면서 공급되는 소화용수에 적정 압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소화펌프를 나타낸다.
상기 분기배관(30)은 상기 고층건물의 중층부(200) 및 저층부(300)의 최상층에 상기 주입상배관(20)으로부터 각각 한 개씩 분기되어 연결됨에 따라 구성되며, 상기 주입상배관(20)으로부터 분기배관(30)이 분기되는 일정 지점에는 감압밸브(50)가 설치되어, 상기 주입상배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1차 측의 소화용수 압력을 일정 압력(1.2[Mpa]) 미만으로 감압하여 2차 측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에, 배관의 사용압력이 1.2[Mpa]인 부분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상기 분기배관(30)은 상기 감압밸브(50)를 통해 기준치 미만으로 배관사용압력이 유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일반배관용 탄소강관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물 저층부(300)의 주입상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배관에 설치되는 감압밸브(50)의 출구 측에는 체크밸브(60)가 설치되어 공급된 소화용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분기배관(30)의 하단부 측에는 릴리프밸브(70)가 추가로 설치되어 배관 내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분기배관(30) 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릴리프밸브(70)에 일정 압력을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감압밸브(50)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분기배관(30) 내에 과압이 걸리게 되면, 상기 릴리프밸브(70)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분기배관(30) 내의 압력을 낮추게 된다.
상기 소화설비 설치배관(40)은 상기 고층건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주입상배관(20)을 통해 자유낙하 하는 소화용수의 압력이 크지 않은 고층부(100)에서는 각 층으로 직접 분기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주입상배관(20) 내에서 자유낙하 하는 소화용수의 압력이 일정 수치 이상인 건물의 중층부(200) 및 저층부(300)에서는 감압밸브(50)가 설치된 분기배관(40)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각 층의 소화전(42) 및 다수 개의 스프링클러(도시안됨) 등을 비롯한 각종 소화설비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이 적어도 2개동 이상의 주상복합식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경우, 각 동의 고가수조(10)로부터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입상배관(20)은 저층부(300) 또는 지층부(400)에서 상호 취합되면서 상기 고가수조(10)가 병렬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량의 소화용수를 요구하는 비주거부분인 저층부(300)의 소화수량을 다수 동의 건물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고가수조(10)를 통해 충분하게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고층건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차장 등이 위치하는 지층부(400)에는 임의의 1개동의 저층부(300) 분기배관(30)이 지층부(400)까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분기배관(30)으로부터 지층부(400)의 각 층으로는 소화설비 설치배관(40)이 분기되어 형성되어, 지층부(400)의 각 층에 소화전(42) 및 스프링클러 등의 소화설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고층건물에 각각 주입상배관(20)이 설치되고, 저층부(300) 또는 지층부(400)에서 병렬형태를 이루도록 한 개로 취합되어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이 구성된 상태에서, 일측 주입상배관(20)의 하단부 측에는 외부로부터 소방차 등을 통해 소화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고가수조(1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송수구(90)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상기 송수구(90)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직접 배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펌프(82)가 추가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기존의 고층건물에서는 건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고층부 및 중층부에도 각각 별도의 연결송수펌프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통해서는 한 대의 연결송수용 펌프(82)만으로도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을 통해 고층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소화설비 측으로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가수조(10) 내에 일정 량의 소화용수를 저장한다.
그 후, 상기 고가수조(10)에 저장된 소화용수는 소화펌프(90)를 통해 적정 압력으로 조절되면서 주입상배관(20)을 통해 자유낙하 하게 되며, 상기 자유낙하 하는 소화용수는 건물 고층부(100)의 각 층에 구비된 소화설비 설치배관(42)과 건물 중층부(200) 및 저층부(300)의 분기배관(30)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입상배관(20) 및 분기배관(30)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감압밸브(50)는 건물 높이에 따라 상이한 압력으로 입력되는 소화용수가 1.2[Mpa] 미만으로 감압된 상태로 분기배관(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또한 상기 분기배관(30) 측으로 입력된 소화용수는 건물의 중층부(200)와 저층부(300), 지층부(400)의 각 층에 대응되게 분기된 소화설비 설치배관(40) 측으로 공급되어 화재 시에 소화전(42) 및 스프링클러(도시안됨) 등의 소방설비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기배관(30)의 출구 측에 설치된 체크밸브(60)는 소화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행하게 됨과 아울러, 각 분기배관(30) 하단에 설치된 릴리프밸브(70)는 분기배관(30) 내의 압력이 상승할 시에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분기배관(30)의 압력을 적정 압력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한편, 다수 동의 주상복합식 고층건물에 각각 한 개씩의 주입상배관(20)과 상기 주입상배관(2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배관(30) 및 소화설비 설치배관(40)을 통해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이 구현된 상태에서, 각 고층건물에 설치된 주입상배관(20)은 저층부(300) 또는 지층부(400)의 임의의 한 지점에서 한 개의 배관으로 상호 취합되어 상기 고가수조(10)가 병렬형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고층건물에 각각 구비된 고가수조(10)의 소화용수는 병렬형태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주입상배관(20)을 통해 다른 동의 비주거부분인 저층부(300) 측으로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되게 되므로, 각 고층건물에 구비되는 고가수조(10)만으로도 소화용수량을 충족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각 고층건물에 대응하여 한 개의 주입상배관(20)만이 설치된 후, 분기배관(30) 및 감압밸브(50)를 통해 소화배관계통이 구성됨에 따라, 상호 호환성이 없는 배관부분이 모두 생략되어 배관 사용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은 소화배관계통이 설치되는 고층건물의 높이 및 동 개수에 따라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 고가수조, 20: 주입상배관,
30: 분기배관, 40: 소화설비 설치배관,
42: 소화전, 50: 감압밸브,
60: 체크밸브, 70: 릴리프밸브,
80: 송수구, 82: 펌프,
90: 소화펌프, 100: 고층부,
200: 중층부, 300: 저층부,
400: 지층부.

Claims (7)

  1. 40층 내외의 높이를 갖는 주상복합식 건물로서, 비주거 부분에 해당하는 지상 1층 내지 11층 내외의 저층부와, 상기 저층부의 윗층부터 최상층에 이르는 주거부분 중 하측 1/2 부분에 해당하는 중층부 및, 상측 1/2 부분에 해당하는 고층부로 이루어진 건물의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건물의 옥탑층에 설치되어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고가수조와;
    상기 고가수조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자유낙하 되면서 각층의 소화용수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는 한 개의 주입상배관과;
    건물의 중층부 및 저층부의 최상층에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각각 한 개씩 분기되어 형성되는 분기배관과;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배관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의 압력이 일정하게 감압되면서 분기배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감압밸브와;
    건물의 고층부에 해당하는 각 층으로 주입상배관으로부터 직접 분기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중층부 및 저층부에 각각 설치된 분기배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며, 그 몸체에는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가 연결 설치되는 소화설비 설치배관 및;
    상기 각 분기배관의 하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압밸브의 고장에 따라 배관 내에 과압이 걸리게 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배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건물 저층부의 분기배관에 설치되는 감압밸브의 출구 측에는 공급된 소화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주입상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배관의 높이에 따라 상이하게 입력되는 1차측 소화용수 압력을 1.2[Mpa] 미만으로 감압하여 2차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건물에 소화용수의 공급을 위한 주입상배관이 각각 설치된 경우, 각 건물의 주입상배관은 저층부 또는 지층부에서 상호 취합되면서 병렬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건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차장이 위치하는 지층부에는 1개동의 저층부 분기배관이 지층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후, 지층부의 각 층으로 소화설비 설치배관이 분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동 이상의 건물에 각각 주입상배관이 설치되고, 저층부 또는 지층부에서 병렬형태를 이루도록 한 개로 취합된 주입상배관의 하단부 측에는 고가수조에 저장하기 위한 소화용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다수 개의 송수구 및 고층부의 배관에 직접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한 대의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KR1020100010810A 2010-02-05 2010-02-05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KR10122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10A KR101224271B1 (ko) 2010-02-05 2010-02-05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10A KR101224271B1 (ko) 2010-02-05 2010-02-05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129A KR20110091129A (ko) 2011-08-11
KR101224271B1 true KR101224271B1 (ko) 2013-01-18

Family

ID=4492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10A KR101224271B1 (ko) 2010-02-05 2010-02-05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940A (ko)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335B1 (ko) * 2013-11-13 2014-04-17 고현수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
CN104147741A (zh) * 2014-08-11 2014-11-19 马鞍山市惠安消防安全设备有限公司 一种火灾自动报警消防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909A (ja) * 2004-11-25 2006-06-08 Kitaura Seisakusho:Kk 高層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909A (ja) * 2004-11-25 2006-06-08 Kitaura Seisakusho:Kk 高層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940A (ko)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129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28840U (zh) 消防供水落水管
CN104127981A (zh) 超高层循环接力式施工用消防系统
KR101726215B1 (ko) 소화용수의 안정 공급 시스템
CN210104850U (zh) 一种高层建筑消防供水系统
KR101386335B1 (ko)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
KR101976522B1 (ko)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CN108532676A (zh) 一种超高层建筑消防给水装置
KR101224271B1 (ko)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CN104027924A (zh) 一种适用于高层住宅建筑的灭火系统
CN102294098A (zh) 安装在建筑物上的消防组件
CN101046102A (zh) 生活、消防共用无负压给水装置
CN208694102U (zh) 建筑工地高空消防水箱
CN204898782U (zh) 供室外消防取水的消防水池和水箱组合式系统
CN208981417U (zh) 一种室内消防给水系统
KR101910739B1 (ko) 오리피스판을 이용한 건축물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압력 유지장치
CN210439371U (zh) 一种超高层消防稳压系统
US20160346578A1 (en) Fire fighting apparatus for tall buildings
CN212575505U (zh) 一种高层建筑消防栓用加压设备
CN215025556U (zh) 一种消防工程给水系统
CN215136249U (zh) 一种地下变电站消防系统
CN202865922U (zh) 一种楼房分层供水系统
US20170274234A1 (en) Method of installing, designing, servicing or testing a water-based fire protection system
US808083A (en) System of water-supply for urban and other buildings.
RU139543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гружными насосами и резервуарами
CN207376792U (zh) 一种地下室消防供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