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18B1 - 입자상 물질 센서 - Google Patents

입자상 물질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18B1
KR101223418B1 KR1020100138514A KR20100138514A KR101223418B1 KR 101223418 B1 KR101223418 B1 KR 101223418B1 KR 1020100138514 A KR1020100138514 A KR 1020100138514A KR 20100138514 A KR20100138514 A KR 20100138514A KR 101223418 B1 KR101223418 B1 KR 10122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emical cell
particulate matter
exhaust gas
anode electrode
res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797A (ko
Inventor
오광철
공준덕
이춘범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01N11/007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the diagnostic devices measuring oxygen or air concentration downstream of the exhaus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입자상 물질(PM)의 포집 및 산화 과정 중에 연속적으로 그 농도 측정이 가능한 입자상 물질(PM) 센서가 제공된다. 이러한 입자상 물질 센서에 있어서, 제 1 전기화학셀은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맞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고 산화되고,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다. 제 2 전기화학셀은 상기 배기 가스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의 뒤편에, 상기 제 1 전기화학셀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는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의 제 1 저항값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의 제 2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계측한다.

Description

입자상 물질 센서{Particulate Matter Sensor}
본 발명은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 가스 내 입자상 물질 센서에 관한 것이다.
배기 규제가 한층 강화됨에 따라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디젤 자동차에 대해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에 대한 규제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줄이기 위한 장치와 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자동차 엔진에서 유해 배기 물질을 자가 진단하기 위한 온-보드-진단(On-Board Diagnostic; OBD)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디젤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자동차 장착용 센서는 그 정확도가 떨어지고 그 크기가 너무 커서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입자상 물질의 트랩, 계측 및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않기 때문에, 연속 계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연속 계측이 가능하면서 정밀도가 높은 입자상 물질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으로 제시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과제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 센서가 제공된다. 제 1 전기화학셀은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맞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고 산화되고,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다. 제 2 전기화학셀은 상기 배기 가스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의 뒤편에, 상기 제 1 전기화학셀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는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의 제 1 저항값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의 제 2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계측한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캐소드 전극을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산소를 트랩하기 위한 다공성 적층 구조의 금속 산화물; 및 희토류 금속을 담지한 보조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의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가스 성분은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 1 전원이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 2 전원이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에 연결된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자동차의 배기관에 설치되고, 나아가 디젤 매연 여과기(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뒷단에 설치되어 상기 디젤 매연 여과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입자상 물질 센서가 제공된다. 산소를 트랩하는 캐소드 전극이 제공된다. 제 1 고체 전해질은 상기 캐소드 전극의 일측에 배치되고, 산소 이온 및 배기 가스 중의 기체가 통과되도록 다공질 구조를 갖는다. 제 1 애노드 전극은 상기 캐소드 전극 반대편의 상기 제 1 고체 전해질 상에 제공된다. 제 2 고체 전해질은 상기 제 1 고체 전해질 반대편의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의 타측에 배치되고, 산소 이온 및 배기 가스 중의 기체가 통과되도록 다공질 구조를 갖는다. 제 2 애노드 전극은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 반대편의 상기 제 2 고체 전해질 상에 제공된다. 배기 가스는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 방향으로 배출되며, 상기 배기 가스 중 입자상 물질은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 상에서 포집되어 산화되고, 상기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까지의 제 1 저항값 및 상기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까지의 제 2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계측한다.
상기 입자상 물질 센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제 1 고체 전해질을 통한 산소 이온의 펌핑 효율이 증대되어 상기 제 1 저항값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자상 물질(PM) 센서에 의하면, PM이 포집되고 산화될 때 두 개의 전기화학셀의 저항값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PM 농도가 연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M 센서에 의하면, 두 개의 전기화학셀을 일체화함으로써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M 센서는 자동차의 디젤 매연 여과기(DPF)의 정상 동작 여부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온-보드-진단(OBD) 시스템 구축에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 센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M 센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M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M 센서의 응용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 센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전기화학셀(First Electrochemical Cell, C1) 및 제 2 전기화학셀(Second Electrochemical Cell, C2)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화학셀(C1)은 배기 가스를 맞이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제 2 전기화학셀(C2)은 제 1 전기화학셀(C1) 뒤편에 제 1 전기화학셀(C1)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기화학셀(C1) 및 제 2 전기화학셀(C2)은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갖고, 나아가 배기 가스 내 가스 성분에 대해서는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전기화학셀(C1)은 캐소드 전극(105), 제 1 고체 전해질(110) 및 제 1 애노드 전극(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체 전해질(110)은 캐소드 전극(105)의 일측, 예컨대 배기 가스를 맞이하는 측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 1 애노드 전극(115)은 캐소드 전극(105) 반대편의 제 1 고체 전해질(110) 상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기화학셀(C2)은 캐소드 전극(105), 제 2 고체 전해질(120) 및 제 2 애노드 전극(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체 전해질(120)은 제 1 고체 전해질(110)의 반대편, 즉 캐소드 전극(105)의 타측과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애노드 전극(125)은 캐소드 전극(105) 반대편의 제 2 고체 전해질(120) 상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전기화학셀(C1) 및 제 2 전기화학셀(C2)은 캐소드 전극(105)을 서로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캐소드 전극(105)은 공통 캐소드 전극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105)이 공유되기 때문에, 제 1 전기화학셀(C1)과 제 2 전기화학셀(C2)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소형화에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제 1 전기화학셀(C1) 및 제 2 전기화학셀(C2)이 개별적인 캐소드 전극들(미도시)을 갖고, 이 개별적인 캐소드 전극들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105)은 배기 가스 중의 산소 트랩이 용이하고, 질소산화물에 대한 흡장물질(Adsorbate)의 담지가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105)은 비균일성 다공성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나아가 산소 트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초미세기공을 가진 보조담체에 희토류 금속을 담지한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애노드 전극들(115, 125)은 입자상 물질(PM), 예컨대 HC(Hydro Carbon) 성분에 대한 선택적 산화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애노드 전극들(115, 125) 및 캐소드 전극(105)은 적절한 금속 산화물, 예컨대 Ag계 산화물, 알카리토금속계 산화물, Ni계 산화물, 구리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카리토금속계 산화물로는 LiO, K2O, CaO, SrO, BaO 등을 들 수 있고, Ag계 산화물로는 AgO, AgO2 또는 Ag·SnO2 등과 같은 합금 산화물을 들 수 있고, Ni계 산화물로는 NiO 또는 NiO-YSZ 등을 들 수 있고, 구리계 산화물로는 CuO 또는 2CuO·Cr2O3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체 전해질(110, 120)은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도록 불균일성 다공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고체 전해질(110, 120)은 YSZ(Yttria Stabilized Zirconia), GDC(Gadolinia-doped Ceria), SDC(Samarium-doped Ceri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V1)은 제 1 전기화학셀(C1)에 연결되고, 제 2 전원(V2)은 제 2 전기화학셀(C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원(V1)은 캐소드 전극(105)과 제 1 애노드 전극(115)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전원(V2)은 캐소드 전극(105)과 제 2 애노드 전극(125)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전기화학셀(C1)의 저항값(이하, 제 1 저항값이라고 함)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 1 전류계(A1)가 제 1 전원(V1)과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전기화학셀(C2)의 저항값(이하, 제 2 저항값이라고 함)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 2 전류계(A2)가 제 2 전원(V2)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PM 센서는 제 1 저항값과 제 2 저항값의 차이를 계측하여, 이를 바탕으로 배기 가스 내 PM 농도를 계측할 수 있다. 제 1 저항값과 제 2 저항값의 차이는 제 1 전기화학셀(C1)과 제 2 전기화학셀(C2)의 산소 이온 펌핑 효율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 이러한 효율의 차이는 산소 이온이 PM의 산화 반응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제 1 애노드 전극(115) 상에는 PM이 포집되기 때문에, 산소 이온의 펌핑 효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제 1 저항값이 제 2 저항값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제 1 저항값과 제 2 저항값의 차이가 클수록 PM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배기 가스 내 PM의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1차적으로 엔진의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수단이 될 수 있고, 2차적으로 후처리 장치에서 배기 가스의 처리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M 센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PM 센서는 도 1의 PM 센서에 일부 구성이 더 부가된 것이고, 따라서 두 실시예들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열 부재(130)가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에 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130)는 내부에 금속 열선(13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130)는 배기 가스의 온도가 낮은 경우,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의 산소 이온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부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 부재(130)는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에 공통으로 접하도록 부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금속 열선(135)은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 내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금속 열선(135)은 제 1, 제 2 애노드 전극(115, 125) 및 캐소드 전극(105)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M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기 가스(Exhaust Gas, 10)는 제 1 애노드 전극(115)으로부터 제 2 애노드 전극(125)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다. 즉, 배기 가스(10)는 제 1 전기화학셀(C1)의 제 1 애노드 전극(115)에 직면한 후, PM(11)을 제외한 대부분이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들(C1, C2)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 가스(10)는 PM(11), 산소(O2, 12), 탄소 산화물(14), 질소 산화물(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산화물(14)은 CO2를 포함하고, 질소 산화물(16)은 NO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배기 가스(10) 내에는 CO와 같은 탄소 산화물(14) 및/또는 NO와 같은 질소 산화물(16)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배기 가스(10) 중 PM(11)은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 1 애노드 전극(115) 상에 포집된다. 탄소 산화물(14) 및 질소 산화물(16)은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을 통과하여 배기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질소 산화물(16)은 캐소드 전극(105)에 흡장되나 포화 농도 이상이 되어 배기 방향을 따라서 배출될 수 있다.
산소(12)는 캐소드 전극(105)에 트랩되어, 제 1 전원(V1) 및/또는 제 2 전원(V2)을 통해서 전압이 인가될 때 산소 이온으로 이온화되어 제 1 및 제 2 고체 전해질들(110, 120)을 통과하여 제 1 및 제 2 애노드 전극들(115, 125) 방향으로 펌핑된다. 질소 산화물(16)은 캐소드 전극(105)에 트랩되어 제 1 전원(V1) 및/또는 제 2 전원(V2)을 통해서 전압이 인가될 때 N2로 환원되고, 산소 이온은 제 1 및 제 2 고체 전해질들(110, 120)을 통과하여 제 1 및 제 2 애노드 전극들(115, 125) 방향으로 펌핑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에서 전류는 산소 이온에 의한 이온 전류가 대부분이 되고, 이러한 산소 이온의 전도도가 제 1 및 제 2 전기화학셀(C1, C2)의 저항값을 결정하게 될 수 있다.
제 1 애노드 전극(115) 상에 포집된 PM(11)은 산소 이온과 반응하여 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애노드 전극(115) 상에 포집된 PM(11)의 농도가 높을수록 산소 이온의 펌핑 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반면, 제 2 애노드 전극(125) 상에는 PM(11)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산소 이온이 제 2 애노드 전극(125) 상에서 느리게 산화 또는 퇴적된다. 따라서, PM(11)의 농도가 높을수록 제 1 전기화학셀(C1)에서의 산소 이온의 펌핑 효율이 제 2 전기화학셀(C2)에서의 산소 이온의 펌핑 효율보다 증대 된다.
이에 따라, PM(11)의 농도가 높을수록, 제 1 저항값(Ω1)과 제 2 저항값(Ω2)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저항값(Ω1)과 제 2 저항값(Ω2)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배기 가스(10) 내 PM(11)의 농도를 계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표준화 과정을 거치면, 제 1 저항값(Ω1)과 제 2 저항값(Ω2)의 차이를 PM(11)의 농도와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PM(11)이 제 1 애노드 전극(115) 상에 포집됨과 동시에 산화되어 재생되면서, 그 농도가 연속적으로 계측될 수 있다. 따라서, PM(11)을 포집하는 단계, PM(11) 농도를 계측하는 단계, 및 PM(11)을 재생하는 단계를 분리할 필요 없이 이들을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PM 센서의 응용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디젤 엔진(미도시)에 연결된 배기관(30)에는 엄격화된 배기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젤 매연 여과기(DPF, 40)가 장착될 수 있다. PM 센서(50)는 디젤 매연 여과기(40)의 뒷단에 배치되어, PM 농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디젤 매연 여과기(40)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M 센서(50)가 제어기(60)에 신호를 전달하고, 이 제어기(60)가 사용자에 디젤 매연 여과기(4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온-보드-진단(OBD)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5: 캐소드 전극 110: 제 1 고체 전해질
115: 제 1 애노드 전극 120: 제 2 고체 전해질
125: 제 2 애노드 전극 130: 가열 부재
135: 금속 열선 C1, C2: 전기화학셀
V1, V2: 전원 A1, A2: 전류계

Claims (12)

  1.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맞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고 산화되고,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배기 가스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의 뒤편에, 상기 제 1 전기화학셀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산소 이온 전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 제 2 전기화학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의 제 1 저항값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의 제 2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계측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캐소드 전극을 공유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산소를 트랩하기 위한 다공성 적층 구조의 금속 산화물; 및
    희토류 금속을 담지한 보조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를 갖는, 입자상 물질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가스 성분은 통과시키는, 입자상 물질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에 연결된 제 1 전원; 및
    상기 제 2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에 연결된 제 2 전원을 더 포함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자동차의 배기관에 설치되는, 입자상 물질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화학셀 및 상기 제 2 전기화학셀은 자동차의 배기관의 디젤 매연 여과기(DPF) 뒷단에 설치되어 상기 디젤 매연 여과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도록 제공되는, 입자상 물질 센서.
  8. 산소를 트랩하는 공통 캐소드 전극;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의 일측에 배치되고, 산소 이온 및 배기 가스 중의 기체가 통과되도록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제 1 고체 전해질;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 반대편의 상기 제 1 고체 전해질 상의 제 1 애노드 전극;
    상기 제 1 고체 전해질 반대편의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의 타측에 배치되고, 산소 이온 및 배기 가스 중의 기체가 통과되도록 다공질 구조를 갖는 제 2 고체 전해질; 및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 반대편의 상기 제 2 고체 전해질 상의 제 2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고,
    배기 가스는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 방향으로 배출되며, 상기 배기 가스 중 입자상 물질은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 상에서 포집되어 산화되고,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까지의 제 1 저항값 및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까지의 제 2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계측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제 1 고체 전해질을 통한 산소 이온의 펌핑 효율이 증대되어 상기 제 1 저항값이 낮아지는, 입자상 물질 센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 1 전원; 및
    상기 공통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 2 전원을 더 포함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은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제 2 애노드 전극은 Ag계 산화물, 알카리토금속계 산화물, Ni계 산화물 및 구리계 산화물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입자상 물질 센서.
KR1020100138514A 2010-12-30 2010-12-30 입자상 물질 센서 KR10122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14A KR101223418B1 (ko) 2010-12-30 2010-12-30 입자상 물질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14A KR101223418B1 (ko) 2010-12-30 2010-12-30 입자상 물질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97A KR20120076797A (ko) 2012-07-10
KR101223418B1 true KR101223418B1 (ko) 2013-01-17

Family

ID=4671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514A KR101223418B1 (ko) 2010-12-30 2010-12-30 입자상 물질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133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m 센서의 고장 판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73973A1 (en) 2016-09-12 2018-03-15 Hyundai Motor Company Particulate matters sens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nsor unit provided in this
KR102506756B1 (ko) 2016-12-16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자상 물질 감지 센서 및 그 신호처리 회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621B1 (ko) * 1996-07-19 1999-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연비 센서
JP2005337782A (ja) * 2004-05-25 2005-12-08 Denso Corp 粒子状物質検出装置
KR20100103360A (ko) * 2009-03-12 2010-09-27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입자상 물질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621B1 (ko) * 1996-07-19 1999-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연비 센서
JP2005337782A (ja) * 2004-05-25 2005-12-08 Denso Corp 粒子状物質検出装置
KR20100103360A (ko) * 2009-03-12 2010-09-27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입자상 물질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133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m 센서의 고장 판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97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091B1 (ko) 전류계 전기화학 센서, 센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EP3029291B1 (en) Catalyst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CA2663739C (en) Fuel cell system
US8974657B2 (en) Amperometric electrochemical cells and sensors
US20090218220A1 (en) Amperometric Electrochemical Cells and Sensors
US20100287916A1 (en) Purification structure incorporating a biased electrochemical catalyst system
JP2006200520A (ja) 浄化装置、浄化方法、及び、排出ガス浄化システム
EP3191827A1 (en) Amperometric solid electrolyte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nh3 and nox
KR101223418B1 (ko) 입자상 물질 센서
US20140034495A1 (en) Sensor Apparatus For Detecting A Gas Concentration And A Particle Concentration Of An Exhaust Gas
JP4283686B2 (ja) ガスセンサ素子とガスセンサ素子の制御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2008119618A (ja) 浄化装置、浄化方法、排出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浄化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8119618A5 (ko)
EP30303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urification of exhaust gas with an electrochemical cell
JP6455185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13519984A (ja) 固体酸化物形電池のためのガス流を精製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6418587B2 (ja) 窒素酸化物濃度測定及びアンモニアスリップ検出センサー
JP4851974B2 (ja) 浄化装置
JP2006299857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CN111133305B (zh) 控制装置
JP2011069326A (ja) 排ガス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システム
WO2018123946A1 (ja) 異常判断装置
JP4318281B2 (ja) 窒素酸化物の除去システム
CN111173592A (zh) NOx分解设备和方法
JP3062741B2 (ja) 固体電解質を利用した高NOx還元作用を有する電極材及びNOx削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