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150B1 -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150B1
KR101223150B1 KR1020110025298A KR20110025298A KR101223150B1 KR 101223150 B1 KR101223150 B1 KR 101223150B1 KR 1020110025298 A KR1020110025298 A KR 1020110025298A KR 20110025298 A KR20110025298 A KR 20110025298A KR 101223150 B1 KR101223150 B1 KR 10122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age righ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659A (ko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1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1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확인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 단계; 및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 폰의 보급에 따라 해킹된 단말기에 크랙된 유료 애플리케이션이 복사 또는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때마다 유효성을 확인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Method For Protecting Application Copyright,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의 보급에 따라 해킹(Hacking)된 단말기에 크랙(Crack)된 유료 애플리케이션이 복사 또는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때마다 유효성을 확인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인해 상대방과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하는데 이용되는 것 외에도, 게임, 음악 감상, 노래방 기능, 및 캐릭터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유료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운영하는 제공자에게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이 해킹된 단말기에 크랙된 유로 애플리케이션을 복사 또는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막대한 손해를 보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폰의 보급에 따라 해킹된 단말기에 크랙된 유료 애플리케이션이 복사 또는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확인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 단계; 및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 및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저작권 확인 장치에서 저작권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전송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확인 단계; 상기 현재 식별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전송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확인부; 상기 현재 식별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 폰의 보급에 따라 해킹된 단말기에 크랙된 유료 애플리케이션이 복사 또는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때마다 유효성을 확인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과 같이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만 적용되며, 업체 또는 개인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없는 것과 달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애플리케이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전제되어야 할 구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2)은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만 적용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과 달리 저작권 보호 모듈(114)이라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제작, 배포하여 애플리케이션 제작 시에 저작권 보호 모듈(114)이 적용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112)과 저작권 보호 모듈(11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단말기(110), 통신망(120),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 및 저작권 확인 장치(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시스템이 단말기(110), 통신망(120),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 및 저작권 확인 장치(1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통신망(120)을 통하여 데이터 읽고 쓰기 및 저장, 네트워크, 컨텐츠 사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즉, 단말기(110)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 또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 또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기(11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110)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10)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를 모두 포함하여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저작권 보호 모듈(114)을 탑재한 애플리케이션(112)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인스톨(Install)한다. 즉,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명령에 의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인스톨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12)이란 인증된 업체 또는 개인이 개발하여 오픈마켓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등록하여 판매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무료 또는 유료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무료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유료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저작권 보호가 필요하므로, 업체 또는 개인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저작권 보호 모듈(114)을 탑재하도록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즉, 유료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업체 또는 개인 개발자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등록하면 소비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하여 자신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110)로 다운로드하거나 개인용 컴퓨터(PC)로 다운로드한 후 단말기(110)로 옮길 수 있으며, 유료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판매수익을 개발자와 운영사가 기 설정된 비율로 분배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112)에 탑재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저작권 보호 모듈(114)은 일종의 라이브러리(Library)로서, 애플리케이션(112)을 개발할(만들 때) 쓰이는 클래스(Class)나 서브루틴(Subroutine)들의 모임을 말한다. 즉, 저작권 보호 모듈(114)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문제나 그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되고 테스트된 서브루틴 등을 모아서 체계화된 정보로서, 라이브러리에 등록되는 서브루틴은 연계편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상대형식 또는 소스(원시)프로그램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작권 보호 모듈(114)은 단말기(110)에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12)의 내부에 삽입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은 단말기(110)와 동일 플랫폼(Platform)에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애플리케이션(112)의 내부에 삽입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과 단말기(110)의 플랫폼 간에 통신 설계 방식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멀티 프로세싱이 가능한 단말기(110)의 플랫폼에서 동시에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112)의 저작권 보호 모듈(114)과 통신을 통하여 각 애플리케이션(1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애플리케이션(112)의 동작 허용 여부는 단말기(110)의 플랫폼에 설치된 제어부에 종속적이지 않고 저작권 확인 장치(140)의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의 발급 여부에 종속적으로 설계되어 애플리케이션(112)을 특정 단말로 불법 복제/복사/설치된 경우라도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가 발급되지 않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동을 제한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12)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112)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112)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해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112)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최초 등록될 시 애플리케이션(112)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별도의 식별 정보를 말한다. 또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대해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112)이 유료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등록된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컨대, MDN: Mobile Directory Number)와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발급되는 정보를 말한다.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매 정보, 애플리케이션(112)의 유효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한 결과, 애플리케이션(112)의 유효성(Effectiveness)이 확인된 경우,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하기 위해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예컨대 단말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자체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기 설정된 코드 식별자 정보로 제공한다.
한편, 단말기(110)가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 전송하며,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될 때마다 이러한 동작을 루틴(Routine)하게 반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각 애플리케이션(112)의 동작 허용 여부는 단말기(110)의 플랫폼에 설치된 제어부에 종속적이지 않고 저작권 확인 장치(140)의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의 발급 여부에 종속적으로 설계되어 애플리케이션(112)을 특정 단말로 불법 복제/복사/설치된 경우라도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가 발급되지 않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동을 제한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110)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경유하는 통신망(120)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한 경우, 푸쉬(Push) 메시지 형태로 이를 안내한다. 즉, 단말기(110)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할 때마다 저작권을 확인하는 데, 애플리케이션(112) 구동 시마다 통신망(120)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통신망(120)이 Wi-Fi인 경우 통화료가 무료이나, 통신망(120)이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예컨대, 3G)인 경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알려주는 것이다.
통신망(12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20)은 저작권 확인 장치(14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을 해당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딩 컴퓨팅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환경 접속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망(120)의 개념에 대해 추가적으로 부연 설명하자면, 통신망(12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크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인증 시스템 및 결제 시스템과 연동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는 회원 가입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휴대폰에 탑재되는 일정관리, 주소록, 알람, 계산기, 게임, 동영상, 인터넷접속, 음악재생, 내비게이션, 워드, 액셀 등의 컨텐츠 응용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상의 '모바일 컨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즉, 전용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110)로 해당 단말기용 응용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등록된 응용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은 협력업체가 개발하고 각각의 이동통신사가 독점 판매하는 방식이 아니라 인증된 업체 또는 개인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판매하는 개방형 장터로, 운영사에서 공개한 소프트웨어 개발키트(예컨대, SDK, Xcode 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누구나 자신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세계 이용자에게 팔 수 있다.
개인 개발자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등록한 경우, 소비자는 통신에 접속하여 자신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110)로 다운로드하거나 개인용 컴퓨터(PC)로 다운로드한 후 단말기(110)로 옮길 수 있으며, 유료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판매수익을 개발자와 운영사가 기 설정된 비율로 분배하며, 소비자들은 무료 또는 유료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110)의 현재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210),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220),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 및 요금 안내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210),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220),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 및 요금 안내부(2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단말기(11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210)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12)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210)는 단말기(110)의 사용자 명령 입력부(예컨대 키 입력부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22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210)의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112)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112)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112)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최초 등록될 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별도의 식별 정보이다.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는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는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고 있는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발급되는 정보이다. 또한,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가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 전송하며,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가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매 정보, 애플리케이션(112)의 유효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한 결과, 애플리케이션(112)의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삭제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240)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자체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기 설정된 코드 식별자 정보로 제공한다.
요금 안내부(250)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경유하는 통신망(120)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한 경우, 푸쉬 메시지 형태로 이를 안내한다. 즉, 요금 안내부(250)는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할 때마다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112) 구동시 마다 통신망(120)에 접속하는데 이때, 통신망(120)이 Wi-Fi인 경우 통화료는 무료이나, 통신망(120)이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예컨대, 3G)인 경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알려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의 구성 요소 중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220)는 리퀘스트 수신 모듈(312), 결과 전송 모듈(314)을 포함하며,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는 단말 정보 검출 모듈(332), 저작권 확인 모듈(334), 저작권 체크 모듈(336), 저작권 요청 모듈(338), 저작권 요청 신호 생성 모듈(340), 저작권 응답 신호 처리 모듈(342), 저작권 검색 모듈(344), 서버 연동 모듈(346), 단말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모듈(348) 및 단말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의 구성 요소 중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220)는 리퀘스트 수신 모듈(312), 결과 전송 모듈(314)을 포함하며,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는 단말 정보 검출 모듈(332), 저작권 확인 모듈(334), 저작권 체크 모듈(336), 저작권 요청 모듈(338), 저작권 요청 신호 생성 모듈(340), 저작권 응답 신호 처리 모듈(342), 저작권 검색 모듈(344), 서버 연동 모듈(346), 단말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모듈(348) 및 단말 데이터베이스(3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220) 및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2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리퀘스트 수신 모듈(312)은 애플리케이션(112)에 탑재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리퀘스트(Request)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리퀘스트는 저작권 보호 모듈(114)이 전송하는 요청 신호를 일컫는다. 결과 전송 모듈(314)은 애플리케이션(112)에 탑재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수신된 리퀘스트에 대한 결과를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제어 모듈(320)은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정보 검출 모듈(332)은 단말기(110)의 기 설정된 특정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작권 확인 모듈(334)은 발급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 또는 단말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발급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권 보호 모듈(114)의 요청에 대한 결과를 판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작권 체크 모듈(336)은 단말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작권 요청 모듈(338)은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작권 요청 신호 생성 모듈(340)은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첼린지(Challenge) 정보를 생성하고, 저작권 응답 신호 처리 모듈(342)은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작권 검색 모듈(344)은 단말 데이터베이스(350)에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서버 연동 모듈(346)은 저작권 확인 장치(14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모듈(348)은 단말 데이터베이스(350)와 관련된 기능(예컨대 조회, 실행, 삭제 등)을 수행하고, 단말 데이터베이스(350)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또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서버 통신부(410), 단말기 식별 정보 확인부(420) 및 저작권 사용 권리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가 서버 통신부(410), 단말기 식별 정보 확인부(420) 및 저작권 사용 권리 전송부(4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저작권 확인 장치(14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서버 통신부(410)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단말기(110)와 연동하며, 단말기(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 식별 정보 확인부(420)는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저작권 사용 권리 전송부(430)는 단말기(110)의 현재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저작권 발급 여부 판단 모듈(510), 저작권 발급 모듈(512), 리퀘스트 처리 모듈(514), 서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모듈(516), 저작권 응답 신호 생성 모듈(518), 단말기 연동 모듈(520), 서버 데이터베이스(5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작권 확인 장치(140)가 저작권 발급 여부 판단 모듈(510), 저작권 발급 모듈(512), 리퀘스트 처리 모듈(514), 서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모듈(516), 저작권 응답 신호 생성 모듈(518), 단말기 연동 모듈(520), 서버 데이터베이스(522)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저작권 확인 장치(14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 발급 여부 판단 모듈(510)은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의 발급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작권 발급 모듈(512)은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퀘스트 처리 모듈(514)은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서버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모듈(516)은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이터베이스(522)와 관련된 기능(예컨대 조회, 실행, 삭제 등)을 수행하고, 저작권 응답 신호 생성 모듈(518)은 단말기(110)로부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대한 첼린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첼린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연동 모듈(520)은 단말기(11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하고, 서버 데이터베이스(522)는 발급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저작권 보호 모듈(114)을 탑재한 애플리케이션(112)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인스톨한다. 즉,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명령에 의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인스톨한다. 단말기(110)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12)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10). 단계 S610의 확인 결과, 애플리케이션(112)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112)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620).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해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112)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최초 등록될 시 애플리케이션(112)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별도의 식별 정보를 말한다.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 전송한다(S630). 또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대해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112)이 유료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130)에 등록된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발급되는 정보를 말한다.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한다(S640). 즉, 단말기(110)가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 전송하며, 저작권 확인 장치(14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탑재된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될 때마다 이러한 동작을 루틴하게 반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단말기(11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하여 유효성이 확인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50). 단계 S650의 확인 결과,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의 유효성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도록 한다(S660). 단계 S66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112)의 구매 정보, 애플리케이션(112)의 유효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한 결과, 애플리케이션(112)의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단말기(110)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112)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자체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기 설정된 코드 식별자 정보로 제공한다.
도 6에서는 단계 S610 내지 단계 S6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610 내지 단계 S6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단말기(110)와 연동하며, 단말기(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710). 즉,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단말기(110)에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110)에서 애플리케이션(112)에 탑재된 저작권 보호 모듈(114)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다.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110)의 현재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S720). 즉,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현재 MDN을 확인하는 것이다.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단말기(110)의 현재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30). 단계 S730의 확인 결과, 단말기(110)의 현재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740). 즉,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현재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와 현재 애플리케이션 구동하는 단말기가 동일한 단말기인 것이 확인되므로, 해당 단말기로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만약, 단계 S730의 확인 결과, 단말기(110)의 현재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저작권 확인 장치(140)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에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정보를 포함시켜 단말기(110)로 전송하거나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는 단계 S710 내지 단계 S74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710 내지 단계 S74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확인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말기 120: 통신망
130: 저작권 확인 장치 140: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
210: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
220: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
230: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 240: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
250: 요금 안내부
410: 서버 통신부 420: 단말기 식별 정보 확인부
430: 저작권 사용 권리 전송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단말기에서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확인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작권 확인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저작권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수신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저작권 확인 장치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경유하는 통신망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한 경우, 푸쉬 메시지 형태로 이를 안내하는 요금 안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장치에 최초 등록될 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별도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단말기의 현재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발급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
  7. 단말기에서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확인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자체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기 설정된 코드 식별자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
  9. 제 7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확인부;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요청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저작권 보호 모듈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확인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획득하는 저작권 사용 권리 확인부; 및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결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저작권 사용 권리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25298A 2011-03-22 2011-03-22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2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298A KR101223150B1 (ko) 2011-03-22 2011-03-22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298A KR101223150B1 (ko) 2011-03-22 2011-03-22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59A KR20120107659A (ko) 2012-10-04
KR101223150B1 true KR101223150B1 (ko) 2013-01-21

Family

ID=4727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98A KR101223150B1 (ko) 2011-03-22 2011-03-22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1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50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마크애니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38711A (ko) * 2007-10-16 2009-04-21 주식회사 케이티 불법 소프트웨어 실행 방지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방법
KR20110019678A (ko) * 2009-08-20 2011-02-28 브이피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50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마크애니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38711A (ko) * 2007-10-16 2009-04-21 주식회사 케이티 불법 소프트웨어 실행 방지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방법
KR20110019678A (ko) * 2009-08-20 2011-02-28 브이피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59A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05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enance tracking in software ecosystems
US9710621B1 (en) Platform for cloud application software
JP660904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リスクマネジメント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JP6074516B2 (ja) アドレス帳にプラグインを追加する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4051342A1 (en) Flexible content protection system using downloadable drm module
US11057219B2 (en) Timestamped license data structure
CN110324416A (zh) 下载路径跟踪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介质
CN106709281A (zh) 补丁发放和获取方法、装置
US202400617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providing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service
US10713338B2 (en) Source-based authentication for a license of a license data structure
WO2018032955A1 (zh) 电子书管理方法及系统
US20180260536A1 (en) License data structure including license aggregation
KR101223150B1 (ko) 애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06778270B (zh) 一种恶意应用程序的检测方法及系统
CN111309551B (zh) 一种确定事件监控sdk集成正确的方法及装置
KR101771570B1 (ko) 유료 리소스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및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im et al. Detecting illegally-copied apps on android devices
CN110806935B (zh) 应用程序构建方法、装置和系统
KR20120002079A (ko) 어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저작권 보호 방법
KR20200073892A (ko)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US202400224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indexing blockchain operations based on identifying unindexed parameters
US202400224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indexing blockchain operations by parsing raw blockchain data for relevant data prior to executing confirmatory function calls
CN112787994B (zh) 电子设备的设备id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562916B (zh) 共享算法的方法和装置
Jiang App Tamper Detection and Retrospective Program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