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892A -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892A
KR20200073892A KR1020180162592A KR20180162592A KR20200073892A KR 20200073892 A KR20200073892 A KR 20200073892A KR 1020180162592 A KR1020180162592 A KR 1020180162592A KR 20180162592 A KR20180162592 A KR 20180162592A KR 20200073892 A KR20200073892 A KR 2020007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block
data
public block
main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무홍
Original Assignee
(주)인프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프라케이 filed Critical (주)인프라케이
Priority to KR102018016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892A/ko
Publication of KR2020007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술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분산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메인넷
간에 연동, 거래 및 기타 데이터를 기록시에 메인넷 각각의 블록구조가 상이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블록을 생성하거나 증명작업을 하는 노드(node)라고 불리는 컴퓨터들 이외에도 일반적인 개인컴퓨터나 저장매체가 존재하는 모든 유무선 기기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시스템과 그 저장구조인 공공블록(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Distributed Save System utilizing Block with standardized 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메인넷에서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블록구조들을 공공블록(표준화된 블록저장구조)으로 일원화하여 분산 저장하는 시스템으로서, 타 메인넷의 존폐여부와 관계없이 한번 설치된 공공블록에 모든 메인넷들의 연동, 거래 및 기타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서, 특정 메인넷의 신규블록생성 및 증명방식에 활용되는 노드(컴퓨터 및 저장매체)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실질적인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데이터가 공공데이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분산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무수한 메인넷들이 개발되고 서비스가 되어지는 상황에서, 메인넷들마다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블록구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서 해당 메인넷에 등록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열람 및 기록등을 할 수가 없는 형태이다. 또한, 대부분의 블록체인 메인넷에서는 생성된 블록들이 해당 메인넷의 노드(컴퓨터 및 저장매체)에 저장이 됨으로서, 타 메인넷이나 해당 메인넷에 등록이 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데이터의 접근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는 블록체인기술의 데이터 투명성과 공공성을 담보하는 블록체인의 기술과 취지에 근본적으로 상충하는 시스템이며 어떤 메인넷의 사용자이거나 메인넷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이여도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어야 공공데이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방식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어디서나 어떤 메인넷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거나 표준화된 공공블록을 소유하고 활용함으로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데이터를 공공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며, 데이터의 투명성과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제기하는 것이다.
공공블록(표준화된 블록구조)을 다양한 메인넷이 블록저장매체로 활용함으로서 향후 공공블록에 기록된 데이터들은 다양한 형태의 빅데이터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자료 활용의 확장성에도 상당한 이용이 될 것이다.
또한, 공공블록을 활용한다는 것은 신규 메인넷 개발 업체들에게도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사용자들에게 인식이 될 수 있으므로, 현저히 떨어져 있는 블록체인에 대한 일반적인 불신도 상당히 해소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사용자들이 공공블록 제공시스템에 공공블록을 요청하고 공공블록요청을 받은 제공시스템에서 사용자 등록 및 인증후 사용자가 공공블록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제1 단계; 요청한 저장매체 및 기기에 적합한 블록을 다운로드하는 제2 단계; 신규 공공블록이 생성시 기존 공공블록을 보유한 저장매체 및 기기에 신규 공공블록의 생성을 알리는 제3 단계; 공공블록 제공시스템에서 종래의 타 메인넷, 온라인서비스, 콘텐츠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타 모든 온라인 에서 공공블록을 활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며, 종래의 온라인 기반의 서비스들이 블록체인기술의 분산저장시스템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공공블록이 투명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춘 대중적 빅데이터의 기반이 되는 저장매체로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단계는 공공블록 제공시스템에 공공블록을 요청하는데 있어 최초1회에 있어서 사용자 등록을 하는데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개인, 기업, 단체등 다양한 사용자로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로 등록된다는 것은 유니크한 식별자가 부여가 되고, 그 식별자는 향후 모든 데이터 열람, 기록 및 승인요청 기능등에 활용될 수 있다.
제2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공블록의 형태를 요청을 하면, 공공블록 제공시스템에서는 해당 형태에 맞춰 공공블록에 유니크한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요청한 사용자가 해당 공공블록의 소유임을 연계한 후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며, 사용자는 여러개의 공공블록을 소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공공블록을 공공재로서 자료화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툴을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제3 단계는 사용자가 요청한 공공블록을 다운로드후 설치가 완료되면, 전체 공공블록 사용자들에게 신규 공공블록의 생성과 소유권 관련내용도 일괄적으로 전달하여, 추후 유효한 공공블록인지와 소유권이 일치하는 지등을 증명을 할 때 사용하도록 한다.
제4 단계는 공공블록의 사용처가 단순히 공공블록 제공시스템이외에 타 메인넷 및 종래의 온라인 서비스등에서도 별도로 메인넷의 신규개발이나 블록체인기술을 도입하는데 무리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동 API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메인넷에서 제공하는 블록구조만을 사용하게 되면 결국 데이터의 열람 및 기록을 위해 해당 메인넷에 등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개선함으로서, 대형 메인넷의 정책에 따라만 가는 형태가 아니라, 공공블록을 소유한 사용자들 중심이 되어 데이터의 투명성과 신뢰도가 상당하게 향상 되고, 이에 따라 무분별한 메인넷 개발로 인한 데이터의 투명성과 서비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메인넷과 암호화화폐등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할 것이며, 결국 그런 메인넷 개발업체는 운영의 어려움까지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들이 생겨날 수 있는 순기능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이며, 현재까지 블록체인 서비스와는 개념부터 확연히 차별화된 데이터의 공공재가 화두로 부상하며, 모든 블록체인 및 온라인 서비스가 공공블록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이를 활용한 서비스들이 경쟁적으로 출시할 것으로 예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블록의 요청과 다운로드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블록 제공시스템과 연동API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문서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을 한다. 단,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에 설명함으로서, 아주 핵심적이며 반드시 이해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서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부차적인 설명이나 예시들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공블록(100)의 요청과 다운로드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개인, 기업, 단체등을 구분하고 공공블록(100)을 요청하는 단계(110)을 통해 공공블록제공시스템(310)에서 승인과정을 통해 신규 사용자와 신규 공공블록(100)에 식별번호를 각각 부여하게 된다. 신규 사용자의 식별번호는 최초1회 발급되며 이는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공공블록(100)을 추가 설치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 식별번호를 신규 생성되지 않으며, 추가되는 신규 공공블록(100)의 식별번호만 발급되며 원하는 기기에 신규로 설치할 수 있다.
추가 설치가 필요한 이유는 사용자들이 개인컴퓨터(220)나 스마트폰(200)등 해당 기기마다 설치를 원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블록(100)의 신규 발급은 사용자마다 제한이 없이 발급되어 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공공블록(100)이 신규 발급이 되어지면 사용자는 해당 기기에서 다운로드(120)을 받고,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이때, 공공블록(100)뿐만이 아니라 데이터 분석툴도 함께 다운로드 및 설치가 된다.
설치가 완료가 되면 해당기기에 공공블록(100)이 생성이 되는 것이다.
생성된 공공블록(100)의 정보는 공공블록제공시스템(500)을 통해 기존의 공공블록(100) 사용자들에게 공개되고, 공공블록(100)에 기록되어 지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공공블록(100)에 기록되어질 데이터의 승인을 요청시 실제 사용자인지, 발급받은 공공블록(100)과 매칭되는지 등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에서 활용되기 위함이다.
공공블록(100)은 하나의 구조로만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공공블록, 관광공공블록, 체육공공블록, 경제공공블록등 다양한 업종과 서비스에 맞게 처리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질 수도 있다.
데이터 분석툴의 제공은 공공블록(100)이 공공재로서 누구나 어디서나 자료를 열람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확실한 방법을 제공함이며, 이는 종래의 메인넷들이 진행해오던 자체적인 블록체인기반의 분산저장방식에서, 완전한 공공재로서 활용되어짐을 확인시켜주는 방법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기존에 온라인, 모바일 또는 메인넷 환경을 통해 서비스해오던 서비스 및 업체(600)들에게도 공공블록(100)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동API(700)을 제공함으로서 자금과 시간의 최소한의 투자만을 통해, 블록체인기술을 도입 및 참여하거나 투명하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 분산저장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검토나 분석을 통해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공공블록
110 : 공공블록 요청 및 사용자 등록
120 : 공공블록 및 데이터 분석툴 다운로드 및 설치
200 : 저장매체(무선기기)
300 : 저장매체(기업 및 단체등의 컴퓨터 또는 서버)
310 : 공공블록 제공시스템
400 : 저장매체(유선기기(일반컴퓨터등))
500 : 공공블록 제공시스템
600 : 블록체인기술을 기반으로하는 타 메인넷
700 : 타 메인넷 및 기타 온라인 서비스와 공공블록 제공시스템 연동 API

Claims (3)

  1. 상기 블록을 요청하고 다운로드하는 단계; 에 있어서, 일반적인 메인넷의 노드(컴퓨터 및 저장매체)에서 블록이 생성되고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개인컴퓨터나 저장매체가 존재하는 모든 유무선 기기에 표준화된 데이터 분산저장 시스템과 그 저장구조인 공공블록을 설치하는 방법.
  2. 종래의 타 메인넷이나 온라인상의 모든 서비스제공자들이 종래 서비스들은 그대로 활용하면서 블록체인기반의 공공블록 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연동API를 제공하는 방법.
  3. 특정 서비스 및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공공블록의 설치시 제공되는 데이터 분석툴을 통해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공공블록을 자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공공블록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공공재로서 누구나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는 방법.
KR1020180162592A 2018-12-15 2018-12-15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KR20200073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592A KR20200073892A (ko) 2018-12-15 2018-12-15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592A KR20200073892A (ko) 2018-12-15 2018-12-15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92A true KR20200073892A (ko) 2020-06-24

Family

ID=7140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592A KR20200073892A (ko) 2018-12-15 2018-12-15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739B1 (ko) * 2021-02-15 2021-06-11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마이 데이터 월릿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739B1 (ko) * 2021-02-15 2021-06-11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마이 데이터 월릿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40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ally assigning nodes to a group within blockchains based on transaction type and node intelligence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US20220198410A1 (en) Providing data provenance, permissioning, compliance, and access control for data storage systems using an immutable ledger overlay network
KR102288045B1 (ko) 블록 체인 기반 대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944570B2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notary service for file and verifying file recorded by notary service
US9904442B2 (en) Updating assets rendered in a virtual world environment based on detected user interactions in another world
CN110874739B (zh) 实现高完整性、高带宽、低延迟、安全处理的分布式计算和存储网络
JP2022529967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からのデータの抽出
US11449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vate settlement of distributed ledger transactions
JP6898548B2 (ja) 承認システム、承認方法および承認プログラム
JP201953731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介したアイデンティティと証明書の保護及び検証と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620810A (zh) 在区块链上的连续资产转移的非链接所有权
JP69040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20067125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certificate of right to use digital content,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medium in order to carry out method
CN11161245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知识产权管理系统及方法
US20230104103A1 (en) Custodial systems for non-fungible tokens
CN115114372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020844A (ko)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73892A (ko) 표준화된 저장구조를 갖는 블록(공공블록)을 활용한 분산저장시스템
JP202351384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関連するサービスの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計算サービス
CN116961876A (zh) 用于区块链的虚拟资源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04808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건축물 생애주기정보를 거래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애주기정보 거래 서버
US7093281B2 (en) Casual access application with context sensitive pin authentication
EP4022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arket data rights enforcement
KR102495580B1 (ko) 이미지 도용 판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240037653A1 (en) Secure Decentralized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