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562B1 - 신발 소독조 - Google Patents

신발 소독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562B1
KR101222562B1 KR1020110039956A KR20110039956A KR101222562B1 KR 101222562 B1 KR101222562 B1 KR 101222562B1 KR 1020110039956 A KR1020110039956 A KR 1020110039956A KR 20110039956 A KR20110039956 A KR 20110039956A KR 101222562 B1 KR101222562 B1 KR 10122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ion tank
shoe
weight
parts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009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정문일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일, 김진국 filed Critical 정문일
Priority to KR102011003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5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소독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축사 내로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에 묻어있는 각종 세균에 의해 가축들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자가 출입구로 출입할 때 밟고 지나가며 신발을 소독할 수 있도록 소독액을 부어 놓은 신발 소독조를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물론 소독액의 교체시기를 육안 및 음향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소독조{Disinfecting basin for shoes}
본 발명은 축사 내로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에 묻어있는 각종 세균에 의해 가축들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자가 출입구로 출입할 때 밟고 지나가며 신발을 소독할 수 있도록 소독액을 부어 놓은 신발 소독조를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물론 소독액의 교체시기를 육안 및 음향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 소독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대량으로 기르는 각종 우사나 돈사 및 양계장에 외부에서 출입을 하는 작업자나 외부에서 들여오는 동물의 다리 및 짐을 싣고 들어오는 화물차의 바퀴에 묻어 있는 세균이 침투를 하여 기르는 가축이 세균에 옮아서 가축이 전염병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일
이 빈번하였었다.
이로 인하여 우사나 돈사 및 양계장과 같은 축사의 출입구에 콘크리트로 사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박스를 형성한 상태에서 박스 내에 소독액을 일정량만큼 충만함으로서 축사 내로 출입을 하는 작업자의 신발이나 각종 동물의 발을 소독하여 외부의 유해한 각종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여 기르는 각종 소나 돼지 및 닭을 병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리고 비육우나 젖소들과 같이 방목을 하는 우사에 있어 방목시에 외부에서 옮겨오는 세균에 감염되어 비육우나 젖소들이 전염병에 옮게 되는 등이 빈번하여 비육우나 젖소가 방목장소로부터 우사 내로 들어오는 길목에 콘크리트로 소독조를 형성하여 사용을 하고는 있으나, 소독조를 콘크리트로 형성을 함에 있어 콘
크리트의 양생 시간이 너무 걸리게 되어 비육우나 젖소를 기르기 전에 설치를 하였고, 콘크리트 및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판 등으로 형성하는 소독조를 외부에 고정설치를 한다.
상기 고정된 설치된 소독조는 콘크리트 및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판 등으로 이루어져 소독조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이 걸려 넘어지고 다치거나, 기르는 가축을 이동시에 콘크리트의 소독조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가축의 다리를 다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독조는 비교적으로 대형으로 제작되어 임의의 장소에 한번 설치하면 다른 장소로 운반할 수 없어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독조의 설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방수성이 저하되어 소독액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소독조는 용접부분 등이 소독액에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소독조는 대기에 장시간 노출되면 자외선과 오존에 의해 열화되어 쉽게 파손되고, 고무재질인 경우에는 자외선 및 오존에 오래 노출되거나 계절변화에 따른 기후에 노출되어 쉽게 트거나 갈라져 소독액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로 본 발명은 소독조를 임의의 장소로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가볍게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낮추며, 장시간 설치시 자외선 및 오존과 계절변화에 따라 파손되지않도록 내구성 및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독조에 담긴 소독액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 소독조는 바닥판과 이를 둘러싸는 측벽에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바닥판과 측면은 고무를 주재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무는 내 오존성 고무와 내 약품성 고무인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와 클로로프렌 고무(CR)에 충전재 믹스와 내구성이 우수한 모디파이드 페놀수지를 혼합성형한 소독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를 더 포함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독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벽 및 바닥면에 보강용 실부재가 혼합되어 성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소독조는 자외선과 오존 및 계절변화에 영향을 전혀 파손되지 않도록 내마모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용 실 및 그물을 혼합하여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독액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재질에 의해 경량화를 이루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에는 바닥에 밀착되어 쉽게 밀려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 신발 소독조(1)는 사각형 형상의 바닥판(3)의 둘레에 수직방향으로 측벽(2)이 형성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소독액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부(11)를 형성하고, 측벽(2) 가장자리 둘레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손잡이(14)와, 손잡이(14)의 상면에는 형광 테이프(5)가 부착된다.
상기 수용 공간부(11)는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하되, 신발의 바닥면 전체를 소독할 수 있을 정도의 소독약이 담기도록 높이를 유지하여 소독액을 수용하게 된다.
또한, 신발 소독조(1)는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데, 이는 내 오존성과 내 약품성이 우수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DPM)와 클로로프렌 고무(CR)를 일대일로 혼합한 합성고무 100중량부로 형성한다.
한편,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DPM)와 클로로프렌 고무(CR)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합성고무는 신발 소독조(1)의 설치 위치가 주로 옥외에 설치되거거나 기후변화에 쉽게 노출되는 장소에 설치됨으로 인해 오존 및 자외선에 접촉으로 발생하는 열화(劣化)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신발 소독조(1)의 수용 공간부(11)에는 약품인 소독액이 항상 담겨져 있으므로 인해 내약품성을 가진 고무가 더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합성고무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량으로 5 ∼ 10중량부 정도의 천연고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신발 소독조(1)를 이루는 합성고무에는 충전재 믹스가 첨가되는데, 상기 충전재 믹스는 경탄과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지고, 합성고무 100중량부에 경탄(탄산칼슘) 10 ∼ 15중량부와 카본 블랙 10 ∼ 15중량부를 혼합한다.
한편, 경탄은 생산단가를 낮추어 주면서 성형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어 생산 비용과 내구성 및 성형성을 고려한 적절한 중량비율은 10 ∼ 15중량부이나 이 비율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카본블랙은 우수한 내마모성을 부여하며 적절한 중량비율은 10 ∼ 15중량부이나 이 또한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합성고무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디파이트 페놀수지 15 ∼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성형한다.
상기 모디타이트 페놀수지는 고온 및 저온에서 탄력적이며 마찰을 증가시킴으로써 마모성을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고온 및 저온에서 장기간에 걸친 가혹조건에 대한 뛰어난 내구 수명이 있어, 가혹한 하중이나 승온에 따른 노화 혹은 피로 현상에 대해서도 고무제품의 물성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고무에는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5 ∼ 2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은 많은 작은 분자(단위체)들을 사슬이나 그물 형태로 화학결합시켜 만드는 커다란 분자로 이루어진, 유기 중합체 계열에 속하는 강하고 질기며 매끄러운 비 가연성 불소 수지임은 물론 모든 화학약품에 대해 내화학성이 있으며, 넓은 온도범위(-270 ∼ 250℃)에서 물리적 성질을 유지한다.
한편, 모디파이트 페놀수지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15 ∼ 20중량부 이하로 할 경우에는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이상일 경우에는 쿠션력이 저하된다.
또한, 신발 소독조(1)는 바닥판(3)과 측벽(2)이 보강용 실(9)로 혼합하여 성형함으로 내구성을 보강한다.
상기 보강용 실(9)은 타이어를 보강하는 타이어용 코드사가 사용될 수 있는데, 타이어에 사용되는 것처럼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보강용 실을 절단한 후 합성고무와 혼합하여 신발 소독조(1)로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보강용 실(9)이 혼합됨으로써 신발 소독조(1)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보강용 실(9)의 보강은 특히 신발 소독조(1)가 극한 기후변화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잘 찢어지지 않게 하고, 밟히거나 트랙터 등에 짓눌려도 파손되지않게 한다.
한편, 보강용 실(9)은 타이어 코드사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상당하는 다른 종류의 실이나 코드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수용 공간부(11)에는 인조 잔디(15)가 삽입되어 소독액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스펀지(7)를 삽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소독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신발 소독조(1)의 내부에 위치한 수용 공간부(11)에는 소독액이 채워져 밟고 지나가면 소독액이 주변으로 튀지않도록 스펀지(7)나 인조 잔디(15)를 넣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바닥판(3)의 상면으로 쿠션력이 있는 지지 돌기(4)를 배열하여 스펀지(7)나 인조 잔디(15)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지지 돌기(4)는 통행자가 밟을 경우 압착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쿠션력을 제공하여 신발 전체에 소독액이 묻을 수 있도록 하며, 지지 돌기(4)의 재질은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 도면으로, 신발 소독조(1)의 측벽(2) 표면에는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 테이프(5)를 부착하거나 코팅함으로 인해 정확하게 수용 공간부(11)를 밟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7은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신발 소독조(1)의 측벽(2)에는 수용 공간부(11)를 밟고 가는 통행자를 카운트할 수 있는 감지센서(6)나 소독액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센서(6)가 부착된다.
또한, 측벽(2)에는 감지센서(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설치하여 입력된 통행자를 초과하거나 소독액 양이 일정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가 육안 및 소리에 의해 확인하고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경고음 또는 불빛이 점멸하도록 출력부(10)가 같이 설치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출력부(10)의 경고음 또는 점멸되는 불빛에 의해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 소독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신발 소독조(1)는 바닥판(3)과 측벽(2)에 보강용 실(9)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서 내구성을 보강한다.
따라서 보강용 실(9)의 보강은 특히 신발 소독조(1)가 극한 기후변화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잘 찢어지지 않게 하고, 밟히거나 트랙터 등에 짓눌려도 파손되지않게 한다.
한편, 보강용 실(9)은 직물사 또는 금속 와이어로 직조하여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신발 소독조(1)는 축사 내로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에 묻어있는 각종 세균에 의해 가축들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1: 소독조 2: 측벽
3: 바닥판 4: 지지 돌기
5: 형광 테이프 6: 감지 센서
7: 스펀지 8: 전원부
9: 보강용 실 10: 출력부
11: 수용 공간부 12: 제어부
13: 보강용 실 14: 손잡이
15: 인조 잔디

Claims (8)

  1. 바닥판(3)과 이를 둘러싸는 측벽(2)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신발 소독조(1)에 있어서,
    상기 신발 소독조(1)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DPM)와 클로로프렌 고무(CR)를 혼합한 합성고무 100중량부;와
    상기 합성고무에 충전재 믹스 15 ∼ 20중량부; 와
    상기 합성고무에는 모디파이트 페놀수지 15 ∼ 20중량부를 혼합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측벽(2)에는 감지 센서(6)의 감지에 의해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경고음 또는 불빛이 점멸하도록 출력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15 ∼ 2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에는 쿠션력을 갖는 지지 돌기(4)가 배열되고, 측벽(2)에는 바닥판(3)을 밟고 지나간 출입자나 소독액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의 표면에는 야간에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 테이프(5)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 및 측벽(2)에는 보강용 실(9)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의 상부에는 스펀지(7) 또는 인조 잔디(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믹스는 경탄(탄산칼슘) 10 ∼ 15중량부와 카본 블랙 10 ∼ 15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독조.
KR1020110039956A 2011-04-28 2011-04-28 신발 소독조 KR10122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56A KR101222562B1 (ko) 2011-04-28 2011-04-28 신발 소독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56A KR101222562B1 (ko) 2011-04-28 2011-04-28 신발 소독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009A KR20120122009A (ko) 2012-11-07
KR101222562B1 true KR101222562B1 (ko) 2013-02-04

Family

ID=4750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56A KR101222562B1 (ko) 2011-04-28 2011-04-28 신발 소독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3810A (zh) * 2013-11-22 2014-03-05 芜湖集拓橡胶技术有限公司 一种改进型氯丁橡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983U (ko) * 1997-04-23 1998-11-25 김동태 축사용 소독장치
KR200220524Y1 (ko) * 2000-11-21 2001-04-16 정문일 발굽 소독조
KR200366571Y1 (ko) * 2004-08-16 2004-11-06 이승원 축사용 소독조
KR20100007600U (ko) * 2009-01-19 2010-07-28 김윤성 소독용 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983U (ko) * 1997-04-23 1998-11-25 김동태 축사용 소독장치
KR200220524Y1 (ko) * 2000-11-21 2001-04-16 정문일 발굽 소독조
KR200366571Y1 (ko) * 2004-08-16 2004-11-06 이승원 축사용 소독조
KR20100007600U (ko) * 2009-01-19 2010-07-28 김윤성 소독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009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045B1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JP4673645B2 (ja) ボウフラ駆除容器
KR200412795Y1 (ko) 소의 발굽장애 예방용 세족기
KR101895039B1 (ko)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장치
US20070044727A1 (en) Floor covering for an animal house
KR101222562B1 (ko) 신발 소독조
CN109220884B (zh) 蛋鸡福利养殖系统
KR200458780Y1 (ko) 신발 자동 소독장치
US20170127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ultry house floor
US7491265B1 (en) Cover for animal waste collection area
KR101414228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KR200408106Y1 (ko) 소의 발굽장애 예방용 세족기
Hansen Test of 10 different farrowing pens for loose-housed sows
KR200151145Y1 (ko) 축사용 소독장치
KR200220524Y1 (ko) 발굽 소독조
KR101423310B1 (ko)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KR20200090057A (ko) 방역용 매트
KR20170049316A (ko) 실내용 쿠션형 애완견 집
KR101512243B1 (ko) 축사바닥재의 유해가스 역류방지장치
AU2017101573B4 (en) Livestock water trough
CN103704149B (zh) 一种动物圈舍的排粪结构
NZ737062B (en) Livestock water trough
CN220953553U (zh) 一种防臭铸铁井盖
KR200366571Y1 (ko) 축사용 소독조
CN203912847U (zh) 一种漏粪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