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147B1 -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147B1
KR101222147B1 KR1020100128004A KR20100128004A KR101222147B1 KR 101222147 B1 KR101222147 B1 KR 101222147B1 KR 1020100128004 A KR1020100128004 A KR 1020100128004A KR 20100128004 A KR20100128004 A KR 20100128004A KR 101222147 B1 KR101222147 B1 KR 10122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haff
outer jacket
jacket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752A (ko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유)도영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영종합건설 filed Critical (유)도영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0012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1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겨를 투입하기 위한 왕겨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열풍을 투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자켓과, 상기 외부자켓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풍을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자켓과, 상기 외부자켓과 내부자켓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자켓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일측이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의 이동로가 되는 열 이송관과, 상기 외부자켓의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기와, 상기 외부자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왕겨를 점화하기 위한 복수의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점화부와, 상기 점화부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점화부의 하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점화부로부터 가열되어 탄화한 왕겨 숯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 및 내부 자켓을 따라 오랜시간 고온의 열풍이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자켓 내부에 열손실이 감소하므로 지속적으로 양질의 왕겨 숯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chaff charcoal manufacturing apparatus without energy}
본 발명은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겨를 투입하기 위한 왕겨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열풍을 투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자켓과, 상기 외부자켓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풍을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자켓과, 상기 외부자켓과 내부자켓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자켓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일측이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의 이동로가 되는 열 이송관과, 상기 외부자켓의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기와, 상기 외부자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왕겨를 점화하기 위한 복수의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점화부와, 상기 점화부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점화부의 하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점화부로부터 가열되어 탄화한 왕겨 숯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charcoal)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는 것으로, 목탄(木炭)이라고도 한다.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재질(材質)이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줄참나무 등)가 주로 사용된다. 참나무류로 만든 숯을 참숯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질이 낮은 검탄(黔炭)과 질이 좋은 백탄(白炭)으로 분류된다. 숯에는 이 밖에 건류탄과 뜬숯이 있다. 그리고 숯을 만들 때는 목가스, 목초산, 목타르 등이 부생(副生)한다. 제탄법(製炭法)에는 무개제탄법(無蓋製炭法), 퇴적제탄법,갱내제탄법, 축요제탄법(築窯製炭法) 등이 있으나 한국에서는 주로 축요제탄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축요제탄법이란 숯가마를 쌓고 그 안에 목재를 넣어서 굽는 방법인데, 검탄과 백탄은 이 방법으로 만든다. 가정용 연료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연탄, 석유, 전기, 가스 등의 이용률이 커짐에 따라 가정용의 연료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불에 타면서 형성되는 연기가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음식점 등에서 음식제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숯의 정화능력과 인체에 유효한 많은 기능으로 인해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제품인 숯목욕제, 탈취제, 습도조절, 항균 및 전자파 차단제 등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숯은 산성화한 물질이나 식품을 중화시켜 알칼리화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인체내에 체액이나 혈액을 알칼리로 중화하여 신선하게 유지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숯의 성분 가운데 약 60%가 알칼리성 염류이다. 오늘날 숯의 알칼리성을 이용해 산성 토양을 개량하거나 산성비 피해방지를 하는데 쓰이고 있다.
또한, 숯이 지닌 건강 증진 효과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산화(oxidation) 방지 및 환원 작용(deoxidize)이다. 숯은 사물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힘, 복원력이 뛰어나 주위의 모든 사물을 활성화하고 인체 건강을 유지시키며 치료할 수도 있으며,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발생, 습도조절 및 탈취 및 항균 기능으로 인해 여러 활용분야를 포괄적으로 가진 유익한 물질로 알려지고 있다.
이렇게, 나무를 불완전 연소하여 생성되는 숯은 나무를 벌목하여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어 자연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자연보호구역이 확대되어 국내에서 벌목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자연보호정책의 일환으로 벌목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이차가공품인 숯의 물동량이 감소하여 수요 급증에 따른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우리 농산물의 대표적인 쌀의 도정공정에서 벼 무게의 약 20~25% 정도의 부산물로 생산되어 활용도가 없어 폐기되던 왕겨를 불완전 연소시켜 숯으로 생산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왕겨 숯은 탄화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벌집같은 무수한 구멍이 형성되어 내부 기공이 많아 분쇄하면 기공이 작아 사용할 수 없는 나무 숯과 달리 분쇄하여도 사용이 가능하고, 나무 숯에 비해 흡착성과 통기성 및 보비력이 뛰어나 토양에 있는 유효 미생물 등의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토양에 활력을 주어 뿌리 발육 및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고, 목탄(경질) 에 비해 연질 (섬유질)이어서 구조가 치밀하여 많은 공극을 가짐으로 유해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유해물질
차단의 효과가 탁월하며, 섬유질 구조로 형성되어 물을 내부에 흡수하는 흡수도가 숯자체의 약 680%의 수분 함유 능력을 가짐으로 습도조정 능력이 뛰어나고, 왕겨 연소 시에 세포벽이 타들어 가면서 수많은 미세한 구멍이 생기는데 이 구멍들은 자신의 빈 공간을 채우려고 강한 흡착력을 발휘하여 해로운 바이러스나 독소 등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뛰어난 흡착기능을 가진다.
또한, 왕겨 체적의 30%까지 산소를 함유해서 땅속 미생물들이 왕성하고 식물의 탄소 동화작용시 뿌리에 원활히 공급하여 생육시 뿌리가 건실하여 병충해에 강하게 하여 식물의 생육을 조력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여 산화를 막아주어 신선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왕겨숯에는 유해 성분이 없는 각종 미네랄 (230여종)이 들어 있고, 인체에 필요한 각종 미량 원소 보급의 역할을 수행한다.
숯을 제조하면서 발생되는 연기에서 추출한 액체를 목초액이라고 하며, 목초(木酢)란, 일본에서 만든 용어로 '나무로 만든 초(酢)란 뜻'이다. 이러한, 목초액은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소이온농도(pH)3 정도의 산성액체로 식초와 성분이 매우 비슷하고 색조도 비슷하나 각기 전혀 다른 제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식초는 곡물의 전분 등 탄수화물을 효소로 분해하여 만드는데 반하여 목초액은 원목의 성분을 열로 분해하여 얻어진다. 다시 말하면 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탄화되면서 나무의 모든 에너지
가 기체화되어 응축된 에너지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초산의 신맛과 더불어 탄내(불 냄새)를 풍기는 자극적인 냄새를 갖고 있다.
이러한, 목초액은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 피부에 사용하면 함유되어있는 초산성분이 피부표면의 각질을 부드럽게 수축시켜주고 알콜 성분은 살균소독의 역할을 하며, 탄소입자는 피부를 더 젊어지게 보이도록 하고, 식용으로 사용하면 식용목초액은 피부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효소(SOD)의 기능을 하며, 그 외에도 간질환, 당뇨, 피로회복, 숙취제거, 장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고, 현재는 이 목초액이 아토피질환 관련하여 가려움증이나 환부의 살균소독 액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왕겨를 이용한 숯을 제조하는 방법은 대용량의 왕겨탱크에 왕겨를 채운 후에 가열 연소하여 왕겨 숯을 형성하고 연소된 연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왕겨를 불완전 연소한 후에 소화시키는 시간이 많이 지체되고, 수납된 왕겨 숯이 탄화되는 속도에 따라 가열되는 시간과 소화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제품 자체가 일정한 탄화도를 형성하지 않아 양질의 왕겨 숯을 생산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훈탄탱크에 왕겨를 수납한 상태로 훈탄을 실시함으로써, 낱알형태로 형성된 왕겨의 취급이 불편하고 왕겨의 상태에 따라 연소속도가 달라서 내부에 훈탄되는 왕겨숯의 구워지는 온도와 가열 시간의 차이가 내부에서 발생되어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대용량의 왕겨를 불완전 연소한 후에 소화시키는 시간이 많이 지체되고, 수납된 왕겨 숯이 탄화되는 속도에 따라 가열되는 시간과 소화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제품 자체가 일정한 탄화도를 형성하지 않아 양질의 왕겨 숯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용량의 훈탄탱크에 왕겨를 수납한 상태로 훈탄을 실시함으로써, 낱알형태로 형성된 왕겨의 취급이 불편하고 왕겨의 상태에 따라 연소속도가 달라서 내부에 훈탄되는 왕겨숯의 구워지는 온도와 가열 시간의 차이가 내부에서 발생되어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왕겨를 투입하기 위한 왕겨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열풍을 투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자켓; 상기 외부자켓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풍을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자켓; 상기 외부자켓과 내부자켓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자켓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일측이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의 이동로가 되는 열 이송관; 상기 외부자켓의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기; 상기 외부자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왕겨를 점화하기 위한 복수의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점화부의 하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점화부로부터 가열되어 탄화한 왕겨 숯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 이송관은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형파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왕겨 숯 제조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낙하하는 왕겨 숯이 잔류하는 이송판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판에 잔류하는 왕겨 숯을 하단으로 낙하하기 위해 왕겨 숯을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날과 왕겨 숯을 교반하기 위한 톱니가 부착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통해 낙하한 왕겨 숯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거나 왕겨 숯 제조장치의 내부로 재투입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및 내부 자켓을 따라 오랜시간 고온의 열풍이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자켓 내부에 열손실이 감소하므로 지속적으로 양질의 왕겨 숯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단면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외부자켓과 내부자켓 및 열이송관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점화부와 배출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외부자켓과 내부자켓 및 열이송관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의 점화부와 배출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겨를 투입하기 위한 왕겨 투입구(11)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21)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열풍을 투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22)와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가 형성되는 외부자켓(20)과, 상기 외부자켓(20)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31)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풍을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32)와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33)가 형성되는 내부자켓(30)과, 상기 외부자켓과 내부자켓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자켓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일측이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32)와 연통되며 열풍의 이동로가 되는 열 이송관(40)과, 상기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22)와 연통되며 열풍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기(50)와, 상기 외부자켓(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왕겨를 점화하기 위한 복수의 열선(61)으로 이루어지는 점화부(60)와, 상기 점화부(60)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점화부(60)의 하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70) 및 상기 점화부(60)로부터 가열되어 탄화한 왕겨 숯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출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상기 외부자켓(20)은 외부로부터 왕겨를 투입되는 왕겨 투입구(11)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21)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풍의 통로(21)는 외부의 열원으로부터 고온의 열풍을 공급받아 상기 외부자켓의 내부에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오랜시간 체류하여 상기 외부자켓(20)을 가열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자켓(20)은 외부의 열원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22)와, 상기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22)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열풍의 통로(21)를 따라 이동한 후 외부자켓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가 더 형성된다.
상기 내부자켓(30)은 외부자켓(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자켓(30)의 내부에는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31)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풍을 내부자켓(30)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32)와,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3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외부자켓(20)의 열풍의 통로(21)와 내부자켓(30)의 열풍의 통로(31)는 열풍이 자켓 내부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 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장시간 체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 이송관(40)은 외부자켓(20)과 내부자켓(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32)와 연통되는 것으로,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로부터 배출된 열풍이 상기 열 이송관(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32)에 투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열풍이 상기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 내에 장시간 체류할 수 있도록 구형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는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22)에 열풍을 투입하기 위한 열풍기(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풍기(50)는 고온의 열풍을 상기 외부자켓 내부(20)에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왕겨를 탄화하는 과정에서 외부·내부자켓(20,30) 내부를 지속적으로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점화부(60)는 왕겨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어 외부자켓(20)과 내부자켓(30)과 열 이송관(40)의 틈새에 적층된 왕겨를 점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자켓(2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열선(61)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왕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왕겨는 상기 열선(61) 상에 잔류하였다가 상기 점화부에 의해 연소되어 숯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점화부(60)는 상기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내부에 적층된 왕겨의 최하단을 점화하여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점화되어 연소되도록 한다.
상기 블로워(70)는 왕겨가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점화부(60)의 하부에 일정량의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최초 왕겨를 연소하기 위해 상기 점화부(6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공급한 후 작동을 멈추게 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블로워(70)를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는 왕겨를 일정온도까지 연소하여 왕겨 숯이 되면 외부로 배출하거나 투입구로 재투입하기 위한 배출부(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부(80)는 상기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81)과, 상기 회전축(81)에 결합되며 낙하하는 왕겨 숯이 잔류하는 이송판(82)과, 상기 회전축(8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판(82)에 잔류하는 왕겨 숯을 하단으로 낙하하기 위해 왕겨 숯을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날(86)과 왕겨 숯을 교반하기 위한 톱니(85)가 부착되는 스크래퍼(83)와, 상기 스크래퍼(83)를 통해 낙하한 왕겨 숯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거나 왕겨 숯 제조장치의 내부로 재투입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화부(60)에 의해 연소되어 왕겨가 왕겨 숯으로 제조되어 상기 열선(61)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이송판(82)에 낙하하게 된다. 외부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8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송판(82)에 잔류하는 왕겨 숯이 상기 스크래퍼(83)에 부착된 톱니(85)와 이송날(86)에 의해 이송판(82)의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송판(82)의 중앙부에 형성된 낙하홈(84)을 통해 왕겨 숯을 배출하여 스크류 컨베이어(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87)를 통해 상기 왕겨 숯을 왕겨 투입구(11)로 재투입하여 상기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 내부의 최상부에 외치하는 왕겨와 혼합하여 왕겨 숯의 연소 및 탄화 속도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왕겨 투입구(11)에 왕겨를 투입한 다음 열풍기(50)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상기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22)에 투입하게 된다. 투입된 열풍이 상기 외부자켓(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열풍의 통로(21)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외부자켓(20)을 가열한 다음 상기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게 되며, 이때 열풍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이 상기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와 연통되는 열 이송관(4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23)로 배출된 열풍은 구형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 이송관(40)을 따라 이동하며 지속적으로 상기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내부를 가열한 다음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32)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내부자켓(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풍의 통로(31)를 따라 이동한 다음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열풍이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의 내부를 가열하게 되면, 상기 외부자켓(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점화부(60)를 통해 왕겨를 연소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점화부(60)의 하부에 블로워(70)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원활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왕겨 숯이 되어 하부로 낙하하여 배출된 왕겨 숯은 배출부(80)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거나 왕겨 투입구로 재투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10)는 외부자켓(20)과, 내부자켓(30)과, 열 이송관(40)과, 열풍기(50)와, 점화부(60)와, 블로워(70) 및 배출부(8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에너지가 필요 없는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11 : 왕겨 투입구
20 : 외부자켓 21 : 열풍의 통로
22 :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 23 :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
30 : 내부자켓 31 : 열풍의 통로
32 :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 33 :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
40 : 열 이송관 50 : 열풍기 60 : 점화부 61 : 열선
70 : 블로워 80 : 배출부
81 : 회전축 82 : 이송판
83 : 스크래퍼 84 : 낙하홈
85 : 톱니 86 : 이송날
87 : 스크류 컨베이어

Claims (3)

  1. 왕겨를 투입하기 위한 왕겨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열풍을 투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외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자켓;
    상기 외부자켓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열풍의 통로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풍을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내부자켓 열풍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자켓;
    상기 외부자켓과 내부자켓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자켓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일측이 외부자켓 열풍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자켓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의 이동로가 되는 열 이송관;
    상기 외부자켓의 열풍 투입구와 연통되며 열풍을 투입하기 위해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기;
    상기 외부자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왕겨를 점화하기 위한 복수의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점화부의 하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점화부로부터 가열되어 탄화한 왕겨 숯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 이송관은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형파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왕겨 숯 제조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낙하하는 왕겨 숯이 잔류하는 이송판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판에 잔류하는 왕겨 숯을 하단으로 낙하하기 위해 왕겨 숯을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날과 왕겨 숯을 교반하기 위한 톱니가 부착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통해 낙하한 왕겨 숯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거나 왕겨 숯 제조장치의 내부로 재투입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KR1020100128004A 2010-12-15 2010-12-15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KR10122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04A KR101222147B1 (ko) 2010-12-15 2010-12-15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04A KR101222147B1 (ko) 2010-12-15 2010-12-15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52A KR20120066752A (ko) 2012-06-25
KR101222147B1 true KR101222147B1 (ko) 2013-01-14

Family

ID=4668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04A KR101222147B1 (ko) 2010-12-15 2010-12-15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4485A1 (zh) * 2013-11-19 2015-05-28 梁万泉 热风加热式生物质裂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50B1 (ko) * 2012-09-04 2013-10-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열풍 및 알칼리수의 회수가 가능한 숯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917A (ja) * 2005-04-26 2006-11-09 Yano Sadahide 炭焼き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917A (ja) * 2005-04-26 2006-11-09 Yano Sadahide 炭焼き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4485A1 (zh) * 2013-11-19 2015-05-28 梁万泉 热风加热式生物质裂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52A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2401B (zh) 一种生物质垃圾快速发酵生产有机肥的设备及工艺
AU20042070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uels from compressed biomass and use of said fuels
CN103254916B (zh) 一种病死害动物炭化处理工艺
CN105419899A (zh) 一种生物质燃料及其制备方法
CN101050137A (zh) 利用农林生物质生产轻基质的综合处理方法及装置
CN101629083A (zh) 一种木材加工剩余物的处理方法及其制备的木炭
CN101979477A (zh) 一种生物质成型燃料棒及生产工艺
CN202054794U (zh) 用秸秆制炭、气及副产品回收装置
CN109370677A (zh) 一种生物质环保高热值能源燃料及其制备方法
CN105710114A (zh) 一种生活垃圾及农林废弃物炭化循环综合处理系统及方法
CN205701817U (zh) 一种生活垃圾及农林废弃物炭化循环综合处理系统
KR101222147B1 (ko) 에너지가 필요 없는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
KR20150019243A (ko) 커피박을 포함한 폐기물을 이용한 고밀도 펠릿 또는 블럭 제조방법
KR100729371B1 (ko) 왕겨숯 및 왕겨초액 제조장치
CN104479786A (zh) 生物质成型燃料及生产方法
CN108003905A (zh) 一种碳化稻壳的生产处理工艺
CN101519598A (zh) 一种废弃生植物高效清洁环保循环综合利用方法及系统
CN205619252U (zh) 一种生物质燃烧机
KR101209754B1 (ko) 왕겨를 이용한 축분 발효 건조 장치와 발효 건조 방법
CN201343519Y (zh) 一种废弃生植物高效清洁环保循环综合利用装置
KR200401569Y1 (ko) 왕겨숯 및 왕겨초액 제조장치
CN202968464U (zh) 生物质炭化发生炉
CN107723049A (zh) 一种芳香型生物质能源颗粒
KR200390443Y1 (ko) 왕겨숯 및 왕겨초액 제조장치
CN203846018U (zh) 一种用于产生沼气的养殖场的废物循环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