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884B1 -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884B1
KR101221884B1 KR1020050081230A KR20050081230A KR101221884B1 KR 101221884 B1 KR101221884 B1 KR 101221884B1 KR 1020050081230 A KR1020050081230 A KR 1020050081230A KR 20050081230 A KR20050081230 A KR 20050081230A KR 101221884 B1 KR101221884 B1 KR 101221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rib
case
shrinkage
stea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260A (ko
Inventor
안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884B1/ko
Priority to DE112006000038T priority patent/DE112006000038B4/de
Priority to US11/660,095 priority patent/US8171756B2/en
Priority to CN2006800181725A priority patent/CN101180429B/zh
Priority to PCT/KR2006/001901 priority patent/WO2006126810A2/en
Publication of KR2007002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성형후 응고과정에서 수축을 방지함은 물론 증기발생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상측면에 물이 고임으로 인한 센서의 에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단이 개구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구된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응고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리브; 그리고, 상기 수축방지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 중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내측에 고이는 물을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증기발생장치, 수축방지리브, 배수홀

Description

증기발생장치{steam gen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증기발생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상부케이스 111:급수구
112:토출구 113:증기집중부
120:하부케이스 200:히터
300:수위감지센서 400:온도센서
500:수축방지리브 510:배수홀
520:호스 걸이부
본 발명은 세탁장치 등에 구비되는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시 응고과정에서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스의 상 측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발생장치는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와 같은 세탁 장치에 구비되고, 고온의 증기를 생성하여 세탁물의 세탁행정 중에 증기를 제공함으로써 세탁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최근에는 세탁물의 건조행정 중에 고온의 증기를 제공함으로써 세탁물의 주름을 펴고 드라이 클리닝을 하여 새옷과 같은 느낌을 주는 리프레쉬 작용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발생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케이스(1)로 그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는 하단이 개구되고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11a) 및 증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b)를 갖는 상부케이스(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구된 하부케이스(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생성되도록 히터(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 중 하부케이스(12)에 히터체결홀(12a)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2)는 상기 히터체결홀(12a)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에는 상기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된 물의 온도를 감지 하기 위한 온도센서(4)와,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3) 등 증기발생장치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센서들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4) 및 수위감지센서(3)는 각각의 감지 부위가 케이스(1)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주로 상기 상부케이스(11)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의 급수구(11a)는 세탁장치의 급수밸브(미도시)와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케이스(1)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토출구(11b)는 세탁장치의 드럼(미도시)과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드럼 내부로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는 금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고, 사출 성형된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는 상호 진동 용착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케이스(11)는 사출 성형된 후 응고시 수축되면서 휨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1)가 휨변형을 일으키면, 상부케이스(11)의 용착되는 하단 테두리부가 비대칭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이 비대칭형태를 이루는 상부케이스(11)를 상기 하부케이스(12)와 진동 용착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가압할 경우 상부케이스(11)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 성형시 상부케이스의 수축변형을 예방할 수 있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용착 결합시 상부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에 물이 고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각종 센서의 수분침투로 인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이 개구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구된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응고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리브; 그리고, 상기 수축방지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 중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내측에 고이는 물을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축방지리브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높이와 두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수축되는 정도(程度)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수축방지리브가 절곡된 부위를 가질 경우, 상기 절곡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수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하단이 개구된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구된 하부케이스(12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사출 성형시 응고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리브(500)와, 상기 수축방지리브(500)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 중 상기 수축방지리브(500)의 내측에 고인 물을 상기 수축방지리브(500)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하단이 개구되고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111) 및 증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상단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 진동 용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장치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400)와,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300) 등 증기발생장치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센서들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400) 및 수위감지센서(300)는 각각의 감지 부위가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주로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급수구(111)는 세탁장치의 급수밸브(미도시)와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증기발생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토출구(112)는 세탁장치의 드럼(미도시)과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드럼 내부로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 중 상기 토출구(112)가 형성된 부분은 그 내측공간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더 높도록 상부로 돌출된 증기집중(集中)부(113)가 형성됨으로써, 히터(200)가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고온의 증기가 상기 토출구(112)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모여 토출구(112)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축방지리브(5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 중 증기집중부(113)보다 더 낮은 면(114)을 갖는 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사출 성형시 상측면 중 증기집중부(113)보다 낮은 면(114)을 갖는 부분에 수축 변형이 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수축방지리브(50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축방지리브(500)의 높이(h)와 두께(t)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수축되는 정도(程度)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축방지리브(500)는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 중 증기집중부(113)와 맞닿는 양 끝단에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토출구(112)와 드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잡아주는 호스 걸이부(520)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호스 걸이부(520)의 높이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변형 정도에 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호스 걸이부(52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 중 증기집중부(113)와 이보다 높이가 낮은 면(114)을 갖는 부분의 경계부(115)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호스 걸이부(520)의 높이를 높일수록 상부케이스(110)의 변형에 대응하기 유리하다.
한편, 상기 배수홀(510)은 상기 수축방지리브(500)의 절곡된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수축방지리브(500)의 안쪽에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기가 보다 수월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되고, 사출 성형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는 상호 진동 용착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측면에는 수축방지리브(50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사출한 후 응고시 상부케이스(110)가 수축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용착되는 부위인 하단 테두리부의 휨변형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상기 하부케이스(120)에 진동 용착 방식으로 정확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축방지리브(500)에는 배수홀(5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축방지리브(500) 내측에 고이는 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 수분이 침투되어 발생될 수 있는 센서 에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케이스를 사출한 후 응고시 상부케이스가 수축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용착되는 부위인 하단 테두리부의 휨변형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상기 하부케이스에 진동 용착 방식으로 정확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축방지리브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축방지리브 내측에 고이는 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 수분이 침투되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센서 에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하단이 개구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구된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응고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리브; 그리고,
    상기 수축방지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 중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내측에 고이는 물을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2. 증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사출 성형시 응고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리브; 그리고,
    상기 수축방지리브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호수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방지리브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수축방지리브의 절곡된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KR1020050081230A 2005-05-23 2005-09-01 증기발생장치 KR101221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30A KR101221884B1 (ko) 2005-09-01 2005-09-01 증기발생장치
DE112006000038T DE112006000038B4 (de) 2005-05-23 2006-05-21 Dampfgenerator für eine Trommelwaschmaschine
US11/660,095 US8171756B2 (en) 2005-05-23 2006-05-21 Steam generator of drum washing machine
CN2006800181725A CN101180429B (zh) 2005-05-23 2006-05-21 滚筒式洗衣机的蒸汽发生器
PCT/KR2006/001901 WO2006126810A2 (en) 2005-05-23 2006-05-21 Steam generator of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230A KR101221884B1 (ko) 2005-09-01 2005-09-01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60A KR20070025260A (ko) 2007-03-08
KR101221884B1 true KR101221884B1 (ko) 2013-01-15

Family

ID=3809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230A KR101221884B1 (ko) 2005-05-23 2005-09-01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8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157A (ko) * 1994-02-28 1995-09-15 배순훈 세탁기의 수위표시방법
KR20050018182A (ko) * 2003-08-13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157A (ko) * 1994-02-28 1995-09-15 배순훈 세탁기의 수위표시방법
KR20050018182A (ko) * 2003-08-13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60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181B1 (ko) 증기발생장치
KR101154962B1 (ko) 압력센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078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KR100781274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070199353A1 (en) Steam genera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CA2788503C (en) Drain hole for a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597742B1 (ko) 세탁기
AU2007208543A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therewith
CN101392445A (zh) 洗衣机
EP1662034B1 (en) Washing / drying machine
KR20060055576A (ko) 세탁기
KR101221884B1 (ko) 증기발생장치
KR101569027B1 (ko) 세탁기
KR101437969B1 (ko)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216078B1 (ko) 증기발생장치
KR101215349B1 (ko) 증기발생장치용 케이스
KR20060089786A (ko) 세탁기의 터브 배수 구조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70016290A (ko)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H0917369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70025262A (ko) 증기발생장치의 하부케이스
KR101191175B1 (ko) 드럼 세탁기
WO2023002711A1 (ja) 洗濯機
KR20060102961A (ko) 증기 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