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10B1 -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410B1
KR101221410B1 KR20100079017A KR20100079017A KR101221410B1 KR 101221410 B1 KR101221410 B1 KR 101221410B1 KR 20100079017 A KR20100079017 A KR 20100079017A KR 20100079017 A KR20100079017 A KR 20100079017A KR 101221410 B1 KR101221410 B1 KR 10122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 support
inner cap
discharge 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558A (ko
Inventor
송호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2010007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410B1/ko
Priority to PCT/KR2011/005954 priority patent/WO2012023767A2/ko
Publication of KR2012001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17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omprising a frame supporting the coating roller at both ends or being intented to be hold at both ends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16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 B05C17/032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attached to the hand tool, e.g. into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direct or indirect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ating roller
    • B05C17/0357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direct or indirect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ating roller directly from a container attached to the hand tool, e.g. by gravity or d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구비되는 롤러지지부;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과 접촉하는 제1 롤러부; 제1 롤러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제1 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 및 몸체부의 결합턱에 결합되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부캡을 포함하며, 롤러지지부는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롤러지지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제1 롤러부는 제2 롤러부가 회전되는 경우, 제2 롤러부에 맞닿아 회전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제2 롤러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리브와 보강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롤러지지부를 회전시킬 때 롤러지지부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FLUID-MATERIAL SPREAD APPARTUS HAVING DOUBLE ROLL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액상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는 용기에 관한 분야이며, 구체적으로 이중 롤러부를 이용하여 액상물질을 고르게 도포시킬 수 있는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종래의 액상물질은 액상물질이 수용된 용기에서 배출시킨 후, 손이나 붓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에 도포시켰다. 예를 들어 액상 화장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화장용기에 수용된 액상화장물질을 손바닥 등에 배출시킨 후, 다른 손의 손가락이나 붓 등에 묻혀서 원하는 피부 위치 등에 도포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액상물질의 도포과정에서 액상물질은 손이나 옷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장소에 묻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액상물질로 인한 오염이나 액상물질의 불필요한 낭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하나의 도포롤러를 액상용기에 장착하여, 액상물질을 도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하나의 롤러만을 이용하여 액상물질을 도포하는 경우, 액상물질이 롤러에 지나치게 많이 묻거나, 너무 적게 묻는 등 롤러에 골고루 내용물을 도포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포롤러에 액상물질이 너무 많이 묻는 경우, 롤러가 지나치게 팽창되어 회전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액상물질을 사용자의 피부 등의 원하는 위치에 도포시키는 경우, 원하지 않는 위치에는 묻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액상물질이 롤러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액상물질의 배출을 사용자가 용기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액상 도포장치의 구성 요소 중 회전시켜 액상물질을 배출시키는 회전 구성 요소에 있어서, 회전 구성 요소를 회전시킬 때 회전 구성 요소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구비되는 롤러지지부;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과 접촉하는 제1 롤러부; 제1 롤러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제1 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 및 몸체부의 결합턱에 결합되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부캡을 포함하며, 롤러지지부는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롤러지지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제1 롤러부는 제2 롤러부가 회전되는 경우, 제2 롤러부에 맞닿아 회전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제2 롤러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 리브는, 롤러지지부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방향에 각각 마련되며, 복수의 지지 리브의 단부는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는 롤러지지부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방향에 각각 적어도 2개씩 마련되며, 좌측 방향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리브들을 서로 연결하고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리브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의 단부는, 내부캡을 향하는 보강 리브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더 돌출되어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내부캡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및 롤러지지부에 마련되며, 내부캡에 대해 롤러지지부를 회전시킬 경우 복수의 돌기와 접촉하여 롤러지지부의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내부캡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2개의 돌기이며, 복수의 걸림편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이격 형성되는 2개의 걸림편일 수 있다.
롤러지지부의 내측 공간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진 단차부가 더 마련되며, 복수의 걸림편은 단차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플레이트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돌기에 형성된 단차진 면은 단차부에 인접하는 롤러지지부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를 상호 작용하게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도포장치는 제1 롤러부를 이용하여 제2 롤러부에 액상물질을 고르게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 등 도포위치와 접촉하는 제2 롤러부에 골고루 액상물질을 고르게 도포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도포장치는 액상물질의 도포시 원하지 않는 장소에 액상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도포장치는 사용자의 좌우회전에 의해 액상물질의 배출과 차단이 용이하게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도포장치는 지지 리브와 보강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롤러지지부를 회전시킬 때 롤러지지부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방향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역방향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의 작동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의 롤러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서, 롤러지지부를 회전시킴에 의한 롤러지지부와 내부캡의 상호 결합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서, 돌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서,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액상화장용기의 도포장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액상 내용물을 배출하여 도포하는 다양한 유형의 도포장치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액상 의약품이나 페인트용액 등의 도포장치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중 롤러부'는 롤러가 2개라는 한정적 의미가 아니라, 롤러부가 2개라는 의미를 가진다. 제1 롤러부에 배치된 롤러가 1개이고, 제2 롤러부에 배치된 롤러가 1개이면, 롤러의 개수는 총 2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제1 롤러부에 배치된 롤러가 2개이고, 제2 롤러부에 배치된 롤러가 1개이면, 롤러의 개수는 총 3개가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방향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역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이하, '액상도포장치'라 한다)는, 몸체부(110), 롤러지지부(120), 제1 롤러부(140), 제2 롤러부(150), 내부캡(160) 및 캡(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롤러부(150)는 피부 등의 도포위치와 접촉되어 회전된다. 제2 롤러부(150)가 회전되면 이에 맞닿은 제1 롤러부(140)도 함께 회전된다.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공간부(111)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몸체부(110) 내부의 공간부(111)에는 액상 화장원료, 의료용 연고와 같이 액상의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몸체부(110)를 손으로 펌핑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압하는 경우, 몸체부(110) 내부의 공간부(111)에 수용된 액상물질은 제1 토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롤러지지부(120)가 배치된다. 롤러지지부(120)는 제1 롤러부(140)와 제2 롤러부(150)을 수용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의 하면에는 제1 토출구(112)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1)가 형성된다.
롤러지지부(120)에 수용되는 제1 롤러부(140)는, 롤러지지부(120)에 배치되어, 제2 토출구(121)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과 접촉한다. 제2 롤러부(150)는 제1 롤러부(1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제1 롤러부(14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 롤러부(150)가 도포하고자 하는 면(일 예로 사람의 피부 등)에 맞닿아 회전되는 경우, 제1 롤러부(140)는 제2 롤러부(150)에 맞닿아 연동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롤러부(140,150)는 각각 롤러지지부(12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일 예로 회전축(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롤러지지부(120)에는 이러한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걸쳐지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부(140)와 제2 롤러부(150)의 회전시, 제2 토출구(12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은 제1 롤러부(140)를 거쳐 제2 롤러부(150)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롤러부(140)와 제2 롤러부(150)는 도포작업이나 도포될 위치의 특성에 따라 퍼프(puff), 스폰지(sponge)와 같은 소프트(soft)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드(hard)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의 하면 상측에는 제1 롤러부(140)가 수용되는 오목부(122)가 형성된다.
오목부(122)는 롤러지지부(120)의 하면 상측이 하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이다. 오목부(122)는 제1 롤러부(1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롤러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오목부(122)에는 제2 토출구(121)가 연통형성된다. 한편, 제2 토출구(12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제1 롤러부(140)와 접촉되기 전에 임시로 머무를 수 있도록, 제1 롤러부(140)와 오목부(122)의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122)에 별도의 함몰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턱(113)이 형성되고, 결합턱(113)에는 관통되는 제1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결합턱(113)은 후술할 내부캡(16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결합턱(11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에 제1 토출구(112)가 연장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턱(113)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내부캡(160)의 걸림홈(161)과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걸림돌기(114)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은 결합턱(113)에 결합된다. 내부캡(160)의 중앙에는 제1 토출구(112)와 연통되는 관통공(1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토출구(112)을 통해 배출된 액상 내용물은 관통공(162)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관통공(162) 내에는 상단면과 하단면이 넓게 형성된 체크밸브(1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180)는 관통공(162) 내측에서 자유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일 예로 양단의 확장부(181)가 관통공(162)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62) 내에 체크밸브(180)가 배치되면, 공간부(111)의 압력과 외부 압력간의 차이에 따라 체크밸브(180)는 관통공(162)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관통공(16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공간부(111)의 압력이 외부보다 높은 경우, 체크밸브(180)는 관통공(162)내에서 체크밸브(180)의 하단부가 관통공(162)을 폐쇄시킬 때까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관통공(162)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공간부(111) 내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몸체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 압력이 공간부(111)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체크밸브(180)는 관통공(162) 내에서 체크밸브(180)의 상단부가 관통공(162)을 폐쇄시킬 때까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는 외부압력이 공간부(111)의 압력보다 높으므로 공간부(111)에 수용된 내용물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몸체부(110)가 가압후 원 상태로 돌아가면서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공간부(111)의 압력과 외부압력이 동일한 경우, 체크밸브(180)는 중력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가압과, 가압된 몸체부(110)가 원 상태로 돌아가는 원리가 보다 주요하게 작용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은 중앙부가 관통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롤러지지부(120)의 하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캡(16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1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편(123)은 내부캡(160)에 직접결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도포장치에서, 도 3, 도 4 및 후술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의 하면에는 관통공(162)을 개폐시키는 돌기부(124)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내부캡(160)에 대해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켜 롤러지지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돌기부(124)는 관통공(16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의 외주면에는 나사선(163)이 형성되고, 결합편(123)에는 나사선(163)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1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편(123)이 형성된 롤러지지부(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롤러지지부(120)가 내부캡(160)의 나사선(16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에 대해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켜 롤러지지부(120)가 상승 이동하는 경우, 돌기부(124)는 마찬가지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통공(162)을 개방시키게 된다.
반대로, 롤러지지부(120)가 하강 이동하는 경우, 돌기부(124)는 마찬가지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관통공(162)을 폐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의 상부에는 안내편(164)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가 일정 각도 회전한 경우, 롤러지지부(120)에는 안내편(164)의 측면과 맞닿아 접촉하도록 접촉편(126)이 형성된다.
롤러지지부(120)가 회전되어 안내편(164)과 접촉편(126)이 상호 맞닿아 접촉하는 경우, 돌기부(124)는 상기 관통공(162)을 개방시키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의 작동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초 결합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는 도 5의 상태에서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와 나사 결합된 롤러지지부(120)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롤러지지부(120)에 형성된 돌기부(124)는 마찬가지로 상측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돌기부(124)는 관통공(162)을 개방시키게 된다.
도 5의 상태에서 롤러지지부(120)를 추가로 더 회전시키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에 형성된 접촉편(126)과 내부캡(160)에 형성된 안내편(164)은 상호 맞닿아 접촉하게 되며 이때 롤러지지부(120)는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하게 된다.
여기서, 롤러지지부(120)는 도 5의 상태보다 더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관통공(162)은 도 5의 상태보다 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의 롤러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서, 롤러지지부를 회전시킴에 의한 롤러지지부와 내부캡의 상호 결합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편(164)에 대해 접촉편(126)이 대략 180도 정도 회전한 경우, 접촉편(126)과 안내편(164)이 상호 맞닿아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편(126)과 안내편(164)은 관통공(162)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된 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접촉편(126)과 안내편(164)의 위치가 용기에서 토출되는 액상물질의 양에 따라 변형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의 하단 내측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진 단차부(12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의 측면, 구체적으로 내부캡(160)의 외주면 하단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돌기(16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165)는 2개로 마련되며 내부캡(160)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C)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상의 회전 중심축(C)이라 함은, 내부캡(160)에 대해 회전하는 롤러지지부(120)의 회전 중심축을 말하며, 또한 내부캡(160)의 관통공과 제1 토출구를 연결하는 직선축을 말한다.
한편, 롤러지지부(120)의 단차부(127)에는, 사용자가 롤러지지부(12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돌기(165)와 접촉하여 롤러지지부(120)가 더 이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편(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편(128)은 단차부(127)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편(128)은 돌기(165)의 개수와 대응하도록 2개가 마련되며, 상호 간에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65)와 걸림편(128)은 롤러지지부(120)의 회전시 회전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과 회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롤러지지부(120)의 회전시 걸림편(128)은 돌기(165)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복수의 돌기(165)가 2개로 구비되며, 2개의 돌기(165)는 롤러지지부(120)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략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고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복수의 걸림편(128)이 2개로 구비되며, 2개의 걸림편(128)도 롤러지지부(120)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간에 대략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고 배치되므로, 내부캡(160)에 대해 롤러지지부(120)는 일측 방향으로 대략 180도 정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간략하자면,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켜 롤러지지부(120)의 걸림편(128)이 내부캡(160)의 돌기(165)에 접촉되는 순간 롤러지지부(120)의 회전은 제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서, 돌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서,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에 형성되는 돌기(165)는 일 예로 내부캡(16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65)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차부(127)의 단차 형상을 고려하여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165)의 단차진 부분(구체적으로, 돌기에 형성된 단차진 면)은 롤러지지부(120)의 내벽, 즉 단차부(127)에 인접하는 롤러지지부(120)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의 좌우 흔들림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127) 상측에 배치되는 돌기(165)의 단부는 롤러지지부(120)의 내측벽에 접촉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캡(160)과 롤러지지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롤러지지부(12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롤러지지부(12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롤러지지부(120)는 내부캡(1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특히 롤러지지부(12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부(110)와의 사이 간격이 증가하는 경우, 롤러지지부(12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용자가 롤러지지부(12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상당한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완성된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의심케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20)의 내측 공간에 복수의 지지 리브(129)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리브(129)는 롤러지지부(120)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지지 리브(129)는 그 단부가 내부캡(16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롤러지지부(120)의 내벽으로부터 적절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캡(160)의 외면과 충분하게 접촉될 수만 있다면 지지 리브(129)는 롤러지지부(120)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3, 4개 등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된 상태의 내부캡(160)에 대해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도 지지 리브(129)의 단부는 내부캡(160)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롤러지지부(120)의 좌우 흔들림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지지부(120)가 사출물로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 리브(129) 또한 롤러지지부(1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경우, 각각의 지지 리브(129)는 사출 원료의 절감 즉, 제조 단가의 감소를 위해 일정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지지 리브(129)는 내부캡(160)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휘어져서 고정된 상태의 내부캡(160)에 대해 롤러지지부(120)의 좌우 흔들림 발생을 제한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킬 경우 롤러지지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더욱 최소화하도록, 롤러지지부(120)의 내측 공간에 복수의 지지 리브(129)와 일체로 연결되는 보강 리브(130)를 추가로 형성한다.
여기서, 보강 리브(13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리브(129)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한 상태로 이격된 2개의 지지 리브(129)를 연결하도록 2개의 보강 리브(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보강 리브(130)는, 일정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호 가까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129)들이 휘어지거나 굽어지는 것을 한층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지지 리브(129)의 단부는 내부캡(160)을 향하는 보강 리브(13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더 돌출되어 내부캡(16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이자면, 보강 리브(130)의 일면이 내부캡(16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가 롤러지지부(120)를 회전시키는 것이 힘들게 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지지 리브(129)의 단부가 내부캡(16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므로, 롤러지지부(120)를 좀 더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지지부(120)의 좌우 흔들림 발생을 한층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내부캡(160)의 외주면과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로 하여 롤러지지부(120)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정된 상태의 내부캡(160)에 대해 롤러지지부(120)를 충분히 지지하여 롤러지지부(120)의 좌우 흔들림 발생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는 외부로부터 제2 롤러부(150)를 보호하기 위한 캡(17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몸체부 112: 제1 토출구
113: 결합턱 114: 걸림돌기
120: 롤러지지부 121: 제2 토출구
123: 결합편 124: 돌기부
126: 접촉편 127: 단차부
128: 걸림편 129: 지지 리브
130: 보강 리브 140: 제1 롤러부
150: 제2 롤러부 160: 내부캡
162: 관통공 164: 안내편
165: 돌기 180: 체크밸브

Claims (9)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구비되는 롤러지지부와, 상기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과 접촉하는 제1 롤러부와, 상기 제1 롤러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 및 상기 몸체부의 결합턱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부캡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는 상기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롤러지지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제2 롤러부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롤러부에 맞닿아 회전되어 상기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상기 제2 롤러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는 상기 롤러지지부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방향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의 단부는 상기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는 상기 롤러지지부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방향에 각각 적어도 2개씩 마련되며,
    상기 좌측 방향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리브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리브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의 단부는, 상기 내부캡을 향하는 상기 보강 리브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더 돌출되어 상기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롤러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내부캡에 대해 상기 롤러지지부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복수의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지지부의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내부캡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2개의 돌기이며,
    상기 복수의 걸림편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이격 형성되는 2개의 걸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의 내측 공간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진 단차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걸림편은 상기 단차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플레이트 형상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기에 형성된 단차진 면은 상기 단차부에 인접하는 롤러지지부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KR20100079017A 2010-08-16 2010-08-16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KR10122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017A KR101221410B1 (ko) 2010-08-16 2010-08-16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PCT/KR2011/005954 WO2012023767A2 (ko) 2010-08-16 2011-08-12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017A KR101221410B1 (ko) 2010-08-16 2010-08-16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558A KR20120016558A (ko) 2012-02-24
KR101221410B1 true KR101221410B1 (ko) 2013-01-31

Family

ID=4560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9017A KR101221410B1 (ko) 2010-08-16 2010-08-16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1410B1 (ko)
WO (1) WO20120237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2122A (zh) * 2021-03-31 2021-07-30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铆钉钉头点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58U (ko) * 2007-01-25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100077455A (ko) * 2008-12-29 2010-07-08 (주)톨리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롤러식 이중화장품용기
KR20100007606U (ko) * 2009-01-19 2010-07-28 (주)톨리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110084078A (ko) * 2010-01-15 2011-07-21 (주)에스엔피월드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594B2 (ja) * 1994-02-24 1998-08-13 鐘紡株式会社 ローラ付塗布容器
JP2004243591A (ja) * 2003-02-12 2004-09-02 Tombow Pencil Co Ltd 糊等の容器
JP4473530B2 (ja) * 2003-07-10 2010-06-02 紀伊産業株式会社 ローラ付塗布容器
EP1834541A1 (en) * 2006-03-14 2007-09-19 Santosolve AS Applicator, use of the applicator and method for topically administering a liquid by means of the applic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58U (ko) * 2007-01-25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100077455A (ko) * 2008-12-29 2010-07-08 (주)톨리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롤러식 이중화장품용기
KR20100007606U (ko) * 2009-01-19 2010-07-28 (주)톨리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110084078A (ko) * 2010-01-15 2011-07-21 (주)에스엔피월드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767A2 (ko) 2012-02-23
KR20120016558A (ko) 2012-02-24
WO2012023767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663B2 (ja) 二重ローラー部を備えた液状物質塗布装置
KR101190224B1 (ko) 회전 배출 장치를 구비한 액상 용기
JP6782823B2 (ja) 化粧用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容器
US20090308408A1 (en) Cosmetic product compact having pivoting sections
US20160376069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US7374361B1 (en) Cosmetic case capable of blocking nozzle tip air tightly
US20170347775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otating contents container
KR101329663B1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US20140234007A1 (en) Spouting-type cosmetic container
US10477940B2 (en) Folder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059972B1 (ko) 공기이동 조절부재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용기
KR101208439B1 (ko)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KR200469110Y1 (ko)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KR101221410B1 (ko)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KR101380166B1 (ko) 파우더 토출용 튜브용기
KR200452331Y1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350245Y1 (ko)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KR200466321Y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롤온 타입 화장품 용기
WO2015155228A1 (en) Packaging device for at least one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packaging method
JP3996373B2 (ja) 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KR20210000472U (ko) 마사지형 화장품 용기
KR101945415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KR20200005141A (ko) 수평회전 틸트 개방형 화장품 수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