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354B1 -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354B1
KR101221354B1 KR1020120004801A KR20120004801A KR101221354B1 KR 101221354 B1 KR101221354 B1 KR 101221354B1 KR 1020120004801 A KR1020120004801 A KR 1020120004801A KR 20120004801 A KR20120004801 A KR 20120004801A KR 101221354 B1 KR101221354 B1 KR 10122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ipe
drain pipe
guide member
flui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류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00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집수구에 결합된 교량 유도관; 상기 교량 유도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망; 상기 교량 유도관에 연결되는 교량 배수관; 상기 교량 유도관과 상기 교량 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교량 배수관은 두께가 일정한 원통형 관부;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는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상판의 물을 빠르게 교량 외부로 배수시키게 된다.

Description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BRIDTGE DRAINAGE PIPE AND BRIDGE DRAIN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강, 또는 호수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교량은 다수 개의 교각들과, 상기 교각과 교각을 연결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들을 따라 상판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교량에는 비나 눈이 올 경우 상판에 고이는 물을 상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수 시설이 구비된다.
교량은 상판에 물이 고이게 되면, 교통 체증의 원인이 되고 또한 차량의 타이어와 상판의 바닥면(아스콘이 도포된 경우 아스콘 면, 또는 콘크리트 면)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차량이 미끄러지게 되고 운전자에게 차선이 보이지않아 차량 사고의 원인이 된다. 또한, 교량 상판의 침수로 교량 상판의 열화를 촉진시켜 교량의 안전에 치명적인 결함을 유발시키고, 교량의 자중이 급상승하게 되므로 교량 구조물에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들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경우 배출관 내부의 압력 증가로 배수관이 파손될 수 있다.
최근 한반도의 기후 변화로 강수량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 호우 및 폭풍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집중 호우 및 폭풍우가 발생하면 갑작스런 빗물의 증가로 인하여 교량의 상판에 고이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 시설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교량의 상판에 물이 고이게 된다.
현재 국내 교량에 적용되고 있는 모든 배수 시설은 배수관들을 교량의 상판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위치 에너지에 의해 물이 배수관들을 통해 자연 배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배수관들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관들이 사용되며 단면 형상은 두께가 균일한 원형 링 형상이다.
교량의 배수 시설의 배수 용량을 늘리기 방법으로, 배수구 및 그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관의 수를 증가시키고, 배수구 및 배수관의 직경을 크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배수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이미 배수 시설이 설치된 교량의 경우 집중 호우 및 폭풍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면 교량의 상판에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교량의 구조물의 안전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교통사고 및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게 되어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상판의 물을 빠르게 교량 외부로 배수시키는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께가 일정한 원통형 관부;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는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 상판의 집수구에 결합된 교량 유도관; 상기 교량 유도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망; 상기 교량 유도관에 연결되는 교량 배수관; 상기 교량 유도관과 상기 교량 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교량 배수관은 두께가 일정한 원통형 관부;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는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교량 상판의 집수구에 결합된 교량 유도관; 상기 교량 유도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망; 상기 교량 유도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교량 유도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유체가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배수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배수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외주면에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배수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지지링들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지지축들과, 상기 지지축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링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회전 배수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는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관부의 유체 유입 부분에 위치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의 끝은 라운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관부의 유체 유입 부분에 위치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의 끝은 모따기 또는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의 빗물이 교량 배수관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되므로 빗물이 자유낙하에 의한 속도와 원심력에 의한 속도를 받으면서 유동하게 되어 불규칙한 유체의 유동을 균일한 흐름과 속도를 갖는 규칙적인 유동으로 변화시켜 빠른 속도로 배수된다. 또한, 상기 빗물이 나선 형태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면서 아래로 배수되므로 빗물의 마찰저항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빗물의 배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교량 배수관에서 빗물이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들)에 나선 형태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면서 빠르게 유동하므로 교량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 만들어지는 교량에 적용될 경우 교량의 상판에 있는 물의 배수가 빠르게 되므로 교량의 상판에 집수구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게 되어 교량 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게 된다. 한편, 기존 교량에 구비된 종래 배수장치에 대하여는 종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배수관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으로 교체하게 되면 집중 호우나 폭우에도 교량의 상판에 빗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제1 실시예가 구비된 교량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의 상부 부분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의 제2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교량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제1 실시예는 교량 상판(10)의 집수구(11)에 결합된 교량 유도관(20);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망(30); 상기 교량 유도관(20)에 연결되는 교량 배수관(40); 상기 교량 유도관(20)과 상기 교량 배수관(4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집수구(11)는 교량 상판(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집수구(11)들에 상기 교량 유도관(2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은 상기 커버망(30)이 삽입되는 커버망 삽입부(21)와, 상기 커버망 삽입부(21)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에 연장 형성된 연결관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망 삽입부(21)의 단면은 사각링 형상이며, 상기 연결관부(23)의 단면은 원형링 형상이다. 상기 커버망 삽입부(21)와 연장부는 상판(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연결관부(23)는 상판(10)의 하면 아래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커버망 삽입부(21)의 단면적이 상기 연결관부(23)의 단면적보다 크다.
상기 커버망(30)은 사각 링(31)과, 상기 사각 링(31)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복수 개의 직선 막대형 지지대(3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량 배수관(40)의 제1 실시예로, 두께가 일정한 원통형 관부(41)와,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관부(41)는 두께가 균일하고, 내경이 일정하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연결관부(23)가 상기 원통형 관부(41)에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내경이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연결관부(23)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관부(41)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는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회전하면서 유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관부(41)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를 따라 나선형태로 회전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는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두께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에서 원통형 관부(41)의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끝 부분은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점점 끝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유체 유입 부분에 위치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딩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끝이 라운딩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 끝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끝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딩 형상 대신에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위쪽 끝은 원통형 관부(41)의 위쪽 끝(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온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연결관부(23)의 일부분이 상기 원통형 관부(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관부(23)의 끝이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위쪽 끝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위쪽 끝에서부터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위쪽 끝까지의 원통형 관부(41)의 부분을 연결부(A)라 한다.
상기 교량 배수관(40)의 제2 실시예로,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량 배수관(40)은 두께가 일정한 원통형 관부(41)와,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을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이 두 개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이 네 개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량 배수관의 제2 실시예의 원통형 관부(41)는 교량 배수관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통형 관부(41)와 같다. 따라서, 교량 배수관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통형 관부(4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수 개의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은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량 배수관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는 교량 배수관(40)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교량 배수관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 간격은 서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의 각 위쪽 끝은 원통형 관부(41)의 위쪽 끝(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온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의 각 위쪽 끝면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연결관부(23)의 일부분이 상기 원통형 관부(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관부(23)의 끝이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의 각 위쪽 끝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관부(41)의 위쪽 끝에서부터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위쪽 끝까지의 원통형 관부(41)의 부분을 연결부(A)라 한다.
상기 연결유닛(50)은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연결관부(23)가 상기 교량 배수관(40)의 연결부(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부(23)와 연결부(A)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유닛(50)은 복수 개의 볼트들과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유닛(50)의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나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연결관부(23)과 상기 교량 배수관(40)의 연결부(A)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교량 배수관(40)의 아랫부분은 연결부재(60)에 의해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8,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장치의 제2 실시예는 교량 상판의 집수구에 결합된 교량 유도관(20);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망(30); 상기 교량 유도관(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60); 상기 하우징(6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교량 유도관(20)에 연결되며, 내부에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유체가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배수관(70); 상기 하우징(6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배수관(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은 상기 커버망(30)이 삽입되는 커버망 삽입부(24)와, 상기 커버망 삽입부(24)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25)와, 상기 연장부(25)에 연장 형성된 연결 배수관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망(30)은 교량 배수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같다.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연결 배수관부(26)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관부(61)와, 상기 착탈관부(61)에 연장 형성된 연결관부(62)와, 상기 연결관부(62)에 연장 형성된 원통형 몸통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관부(61)의 내경은 상기 연결 배수관부(26)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관부(61)의 외주면은 테이퍼져 있으며 그 테이퍼진 외면에 나사산들이 구비되고 상기 착탈관부(61)는 끝에서 내측으로, 즉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슬롯(미도시)들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관부(61)의 나사산들에 고정너트(64)가 체결된다. 상기 연결관부(62)의 내경은 상기 착탈관부(61)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연결관부(62)의 내주면과 연결 배수관부(26)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63)는, 상기 연결관부(62)의 외주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환형판(63a)과 상기 상부 환형판(63a)에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체(63b)와 상기 원통체(63b)에 수직으로 연장된 하부 환형판(63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환형판(63a)과 하부 환형판(63b)은 서로 대면된다. 상기 유도 배수관(20)의 연결 배수관부(26)의 끝부분이 상기 하우징(60)의 착탈관부(61)와 연결관부(62)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너트(64)가 착탈관부(61)의 나사산들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착탈관부(61)가 상기 유도 배수관(20)의 연결 배수관부(26)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회전 배수관(70)은 교량 배수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교량 배수관과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배수관(7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 배수관(70)의 한쪽이 상기 하우징(60)의 몸통부(63)를 관통하여 상기 교량 유도관(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때 교량 유도관(20)의 단부가 회전 배수관(70)의 단부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 배수관(70)의 다른 한쪽은 하우징(60)의 밖에 위치한다.
상기 베어링 유닛(80)은 외주면에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배수관(7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지지링(81)들과,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지지축(82)들과, 상기 지지축(82)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링(81)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회전 배수관(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83)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82)들은 세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축(82)의 양단은 각각 하우징 몸통부(63)의 상부 환형판(63a)과 하부 환형판(63c)에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83)은 볼 베어링, 롤러 형태의 베어링 등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 배수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집중 호우나 폭우로 교량의 상판(10)에 많은 양의 빗물이 모이게 되면서 빗물이 교량 유도관(20)의 커버망 삽입부(21)에 결합된 커버망(30)을 통해 교량 유도관(20)으로 유입된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을 통과한 빗물은 교량 배수관(40)으로 유입된다. 상기 교량 배수관(40)으로 유입된 빗물은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에 의해 교량 배수관(4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교량 배수관(40)의 아래 끝인 출구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 빗물이 교량 배수관(4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되므로 빗물이 자유낙하에 의한 속도와 원심력에 의한 속도를 받으면서 유동하게 되어 빠른 속도로 배수된다. 또한, 상기 빗물이 나선 형태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면서 아래로 배수되므로 빗물의 마찰 및 유동 저항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빗물의 배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교량 배수관(40)에서 빗물이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에 의해 나선 형태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면서 빠르게 유동하므로 교량 배수관(40) 내부에 오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교량 배수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교량 유도관(20)을 통과한 빗물이 회전 배수관(70)으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 배수관(70)으로 흐르는 빗물이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들)을 거치면서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에 힘을 가하게 되며 그 힘에 의해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에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의 회전력에 의해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가 구비된 회전 배수관(7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배수관(70)은 베어링 유닛(8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C)가 구비된 회전 배수관(8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배수관(80) 내부에 흐르는 빗물이 회전하면서 아래로 빠르게 배수된다. 상기 빗물이 나선 형태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면서 아래로 배수되므로 빗물의 마찰 및 유동 저항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빗물의 배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장치는 새로 만들어지는 교량에 적용될 경우 빗물의 배수가 빠르게 되므로 집수구(11)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게 되어 교량 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게 된다. 한편, 기존 교량에 구비된 종래 배수장치에 대하여는 종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배수관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관(40)으로 교체하게 되면 빗물의 배수 효율을 높이게 되어 집중 호우나 폭우에도 교량의 상판(10)에 빗물을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다.
20; 교량 유도관 30; 커버망
40; 교량 배수관 41; 원통형 관부
C;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 50; 연결유닛
60; 하우징 70; 회전 배수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교량 상판의 집수구에 결합된 교량 유도관;
    상기 교량 유도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망;
    상기 교량 유도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교량 유도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내부에 유체가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배수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배수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유닛은 외주면에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배수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지지링들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지지축들과, 상기 지지축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링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회전 배수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배수관은
    두께가 일정한 원통형 관부;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는 상기 원통형 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관부의 유체 유입 부분에 위치하는 나선형 유체 가이드부재의 끝은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장치.
KR1020120004801A 2012-01-16 2012-01-16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KR10122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801A KR101221354B1 (ko) 2012-01-16 2012-01-16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801A KR101221354B1 (ko) 2012-01-16 2012-01-16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354B1 true KR101221354B1 (ko) 2013-01-15

Family

ID=4784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801A KR101221354B1 (ko) 2012-01-16 2012-01-16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3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1998A (zh) * 2015-02-03 2015-09-16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无动力桥面径流收集处理系统
KR102025657B1 (ko) 2018-12-12 2019-09-26 김형석 교량 배수 구조
KR102118902B1 (ko) 2019-11-06 2020-06-04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교량 배수 장치
CN114108457A (zh) * 2021-11-02 2022-03-01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防堵排水方法及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91Y1 (ko) * 2003-02-04 2003-04-21 주귀덕 소음 배수관
KR20080005369U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한미프라스틱 오수 및 우수 혼합 배수관
KR101036617B1 (ko) * 2007-10-02 2011-05-2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크류가 내장된 수압식 선홈통을 구비한 우수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91Y1 (ko) * 2003-02-04 2003-04-21 주귀덕 소음 배수관
KR20080005369U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한미프라스틱 오수 및 우수 혼합 배수관
KR101036617B1 (ko) * 2007-10-02 2011-05-2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크류가 내장된 수압식 선홈통을 구비한 우수 배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1998A (zh) * 2015-02-03 2015-09-16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无动力桥面径流收集处理系统
CN104911998B (zh) * 2015-02-03 2017-01-25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无动力桥面径流收集处理系统
KR102025657B1 (ko) 2018-12-12 2019-09-26 김형석 교량 배수 구조
KR102118902B1 (ko) 2019-11-06 2020-06-04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교량 배수 장치
CN114108457A (zh) * 2021-11-02 2022-03-01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防堵排水方法及其装置
CN114108457B (zh) * 2021-11-02 2024-06-04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防堵排水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354B1 (ko) 교량 배수관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 배수장치
CA2981838C (en) Rain overflow basin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KR100967187B1 (ko) 이중 배수 장치
CN108978455A (zh) 一种建筑桥梁排水结构
KR101167963B1 (ko)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JP4681641B2 (ja) 分離装置
BR112020025554A2 (pt) Dispositivo de sedimentação
KR101347436B1 (ko) 무동력으로 여과통이 회전하는 교량의 드레인용 초기 우수 정화장치
DE2531592A1 (de) Durchflussmessanordnung
US20110056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ting Flowing Liquid from a Conduit
KR102140440B1 (ko) 교량용 집수구의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011080B1 (ko) 관거 내부의 유속 증가 탑플로우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CN112814126A (zh) 一种基于市政道路雨水收集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213080B1 (ko) 교량의 배수시스템
KR102184090B1 (ko) 교량의 배수를 위한 집수장치
US20170342697A1 (en) Turbulating Apparatus For A Drywell
JP2014161835A (ja) 釜場の構造
RU23388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воды с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ов
KR101300784B1 (ko) 하천정화장치
JP2004218211A (ja) フロート式スクリーン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CN217174361U (zh) 一种小型民用桥桥面排水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