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080B1 - 교량의 배수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의 배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080B1
KR101213080B1 KR1020100025190A KR20100025190A KR101213080B1 KR 101213080 B1 KR101213080 B1 KR 101213080B1 KR 1020100025190 A KR1020100025190 A KR 1020100025190A KR 20100025190 A KR20100025190 A KR 20100025190A KR 101213080 B1 KR101213080 B1 KR 10121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road surface
bridge
surface wat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008A (ko
Inventor
박현섭
김운섭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0002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노면수의 원활한 배수와 각종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교량의 배수시스템은 교량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난간방호벽에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노면수를 배수로에 의해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수과정에서 여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여과부가 마련되는 개거형 배수관; 및 상기 개거형 배수관을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의하면,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가 배수구로 유출된 후 개거형 배수관에 의해 지면이나 하천 등으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시설의 폐색에 의한 교량의 배수 불량 및 막힘 등이 해소되어 노면수에 대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면수의 배수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노면수에 의한 지질이나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배수시스템{DRAINAGE SYSTEM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노면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고, 노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는 교량 상판에 고이는 노면수를 교량 아래의 지면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교량의 배수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종방향 구배를 따라 교량 상판(10)을 관통하는 배수구(20)를 설치하고, 상호 일정길이로 연결되는 배수관(30)을 배수구(20)에 연결하고 이 배수관(30)을 교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교량의 배수시스템은 교랑 상판(10)에서 배수구(20)를 통해 배수관(30)으로 유입되는 노면수를 교각이나 교대로 유도함으로써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노면수가 교량 상판에서 집수된 후 배수구 및 배수관을 통해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배수관의 연결부나 굴곡부에서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자주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배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교량 상판에 노면수의 고임으로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배수 불량시 노면수가 교량 상판에 스며들어 포장재의 열화 및 강재의 부식을 촉진시키게 되므로 장기적으로 교량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노면수를 지면으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이 원형의 관으로 되어 있어 이물질의 막힘 여부에 대한 상시적인 관찰이 불가능하여 교량의 배수시설에 대한 잦는 점검, 보수 및 교체 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막힘시 청소 등의 관리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노면수의 배수과정에서 교량 상판에 산재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지면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지질이나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노면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고, 배수시설에 대한 상시적인 관찰을 통해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교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의 배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면수에 배수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배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교량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난간방호벽에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노면수를 배수로에 의해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수과정에서 여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여과부가 마련되는 개거형 배수관; 및
상기 개거형 배수관을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여과부는,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개거형 배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이물질 여과홈; 및
상기 이물질 여과홈과 인접하도록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 상기 배수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여과홈을 통과하는 잔여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여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여과홈은,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노면수의 배수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심부에서 상기 바닥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는,
상기 개거형 배수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개거형 배수관의 종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다수의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거형 배수관은,
상기 배수로를 따라 배수되는 상기 노면수를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하기 위해 하면에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마련되고 관 형상의 갖는 다수의 집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의하면,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가 배수구로 유출된 후 개거형 배수관에 의해 지면이나 하천 등으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시설의 폐색에 의한 교량의 배수 불량 및 막힘 등이 해소되어 노면수에 대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교량의 배수시설에 대한 상시적인 관찰이 가능함으로써 배수시설의 폐색에 의한 노면수의 배수 불량이나 막힘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고, 청소가 용이하여 교량의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노면수의 배수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노면수에 의한 지질이나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량에 부합될 수 있는 배수구조를 적용하여 교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마련된 개거형 배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마련된 집수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마련된 개거형 배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에 마련된 집수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난간방호벽(102)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110)와,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배수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노면수를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거형 배수관(120)과, 개거형 배수관(120)을 난간방호벽(102)에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구(110)는 교량 상판(100)으로 집수되는 노면수를 개거형 배수관(120) 측으로 유출할 수 있도록 다수가 교량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난간방호벽(102)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배수구(110)는 난간방호벽(102)을 관통하여 개거형 배수관(12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배수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노면수가 개거형 배수관(12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배수구(110)는 교량의 배수 용량에 따라 난간방호벽(102)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상호 불규칙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개거형 배수관(120)은 배수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노면수를 상부가 개구되는 배수로(122)에 의해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교량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지지부(140)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개거형 배수관(120)은 노면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개거형 배수관(120)은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수구(110)로부터 유출되는 노면수를 배수로(122)에 의해 집수하여 지면으로 배수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개거형 배수관(120)에는 배수로(122)에 의해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되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수과정에서 걸러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여과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이물질 여과부(130)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배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이물질 여과홈(132)과, 이물질 여과홈(132)을 통과하는 잔여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여과돌기(134)로 구성된다.
즉, 이물질 여과부(130)는 배수구(110)로부터 유출되어 개거형 배수관(120)의 배수로(122)를 따라 배수되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 여과홈(132)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하고, 이물질 여과홈(132)을 통과하는 잔여 이물질을 이물질 여과돌기(134)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물질 여과홈(132)은 배수로(122)의 바닥면(124)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바닥면(124)에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물질 여과홈(132)에는 배수로(122)의 바닥면(124)에 함몰 형성된 상태에서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바닥면(124)에서 노면수의 배수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32a) 및 경사면(132a)의 심부에서 바닥면(124)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132b)을 갖는다. 이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에서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물질 여과홈(132)은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에서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경사면(132a)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킨 후 수직면(132b)에 걸리도록 집진하여 여과하는 것이다.
이물질 여과돌기(134)는 이물질 여과홈(132)과 인접하도록 배수로(122)의 바닥면(124)에 개거형 배수관(1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면(124)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물질 여과돌기(134)는 잔여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물질 여과돌기(134)는 이물질 여과홈(132)을 통과하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갖는다.
즉, 이물질 여과돌기(134)는 노면수에 포함되어 이물질 여과홈(132)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비닐, 천, 종이 등과 같은 잔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다.
또한, 개거형 배수관(120)의 하면에는 배수로(122)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집수관(126)이 설치되어 있다. 집수관(126)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교각이나 배수여건 등과 같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따라 개거형 배수관에 간격 조절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집수관(126)은 개거형 배수관(120)의 배수로(122)를 따라 배수되는 노면수를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개거형 배수관(120)은 녹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외에도 표면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개거형 배수관(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지지브라켓(142)과, 지지브라켓(142)을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144)로 구성된다.
지지브라켓(142)은 개거형 배수관(120)의 종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브라켓(142)은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브라켓(142)에는 개거형 배수관(120)이 안착되도록 지지되게 된다.
고정부재(144)는 지지브라켓(142)을 난간방호벽(102)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의 배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천 등에 의해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는 난간방호벽(102)에 설치된 배수구(110)를 통해 유출되어 개거형 배수관(120)으로 유입되게 된다. 개거형 배수관(120)으로 유입된 노면수는 배수로(122)를 따라 지면이나 하천으로 신속하게 배수되게 된다.
즉,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는 난간방호벽(102)에 설치된 배수구(110)로 유출된 후 곧바로 개거형 배수관(120)으로 유입되어 지면이나 하천으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량의 노면수에 대한 원활한 배수가 진행되어 배수 불량 및 막힘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노면수의 고임으로 발생하는 교량 상에서의 교통 사고, 노면수가 교량 상판에 스며들어 포장재의 열화 및 강재의 부식을 촉진시켜 발생하는 교량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거형 배수관(120)에 의한 노면수의 배수과정에서 노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즉, 개거형 배수관(120)을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이물질 여과부(130)의 이물질 여과홈(132)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게 되고, 이물질 여과홈(132)을 통과하는 잔여 이물질은 이물질 여과돌기(134)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됨으로써 노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물질 여과홈(132)은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에서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여과하게 되고, 이물질 여과돌기(134)는 이물질 여과홈(132)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노면수에 포함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비닐, 천, 종이 등과 같은 잔여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면수의 배수과정에서 노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개거형 배수관(120)에 의해 여과하여 노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에 의한 지질이나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여과부(130)로 여과된 이물질은 개거형 배수관(120)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교량의 배수시설에 대한 상시적인 관찰이 가능함으로써 배수시설의 폐색에 의한 배수 불량이나 막힘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져 교량의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의 난간방호벽(102)에 개거형 배수관(120)을 설치하고 개거형 배수관(120)의 하면에 교량의 하부구조에 따라 집수관(126)을 설치하는 배수구조를 통해 교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교량 상판
102: 난간방호벽
110: 배수구
120: 개거형 배수관
122: 배수로 124: 바닥면
126: 집수관
130: 이물질 여과부
132: 이물질 여과홈
132a: 경사면 132b: 수직면
134: 이물질 여과돌기
140: 지지부
142: 지지브라켓 144: 고정부재

Claims (5)

  1. 교량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난간방호벽에 교량 상판으로 집수되는 노면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
    상기 배수구로부터 유출된 노면수가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배치된 배수로를 따라 배수되도록 마련되되, 하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여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는 개구되어 있어, 상기 노면수가 상기 배수로를 따라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수되는 중에 상기 이물질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거형 배수관; 및
    상기 개거형 배수관을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여과부는,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개거형 배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이물질 여과홈; 및
    상기 이물질 여과홈과 인접하도록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 상기 배수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여과홈을 통과하는 잔여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여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배수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홈은,
    상기 배수로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노면수의 배수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심부에서 상기 바닥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배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는,
    상기 개거형 배수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개거형 배수관의 종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다수의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난간방호벽의 외측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배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거형 배수관은,
    상기 배수로를 따라 배수되는 상기 노면수를 지면이나 하천으로 배수하기 위해 하면에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마련되고 관 형상의 갖는 다수의 집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배수시스템.
KR1020100025190A 2010-03-22 2010-03-22 교량의 배수시스템 KR10121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90A KR101213080B1 (ko) 2010-03-22 2010-03-22 교량의 배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90A KR101213080B1 (ko) 2010-03-22 2010-03-22 교량의 배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08A KR20110106008A (ko) 2011-09-28
KR101213080B1 true KR101213080B1 (ko) 2012-12-18

Family

ID=4542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190A KR101213080B1 (ko) 2010-03-22 2010-03-22 교량의 배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84B1 (ko)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3574B (en) * 2014-02-27 2016-02-03 Dyrhoff Ltd Inflatable dam with vibration suppressor
CN112281647A (zh) * 2020-10-19 2021-01-29 山西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路桥排水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94Y1 (ko) 2000-03-22 2000-08-16 김광열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94Y1 (ko) 2000-03-22 2000-08-16 김광열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84B1 (ko)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08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888A (en) Filtering apparatus
RU1477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влаги с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ов и эстакад инженерных сооружений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213080B1 (ko) 교량의 배수시스템
KR101637078B1 (ko) 초기우수의 수 처리시스템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0755626B1 (ko)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1319819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JP201018519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365028B1 (ko) 필터 암거수로 내의 역세정 중에 이중분리를 이용하여 기체 및 액체를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52236B1 (ko) 대형 집수블록을 이용한 정수장 여과지 하부 구조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KR10099467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이물질 제거 및 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