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551B1 -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0551B1 KR101220551B1 KR1020090064593A KR20090064593A KR101220551B1 KR 101220551 B1 KR101220551 B1 KR 101220551B1 KR 1020090064593 A KR1020090064593 A KR 1020090064593A KR 20090064593 A KR20090064593 A KR 20090064593A KR 101220551 B1 KR101220551 B1 KR 101220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ding
- temperature measuring
- temperature
- measuring member
- weld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cor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이송되는 소재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에 결합되는 온도측정부재와, 상기 온도측정부재를 상기 소재에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부는 상기 소재를 간이 고정시키는 간이고정부와, 상기 간이고정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이결합부를 구비하는 용접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에 의하면, 용접부를 통해 온도측정부재를 소재에 용접 결합시켜 소재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소재의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용접유닛 바디가 절곡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절곡부재에서 소재와 온도측정부재를 용접 접합시킴으로써 소재와 온도측정부재의 접합 후 용접유닛 바디를 보다 용이하게 소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온도 측정 장치, 소재, 선재, 접촉식, 용접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소재에 접촉하여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정에서 압연 및 냉각 중의 소재 온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매우 중요하다. 즉, 제품의 품질, 예를 들어 기계적 강도는 제품으로 생산되는 소재의 상변태에 영향을 받는데, 이와 같은 소재의 상변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정확한 온도 측정이 필요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소재의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비접촉식 방사형 온도계(Opical pyrometer, Thermo-vision 등)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서 비접촉식 방사형 온도계에 의해 선재의 온도측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레잉 헤드(20)를 통해 코일 형태로 배출되는 선재(30)는 냉각대(10)를 구성하는 이송장치(11)에 뉘어진 코일 형태로 적치되어 이송된다.
또한, 선재(30)는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장치(11)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12)를 통해 냉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냉각장치(12)의 각 구간 또는 일정 거리마다 방사형 온도계(12)가 배치되어 선재(30)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방사형 온도계를 이용하여 선재(30)의 온도를 측정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재(30)는 적치밀도가 서로 다르게 냉각대(10)에 적치될 수 있어, 적치밀도가 큰 영역(A)은 정상적인 적치밀도를 갖는 영역에 비하여 더 높은 온도로 측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재(30)의 적치밀도에 따라 선재(30)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비접촉식 방사형 온도계를 이용하는 경우, 냉각대 주변 분위기, 생산 강종의 성분 특성, 코일 표면 특성에 따라 방사율 (emissivity)이 달라져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방사율을 매번 조정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시 말해, 비접촉식 온도계는 주변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측정 강종에 따라 방사율을 조정해야 하고 냉각대 온도 이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복된 측정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측정된 측정치의 평균치로 측정온도 값을 결정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선재의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변태가 발생되는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송위치에 따른 코일의 온도가 정확히 측정되어야만 하나 종래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선재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선재의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변태가 발생되는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선재의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소재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에 결합되는 온도측정부재와, 상기 온도측정부재를 상기 소재에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부는 상기 소재를 간이 고정시키는 간이고정부와, 상기 간이고정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이결합부를 구비하는 용접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유닛은 일단부에 절곡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재에 상기 간이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간이고정부에 의해 간이 고정되는 용접유닛 바디, 및 끝단부가 상기 간이고정부에 간이고정되는 소재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용접유닛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온도측정부재와 상기 소재를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접바는 상기 끝단부에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간이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재는 코일 형상으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이며, 상기 소재는 상기 간이고정부에 구비되는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어 간이 고정되며, 상기 간이결합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온도 측정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이고정부는 상기 소재가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홈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홈의 양측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온도측정부재에 연결되어 측정된 소재의 온도에 대한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는 전류 공급선을 통해 상기 용접유닛에 연결되어 용접유닛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용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류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부를 통해 온도측정부재를 소재에 용접 결합시켜 소재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소재의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유닛 바디가 절곡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절곡부재에서 소재와 온도측정부재를 용접 접합시킴으로써, 소재와 온도측정부재의 접합 후 용접유닛 바디를 보다 용이하게 소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100)는 일예로서, 온도측정부 재(120), 데이터 저장유닛(140), 및 용접부(160)를 포함한다.
온도측정부재(120)는 이송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소재(50)의 온도 측정시 온도측정부재(120)는 용접부(160)에 의해 일단이 소재(50)에 용접 접합된다.
한편, 온도측정부재(120)는 데이터 저장유닛(140)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 온도측정부재(120)에 의해 측정된 소재(50)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유닛(140)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부재(120)는 데이터 저장유닛(140)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온도측정부재(120)의 일단이 소재(50)에 용접 접합된다.
또한, 온도측정부재(120)는 피대상체에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온도측정부재(120)는 외부에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서모커플(Thermocouple)일 수 있다. 다만, 온도측정부재(120)는 서모커플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온도측정부재(120)가 서모커플로 이루어지는 경우, 소재(50)에 접합되는 단부는 보호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즉 서모커플을 구성하는 양극 금속이 직접 소재에 접합될 수 있도록 소재(50)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측정부재(120)가 서모커플로 이루어진 경우, 온도측정부재(120)는 순간적으로 소재(50)와 열평형에 이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0.5mm~1.0mm의 지름을 갖는 서모커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저장유닛(140)은 온도측정부재(120)에 연결되어 측정된 소재(50)의 온도에 대한 온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온도측정부재(120)에 의한 측정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저장유닛(140)은 데이터 저장매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매체일 수 있다.
또한, 온도측정부재(120)는 직접 데이터 저장유닛(14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데이터 송출선(미도시)을 통해 데이터 저장유닛(1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부재(120)에 의해 측정된 소재(50)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유닛(140)에 저장되며, 이후 소재(50)의 상변태 위치를 파악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용접부(160)는 온도측정부재(120)를 소재(50)에 용접 접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용접부(160)는 전류공급유닛(162)과, 용접유닛(164)을 구비할 수 있다.
전류공급유닛(162)은 전류공급선(172)을 통해 용접유닛(164)에 연결되며, 용접유닛(164)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의 용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류공급유닛(162)은 저항용접을 통해 용접유닛(164)이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용접 접합할 수 있도록 용접유닛(164)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류공급선(172)은 +극과 -극을 연결하도록 두개의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접유닛(164)은 전류공급유닛(162)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통해 온도측정부재(120)와 소재(50)를 용접 접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용접유닛(164)은 일예로서, 용접유닛 바디(182)와, 용접바(184), 및 용접용 스위치(186)를 구비 할 수 있다.
용접유닛 바디(182)는 일단부에 절곡부재(192)를 구비하며, 절곡부재(192)에는 간이고정부(194)가 장착되어 소재(50)가 간이고정부(194)에 의해 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절곡부재(192)는 이송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50)를 용이하게 절곡부재(192)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절곡부재(192)의 내측에는 간이고정부(194)가 장착되는데, 간이고정부(194)는 소재(50)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홈(194a)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절곡부재(192)의 내측으로 유입된 소재(50)는 고정홈(194a)에 삽입 결합되어 간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간이고정부(194)는 소재(50)를 고정홈(194a)로 안내하기 위하여 고정홈(194a)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194b)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경사면(194b)은 소재(50)를 고정홈(194a) 측으로 안내하여 소재(50)가 고정홈(194a)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더불어, 간이고정부(194)는 용접바(184)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94c)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용접하기 위하여 용접바(184)가 하강하는 경우, 용접바(184)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용접하는 용접영역을 형성하도록 간이공정부(194)는 삽입홈(194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용접유닛 바디(182)는 두 개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전류공급선(17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용접바(184)는 끝단부가 간이고정부(194)에 간이고정되는 소재(5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용접유닛 바디(18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도측정부재(120)와 소재(50)를 용접 접합시킨다.
한편, 용접바(184)는 끝단부에 온도측정부재(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이결합부(184a)를 구비할 수 있다. 간이결합부(184a)는 온도측정부재(120)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일 수 있다.
즉, 온도측정부재(120)는 결합홈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소재(50)에 용접 접합될 수 있으며, 소재(50)에 용접 접합되면 온도측정부재(120)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간이결합부(184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용접바(184)는 용접유닛 바디(182)에 구비되는 절곡부재(192) 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용접바(184)는 구동유닛(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용접바(184)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은 당업게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므로 도면에는 용접바(184)를 승강 시키는 구동유닛(미도시)에 대하여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은 구동원과 렉-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져 용접바(184)를 승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용접바(184)는 전류공급선(172)를 구성하는 두개의 전선 중 용접유닛 바디(182)에 연결되지 않은 전선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용접바(184)가 절곡부 재(192)에 구비되는 간이고정부(194)에 접촉하는 경우, 전류공급유닛(160)으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통전되어 저항이 가장 높은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의 접촉부위에서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용접바(184)는 상승하고, 이때 용접바(184)로부터 온도측정부재(120)는 분리된다.
용접용 스위치(186)는 용접유닛 바디(182)의 타측, 즉 절곡부재(192)가 구비된 측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구동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용접용 스위치(186)를 누르면 구동유닛에 의해 용접바(184)가 하강하여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가 용접 접합되도록 한다.
또한, 용접용 스위치(186)는 작업자가 용접유닛 바디(182)를 파지하는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소재(50)는 선재일 수 있다. 다만, 소재(50)는 선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100)가 작업자가 휴대하여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10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부(160)를 통해 온도측정부재(120)를 소재(50)에 용접 결합시켜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소재(50)의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용접유닛 바디(162)가 절곡부재(192)를 구비하고 있어, 절곡부재(192) 에서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용접 접합시킴으로써,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보다 용이하게 용접 접합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의 접합 후 용접유닛 바디(162)를 보다 용이하게 소재(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소재(50)가 절곡부재(192)의 간이고정부(194)에 간이 고정된 상태에서 온도측정부재(120)와 용접 접합되므로, 용접후 용접유닛 바디(162)를 보다 용이하게 소재(50)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온도측정부재(120) 끝단부의 보호부재, 즉 피복을 제거하여 온도측정부재(120)의 끝단부를 용접바(184)의 간이결합부(184a)에 장착한다.
이후 작업자는 이송장치(11)에 낙하된 소재(50)가 용접유닛 바디(162)의 절곡부재(192)에 구비되는 간이고정부(194)에 간이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소재(50)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곡부재(192)의 내측면 측으로 유입되어 간이고정부(194)의 경사면(194b)에 의해 안내되고, 결국 고정홈(194a)에 삽입 결합된다.
이후, 작업자가 용접용 스위치(186)를 누르면, 용접바(184)가 하강하여 용접바(184)의 끝단부가 간이고정부(194)의 삽입홈(194c)에 삽입된다. 이때, 용접바(184)의 간이결합부(184a)에 장착된 온도측정부재(120)와 용접유닛 바디(162)의 간이고정부(194)에 간이고정된 소재(50)는 접촉된다.
따라서, 전류공급유닛(16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온도측정부재(120)와 소재(50)는 저항용접되어 접합된다. 이후 용접바(184)가 상승하면, 용접바(184)로부터 온도측정부재(120)가 이탈되며, 작업자는 용접유닛 바디(162)에 간이고정된 소재(5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용접유닛 바디(162)를 조정한다.
즉, 작업자는 이송되는 소재(50)와 절곡부재(192)가 간섭되지 않도록 용접유닛 바디(162)를 비틀어서 소재(50)를 간이고정부(194)로부터 이탈시킨다.
이후 소재(50)와 접합된 온도측정부재(120)에 의해 데이터 저장유닛(140)으로 온도에 대한 데이터가 송출되고, 작업자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매체인 데이터 저장유닛(140)에 표시되는 온도를 관찰하며, 이송되는 소재(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용접유닛 바디(162)를 소재(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킨 후, 소재(50)에 접합된 온도측정부재(12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관찰하며, 이송되는 소재(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부(160)를 통해 온도측정부재(120)를 소재(50)에 용접 결합시켜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소재(50)의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용접유닛 바디(162)가 절곡부재(192)를 구비하고 있어, 절곡부재(192)에서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용접 접합시킴으로써,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를 보다 용이하게 용접 접합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소재(50)와 온도측정부재(120)의 접합 후 용접유닛 바디(162)를 보다 용이하게 소재(50)로부터 분리시 킬 수 있다.
즉, 소재(50)가 절곡부재(192)의 간이고정부(194)에 간이 고정된 상태에서 온도측정부재(120)와 용접 접합되므로, 용접후 용접유닛 바디(162)를 보다 용이하게 소재(5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유닛 바디(162)를 용이하게 소재(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자는 온도측정부재(120)에 연결되는 데이터 저장유닛(140)만을 휴대한 채 소재(50)와 함께 이동하면서 소재(50)의 온도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재의 온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소재가 서로 다른 적치밀도를 가지도록 적치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120 : 온도측정부재
140 : 데이터 저장유닛
160 : 용접부
162 : 전류공급유닛
164 : 용접유닛
Claims (7)
-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에 결합되는 온도측정부재; 및상기 소재를 간이 고정시키는 간이고정부와, 상기 간이고정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이결합부를 구비하는 용접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온도측정부재를 상기 소재에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며,상기 용접유닛은일단부에 절곡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재에 상기 간이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간이고정부에 의해 간이 고정되는 용접유닛 바디; 및끝단부가 상기 간이고정부에 간이고정되는 소재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용접유닛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온도측정부재와 상기 소재를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 형상의 선재인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에 결합되는 온도측정부재; 및상기 소재를 고정홈에 삽입 결합하여 간이 고정시키는 간이고정부와, 상기 간이고정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간이결합부를 구비하는 용접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온도측정부재를 상기 소재에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며,상기 간이고정부는상기 소재가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홈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홈의 양측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에 결합되는 온도측정부재; 및상기 소재를 간이 고정시키는 간이고정부와, 상기 간이고정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이결합부를 구비하는 용접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온도측정부재를 상기 소재에 용접 접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며,상기 용접부는 전류 공급선을 통해 상기 용접유닛에 연결되어 용접유닛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용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류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바는상기 끝단부에 상기 온도측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간이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소재는 코일 형상으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온도측정부재에 연결되어 측정된 소재의 온도에 대한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593A KR101220551B1 (ko) | 2009-07-15 | 2009-07-15 |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593A KR101220551B1 (ko) | 2009-07-15 | 2009-07-15 |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947A KR20110006947A (ko) | 2011-01-21 |
KR101220551B1 true KR101220551B1 (ko) | 2013-01-10 |
Family
ID=4361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4593A KR101220551B1 (ko) | 2009-07-15 | 2009-07-15 |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055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6456A (ja) * | 1994-04-06 | 1995-12-12 | Yazaki Corp | 電線の抵抗溶接装置及び接続方法 |
JPH08165062A (ja) * | 1994-12-09 | 1996-06-25 | Nkk Corp | コードの巻出し巻取り装置 |
KR100682717B1 (ko) | 2005-06-27 | 2007-02-1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타입 열전대 부착장치 |
KR20090048694A (ko) * | 2007-11-12 | 2009-05-1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휴대용 와이어 타입 열전대 부착장치 |
-
2009
- 2009-07-15 KR KR1020090064593A patent/KR1012205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6456A (ja) * | 1994-04-06 | 1995-12-12 | Yazaki Corp | 電線の抵抗溶接装置及び接続方法 |
JPH08165062A (ja) * | 1994-12-09 | 1996-06-25 | Nkk Corp | コードの巻出し巻取り装置 |
KR100682717B1 (ko) | 2005-06-27 | 2007-02-1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타입 열전대 부착장치 |
KR20090048694A (ko) * | 2007-11-12 | 2009-05-1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휴대용 와이어 타입 열전대 부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947A (ko) | 2011-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62071B1 (en) |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 |
EP4252598A2 (en) | Cooking vessel with a thermal sensor | |
WO2011055416A1 (ja) | ホットプレス用金型及び温度測定装置、並びに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 | |
KR20180073496A (ko) | 용융 금속 욕의 온도 측정 방법 | |
JP2013537486A (ja) | 連鋳鋳型の物理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 |
US20190120555A1 (en) | Integrated refractor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2014178221A (ja) | 磁石固定式温度計 | |
KR101257472B1 (ko) |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 |
KR101220551B1 (ko) | 소재의 온도 측정 장치 | |
JP5395000B2 (ja) | 溶融鋳造耐火物の残厚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 |
JP2013036980A (ja) | 金属試料を測定する膨張計 | |
JP5167715B2 (ja) | 耐火物ライニング残存厚さ判定方法および装置 | |
KR101008053B1 (ko) | 선재의 온도 측정장치 | |
JP2786811B2 (ja) | 測温方法 | |
CN106735664B (zh) | 钎焊方法 | |
CN104848821B (zh) | 连铸机中间包渣子的厚度测量方法和装置 | |
KR100299255B1 (ko) | 금속재원판관리시스템,금속재원판,및금속재원판의가공용데이터작성방법 | |
JP6348684B2 (ja) | 金属の熱分析用方法及び熱分析機 | |
EP368766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position of a lance and nozzle assembly in a molten metal bath in a vessel | |
KR101998740B1 (ko) | 온도 측정장치 및 온도 측정방법 | |
KR20110118436A (ko) | 주조용 용해로의 온도측정장치 | |
KR20170075242A (ko) | 내화물 형상 예측 장치 | |
CN204535681U (zh) | 连铸机中间包渣子的厚度测量装置 | |
KR102086238B1 (ko) | 용융금속의 측온장치 및 측온방법 | |
KR101614587B1 (ko) | 열화에 의한 지관 소손 방지용 샘플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