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514B1 -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514B1
KR101220514B1 KR1020100086707A KR20100086707A KR101220514B1 KR 101220514 B1 KR101220514 B1 KR 101220514B1 KR 1020100086707 A KR1020100086707 A KR 1020100086707A KR 20100086707 A KR20100086707 A KR 20100086707A KR 101220514 B1 KR101220514 B1 KR 10122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screw
adjustment
noise
installation
adjustment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465A (ko
Inventor
김용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5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 축조 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측 내관, 하측 외관, 조절암나사 및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절암나사가 삽입되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절암나사 삽입부(10)와,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파지대(20)로 구성되어 있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상단부의 일측의, 제1타입의 조절암나사(3)의 외주면에 동일각도로 균일하게 배치된 세 개의 돌기부(3a) 중 이웃하는 돌기부(3a)가 걸리도록 삽입부 끝단으로부터 끼워지는 돌기부(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요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하부의 일측에, 제2타입의 조절나사(3')의 외부면에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두개의 돌기부(3'a) 중 하나의 돌기부(3'a)가 삽입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다른 하나의 돌기부(3a')를 가압하는 가압편(14a)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형상의 가압부(14)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내면에 사용 시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의 삽입요부(11)와 하부의 삽입공(12) 사이에 간격유지 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A TOOL ESTABLISHING AND DISMANTLING SUPPORT FOR PREVENTION OF NOISE}
본 발명은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 축조 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측 내관, 하측 외관, 조절암나사 및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타설한 후 타설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하중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여 줌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슬래브의 처짐이나 균열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건축이 안전하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주인 동바리는 콘크리트 성형틀인 거푸집 또는 그 외의 수직하중을 지지하여 구조물이 안전하게 시공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바리는 관련 부재들을 건설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대체적으로 층고가 높거나 대형 구조물을 시공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바리는 그 상부에 거푸집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멍에가 설치되고, 그 위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거푸집을 받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동바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 하측 받침판(1a)이 구비되고 상부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하측 외관(1)과, 그 상부에 상측 받침판(2a)이 구비된 상측 내관(2)이 조립되어서 건축용 동바리(S)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하측 외관의 나선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공(1b)이 형성되고 제1 타입 조절암나사(3)가 나사결합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내관(2)은 상부에 멍에를 결합할 수 있는 상측 받침판(2a)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 외관(1)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b)에 일치되고 고정핀(4)이 관통되어서 하측 외관(1)의 나선부에 나사 결합된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다수의 고정공(2b)이 수직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타입 조절암나사(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측 내관(2)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측 내관(2)의 상측 받침판(2a)에 설치되는 멍에의 높이에 알맞도록 동바리(S)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하고 있고, 기 설치된 동바리(S)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동바리(S)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해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는 동바리(S)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경우에는 두 가지 타입인 제1타입 조절암나사(3) 또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측부에 형성된 돌기부(3a)(3a')를 쇠망치 등의 타격공구로 여러 차례 타격하여 동바리(S)의 설치 해체 시의 알맞은 동바리(S)의 길이로 조절되도록 상측 내관(2)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동바리(S)를 설치하거나 해체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동바리(S)들에 조립된 상기 조절암나사들의 각 돌기부들을 해머 등으로 타격함에 따른 소음이 극심하게 발생됨으로써 주변사람들이 극심한 소음에 시달리게 되어 민원이 발생되고, 타격에 의해 부재들이 쉽게 손상되어 내구연한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거운 해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힘이 들면서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 시 발생되는 극심한 소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 구조 공사에서의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시 동바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암나사의 풀림과 조임 작업을 회전식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암나사의 풀림과 조임 작업이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공구로 두 가지 타입의 조절암나사의 풀림 및 조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조절암나사가 삽입되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절암나사 삽입부와,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배면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파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상단부의 일측의, 제1타입의 조절암나사의 외주면에 동일각도로 균일하게 배치된 세 개의 돌기부 중 이웃하는 돌기부가 걸리도록 삽입부 끝단으로부터 끼워지는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하부의 일측에, 제2타입의 조절나사의 외부면에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두개의 돌기부 중 하나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다른 하나의 돌기부를 가압하는 가압편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형상의 가압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내면에 사용 시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의 삽입요부와 하부의 삽입공 사이에 간격유지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또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배면 양측과 상기 가압부의 배면 일측에 각각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그 반대측인 타측 단부가 파지대의 전방부에 각각 연결되는 보강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상단부의 일측과 하단부의 일측에 제1 조절암나사 및 제2 조절암나사의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요부 및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공구로서 두 타입의 조절암나사를 조이거나 풀 수 있어서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요부 및 삽입공에 삽입된 돌기부는 물론, 타측 돌기부까지 파지부로 밀어서 가압하여 동바리를 해체하거나 설치할 수 할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혀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민원발생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구를 간단히 밀기만 하면 조절암나사의 풀림과 조임 작업이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단일의 공구로 두 가지 타입의 조절암나사의 풀림 및 조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이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동바리의 사시도,
도 2는 제1타입 조절암나사의 조임 및 풀림작업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을 뒤집어 놓은 상태로서, 제2타입 조절암나사의 조임 및 풀림작업에 사용되는 저부를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조절암나사 삽입부의 내측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제2타입 조절암나사의 조임 및 풀림작업에 사용되는 본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의 사용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와 제2타입 조절암나사를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두가지 타입인 제1타입 조절암나사(3) 또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가 삽입되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조절암나사 삽입부(10)와,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파지대(2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일반적으로 동바리(S)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1타입 조절암나사(3) 또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를 풀거나 조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로서, 단일의 공구에 상기 두 가지 타입의 조절암나사(3)(3')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단부의 일측에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돌기부(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요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타입 조절암나사(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대체로 육면체형상의 세 개의 돌기부(3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주면의 양측에 두개의 원기둥형상의 돌기부(3'a)가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와 구별된다.
상기 삽입요부(11)는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상단부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요부(11)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고 타측의 길이는 그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위치를 조절할 때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외주면에 형성된 세 개의 돌기부(3a)들 중 서로 이웃하는 돌기부(3a) 사이에 상기 삽입요부(11)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된 일측의 부분이 삽입되어서 그 단부가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돌기부(3a)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 돌기부(3a)를 가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내면 일측에는 제1타입 조절암나사(3) 또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경우에 조절암나사 삽입부(1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측 외관(1)의 나선부가 형성된 외주면과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간격유지 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간격유지 돌기부(13)를 체결하는 수단으로는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는 하단부의 일측에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돌기부(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타입 조절암나사(3')는 그 외주면의 양측에 원기둥형상의 두 개의 돌기부(3'a)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대체로 육면체형상의 세 개의 돌기부(3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타입 조절암나사(3)와 구별된다.
상기 삽입공(12)은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하단부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지점에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공(12)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타측의 길이는 그 보다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위치를 조절할 때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외주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기부(3'a) 사이에 상기 삽입공(12)을 기준으로 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된 일측의 부분이 삽입되어서 그 단부가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돌기부(3'a)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 돌기부(3'a)를 가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곡면형상의 가압부(14)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외주면의 절반정도가 삽입되게 하기 위하여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일측에 더 길게 연장시켜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외측 단부에 가압편(14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삽입공(12)의 일측으로부터 곡면형상의 가압부(14)의 외측 단부까지의 길이가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두 개의 돌기부(3'a) 사이에 삽입되어서, 가압편(14a)이 형성된 단부가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일측 돌기부(3'a)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형상의 가압부(14)는 길게 형성된 봉형상의 금속재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금속재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수직방향의 가압편(14a)이 연결되어서 형성된 것으로서, 상호 연결수단은 용접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파지대(20)는 길게 형성된 중공관 또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호 용접에 의한 결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구를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대(3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양측과 상기 가압부(14)의 배면 일측에 각각 보강대(3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그 반대측인 타측 단부가 파지대(20)의 전방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각 보강대(30)는 연결수단으로서 조절암나사 삽입부(10)와 파지대(20)에 각각 양단부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재간의 결합수단이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발명은 건설공사에서 슬래브 구조 공사의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시 타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발생 없이 동바리를 해체하는 공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1타입 조절암나사(3) 또는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조절을 단일의 공구를 사용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먼저, 상기 제1타입 조절암나사(3)를 조이거나 푸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래브 구조공사에서 기 설치되어 있는 동바리(S)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발명의 공구의 파지대(20)의 일측부를 두 손으로 잡은 후, 삽입요부(11)에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돌기부(3a)들 중 선택된 하나의 돌기부(3a)를 삽입시킨다.
상기 돌기부(3a)가 삽입요부(11)에 삽입되면서 자동적으로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삽입요부(11)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의 긴 길이의 부분이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서로 인접하는 돌기부(3a)사이에 삽입되면서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일측 단부가 돌기부(3a)에 접촉되어서 이 돌기부(3a)를 가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 손으로 잡고 있는 파지대(20)를 시계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요부(11)에 삽입되어 있는 일측 돌기부(3a)와 타측 돌기부(3a)에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삽입요부(11)의 일측 면과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단부(15)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양측 돌기부(3a)가 가압됨으로써 용이하게 제1타입 조절암나사(3)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동바리(S)의 하측 외관(1)의 밑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타입 조절암나사(3)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됨에 따라 상측 내관(2)의 중량에 의하여 고정핀(4)와 함께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상측 내관(2)의 양측 고정공(2b)을 관통하여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상면에 걸쳐져 있던 고정핀(4)이 하측 외관(1)의 슬라이드공(1b)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상측내관(2)이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동바리(S)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서 동바리(S)의 해체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동바리(S)를 설치할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파지대(2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밀게 되면 삽입요부(11)에 삽입되어 있는 돌기부(3a)가 삽입요부(11)의 일측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되면서 제1타입 조절암나사(3)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타입 조절암나사(3)의 상면에 걸쳐져 있는 고정핀(4)도 하측 외관(1)의 슬라이드공(1b)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핀(4)이 관통되어 있는 상측 내관(2)도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되어서 알맞은 높이의 동바리(S)가 됨으로써 동바리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제2타입 조절암나사(3')를 조이거나 푸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래브 구조공사에서 기 설치되어 있는 동바리(S)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발명의 공구의 파지대(20)의 일측부를 두 손으로 잡은 후, 삽입공(12)에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양측 돌기부(3'a) 중 선택된 하나의 돌기부(3'a)를 삽입시킨다.
상기 돌기부(3'a)가 삽입공(12)에 삽입되면서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상단부의 긴 길이의 부분이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양측 돌기부(3a)사이에 삽입되면서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일측 단부가 타측 돌기부(3'a)에 접촉되어서 가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 손으로 잡고 있는 파지대(20)를 시계방향으로 밀게 되면 삽입공(12)에 삽입되어 있는 일측 돌기부(3'a)와 타측 돌기부(3'a)에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삽입공(12)의 일측 면과 가압부(14)의 단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양측 돌기부(3'a)가 가압됨으로써 용이하게 제2타입 조절암나사(3')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동바리(S)의 하측 외관(1)의 밑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타입 조절암나사(3')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됨에 따라 상측 내관(2)의 중량에 의하여 고정핀(4)과 함께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상측 내관(2)의 양측 고정공(2b)을 관통하여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상면에 걸쳐져 있던 고정핀(4)이 하측 외관(1)의 슬라이드공(1b)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상측 내관(2)이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동바리(S)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서 동바리(S)의 해체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동바리(S)를 설치할 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파지대(2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밀게 되면 삽입공(12)에 삽입되어 있는 돌기부(3'a)가 삽입공(12)의 일측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되면서 제2타입 조절암나사(3')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타입 조절암나사(3')의 상면에 걸쳐져 있는 고정핀(4)도 하측 외관(1)의 슬라이드공(1b)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핀(4)이 관통되어 있는 상측 내관(2)도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되어서 알맞은 높이의 동바리(S)가 됨으로써 동바리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식 공구를 사용하면 전혀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종래보다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하나의 공구로서 제1타입 조절암나사(3)와 제2타입 조절암나사(3')를 돌려서 풀거나 조일 수 있어서 현장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조절암나사 삽입부 11 : 삽입요부
12 : 삽입공 13 : 간격유지돌기부
14 : 곡면형상의 가압부 14a : 가압편
15 : 단부 20 : 파지대
30 : 보강대

Claims (4)

  1. 조절암나사가 삽입되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절암나사 삽입부(10)와,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파지대(20)로 구성되어 있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상단부의 일측의, 제1타입의 조절암나사(3)의 외주면에 동일각도로 균일하게 배치된 세 개의 돌기부(3a) 중 이웃하는 돌기부(3a)가 걸리도록 삽입부 끝단으로부터 끼워지는 돌기부(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요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하부의 일측에, 제2타입의 조절나사(3')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된 두개의 돌기부(3'a) 중 하나의 돌기부(3'a)가 삽입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다른 하나의 돌기부(3a')를 가압하는 가압편(14a)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형상의 가압부(14)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내면에 사용 시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의 삽입요부(11)와 하부의 삽입공(12) 사이에 간격유지 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나사 삽입부(10)의 배면 양측과 상기 가압부(14)의 배면 일측에 각각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그 반대측인 타측 단부가 파지대(20)의 전방부에 각각 연결되는 보강대(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KR1020100086707A 2010-09-03 2010-09-03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KR10122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707A KR101220514B1 (ko) 2010-09-03 2010-09-03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707A KR101220514B1 (ko) 2010-09-03 2010-09-03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65A KR20120023465A (ko) 2012-03-13
KR101220514B1 true KR101220514B1 (ko) 2013-01-10

Family

ID=4613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707A KR101220514B1 (ko) 2010-09-03 2010-09-03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5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15Y1 (ko) * 2001-05-09 2001-10-15 (주)신현대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거푸집지지용 지주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0352465Y1 (ko) 2004-03-11 2004-06-0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거푸집지지용 동바리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100118963A (ko) * 2010-06-24 2010-11-08 배영진 거푸집 서포트용 다목적 렌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15Y1 (ko) * 2001-05-09 2001-10-15 (주)신현대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거푸집지지용 지주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0352465Y1 (ko) 2004-03-11 2004-06-0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거푸집지지용 동바리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100118963A (ko) * 2010-06-24 2010-11-08 배영진 거푸집 서포트용 다목적 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65A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KR100969992B1 (ko) 교각용 거푸집 시스템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KR20040079350A (ko) 건설 구조물용 스크류잭
KR100643529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구조
KR101220514B1 (ko) 소음방지용 동바리 설치 및 해체공구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JP2017227052A (ja) 型枠ハンガー
KR100997106B1 (ko) 교각용 지그 시스템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130142929A (ko) 시스템 서포트
KR20080104534A (ko) 거푸집 서포트 빔
KR200303775Y1 (ko) 내벽거푸집 설치용 기초가름대
KR200389444Y1 (ko) 건축물의 슬라브 받침 구조물
KR20120049687A (ko) 건축용 기능성 파이프 서포트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JP6856435B2 (ja) 位置調整用治具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JP4440687B2 (ja) 柱脚用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JP2013064264A (ja) アンカーボルト用支持フレーム及び支持フレームの構築方法
JP2008111281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据付構造
JPWO2019230028A1 (ja) 中間支保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