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076B1 -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076B1
KR101220076B1 KR1020060124314A KR20060124314A KR101220076B1 KR 101220076 B1 KR101220076 B1 KR 101220076B1 KR 1020060124314 A KR1020060124314 A KR 1020060124314A KR 20060124314 A KR20060124314 A KR 20060124314A KR 101220076 B1 KR101220076 B1 KR 10122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ose
mounting bracket
lower arm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750A (ko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0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4Pitch; Nose d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급출발시에 능동적으로 로워암의 차량후방측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차량의 노우즈업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nose up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비교한 작동 설명도,
도 4는 컨트롤러의 제어과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로워암 3; 차량전방측부분
5; 차량후방측부분 9; 무게중심
11; 컨트롤러 13; 힌지
15; 마운팅브라켓 17; 직선운동액츄에이터
19; 차속센서 21; 스로틀밸브개도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급출발시에 발생하는 노우즈업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저감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노우즈업(nose up)이란 차량의 급출발시에 구동력에 의해 차량의 앞쪽이 상 측으로 들리는 현상으로서, 노우즈업 그 자체는 특별히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하지는 않지만, 다른 성능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가능하면 작은 값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일반적인 차량의 현가장치는 현가장치의 특성을 결정짓게 되는 특성포인트들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운전조건에 모두 최적화된 특성을 제공하기 어렵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노우즈업 특성과 임팩트 승차감은 서로 이율배반적인 관계에 있어서, 노우즈업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륜 현가장치의 안티리프트 특성을 올리면 전륜의 스트로크시 궤적이 전방을 향하게 되어 임팩트 승차감이 나빠지게 된다.
물론, 전자제어서스펜션을 사용하면 차량의 급출발시 현가장치의 감쇠력을 급격히 증가시켜서 차량의 노우즈업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장비가 복잡하고 가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급출발시에 능동적으로 현가장치의 특성을 변화시켜 노우즈업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는
차량외측부분이 너클에 연결되고, 차량전방측부분이 차체에 고정된 로워암과;
상기 로워암의 차량후방측부분을 차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맥퍼슨 스트럿 현가장치에서 로워암(1)은 L자 형상을 가지며, 차체쪽에 연결되는 차량전방측부분(3)과 차량후방측부분(5)을 연결하는 선(23)의 기울기 방향으로, 차량의 구동력이 분력의 형태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상향시키면, 상기 구동력의 분력의 작용선(7)의 기울기가 커지고, 차량의 무게중심(9)과 가까워지므로 거리 D가 짧아지게 되어, 결국 노우즈업을 발생시키는 모멘트가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차량외측부분이 너클에 연결되고, 차량전방측부분(3)이 차체에 고정된 로워암(1)과; 상기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차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차체에 대하여 힌지(13)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팅브라켓(15)과, 상기 마운팅브라켓(15)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을 차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시키는 직선운동액츄에이터(17)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컨트롤러(11)는 차속(V)과 스로틀밸브개도(A)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직선운동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1)는 차속센서(19)와 스로틀밸브개도센서(21)의 신호를 전달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차속센서(19)와 스로틀밸브개도센서(21)는 최근의 대부분의 차량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므로, 이를 공동으로 이용하면 저렴하게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컨트롤러(11)가 차속(V)과 스로틀밸브개도(A)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도 2와 비교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력의 분력이 작용하는 작용선(7)의 기울기가 증가되고, 차량의 무게중심(9)과 상기 작용선(7)에 이르는 직선거리 D가 짧아지게 되어, 차량의 노우즈업을 발생시키는 모멘트를 약화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차량의 노우즈업 현상을 능동적으로 억제 및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컨트롤러(11)가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로직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컨트롤러(11)는 차속(V)이 소정차속(VS)이하이고, 스로틀밸브개도(A)가 소정개도(AS) 이상인 경우를 차량의 급가속 상태로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11)는 차속센서(19)와 스로틀밸브개도센서(21)로부터 차속(V)과 스로틀밸브개도(A)의 정보를 얻는다.
먼저, 차속(V)이 소정차속(VS)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소정차속(VS) 이상이면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하측으로 내리도록 제어하여 노우즈업 방지특성을 약화시키거나 보통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소정차속(VS)이란 대체로 2속 변속단이 설정될 정도의 속도로서 시속 약 20 내지 30km 의 속도에 상당하는바, 상기 차속보다 높은 차속에서는 가속페달을 급격히 밟아 스로틀밸브가 전개되는 상황이 되어도 실질적으로 차량의 급가속량이 작아서 노우즈업을 일으키기는 어렵고, 일으키더라도 그 양이 작기 때문이다.
차속(V)이 소정차속(VS)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스로틀밸브개도(A)가 소정개도(AS)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소정개도(AS)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직선운동액츄에이터(17)를 조작하여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노우즈업 방지특성을 강화시킨다.
상시 소정개도(AS)란 대체로 스로틀밸브의 전개상태를 100%로 하였을 때 약 80%정도에 해당하는 개도로서, 차속이 낮은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개에 가 까운 상태로 스로틀밸브가 개방되면, 급가속에 의해 차량의 노우즈업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차속(V)이 소정차속(VS) 미만이면서 스로틀밸브개도(A)도 소정개도(AS) 이하인 경우에는 로워암(1)의 차량후방측부분(5)을 하향시켜서 노우즈업 방지특성을 약화시키거나 보통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급출발시에 능동적으로 로워암의 차량후방측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차량의 노우즈업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삭제
  2. 차량외측부분이 너클에 연결되고, 차량전방측부분이 차체에 고정된 로워암과;
    상기 로워암의 차량후방측부분을 결합한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시키는 직선운동액츄에이터와, 상기 마운팅브라켓이 상기 차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상기 차체와 결합하는 힌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과;
    차속이 소정차속 이하이고, 스로틀밸브개도가 소정개도 이상인 차량의 급가속 상태에서 상기 직선운동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60124314A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KR10122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14A KR101220076B1 (ko)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14A KR101220076B1 (ko)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50A KR20080052750A (ko) 2008-06-12
KR101220076B1 true KR101220076B1 (ko) 2013-01-08

Family

ID=3980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314A KR101220076B1 (ko) 2006-12-08 2006-12-08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9620B2 (en) * 2014-07-09 2016-05-24 Asm Ip Holding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baking substrate upstream of process chamber
KR102536996B1 (ko) * 2021-11-11 2023-05-30 서한이노빌리티(주)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737A (ja) * 1996-07-30 1998-02-1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737A (ja) * 1996-07-30 1998-02-1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50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121A (en) Banded on-off control method for semi-active dampers
CN100434289C (zh) 在电控悬挂设备中控制阻尼力的方法
US7013206B2 (en) Electrically adjustable semiactive damper control
EP1707407A1 (en) Air suspension and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EP1659007B1 (en) Air suspension and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KR20050050762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와 이를 이용한 댐퍼 감쇠력 제어 방법
KR101220076B1 (ko) 차량의 노우즈업 제어장치
JPH10217735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2002283822A (ja)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US61862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loating a vehicle
JPS6355478B2 (ko)
KR0152549B1 (ko) 2단스프링 상수 가변식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00243908B1 (ko) 차량의 감쇠력 가변용 모터의 제어방법
JP4872782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S60255589A (ja) 自動二輪車用後輪懸架装置における減衰力調整装置
KR100527722B1 (ko) 에어 서스펜션 제어 장치
JPS5918671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KR100329857B1 (ko) 차량의전자제어감쇠력가변현가장치
KR100645745B1 (ko) 커플드 토션빔 후륜 현가장치의 스티어 특성 제어 장치
JPS6342647Y2 (ko)
KR0174009B1 (ko) 세미액티브 및 풀액티브 혼합식 현가장치
CN1415496A (zh) 车辆稳定减振器
KR20080020111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안티리프트 조절장치
KR19980010408U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틸팅 현가장치
KR19980059817A (ko) 차량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