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755B1 - 강력 정제 탈분기 - Google Patents

강력 정제 탈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755B1
KR101219755B1 KR1020120081095A KR20120081095A KR101219755B1 KR 101219755 B1 KR101219755 B1 KR 101219755B1 KR 1020120081095 A KR1020120081095 A KR 1020120081095A KR 20120081095 A KR20120081095 A KR 20120081095A KR 101219755 B1 KR101219755 B1 KR 10121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tablet
plat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항성
김복희
Original Assignee
김복희
박항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희, 박항성 filed Critical 김복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6Cone or disc shaped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력 정제 탈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복용 고형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의약품에 있어서, 통상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제 양면에 부착된 분진을 분리, 제거하기 위하여, 진동에 의한 탈분부를 도입하여 분진의 탈분을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탈분부를 구성하는 나선형 진동판의 상부에 추락단절부를, 하부에는 안착단절부를 포함하는 탈분강화부를 도입하여, 상향이동 하는 정제가 상기 탈분강화부를 반복 추락을 하면서 뒤집어지게 함으로써,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상기 안착단절부에 연장 형성되는 진동편이나 상향 돌출되는 걸림턱 등의 탈락방지수단을 도입하여, 정제 추락 후 정제가 안착단절부에서 추락하는 것을 막고, 상기 진동동판 하측면에는 분진포집판을 별도로 더 구비함으로써, 탈분에 의하여 분리된 분진이 부유하거나 하부 진동판에 추락하여 다른 정제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문제점을 해결하여, 탈분기의 효율성을 높인 강력 정제 탈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는 진동발생장치, 상기 진동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축과 상기 진동축에 수직 나선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형성된 복수의 분진통과공을 포함하는 탈분부, 상기 진동축과 탈분부를 내장하고, 일측에 정제 투입구, 타측에 정제 배출구를 포함하고, 하부 일면에 분진배출구를 더 구비한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분부의 진동판은 상측 말단에 추락단절부를 포함하는 탈분강화부를 갖고 이 탈분강화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력 정제 탈분기 {DEDUSTER}
본 발명은 강력 정제 탈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복용 고형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의약품에 있어서, 통상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제 양면에 부착된 분진을 분리, 제거하기 위하여, 진동에 의한 탈분부를 도입하여 정제의 탈분을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탈분부를 구성하는 나선형 진동판의 상부에 추락단절부를, 하부에는 안착단절부를 포함하는 탈분강화부를 도입하여, 상향이동 하는 정제가 상기 탈분강화부를 반복 추락을 하면서 뒤집어지게 함으로써,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상기 안착단절부에 연장 형성되는 진동편이나 상향 돌출되는 걸림턱 등의 탈락방지수단을 도입하여, 정제 추락 후 정제가 안착단절부에서 탈락하는 것을 막고, 상기 진동판 하측면에는 분진포집판을 별도로 더 구비함으로써, 탈분에 의하여 분리된 분진이 부유하거나 하부 진동판에 낙하하여 다른 정제에 다시 부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탈분기의 효율성을 높인 강력 정제 탈분기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의 한 형태인 정제의 통상적인 생산과정에서는 분말이나 과립을 원하는 형상의 틀에 넣고 압력을 가하여 생산하는데, 열이나 정전기가 발생하여 생산된 정제의 표면에 분진들이 달라붙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정제 포장 공정 전에 정제의 탈분 공정을 따로 거치는데, 이때 완전한 정제의 탈분을 위하여 다양한 탈분기가 공개되어 있다.
정제의 탈분기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46378호(등록일자2001년08월31일)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정제의 운동방향과 분진의 배출방향을 반대로 하여 정제로부터 이탈된 분진이 다시 부착되지 않도록 하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트 기류를 발생시켜 분진 제거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선형 타공망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정제가 발분 조건에 머무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품질 높은 분진제거를 할 수 있는 정제 탈분 장치로서,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부착한 프레임과, 장치 전체를 콘트롤하기 위한 콘트롤러와, 정제와 분진을 상호 분리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고정판을 구비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정제 탈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와 프레임을 상호 고정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홀더와, 상기 바이브레이터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는, 그 내부에 다층으로 구성되는 나선형 타공망이 내장되고, 그 외측에 케이스 형태의 투명 감시창이 설치되며, 상기 바이브레이터로부터 나선형 타공망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이들 부품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환봉과, 상기 나선형 타공망의 하부와 바이브레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분진 배출구가 달린 원형의 분진 포집판과, 상기 분진 포집판은 정제와 분리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에 분진 배출구를 구비하며, 분진이 제거된 정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나선형 타공망의 상측에 구비되는 정제 배출구와, 분진 분리 전의 정제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감시창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정제 투입구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제트 기류 형태로 상기 나선형 타공망에 공급하기 위하여 감시창 상부에 설치되는 제트 기류 분출판 및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 정제 탈분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정제의 탈분기에 대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68602호(등록일자2004년11월15일)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진동다공판에 정제가 투입되기 위한 정제투입구를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진동다공판의 탈분된 정제가 배출되기 위한 정제배출구를 가지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케이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정제의 투입/배출 방향 조절과 승강이 가능한 탈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특허등록 제10-0874147호(등록일자2008년12월09일)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알약 표면에 점착된 분말을 진동 및 에어로써 떨어내는 작용을 하는 약제용 탈분기에 관한 것으로써, 그 구성은 원통 형태의 탈분통, 상기 탈분통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판, 상기 탈분통의 저면에 설치되는 진동부, 탈거된 약가루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흡입배출부, 상기 탈분통 내부에 에어를 분사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약제용 탈분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의 말단이 되는 분사관은 기다란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이송판 전체에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탈분통 내측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용 탈분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 밖의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04034호(등록일자2008년02월11일)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본 발명은 상향식 정제 탈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세는, 중앙 공급 방식으로 공급된 에어를 분기관을 통하여 상향 이동되는 정제 표면에 직접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정제 표면에 붙은 약품 분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제 탈분기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정제 탈분기는 중앙에 중심축이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탈분 대상 정제가 적치되는 적치판이 구비되는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를 진동시켜 정제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동유닛과; 상기 수용용기 내에 에어를 분사하여 정제 표면에 부착된 약품 분말을 떼어내는 에어주입유닛과; 에어에 의해 정제 표면으로부터 떨어져나와 부유하는 분말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상향식 정제 탈분기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중공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주입유닛으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며, 상기 중심축 외주면에는 상기 중심축과 연통되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중심축 내부에 일시 저장된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적치판에 적치된 정제 표면에 에어를 직접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고안 및 발명은 정제가 일면만 접촉되어진 채 상향 이동하면서 진동 및 공기분사로 탈분을 행함으로써,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을 완전히 분리, 제거하기 어렵고, 정제가 상향 이동하는 진동판의 바닥면이 통공되어 있어, 분리된 분진이 탈분기 안에 부유하거나 하측으로 자연 낙하함으로써, 하부에서 상향 이동하는 정제가 낙하 또는 부유하는 분진에 그대로 노출되어 다시 부착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탈분기로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내복용 고형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의약품에 있어서, 통상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제 양면에 부착된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하여 깨끗한 정제를 얻기 위하여, 진동발생장치와 결합된 진동축에 의해 진동하는 나선형의 진동판으로 구성된 탈분부를 정제가 상향 이동할 때, 상기 탈분부는 복수개의 나선형 진동판이 진동축에 적층 결합하되, 하부에 위치하는 나선형 진동판의 상측 말단에 형성된 추락단절부와, 이 추락단절부 하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의 하측 말단에 형성된 안착단절부로 이루어진 탈분강화부를 포함하여, 하부에 위치한 나선형 진동판을 상향 이동하는 정제가 상측 추락단절부에서 추락하여, 상부에 위치한 나선형 진동판의 안착단절부에 안착하여 다시 상향 이동하고, 이러한 정제의 추락이 반복되면서 정제가 뒤집히게 하고, 정제가 뒤집혀 정제의 양면이 모두 진동판과 접촉하면서 탈분되게 함으로써, 보다 더 완전하게 탈분된 깨끗한 정제를 얻을 수 있는 강력 정제 탈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탈분강화부를 통해 정제가 추락하면서 안착단절부에서 탈락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판은 안착단절부 말단에서 연장 형성된 진동편이나, 안착단절부 말단에서 상향 돌출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탈락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향 이동하면서 탈분되어진 분진이 부유하거나 자연 낙하하여 하부에서 상향 이동하는 정제에 다시 부착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판의 바닥면과 연결된 분진포집판을 더 포함하여 분진이 포집되게 함으로써, 탈분기로서의 효율성을 높인 강력 정제 탈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는
진동축;
상기 진동축에 나선형으로 결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형성된 복수의 분진통과공을 포함하는 탈분부;
상기 탈분부 하부에 형성되는 탈분포집부; 및
상기 탈분부의 진동판의 중간에 배열되고,
추락단절부, 상기 추락단절부 하부의 안착단절부, 상기 추락단절부와 상기 안착단절부 사이의 이격부로 구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탈분강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탈분강화부는
상기 탈분강화부의 안착단절부에는 정제 탈락방지수단이 더 구비하고, 상기 정제 탈락방지수단은 안착단절부 말단에 연장 형성된 진동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정제 탈분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에서 탈분포집부는
외벽을 갖는 분진포집판과,
상기 분진포집판 상부에 이격 배열되어, 이 분진포집판의 외벽과 탄성스프링으로 결합되고,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분진포집공을 갖는 분진역류방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진포집판은 진동축 외곽에 형성되는 분진포집구를 갖고, 상기 분진포집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는 탈분부를 통하여 정제의 탈분을 하는데 특히, 진동판의 상측 말단에 추락단절부, 진동판의 하측 말단에 안착단절부로 이루어진 탈분강화부를 구비한 진동판이 적층 결합되어 있는 탈분부를 도입하여, 상향 이동하는 정제가 상기 탈분강화부에서의 수번의 추락을 통하여 뒤집혀, 정제의 양면이 모두 진동판과 접촉되면서 정제가 상향이동 하게 함으로써, 통상적인 정제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하여 보다 더 완전하게 탈분된 깨끗한 정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탈락방지수단은 안착단절부 말단에서 연장 형성된 진동편이나 안착단절부에 말단에 상향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탈분강화부를 통한 수번의 추락 시 정제가 진동판으로부터 탈락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진동판의 분진통과공과 연결된 분진포집판을 도입하여, 정제로부터 분리되어 포집된 분진을 격리 보관 또는 제거하여 정제가 상향 이동하면서 탈분되어진 분진이 부유하거나 낙하하여 하부에서 상향 이동하는 정제에 다시 부착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탈분기로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진동축과 탈분부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탈분강화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제1변형례의 탈분강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제2변형례의 부분 사시도 및 분진포집판의 외벽과 분진역류방지판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의 제3변형례의 부분 사시도 및 분진통과공의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또한, 진동축(200)을 중심으로 하여 진동축(200)이 위치한 방향을 내측으로, 커버부(300)가 위치한 방향을 외측으로 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진동발생장치(400)를 탈분기(D) 하부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진동발생장치(400)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를 설명함에 있어 진동발생장치(400)의 자세한 구조 및 역할, 동작 형태 등은 종래 탈분기(D)에 이용되는 전자석 등을 이용한 진동발생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복수개의 분진통과공(111)을 포함하는 진동판(110)이 상기 진동축(200)에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탈분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탈분부의 진동판의 중간에 배열되고, 추락단절부, 상기 추락단절부 하부의 안착단절부, 상기 추락단절부와 상기 안착단절부 사이의 이격부로 구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탈분강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상기 탈분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분진포집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상기 진동축(200)과 탈분부(100)를 내장하고, 일측에 정제 투입구, 타측에 정제 배출구를 포함하고, 하부 일면에 분진배출구(330)를 더 구비한 커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분부(100)를 구성하는 진동판(110) 중 최하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의 최하측 말단은 상기 커버부(300)의 정제투입구(310)와 연결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의 최상측 말단은 상기 커버부(300)의 정제투입구(3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발생장치(4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축(200)에 의해 탈분부(100)까지 전달되고, 상기 정제투입구(310)로 투입된 정제는 그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탈분부(100)의 진동판(110)을 상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진동발생장치(400)에 의한 진동은 정제를 상향 이동하게끔 만들 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해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분진은 상기 진동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분진통과공(111)을 통과하여 자연 낙하하게 함으로써, 탈분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탈분 과정 중에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의 진동판(110)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말단에 본 발명의 핵심인 추락단절부(121)를 포함하는 탈분강화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복수개의 진동판(110)이 적층 결합하되, 상기 진동판(110)은 단절된 나선형의 진동판(110)으로 형성되므로, 그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개의 진동판(110)으로 한정하여 편의대로 나누어 설명하면, 하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과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기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의 하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은 하측의 말단이 상기 커버부(300)의 정제투입구(310)와 연결되고, 진동판(110)의 상측 말단이 단절되어 추락단절부(121)를 형성한다. 또한 탈분기(D)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은 하측 말단이 단절되어 형성된 안착단절부(122)를 포함하고, 상측 말단에는 역시 단절되어 형성되는 추락단절부(121)를 더 구비하고 이 추락단절부(121)는 커버부(300)의 정제배출구(320)와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의 하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의 상측 말단에 형성된 추락단절부(121)는 상기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110)의 하측 말단에 형성된 안착단절부(122)로부터 상향으로 10~30mm 위치에 이격 형성되어 탈분강화부(12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300)의 정제투입구(310)를 통해 투입된 정제는 하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을 상향 이동하고, 상측 말단에서 추락단절부(121)를 거쳐 10~30mm 의 탈분강화부(120)를 추락하여 상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의 안착단절부(122)에 안착되고, 다시 진동에 의해 상향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정제가 10~30mm의 이격부를 추락하면서 뒤집히게 되어 처음 하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의 바닥면과 접촉된 일면이 아닌 타면이 상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어,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이 모두 분리된 후 상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의 상측 말단이 단절된 추락단절부(121)와 연결된 상기 커버부(300)의 정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위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진동판(110)만을 예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핵심인 탈분강화부(120)를 포함하는 진동판(110)은 수개 적층되어 형성되어도 무관하고, 오히려 수개의 진동판(110)으로 형성되었을 때 정제가 탈분강화부(120)를 수번 추락하여 뒤집히는 효과를 더 크게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정제의 양면에 부착된 분진의 분리를 완전하게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설명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진동판(110)이 적층 형성된 탈분부(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단절부(122)는 정제 탈락방지수단(1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 탈락방지수단(130)은 정제가 탈분강화부(120)를 추락한 후 그 충격 등으로 인하여, 상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에서 다시 하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정제 탈락방지수단(130)의 변형예로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단절부(122)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진동편(1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단절부(122)의 진동편(131)은 말단에 측벽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정제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는 수번의 추락을 통하여 정제의 뒤집힘을 보장하고, 이 뒤집힘을 이용하여 정제 양면에 부착된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으로 상기 탈락방지수단(130)에 측벽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그 탈락을 억지로 억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안착단절부(122)를 거친 복수개의 정제 중 탈락하는 일부는 본 탈분기(D)의 탈분부(100)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하부에 위치한 진동판(110)의 일면에 추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착단절부(122) 말단이 개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탈분강화보조부(133)를 가진 진동편(131)을 포함하는 안착단절부(122)는 탈락방지수단(130)으로서 그 기능을 다 할 뿐만 아니라, 정제의 탈분을 보조하는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나아가 도 4에서 도시된 제1변형례와 같이, 상기 안착단절부(122)의 탈락방지수단(130)은 안착단절부(122)에서 상향으로 일부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32)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제가 추락 후, 다른 진동판(110)으로의 탈락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되나, 상기 걸림턱(132)에 충격되어 진동판(110)의 안쪽으로 안착되면서 정제의 뒤집힘을 도모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분기(D)의 핵심인 탈분강화부(120)의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분기(D)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분부(10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분진포집부(140)를 더 구비하고, 흡진장치와 연결하여 분리된 분진을 제거 가능하나, 도 5에서 도시된 제 2 변형례와 같이, 탈분부(100)의 진동판 하부 위치에 외벽을 갖는 분진포집판(1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진포집판의 중앙에는 상기 진동축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분진포집판(140)의 상부에는 이격 배열되어 있고, 깔대기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분진포집공(111a)을 구비한 분진역류방지판(140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분부(100)에서 낙하하는 분진은 상기 분진포집공(111a)을 통해 분진포집판(140)으로 포집되는데, 상측의 직경이 넓고 하측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깔대기 형상의 분진포집공(111a)을 구비한 분진역류방지판(140a)에 의하여 분진포집판(140)에 포집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분기(D)의 정제 탈분 과정에서 분리되는 분진이 분진포집공(111a)을 통과해 분진포집판(140)에 포집되어 질 때,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분진포집공(111a)으로 인하여, 분진이 분진포집공(111a)을 통과하여 분진포집판(140)을 향할 때는 아무 간섭을 받지 않으나, 분진포집 후 진동 등으로 인해 분진이 비산하여 분진포집판(140)을 이탈하는 경우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분진포집공(111a)의 좁은 폭으로 인해 분진이 분진역류방지판(140a)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의 분진포집판(140)의 외벽과 분진역류방지판(140a)의 연결관계를 확대한 정면도 및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역류방지판(140a)은 상기 분진포집판 외벽에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 진동을 하여 분진 포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분기에서 상기 분진포집판의 외벽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60)을 갖고, 상기 분지역류방지판(140a)은 상기 가이드홈(260)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60)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60)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양 끝단은 탕성스프링(261)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진동축(200)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분진역류방지판(140a)은 상하진동을 전달받는데, 가이드홈(260)과 가이드레일(160)을 연결하는 탄성스프링(261)에 의하여 더욱 강한 상하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분진 포집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포집판(140)은 일측으로 쏠린 경사면을 갖게 형성되고, 이 경사면의 최하측에는 분진포집구(140b)를 갖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축의 진동을 전달받아 미세진동하는 분진포집판(140)의 경사면을 다라 포집된 분진이 상기 분진포집구(140b)로 모여 배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진포집구(140b)는 탈분기의 외부와 연결되어 포집된 분진이 별도의 분진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흡진 장치 등과 연결되어 포집된 분진을 흡진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포집된 분진이 모이는 분진포집구(140b)에는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진포집통(14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으로 모인 분진은 상기 분진포집통(14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된 분진은 분진포집통(141)을 분리하여 포집된 분진을 따로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탈분기(D)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분진포집판(140)에 포진된 분진이 진동에 의해 다시 비산되어 정제에 부착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흡입장치가 없이도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의 제3변형례를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각각의 진동판(110)은 하측면과 연결된 분진포집판(14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진동판(110)마다 구비되는 분진포집판(140)에 의하여 정제로부터 탈분된 분진이 분진통과공(111)을 통해 하부를 향해 자연 낙하하다가 상향 이동하는 정제에 다시 부착되거나, 분리된 분진이 상기 탈분부(100)에서 부유하다가 다른 정제에 다시 부착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탈분기(D)는 상기 분진포집판(140)에 흡입팬이 구비된 공기흡입장치와 연결하여 흡입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도면미표기). 공기흡입 과정에 의해 상기 분진포집판(140)에 포집된 분진은 실시간으로 흡입되어 제거되므로 탈분기(D)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공기 흡입으로 인해 상기 분진통과공(111)도 흡진 작용을 하게 되어 상향 이동하는 정제의 탈분을 보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강력 정제 탈분기(D)의 분진통과공(111)은 도 5 및 도6의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포집판(140) 방향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모양의 분진포집공(111a)으로 변형 가능하다.
D : 탈분기
100 : 탈분부 110 : 진동판
111 : 분진통과공
111a : 분진포집공
120 : 탈분강화부 121 : 추락단절부
122 : 안착단절부 130 : 탈락방지수단
131 : 진동편 132 : 걸림턱
133 : 탈분강화보조부
140 : 분진포집판 140a : 분진역류방지판
140b : 분진포집구 141 : 분진포집통
150 : 흡입장치 160 : 가이드레일
200 : 진동축 260 : 가이드홈
261 : 탄성스프링
300 : 커버부 310 : 정제투입구
320 : 정제배출구 330 : 분진배출구
400 : 진동발생장치

Claims (4)

  1. 진동축(200);
    상기 진동축(200)에 나선형으로 결합된 진동판(110)과, 상기 진동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분진통과공(111)을 포함하는 탈분부(100);
    상기 탈분부(100) 하부에 형성되는 분진포집부; 및
    상기 탈분부(100)의 진동판(110)의 중간에 배열되고,
    추락단절부(121), 상기 추락단절부(121) 하부의 안착단절부(122), 상기 추락단절부(121)와 상기 안착단절부(122) 사이의 이격부로 구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탈분강화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진포집부는
    외벽을 갖는 분진포집판(140)과,
    상기 분진포집판(140) 상부에 이격 배열되어, 이 분진포집판(140)의 외벽과 탄성스프링(261)으로 결합되고,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분진포집공(111a)을 갖는 분진역류방지판(140a)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포집판(140)은 진동축(200) 외곽에 형성되는 분진포집구(141b)를 갖고, 상기 분진포집구(141b)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진포집판(140)의 중앙에는 상기 진동축(200)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분진포집판(140)의 상부에는 이격 배열되어 있고, 깔대기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분진포집공(111a)을 구비한 분진역류방지판(140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탈분부(100)에서 낙하하는 분진은 상기 분진포집공(111a)을 통해 분진포집판(140)으로 포집되는데, 상측의 직경이 넓고 하측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깔대기 형상의 분진포집공(111a)을 구비한 분진역류방지판(140a)에 의하여 분진포집판(140)에 포집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되며,
    상기 분진역류방지판(140a)은 상기 분진포집판(140) 외벽에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 진동을 하여 분진 포집 성능되고,
    상기 분진포집판(140)의 외벽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60)을 갖고, 상기 분지역류방지판(140a)은 상기 가이드홈(260)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60)을 갖고,
    상기 가이드홈(260)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양 끝단은 탄성스프링(261)으로 연결되어 있어,
    진동축(200)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분진역류방지판(140a)은 상하진동을 전달받고, 가이드홈(260)과 가이드레일(160)을 연결하는 탄성스프링(261)에 의하여 더욱 강한 상하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분진 포집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정제 탈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분강화부(120)의 안착단절부(122)에는 정제 탈락방지수단(1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정제 탈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탈락방지수단(130)은 안착단절부(122) 말단에 연장 형성된 진동편(1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 정제 탈분기.

  4. 삭제
KR1020120081095A 2012-06-21 2012-07-25 강력 정제 탈분기 KR101219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93 2012-06-21
KR20120066593 2012-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755B1 true KR101219755B1 (ko) 2013-01-09

Family

ID=4784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095A KR101219755B1 (ko) 2012-06-21 2012-07-25 강력 정제 탈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0828A (zh) * 2015-08-14 2015-11-25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螺旋式多级分选机
CN107051878A (zh) * 2017-02-10 2017-08-18 南通丰威机械有限公司 一种多节万向筛片机
KR101776204B1 (ko) * 2017-01-05 2017-09-11 (주)효성파마텍 방음 및 방진효과가 뛰어난 정제용 탈분기
CN111701851A (zh) * 2020-06-28 2020-09-25 安徽亚珠金刚石股份有限公司 一种人造金刚石生产用分级筛选装置
KR102324823B1 (ko) * 2021-05-06 2021-11-10 박현태 수직형 캡슐 탈분기
CN115646807A (zh) * 2022-12-26 2023-01-31 合肥皖液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轴套震动筛选机构
CN117379906A (zh) * 2023-12-11 2024-01-12 山东志庆德碳素科技有限公司 一种石油焦煅烧用除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88A (ko) * 1997-03-13 1998-11-05 김종문 분급기 원심로터의 분산판
KR200319165Y1 (ko) * 2003-03-26 2003-07-07 전호준 정제 탈분 장치의 진동 다공판의 구조
KR200446798Y1 (ko) 2009-02-09 2009-12-03 김복희 상향식 정제 탈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88A (ko) * 1997-03-13 1998-11-05 김종문 분급기 원심로터의 분산판
KR200319165Y1 (ko) * 2003-03-26 2003-07-07 전호준 정제 탈분 장치의 진동 다공판의 구조
KR200446798Y1 (ko) 2009-02-09 2009-12-03 김복희 상향식 정제 탈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0828A (zh) * 2015-08-14 2015-11-25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螺旋式多级分选机
KR101776204B1 (ko) * 2017-01-05 2017-09-11 (주)효성파마텍 방음 및 방진효과가 뛰어난 정제용 탈분기
CN107051878A (zh) * 2017-02-10 2017-08-18 南通丰威机械有限公司 一种多节万向筛片机
CN111701851A (zh) * 2020-06-28 2020-09-25 安徽亚珠金刚石股份有限公司 一种人造金刚石生产用分级筛选装置
KR102324823B1 (ko) * 2021-05-06 2021-11-10 박현태 수직형 캡슐 탈분기
CN115646807A (zh) * 2022-12-26 2023-01-31 合肥皖液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轴套震动筛选机构
CN117379906A (zh) * 2023-12-11 2024-01-12 山东志庆德碳素科技有限公司 一种石油焦煅烧用除尘装置
CN117379906B (zh) * 2023-12-11 2024-03-12 山东志庆德碳素科技有限公司 一种石油焦煅烧用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755B1 (ko) 강력 정제 탈분기
CN101238964B (zh) 用于真空吸尘器的旋风分离装置
US9126772B2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the recovery and the pneumatic transportation of dust coming from a filtration system
CN101166566A (zh) 用于排气罩的过滤器装置
CN204996275U (zh) 一种光伏组件层压真空泵油气分离器
JP2006043561A (ja) 集塵装置
KR101442736B1 (ko)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KR200446798Y1 (ko) 상향식 정제 탈분기
CN203862591U (zh) 一种具有回收利用功能的兽药材清洗装置
CN105562344B (zh) 气动分离装置
CN219860657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CN201005018Y (zh) 筛选带菇头烟梗直线筛
KR101240298B1 (ko) 사과세척장치
KR20200045295A (ko) 하강 플로우 타입 여과 집진기
CN113750675B (zh) 一种袋滤器
CN205361977U (zh) 一种集尘设备
CN102361676A (zh) 用于从气体中移除固体颗粒的容器
CN201485059U (zh) 弹簧分离排列装置
CN210082171U (zh) 一种塑料颗粒分离振动平台装置
CN204648853U (zh) 震动式药片烘房
CN210635434U (zh) 一种直拉单晶硅复投筒用自动装料装置
CN207680967U (zh) 一种花生果筛
CN103949397B (zh) 一种利用压缩空气系统提高物料分离率的设备及方法
CN209334213U (zh) 一种粉料收集装置
KR200246378Y1 (ko) 정제 탈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