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704B1 -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704B1
KR101219704B1 KR1020100112734A KR20100112734A KR101219704B1 KR 101219704 B1 KR101219704 B1 KR 101219704B1 KR 1020100112734 A KR1020100112734 A KR 1020100112734A KR 20100112734 A KR20100112734 A KR 20100112734A KR 101219704 B1 KR101219704 B1 KR 10121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eat belt
case
belt buck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1346A (en
Inventor
김상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704B1/en
Publication of KR2012005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04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시트 밸트 버클(10)의 케이스(100)와 버튼(200) 사이의 유격(G)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100)와 버튼(200) 사이의 유격(G)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이 소개된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밸트 버클은 시트 밸트 텅을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체하기 위한 작동 기구(300)가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110)와, 이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밸트 텅의 결합 상태가 해체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버튼(200)과,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하는 시트 밸트 버클(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면(121)에는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200)의 상부에는 상기 돌기(122)와 맞닿는 리브(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ise caused by the clearance G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button 20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learance G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button 200 of the seat belt buckle 10 can be kept constant. A vehicle seat belt buckle that can be prevented is introduced. The seat belt buckle for a vehicle has a lower case 110 in which an operation mechanism 300 is installed to engage or disengage the seat belt tongue, and the lower case 110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10 to disengage the seat belt tongue. In the seat belt buckle 10 including a button 200 that can be operated so as to be, and the upper case 12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110, the inner surface 121 of the upper case 120 Protrusions 122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 220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s 122 is formed.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Seat belt buckle for car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밸트 버클의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buck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buckle for a vehicle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noise due to play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of the seat belt buck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밸트가 설치되며, 이러한 시트 밸트는 시트의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시트 밸트 버클과, 시트 밸트 버클에 대해 결합 및 해체를 반복하는 시트 밸트 텅 및 시트 밸트 텅에 연결되는 시트 밸트 웨빙을 포함한다.Generally, seat belts are installed in a vehicle to protect passenger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seat belts are seat belt buckle install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seat, and seat belt tongues and seats that are repeatedly engaged and dismantled against the seat belt buckle. A seat belt webbing connected to the belt tongue.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시트 밸트 버클(10)은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트 밸트 텅(미도시)을 기계적으로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체하는 작동 기구(300)와, 사용자의 작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기구(300)에 결합된 시트 밸트 텅이 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200)을 포함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to 3, in general, the seat belt buckle 1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the case 100, which forms an external shape, and mechanically couples the seat belt tongue (not shown). An actuating mechanism 300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and a button 200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user to allow the seat belt tongue coupled to the actuating mechanism 300 to be disassembled.

상기 작동 기구(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기구(300)에는 버튼(2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된다.The operating mechanism 300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10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0, the button 200 is installed on the operating mechanism 300 to be slidably movable, the lower case 110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ase 120 is coupled.

한편, 상기 버튼(200)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버튼(200) 사이에는 일정의 유격(G)이 존재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유격(G)의 존재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기 버튼(200)의 전단부(210)의 상면(210a)이 상부 케이스(120)의 상측 내면(121)에 반복적으로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for a smooth sliding operation of the button 200, a certain amount of play (G) needs to exist between the upper case 120 and the button 200, but due to the presence of the play (G) when driving the vehicle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the upper surface 210a of the front end 210 of the button 200 repeatedly hits the upper inner surface 121 of the upper case 120, thereby causing noi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시트 밸트 버클의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of the seat belt buckle can be kept constant for the vehicle that can be prevented noise due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eat belt buck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은, 시트 밸트 텅을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체하기 위한 작동 기구가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이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밸트 텅의 결합 상태가 해체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버튼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트 밸트 버클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상부에는 상기 돌기와 맞닿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hicle seat belt buck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case is provided with an actuating mechanism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seat belt tongue, and installed in the lower case of the seat belt tongue In the seat belt buckle comprising a button operating to disengage the engaged state and the upper cas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A rib is formed.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버튼의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어 버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case, and the rib may b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tton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utton.

상기 돌기는 상기 버튼의 작동시 버튼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upp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button when the button is operated.

상기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버튼과 리브가 맞닿은 상태에서도 상기 버튼이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버튼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곡면 처리된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d of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rounded portion curved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can be operated smoothly even when the button is in contact with the rib.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에 따르면, 시트 밸트 버클의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at belt buckle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of the seat belt buckle can be kept constant so that the noise due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can be prevented.

도 1은 시트 밸트 버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시트 밸트 버클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시트 밸트 버클의 상부 케이스와 버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밸트 버클의 상부 케이스와 버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상부 케이스의 돌기와 버튼의 리브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elt buckle.
2 is a front view of the seat belt buckle.
3 is a view showing an upper case and a button of a conventional seat belt buckle.
4 is a view showing the upper case and the button of the seat belt b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rib of the button and the protrusion of the upper case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ut each other.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되 앞서 설명된 도 1 및 도 2를 부분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은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트 밸트 텅(미도시)을 기계적으로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체하는 작동 기구(300)와, 사용자의 작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기구(300)에 결합된 시트 밸트 텅이 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but partially referring to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the seat belt buck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n inside of the case 100. A button that is installed to mechanically couple or disengage the seat belt tongue (not shown), and a button that is operated by a user's operating force so that the seat belt tongue coupled to the operating mechanism 300 can be dismantled. 200.

상기 작동 기구(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 기구(300)에는 버튼(2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며, 상기 버튼(200)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버튼(200) 사이에는 일정의 유격(G)이 존재한다.The operating mechanism 300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10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0, the button 200 is installed on the operating mechanism 300 to be slidably movable, the lower case 110 An upper case 120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upper case 120, and a predetermined clearance G is present between the upper case 120 and the button 200 for a smooth sliding operation of the button 200.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면(121)에는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200)의 상부에는 상기 돌기(122)와 맞닿는 리브(22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21 of the upper case 120, the rib 2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200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2.

여기서, 상기 돌기(12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폭 방향(B)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220)는 상기 버튼(200)의 폭 방향(B) 중심부에 형성되어 버튼(200)의 길이 방향(B)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Here,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B) of the upper case 120, the rib 2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B) of the button 200 is button 200 It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of.

이처럼 상기 리브(220)가 상기 버튼(200)의 길이 방향(B)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은 상기 버튼(200)이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방향(S)을 따라 이동되더라도 상기 돌기(122)와 항상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돌기(122)와 리브(220)가 계속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버튼(200) 사이의 유격(G)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200)의 전단부(210)의 상면(210a)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측 내면(121)에 부딪히지 않게 됨으로써, 유격(G)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rib 2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of the button 200 so that the protrusion 122 may be moved even if the button 200 is repeatedly moved along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S. FIG. In order to be alway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ap G between the upper case 120 and the button 200 is constantly maintained because the protrusion 122 and the rib 220 are in continuous contact with each other. . Therefore, the upper surface 210a of the front end portion 210 of the button 200 does not hit the upper inner surface 121 of the upper case 120, so that noise generated by the play G may be prevented. .

한편, 상기 돌기(122)의 단부에는 상기 버튼(200))과 리브(220)가 맞닿은 상태에서도 상기 버튼(200)이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버튼(20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S)으로 곡면 처리된 라운드부(12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protrusion 122 is curved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S) of the button 200 so that the button 200 can be smoothly operated even when the button 200 and the rib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ounded portion 122a is formed.

또한, 상기 돌기(122)는 상기 버튼(200)의 슬라이딩 작동시 버튼(200)의 전단부(210)의 후측면(210b)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전단부(120a)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122)는 상기 버튼(200)이 후방으로 최대로 이동되었을 때 버튼(200)의 전단부(210)의 후측면(210b)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22 is a front end of the upper case 12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ear surface 210b of the front end 210 of the button 200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button 200. It is preferably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rear (120a)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protrusion 122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that may not interfere with the rear surface 210b of the front end portion 210 of the button 200 when the button 200 is moved to the rear rearward. .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에 따르면, 시트 밸트 버클의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와 버튼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at belt buckle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of the seat belt buckle can be kept constant so that the noise due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100 : 케이스 110 : 하부 케이스
120 : 상부 케이스 122 : 돌기
122a : 라운드부 200 : 버튼
220 : 리브 300 : 작동 기구
100: Case 110: Lower case
120: upper case 122: projection
122a: round part 200: button
220: rib 300: operating mechanism

Claims (4)

삭제delete 시트 밸트 텅을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체하기 위한 작동 기구(300)가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110)와, 이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밸트 텅의 결합 상태가 해체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버튼(200)과,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하는 시트 밸트 버클(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면(121)에는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200)의 상부에는 상기 돌기(122)와 맞닿는 리브(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12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폭 방향(B)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220)는 상기 버튼(200)의 폭 방향(B)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200)의 길이 방향(B)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
A lower case 110 in which an actuating mechanism 300 is installed to engage or disengage the seat belt tongue, and a button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10 to operate in such a way that the seat belt tongue can be disengaged. In the seat belt buckle 10 including a 200, and an upper case 12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110,
A protrusion 122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121 of the upper case 120;
A rib 22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utton 200 to abut the protrusion 122;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B) of the upper case 120;
The rib 220 is a vehicle seat belt buck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B) of the button 200 i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of the button (20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122)는 상기 버튼(200)의 작동시 버튼(200)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전단부(120a)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portion 120a of the upper cas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button 200 when the button 200 is operated. Car seat belt buck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122)의 단부에는 상기 버튼(200)과 리브(220)가 맞닿은 상태에서도 상기 버튼(200)이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버튼(20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S)으로 곡면 처리된 라운드부(1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밸트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ounded portion curv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122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S of the button 200 so that the button 200 can be smoothly operated even when the button 200 and the rib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Vehicle seat belt buckle, characterized in that (122a) is formed.
KR1020100112734A 2010-11-12 2010-11-12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KR101219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34A KR101219704B1 (en) 2010-11-12 2010-11-12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34A KR101219704B1 (en) 2010-11-12 2010-11-12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46A KR20120051346A (en) 2012-05-22
KR101219704B1 true KR101219704B1 (en) 2013-01-21

Family

ID=4626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34A KR101219704B1 (en) 2010-11-12 2010-11-12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0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954B1 (en) * 1998-07-03 2001-04-02 정몽훈 Vehicle Seat Belt Fastening Device
KR200259886Y1 (en) * 2001-09-20 2002-01-09 강진희 Buckle base with an improv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954B1 (en) * 1998-07-03 2001-04-02 정몽훈 Vehicle Seat Belt Fastening Device
KR200259886Y1 (en) * 2001-09-20 2002-01-09 강진희 Buckle base with an improve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46A (en)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3512B2 (en) Tongue and seat belt device using the same
US8720949B2 (en) Tongue and seat belt device using the same
JP5990538B2 (en) Rocking tongue
WO2008099937A1 (en) Seatbelt pretensioner mechanism for vehicle seat
US7543852B2 (en) Seat belt assembly having length adjustable service arm
JP6561667B2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KR101219704B1 (en) Buckle of seat belt for vehicle
WO2014065118A1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JP5566849B2 (en) Webbing guide structure
JP6177823B2 (en) Buckle device
JP5260902B2 (en) Seat back locking mechanism
KR100736463B1 (en) Seat belt position adjust apparatus
JP2007237994A (en) Garnish
JP5243349B2 (en) Slip joint
KR101382446B1 (en) Pretensioner of vehicle
JP2007015539A (en) Webbing length adjusting structure for seat belt device
JP3495298B2 (en) Lock mechanism for seat slide device
JP5964649B2 (en) Parking brake rattling prevention structure and parking brake having the rattling prevention structure
JP6962722B2 (en) Slide rail locking mechanism
KR100736781B1 (en) Set belt lower part fixing device for car
KR102228237B1 (en) Door armrest
JP5403672B2 (en) Pillar garnish
JP7040413B2 (en) Vehicle seat
US20180134250A1 (en) Vehicle seatbelt buckle assembly and method
JP2007210390A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