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93B1 -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93B1
KR101219393B1 KR1020100042137A KR20100042137A KR101219393B1 KR 101219393 B1 KR101219393 B1 KR 101219393B1 KR 1020100042137 A KR1020100042137 A KR 1020100042137A KR 20100042137 A KR20100042137 A KR 20100042137A KR 101219393 B1 KR101219393 B1 KR 10121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gas
injecting
cross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566A (ko
Inventor
양기욱
최정우
강규석
박정석
전석원
이봉직
김현호
김기원
황진호
서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성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봉직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성,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봉직,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성
Priority to KR102010004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벌키성이 향상된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가열압출부와;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제1방향을 따라 기체와 함께 분사하는 필라멘트 분사부와; 상기 필라멘트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와;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를 경유한 상기 필라멘트를 포집하여 섬유웹을 형성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MELT-BLOWN FABRIC WEB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키성이 향상된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는 공정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섬유로 변환하는 공정과, 고온 고속의 기체로 상기 필라멘트에 연직 하방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필라멘트들에 랜덤한 웨이브를 형성하는 웨이브 형성 공정과, 상기 웨이브가 형성된 필라멘트들을 수집하여 적층함으로써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웹 형성 공정으로 구성된다.
미세섬유들로 구성된 멜트블로운 섬유웹은 그 표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현재 각종 고성능 필터의 재료, 와이퍼, 유흡착재, 단열재 및 방음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으로는 가벼우면서도 동시에 흡음성능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우면서도 흡음성능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키(bulky)특성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섬유의 표면적이 넓은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가열압출부와;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기체와 함께 제1방향을 따라 분사하는 필라멘트 분사부와; 상기 필라멘트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와;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를 경유한 상기 필라멘트를 포집하여 섬유웹을 형성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반대방향에서 상기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사이에 두고 각각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는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로부터 상기 포지부까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필라멘트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기체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장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기체와 함께 제1방향을 따라 분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를 포집하여 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제1각도로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제2각도로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멜트블로운 섬유웹에 있어서, 멜트블로운 필라멘트로 구성되며, 그 밀도가 50kg/㎥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벼우면서도 흡음성능이 우수한 멀티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벌키(bulky)특성이 우수한 멀티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셋째, 미세섬유의 표면적이 넓은 멀티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넷째, 밀도가 대략 50kg/㎥미만의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다섯째, 세척성, 흡습성 및 흡유성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의 요부 개략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의 요부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의 요부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레핀"은 탄소 및 수소 원자로만 이루어진 포화된 개방 사슬의 중합체 탄화수소 계열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및 에틸렌, 프로필렌 및 메틸펜텐 단량체의 다양한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프로필렌"(PP)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뿐만 아니라, 반복단위 40% 이상의 프로필렌 단위인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 단위의 형성에 의해 연결되고 반복 단위 85% 이상이 디카르복실산과 디히드록시 알코올과의 축합 생성물인 중합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는 방향족,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이산 및 이알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스테르"는 공중합체 및 블렌드 및 이들 변형물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의 일반적인 예는 에틸렌 글리콜과 테레프탈산과의 축합 생성물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트블로운 섬유"및 "멜트블로운 필라멘트"는 용융된 가공성 중합체를 다수의 미세한 모세관을 통해 고온 고속의 압축기체와 압출함으로써 형성된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모세관은 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별표모양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고온 고속의 압축기체는 용융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여 직경을 약 0.5 내지 10㎛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불연속 섬유일수도 있고 연소 섬유일 수도 있다. 멜트블로운 필라멘트는 후술할 수집장치의 표면에 불규칙하게 퇴적됨으로써 임의로 분산된 섬유의 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펀본드"섬유는 모세관을 통해 압출되는 다수의 미세한 직경의 필라멘트를 고온의 관을 이용해 연신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웹을 의미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필라멘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이고 상기 필라멘트의 평균 직경이 약 5㎛ 보다 크다. 스펀본드 부직물 또는 부직웹은 다공질 스크린 또는 벨트와 같은 수집 표면상에서 불규칙하게 스펀본드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직물, 섬유웹 및 부직웹"은 개별섬유, 필라멘트 또는 실이 편성물과 대조적으로 패턴 없이 불규칙한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평면 물질을 형성하는, 개별섬유, 필라멘트 또는 실로 구성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1)를 가열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가열압출부(2);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6) 형태로 자중방향(A)을 따라 기체와 함께 분사하는 필라멘트 분사부(3)와; 상기 필라멘트(6)를 꼬도록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6)를 향해 상기 자중방향(A)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와;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를 경유한 상기 필라멘트(6)를 포집하여 섬유웹(11)을 형성하는 포집부(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는 자중방향(A)이 아닌 임의의 제1방향을 따라 필라멘트와 기체를 분사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압출부(2)에 투입되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1)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외 공지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된 고분자 수지(1)는 상기 가열압출부(2)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상태로 변환되어 압출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1)에는 상술한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외 공지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외에 무기 및/또는 유기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및/또는 유기 첨가제가 첨가됨으로써 용융된 상태의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의 방사 점도를 조절하거나 필라멘트의 물성 즉, 비중 및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및/또는 유기 첨가제가 첨가됨으로써 필터의 여과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종류 및 비율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는 상기 가열압출부(2)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열가소성 고분자수지(1)가 유입되는 유입부(3B)와, 상기 유입부(3B)로부터 유입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고분자수지(1)가 임시 저장되는 챔버(3C)와, 상기 챔버(3C)로부터 상기 포집부(7)를 향해 형성된 복수의 필라멘트 분사관(3A)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필라멘트 분사관(3A)는 원통형, 삼각형 및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는 도 1에서는 1개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도 1의 지면(紙面)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챔버(3C)에 임시 저장된 용융된 열가소성 고분자수지(1)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를 통과하면서 필라멘트 형태로 변환되어 자중방향(A)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챔버(3C)는 미도시된 기어펌프에 의해 그 내부에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가 분사된다. 물론, 상기 챔버(3C) 내부를 가압하기 위해 상술한 기어펌프 외에도, 유압펌프, 로터리펌프 등 다양한 가압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필라멘트를 길이방향(자중방향(A))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필라멘트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하방 기체분사부(4A, 4B)를 포함한다.
상기 하방 기체분사부(4A, 4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방기체분사부(4A, 4B)의 기체분사노즐(12, 13)은 자중방향(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분사노즐(12, 13)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분사방향의 합력이 상기 자중방향(A)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도도록, 상기 기체분사노즐(12, 13)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분사노즐(12, 13)이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기체분사노즐(12, 13)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분사방향의 합력이 상기 자중방향(A)에 대체로 평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하방 기체분사부(4A, 4B)는 상기 기체분사노즐(12, 13)을 통해 기체를 분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체와의 충돌로 인해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를 통해 배출되는 필라멘트(6)가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게 되며 그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는 고온 및/또는 고속의 기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온 및/또는 고속의 기체인 경우, 필라멘트(6)의 직경을 더욱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는 대기 중의 공기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기체는 기체 상태의 질소, 산소, 수증기의 다양한 배합비로 구성된 기체일 수도 있고, 단일성분의 불활성기체만으로 이루어 질수도 있다. 상기 기체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고온이란 상온(25도씨)과 같거나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서 상기 필라멘트(6)를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온도이면 충분하다. 이에, 상기 필레멘트 분사부(3)에 의해 분사되는 기체의 온도는 설계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온도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속이란 분사되는 기체가 소정 방향성을 가지고 분사될 수 있을 정도의 속력을 의미한다. 분사되는 기체의 속력도 상기 온도와 마찬가지로 설계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를 통해 분사된 필라멘트(6)를 향해 상기 자중방향(A)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한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도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처럼 도 1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소정폭 만큼 기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기체분사폭이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 의해 분사되는 필라멘트(6)의 지면방향으로의 폭보다 같거나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에서는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로 한 쌍(2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1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는 고온 및/또는 고속의 공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고속의 공기와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6)가 서로 충돌함에 따라 상기 필라멘트(6)의 직경은 1~60% 감소하고 그 길이는 1~60% 증가하며, 상기 필라멘트(6)의 표면적이 1~60%증가한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6)는 상기 자중방향(A)을 중심으로 마치 코일 스프링 모양처럼 꼬이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의 성분 및 상기 기체에 포함된 기체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와 상기 하방 기체분사부(4A, 4B)는 동일한 성분 및 종류의 기체를 분사할 수도 있다. 다만, 그 분사되는 기체의 압력과 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는 각각 상기 기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관(14, 15)를 갖는다. 상기 분사관(14, 15)는 노즐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단부에서 상기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분사관(14, 15)까지의 수직방향(자중방향, A)으로의 거리(H1, H2)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 분사관(14, 15)까지의 수직방향 거리(H1, H2)가 같은 경우, 분사된 기체가 서로 상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가령 서로 수직방향 거리(H1, H2)가 같더라도 어느 한 기체분사부(5A, 5B)의 분사속도를 다른 한 기체분사부(5A, 5B)의 분사속도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수직방향 거리(H1, H2)를 같게 하더라도 상기 필라멘트(6)의 꼬임정도, 길이 및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좌측의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의 연장선(B)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제1각도(θ1)만큼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기체를 상기 필라멘트(6)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B)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의 연장선(B)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제2각도(θ2)만큼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기체를 상기 필라멘트(6)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는 90도 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는 1도 이상 179도 이하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 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는 그 분사관(14, 15)의 단부로부터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까지의 수평거리가 0.5~50cm, 바람직하게는 0.5~10cm 범위내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치는 일례에 불과하다.
또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는 그 분사관(14, 15)로부터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단부까지의 수직거리는 1~50cm, 바람직하게는 1~30cm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하게 수직거리가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는 상기 분사부(3)의 하방 기체분사부(4A, 4B)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상기 필라멘트(6)가 꼬일수 있으나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가 상기 필라멘트(6)의 꼬임을 더욱 더 극대화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필라멘트(6)의 직경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길이도 신장시킬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6)가 더욱 꼬아진 형태로 만들어짐에 따라 이러한 필라멘트(6)의 적층물인 섬유웹은 그 벌키(bulky)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벌키(bulky)성은 무게에 비하여 부피가 큰 것을 의미하며, 그로인해 보다 가벼운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기능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서 상기 포집부(7)로 분사되는 필라멘트(6)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와 상기 포집부(7) 사이의 상온의 공기와 접촉하면 급속히 표면이 냉각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필라멘트(6)가 경화되어 직경, 길이, 표면적과 같은 그 외형이 변형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 분사된 필라멘트가 변형 가능한 온도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상기 필라멘트(6)에 고온 및/또는 고속의 기체를 상기 교차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필라멘트(6)와 충돌시키면 열에너지와 충돌에너지에가 필라멘트에 전달되어 상기 필라멘트(6)의 직경이 보다 가늘어 질 뿐만 아니라 더욱 꼬아진 형태를 띄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서 분사되는 기체속도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의 상기 하방향 기체분사부(4A, 4B)에서 분사되는 기체속도의 5~9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 의해 분사되는 횡방향 기체속도가 상기 하방향 기체분사부(4A, 4B)에 의해 분사되는 종방향 기체속도와 비슷하거나 그 보다 클 경우(90%초과),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서 상기 포집부(7)까지의 기체유동이 유지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 의해 분사되는 횡방향 기체속도가 상기 하방향 기체분사부(4A, 4B)에 의해 분사되는 종방향 기체속도 대비 너무 작을 경우(5%미만) 상기 필라멘트(6)의 표면을 개질할 만한 충분한 충격에너지를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서 분사하는 기체 온도는, 동일한 속도 조건 하에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의 거리(길이방향의 연장선(B) 방향으로의 거리)가 멀수록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의 필라멘트는 외부공기와 접촉되어 더 많이 냉각되므로 필라멘트(6)의 외형을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큰 열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 의해 분사된 기체 스트림을 맞은 필라멘트(6)는 상기 포집부(7)에 일정한 중량으로 수집된다. 이때, 상기 포집부(7)의 하부에는 후술할 기체흡입부(8)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 의해 교차방향으로 기체가 분사되더라도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 상기 기체흡입부(8)까지로 이어지는 일정한 공기유동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필라멘트(6)의 이송경로가 대체로 일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포집부(7)는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를 경유한 상기 필라멘트(6)가 적층되는 벨트(7c) 및 상기 벨트(7c)를 구동하는 한 쌍의 롤러(7a, 7b)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포집부(7)는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는, 상기 분사부(3)에서 분출되는 필라멘트의 이송방향이 일정하도록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의 하부에 배치된 기체흡입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체흡입부(8)는 상기 분사부(3)의 상기 하방향 기체분사유닛(4A, 4B)으로부터 분사된 기체를 흡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되는 고속기체의 흐름으로 인해 이송되는 상기 필라멘트의 이송방향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라멘트의 이송방향은 대체로 필라멘트 분사부(3)의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과 대체로 나란하다.
여기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은 그 길이방향이 대체로 자중방향(A)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 의해서 분사되는 필라멘트(6)의 분사방향은 자중방향(A)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필라멘트(6)의 분사방향이 자중방향(A)이 아닐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 의해서 분사되는 필라멘트(6)의 분사방향은 제1방향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는, 상기 포집부(7)에 의해 수집된 섬유웹을 권취하는 권취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9)는 서로 대향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9a, 9b)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9a, 9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포집부(7)의 벨트(7c)에 포집된 섬유웹(11)을 이송받아 그 외면에 상기 섬유웹(11)을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9)는 일례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로 섬유웹을 제조하는 경우, 필라멘트(6) 각각의 벌키(bulky)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필라멘트(6)의 표면적을 보다 넓게 하고 각 필라멘트(6)의 길이를 길게하는 동시에 그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성질이 변형된 필라멘트(6)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섬유웹 또한 벌키(bulky)특성이 우수하다. 다시 말해서, 섬유웹이 부피 및 표면적은 크지만 그 무게는 가볍다.
이는, 필라멘트의 단위 면적당 표면적이 증가하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흡음성, 단열성, 흡습성, 흡유성 및 세척력이 우수한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위의 제조장치(100)로 제조된 멜트블로운 섬유웹(11)의 양면 또는 어느 일면에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큰 스펀본드 웹(미도시)이 고온 롤 캘링더링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포화증기챔버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웹이 상기 멜트블로운 섬유웹(1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 21B)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제1실시예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 비해 제2실시예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 21B)가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 방향으로 서로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 21B)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 방향으로 제1거리만큼 떨어진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와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 방향으로 제1거리와는 다른 제2거리만큼 떨어진 제2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 21B)는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 21B)의 기체분사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는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제1각도(θ1) 경사진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제1분사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B)는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제2각도(θ2) 경사진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제2분사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각도(θ1) 및 상기 제2각도(θ2)는 같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를 포함한다.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는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의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 방향을 따라 2개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가 나란히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 방향을 따라 2개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가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의 서로 다른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과 상기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에서의 기체분사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100c)도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는, 총 3개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를 포함한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을 기준으로 일측에 2개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C)가 배치되고 타측에 나머지 1개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B)가 배치된다.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에서 분사되는 기체방향과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이 이루는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는 각각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 의해 분사된 필라멘트(6)를 향해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에서 분사하는 기체가 서로 상쇄되지 않도록,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단부로부터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까지의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 방향으로의 거리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21A, 21B, 50A, 50B, 500A, 500B, 500C)는 일례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에 포함되는 기체분사부의 개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의 기체분사각도,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의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의 수직방향(자중방향)거리 또는 수평방향 거리, 분사될 기체의 압력 및 온도 등의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필라멘트(6)의 직경, 표면적 및 꼬임정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실험조건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웹의 특성 및 흡음성능을 실험하였으며, 측정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필라멘트의 직경은 테스트 시편 섬유웹에서 대략 10개의 필라멘트를 임의로 추출하여 각 필라멘트를 광학현미경(SEM)으로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마이크로미터(㎛)단위를 사용하여 표기 하였다. 시편의 중량은 단위 면적당 중량의 측정값이며 300 x 300 mm의 샘플을 임의의 위치에서 3매 취하여 중량 측정 후 1㎡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평균치로 나타냈으며 시편의 두께는 100 x 100 mm의 샘플 3매를 수평의 시편 지지대에 놓고 버니아 캘리퍼스로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치로 계산하였다. 또한 섬유웹의 흡음성능 시험은 MS 200-39에 준하여 간이간향실법(ALPHA CABIN)을 통해 측정하였다. 단 각각의 시편은 대기압외의 별도의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조건 1]
도 1에 따른 제1실시예와 같은 제조장치(100)를 구성하며, 구성된 제조장치(100)의 세부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지면(紙面)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 각각의 직경은 0.38mm이고, 그 개수는 32개/inch이다. MI(Melt Index) 1300g/10분인 폴리매래사의 호모폴리프로필렌인 HP461Y 그래이드를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중합체는 열화를 막기 위해 열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각각 0.2wt% 첨가하여 안정적인 필라멘트 분사를 유도하였다. 테스트 수행 전 상기 중합체를 10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50ppm 미만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필라멘트 분사부(3)를 240℃로 가열하고 필라멘트 분사부(3)의 내부의 하방향 기체분사부(4A, 4B)에서 분사될 기체 온도와 속도을 각각 245℃ 및 35m/sec의 조건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의 개구로부터 10mm 하방에 설치된 두 개의 기체분사노즐(12, 13)의 상기 지면(紙面)방향으로의 길이는 대략 89inch로 필라멘트 분사부(3)의 상기 지면(紙面)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상기 두 개의 기체분사노즐(12, 13)은 상기 분사관(3)의 길이방향 연장선(B)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에 40도의 각도로 배열하였으며 상기 두 개의 기체분사노즐(12, 13)간의 각도는 100도로 설정되었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와 상기 포집부(7)간의 자중방향(A)의 거리는 85cm,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와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의 분사관(14)까지의 자중방향(A)거리는 10cm, 상기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와 상기 제2교차방향 기체분사부(5B)간의 자중방향(A) 거리는 3cm, 상기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로부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간의 거리(도 2의 D)는 2cm, 상기 제1각도(θ1) 및 제2각도(θ2)는 90도로 세팅하였다.
또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각 분사관의 상기 자중방향(A)의 가로방향으로의 길이는 2cm,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상기 지면(紙面)방향으로의 길이도 89inch로 동일하게 하였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로부터 분사되는 기체 속도는 17.5m/sec, 기체의 온도는 160도씨로 하였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에서 분사된 필라멘트(6)는 3.2m/min의 속도로 권취부(9) 방향으로 회전하는 포집부(7)에 필라멘트(6)를 적층하여 200g/㎡의 섬유웹을 형성시켜 권취하였다.
[실험조건 2]
상술한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속도 및 온도조건만 조정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에서 분사되는 기체의 속도는 21m/sec, 기체온도는 180℃로 하였다.
[실험조건 3]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도 1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기체분사각도와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가 이루는 각도(θ1, θ2)을 모두 170도로 조정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각도를 170도로 하면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각각에서 분사되는 기체방향은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 분사되는 필라멘트(6)의 하강을 저지하는 상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게 된다. 이 경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기체분사속도가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 정확하게는 하방향 기체분사부(4A, 4B)에 의해 분사되는 기체분사속도보다 작기 때문에 필라멘트(6)가 포집부(7)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험조건 4]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도 1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기체분사각도와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가 이루는 각도(θ1, θ2)만을 모두 130도로 조정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실험조건 5]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도 1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기체분사각도와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이 이루는 각도(θ1, θ2)만을 모두 50도로 조정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실험조건 6]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도 1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기체분사각도와 상기 필라멘트 분사관(3A)의 길이방향 연장선(B)이 이루는 각도(θ1, θ2)만을 모두 10도로 조정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실험조건 7]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한 것이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와 상기 포집부(7)간의 자중방향(A)의 거리는 85cm,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와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의 분사관(51)까지의 자중방향(A)거리는 2cm, 상기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와 상기 제2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B)간의 자중방향(A) 거리는 15cm,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에 대한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의 분사각도(θ1, θ2)는 모두 90도로 세팅하였다.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에서 분사된는 공기속도는 17.5m/sec, 공기온도는 160℃로 하였다. 나머지 조건은 실험조건 1과 동일하다.
[실험조건 8]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를 배치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와 상기 포집부(7)간의 자중방향(A)의 거리는 85cm,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3)로부터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의 분사관(501)까지의 자중방향(A)거리는 10cm, 상기 제1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와 상기 제2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B)간의 자중방향(A) 거리는 3cm, 상기 제2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B)와 상기 제3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C)간의 자중방향(A) 거리는 3cm, 상기 길이방향 연장선(B)에 대한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0A, 500B, 500C)의 분사각도는 모두 90도로 세팅하였다. 각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0A, 50B)에서 분사된는 공기속도는 17.5m/sec, 공기온도는 160℃로 하였다. 나머지 조건은 실험조건 1과 동일하다.
[실험조건 9]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동일한 방사조건에서 도 1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의 분사되는 기체속도는 1.8m/sec, 기체의 온도는 25도씨로 조정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조건은 실험조건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실험조건 1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교차방향 기체분사부(5A, 5B)만을 제거한 후 포집부(7)에 필라멘트를 적층하여 200g/㎡의 섬유웹을 형성시켜 권취하였다.
이상의 실험조건에 따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Figure 112010028973138-pat00001
[표 2] 흡음성능 평가 결과
Figure 112010028973138-pat00002
표 1은 실험조건 1 내지 실험조건 9와 비교예 1의 조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웹의 질량 및 부피, 필라멘트의 직경을 측정한 것이다. 실험조건 1내지 9와 비교예 1 결과물의 필라멘트 직경과 섬유웹 부피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분명히 확인 할 수 있다.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의 사용으로 필라멘트의 직경은 비교예 1 대비 약 20~70% 줄어들 반면 최종 섬유웹의 두께는 최대 600%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필라멘트의 직경이 감소함과 더불어 필라멘트가 보다 꼬여진 무정형(無定形) 형태로의 변환됨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실험조건 1,2,9의 실험 결과로 보건데, 교차방향 기체 분사부를 동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교차방향으로 분사되는 기체의 속도와 압력을 올리면 필라멘트의 직경이 감소하고 섬유웹의 부피가 증가하지만 반대로 기체의 온도와 압력을 내리면 필라멘트의 직경이 증가하고 섬유웹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조건 3 내지 6은 동일한 제1실시예에서, 단지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기체분사방향의 각도(기체분사각)를 변경함에 따른 필라멘트의 직경과 섬유웹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도 기체분사각(θ1, θ2)만을 변경하기만 하면 개발자가 원하는 스펙의 최종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의 기체분사각(θ1, θ2)이 90도로부터 멀어질수록, 즉, 보다 자중방향에 근접할수록 필라멘트의 직경은 작아지며 섬유웹의 부피가 증가하는 규칙성을 보여준다.
이는 교차방향의 기체분사각(θ1, θ2)이 자중방향(A)에 근접할수록 필라멘트 분사관(3)에서 방출된 필라멘트(6)와 보다 짧은 시간에, 다시 말하면 필라멘트가 자체 열에너지를 덜 잃은 상태에서 교차방향 기체 스트림과 충돌하기 때문에 유발되는 효과로 판단된다.
실험조건 8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로부터 필라멘트에 가해지는 기체 스트림의 온도, 속도와 더불어 기체 스트림의 양도 필라멘트를 개질하는데 중요한 인자임을 보여준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밀도가 50kg/㎥ 미만의 벌키(bulky)성이 큰 멜트블로운 섬유웹(11)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아울러 알 수 있다.
한편, 표 2는 실험조건 1 내지 9와 비교예 1의 실험조건 하에서 제조된 섬유웹의 흡음성능을 측정한 것으로 데이터는 재료의 흡음율을 나타낸다. 표 2에서 주파수(Hz)를 가로축으로 하여 각 실험조건에 따라 측정된 흡음성능 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수치(흡음률)가 클수록 흡음성능이 큰 것을 의미한다. 표 2에서 "조건 1(2, 3, ... , 9)"는 표 1의 "실험조건 1(2, 3, ..., 9)"에 각각 대응한다.
섬유웹의 흡음성능은 필라멘트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섬유웹의 부피가 커질수록 결과가 보다 양호했다. 실험조건 1내지 8은 고르게 뛰어난 흡음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 됐으며, 실험조건 9와 비교예 1 경우 동일한 200g의 중량임에도 불구하고 재료의 흡음률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비교예 1 대비 본 발명에 따른 실험조건 1 내지 9에서, 흡음성능이 주파수에 따라 적게는 1.5배에서 크게는 3.5배까지 향상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기존제품에 비해 벌키(bulky)특성이 우수하고 흡음능력이 뛰어난 소재를 생산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한다(S10).
그 다음에,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기체와 함께 제1방향을 따라 분사한다(S20).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자중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 분사 시 고온 및/또는 고속의 기체를 함께 분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한다(S30).
이에 따라, 필라멘트의 직경이 감소하고 그 길이, 표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개별 필라멘트의 벌키(bulky)성이 커진다.
그 다음으로, 상기 벌키성이 커진 필라멘트를 포집하여 섬유웹을 형성한다.(S40).
이렇게 형성된 섬유웹은 권취된다(S50).
여기서, 상기 교차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제1각도로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제2각도로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는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
1: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2: 가열압출부
3: 필라멘트 분사부 3A: 필라멘트 분사관
3B: 유입부 3C: 챔버
4A, 4B: 하방향 기체분사부 12, 13:기체분사노즐
5A, 5B: 교차방향 기체분사부 14, 15:분사관
6: 필라멘트 7: 포집부
8: 기체흡입부 9: 귄취부
11: 섬유웹
21A, 21B, 50A, 50B, 500A, 500B, 500C: 교차방향 기체분사부
22, 23, 51, 53, 501, 502, 503: 분사관

Claims (8)

  1.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가열압출부와;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제1방향을 따라 기체와 함께 분사하는 필라멘트 분사부와;
    상기 필라멘트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향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교차방향 기체분사부와;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를 경유한 상기 필라멘트를 포집하여 섬유웹을 형성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반대방향에서 상기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사이에 두고 각각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방향 기체분사부는 상기 분사되는 필라멘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분사부로부터 상기 포집부까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필라멘트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기체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42137A 2010-05-04 2010-05-04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21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37A KR101219393B1 (ko) 2010-05-04 2010-05-04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37A KR101219393B1 (ko) 2010-05-04 2010-05-04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66A KR20110122566A (ko) 2011-11-10
KR101219393B1 true KR101219393B1 (ko) 2013-01-11

Family

ID=4539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37A KR101219393B1 (ko) 2010-05-04 2010-05-04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06B1 (ko) 2012-04-30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하고 벌키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240067519A (ko) 2022-11-09 2024-05-17 (주)아이엠비 멜트블로운 설비용 포밍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84B1 (ko) * 2011-12-30 2013-07-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수직기류를 이용한 단섬유 공급장치
KR101417396B1 (ko) * 2012-11-08 2014-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결집력과 탄성이 향상된 멜트블로운 섬유웹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424801B1 (ko) * 2013-02-08 2014-07-28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흡음재 제조 장치
KR101491635B1 (ko) * 2013-11-11 2015-02-09 주식회사 익성 이중구조를 갖는 멜트 블로운 섬유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672461B1 (ko) 2014-12-31 2016-11-03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흡음재 부직포용 용융 셀룰로오스계 멜트블로운 섬유 조성물, 이를 이용한 용융 셀룰로오스 초극세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2462B1 (ko) 2014-12-31 2016-11-03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접착성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흡음재용 극세사 복합섬유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KR101720162B1 (ko) 2014-12-31 2017-03-2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압축회복률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KR102484011B1 (ko) 2016-03-31 2022-12-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습식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흡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425099A1 (de) * 2017-07-03 2019-01-09 Axel Nickel Meltblown-vliesstoff mit verbesserter stapelbarkeit und lagerbarkeit
KR102205222B1 (ko) * 2020-07-13 2021-01-20 에너진(주) 멜트블로운 원단 제조용 노즐모듈
KR102353324B1 (ko) * 2020-12-24 2022-01-19 에너진(주) 여과성을 향상시킨 정전필터의 제조장치
KR20230072005A (ko) 2021-11-17 2023-05-24 김영희 열압착 라인을 갖는 차량용 흡음재 및 이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 구조
KR20230080856A (ko) 2021-11-30 2023-06-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습윤 저항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멜트블로운 여과재의 제조방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용 복합필터
KR20230080855A (ko) 2021-11-30 2023-06-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습윤 저항성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필터 여과층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여과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420B2 (ja) * 1990-10-11 2000-04-24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テネシー・リサーチ・コーポレーション メルトブローフィラメント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090035560A (ko) * 2006-07-31 2009-04-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결합된 멜트스펀 섬유들 사이에 분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웨브
KR100980535B1 (ko) 2002-05-20 2010-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결합가능하고 배향된 부직 섬유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95213B1 (ko) 2002-05-20 2010-11-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부직 무정형 섬유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420B2 (ja) * 1990-10-11 2000-04-24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テネシー・リサーチ・コーポレーション メルトブローフィラメント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100980535B1 (ko) 2002-05-20 2010-09-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결합가능하고 배향된 부직 섬유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95213B1 (ko) 2002-05-20 2010-11-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부직 무정형 섬유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35560A (ko) * 2006-07-31 2009-04-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결합된 멜트스펀 섬유들 사이에 분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웨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06B1 (ko) 2012-04-30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하고 벌키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240067519A (ko) 2022-11-09 2024-05-17 (주)아이엠비 멜트블로운 설비용 포밍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66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393B1 (ko)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10603868B2 (en) Melt-blown fiber web having improved elasticity and cohe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851681B2 (ja) メルトブローンウエブ
US10525665B2 (en) Method of preparing a meltblown fiber web
KR101391875B1 (ko) 압축복원성이 개선된 멜트블로운 섬유웹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20030056883A1 (en) Method for making spunbond nonwoven fabric from multiple component filaments
AU2016202798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pinning fibres and in particular for producing a fibrous-containing nonwoven
CN101824708A (zh) 全降解聚乳酸纤维熔喷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EP1743056A1 (en) Process for making fine spunbond filaments
US20150211158A1 (en) Process for forming a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US20150211160A1 (en)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KR20150079137A (ko)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필터
US10961644B2 (en)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KR20130116437A (ko) 재활용성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US10704173B2 (en) Process for forming a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US20150211159A1 (en) Apparatus for making a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KR20130002561A (ko)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KR101491635B1 (ko) 이중구조를 갖는 멜트 블로운 섬유웹 및 그 제조방법
CN101498079A (zh) 聚酯中空长丝纺丝型无纺布及其制造方法
US20170121874A1 (en) Apparatus for making a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CN114232216A (zh) 一种聚酯纺粘针刺非织造过滤材料的制造方法
WO2018136895A1 (en) A high loft, nonwoven web exhibiting excellent re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