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64B1 -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64B1
KR101219364B1 KR1020120108827A KR20120108827A KR101219364B1 KR 101219364 B1 KR101219364 B1 KR 101219364B1 KR 1020120108827 A KR1020120108827 A KR 1020120108827A KR 20120108827 A KR20120108827 A KR 20120108827A KR 101219364 B1 KR101219364 B1 KR 10121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monitoring
failure
log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박미야
이정학
양희용
김일섭
박해규
이승조
Original Assignee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filed Critical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Priority to KR102012010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1User authentication where a single sign-on provides access to a plurality of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25Traffic logging, e.g. anomaly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하는 연계 서버의 연계 서비스 중단 방지를 위하여, 상기 연계 서버의 연계 로그 DB를 참조하여 모니터링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b)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MONITORING METHOD AND SERVER ON CONNECTING SERVICE BETWEEN WORKING SERVER AND INSTITUTION SERV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이들로부터 자료를 수집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서버 간의 연계에 있어서, 연계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장애 요소를 모니터링 하고 장애 발생의 예측을 통한 사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중단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행정업무 혁신과 대국민서비스를 고급화하는 전자정부(電子政府)시스템의 개발이 정부의 행정업무 전반 영역에 걸쳐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정부의 구축을 통해, 정부 내에서는 행정문서의 전자 교환 및 전자결재, 영상회의시스템 도입, 정부 정보의 공동 활용 등이 촉진돼 조직 및 절차가 간소화되고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정부 구축 분야 중에서도, 특히 복지 업무 분야는 전자정부시스템의 성공적인 활용 분야의 하나로서, 기존의 지방자치단체별로 별도의 복지업무관리시스템을 운용하던 것을 통합하여, 자산조사 기준의 표준화, 지역 및 복지사업간 단절된 공적자료의 연계를 통해 복지업무 담당자의 자산조사 업무효율을 향상 시키는 복지통합관리시스템(예, 행복e음 시스템)이 최근 구축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75980호(등록일자 2010.08.09)는 상기와 같은 복지업무의 통합관리에 관한 복지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일예에 따른 복수의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가 연계된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예시된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의 경우, 각종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신청자의 자격 및 이력에 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등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복지 업무를 통합 처리하는 업무 서버(200)가 구비되며, 업무 서버(100)가 국세청, 국가보훈처,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복지 급여 신청인에 관한 다양한 소득 및 재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기관 서버(300)와 연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0241호(등록일자 2011.12.22)는 상기와 같은 복지업무의 통합관리를 위한 복수의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의 연계 방법 및 연계 서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일예에 따른 업무 서버와 연계 서버, 기관 서버의 연계 구성도로서,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연계 구성도를 예시한다.
예시된 연계 구성의 경우,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300)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200)와, 상기 기관 서버(300) 및 업무 서버(200)를 상호 연계하여 연계 서비스를 실행하는 연계 서버(800)가 구비된다.
상기 각 서버를 예로 들어 이해하면, 상기 업무 서버(200)는 각종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신청자의 자격 및 이력에 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등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복지 업무를 통합 처리하는 서버로 볼 수 있으며, 기관 서버(300)는 상기 업무 서버(100)와 연계하여 복지 급여 신청인에 관한 다양한 소득 및 재산 정보를 업무 서버로 제공하는 국세청, 국가보훈처,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기관의 서버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서버(200,300,800) 및 업무 서버(20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통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계 서비스는, 정보를 연계대상인 기관 서버로부터 받는 "이용 서비스"와, 정보를 연계대상인 기관 서버에 주는 "제공 서비스" 로 구성된다.
이용 서비스는 예를 들어, 기관 서버가 보유한 원천 정보를 해당 기관 서버에서 사용하는 자료 유형의 메시지로서 연계 솔루션을 통해 전송받는 단계, 미리 정의된 연계 규칙에 따라 오브젝트 메시지로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 메시지를 업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공 서비스는 예를 들어, 업무 서버가 보유한 업무 정보를 배치 방식으로 전송받아 서비스 DB에 저장하거나, 실시간 방식으로 오브젝트 메시지로서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DB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실시간 방식으로 전송받은 업무 정보를, 미리 정의된 연계 규칙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기관 서버에서 사용하는 자료 유형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연계 솔루션을 통해 해당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연계 구성의 경우, 다양한 장애 요인에 의해 서비스 중단의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적 처리 용량의 한계, 연계 소프트웨어의 인증이나 라이센스 조건에 따른 연계 환경의 한계, 네트워크나 연계된 기관 서버의 처리 부하 과다로 인한 각종 장애 요인들, 데이터의 오류 발생 위험성 등 다양한 서비스 중단 요인이 잠재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다양한 장애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단 없는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응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이들로부터 자료를 수집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서버 간의 연계에 있어서, 연계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장애 요소를 모니터링 하고 장애 발생의 예측을 통한 사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중단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하는 연계 서버의 연계 서비스 중단 방지를 위하여, 상기 연계 서버의 연계 로그 DB를 참조하여 모니터링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b)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하는 연계 서버의 연계 서비스 중단 방지를 위하여, 상기 연계 서버의 연계 로그 DB를 참조하여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모니터링 서버로서,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패턴 분석 모듈;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건수 분석 모듈; 상기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의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정의 장애 발생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하드웨어 분석 모듈-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는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포함함-; 상기 연계 서버의 서버 인증 유효 만료시점이 소정의 설정 기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연계환경 분석 모듈; 상기 연계 서버에서 배치 파일 자료를 읽기 또는 쓰기 처리 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데이터 오류 분석 모듈; 연계 서버의 연계 DB를 참조하여 배치 파일의 송수신 주기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배치 처리 데이터가 상기 매핑 데이터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주기 분석 모듈; 상기 각 분석 모듈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로그 DB 관리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로그 DB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보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보드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이들로부터 자료를 수집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서버 간의 연계에 있어서, 연계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장애 요소를 모니터링 하고 장애 발생의 예측을 통한 사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중단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적 처리 용량의 한계 등 일반적인 장애 요인을 포함하여, 연계 소프트웨어의 인증이나 라이센스 조건에 따른 연계 환경에 관한 장애 요인, 네트워크나 연계된 기관 서버의 처리 부하 과다로 인한 각종 장애 요인들, 데이터의 오류 발생 위험성 등 다양한 서비스 중단 요인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인 장애 요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일예에 따른 복수의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가 연계된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일예에 따른 업무 서버와 연계 서버, 기관 서버의 연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서버와 연계 서버, 기관 서버, 모니터링 서버의 연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의 전체 개념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패턴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패턴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패턴 예시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 건수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 건수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화면에서 오류 내용을 확인하는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환경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오류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 주기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로그 DB의 내역 확인 과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보드의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차트의 화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차트의 화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가 연계 서버를 통해 연계 구성된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이하 사용된 각 용어는 특별히 별도의 정의가 이뤄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다음과 같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업무"는 업무 서버에서 다양한 자료를 전산적으로 처리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생성 및 관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예로 들면, 신청인에 관한 소득·재산 또는 연령 등의 자료를 전산적으로 처리하여, 신청인에게 지급될 또는 지급된 복지 급여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 및 관리, 제공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업무 서버"는 상기 업무를 처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업무 정보"는 상기 업무 처리 과정 또는 결과로서 발생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청인에게 지급될 또는 지급된 복지 급여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이에 관한 통계 정보가 될 수 있다.
"기관"은 업무 서버가 자료를 이용하거나 제공하기 위하여, 연계를 하고자 하는 대상 기관(예: 건강보험공단)을 의미한다.
"기관 서버"는 업무 서버가 연계를 하고자 하는 대상 서버(예: 건강보험정보서버)를 의미한다.
"원천 정보"는 기관 서버가 해당 기관의 업무 처리 과정 또는 결과로서 보유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청인에 관한 소득·재산 또는 연령 등에 관한 정보, 이에 관한 통계 정보가 될 수 있다.
"메시지"는 각 서버 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받는 정보의 단위를 의미한다.
"오브젝트 메시지"는 미리 정의된 규칙에 의해 클래스(class) 형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의미한다.
"제공"은 정보를 연계대상인 기관 서버에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은 정보를 연계대상인 기관 서버로부터 받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간"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생된 화면 이벤트에 의해 연계가 이루어지며, 즉각적인 결과를 수신받는 연계 형태로 주로 화면조회 등에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배치"는 서버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연계형태로서, 주로 대용량 데이터의 자료교환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업무 DB"는 업무 서버에 구축된 DB로서, 업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를 의미한다.
"서비스 DB"는 연계 서버에 구축된 DB로서, 업무 DB에 구축된 데이터 중에서 제공 서비스에 빈번하게 이용되는 데이터 또는 그 요약 데이터를 일종의 프록시(proxy) 개념으로 구축한 DB를 의미한다. 일종의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로 이해될 수 있다.
"연계 로그 DB"는 연계 서버에 구축된 DB로서, 이용 서비스 또는 제공 서비스의 요청/응답 및 처리 현황에 대한 이력 데이터와, 오류 발생에 관한 이력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DB를 의미한다.
"연계 DB"는 연계 서버에 구축된 DB로서, 미리 정의된 연계 규칙에 따라, 각 연계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연계ID 별로, 해당 연계 서비스의 연계 형태 정보, 서비스 유형 정보, 패턴 정보, 연계 솔루션 정보 등을 메타 정보로 정의한 DB를 의미한다.
"모니터링 로그 DB"는 모니터링 서버에 구축된 DB로서, 모니터링 서버의 각종 분석 모듈에 의해 장애 또는 예측장애로 판단되는 다양한 장애 관련 이력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를 의미한다.
이외에 별도로 설명되지 아니한 용어들 또는 연계 서비스의 세부적인 구성 등은 본 발명자 등이 선출원 및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0241호(등록일자 2011.12.22)의 내용을 통해 참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서버와 연계 서버, 기관 서버, 모니터링 서버의 연계 구성도이다.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300)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200)와, 상기 기관 서버(300) 및 업무 서버(200)를 상호 연계하여 연계 서비스를 실행하는 연계 서버(800)가 구비된다.
상기 각 서버를 도 1의 복지통합관리시스템을 예로 들어 이해하면, 상기 업무 서버(200)는 각종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신청자의 자격 및 이력에 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등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복지 업무를 통합 처리하는 서버로 볼 수 있으며, 기관 서버(300)는 상기 업무 서버(100)와 연계하여 복지 급여 신청인에 관한 다양한 소득 및 재산 정보를 업무 서버로 제공하는 국세청, 국가보훈처,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기관의 서버로 볼 수 있다.
상기 각 서버는 중앙처리유닛, 시스템 DB, 시스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의 컴퓨팅 요소를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에 각 서버 별 요구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의 통상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기능 관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서버(200,300,800) 및 업무 서버(20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통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통상적 구성에 대한 설명도 편의상 생략한다.
연계 서버(800)의 세부적인 구성은 본 발명자 등이 선출원 및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0241호(등록일자 2011.12.22)의 내용을 통해 참조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계 서버(800)를 통해 실행되는 연계 서비스 중단 방지를 위하여, 상기 연계 서버(800)의 연계 로그 DB(862)를 참조하여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모니터링 서버(900)가 구비된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상기 네트워크(400)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862),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패턴 분석 모듈(910)을 구비한다.
장애패턴 요소의 예로서, 네트워크 접속 장애(No Connection, Long Data Error), 연계 로그 DB의 처리 오류 및 지연, 연계 소프트웨어의 접속 장애(Service Down 및 Erro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장애패턴 분석 모듈(910)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실시간 방화벽 체크(AMPN01) 결과 및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net.* Exception 로그 체크(AMPN02) 결과,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패킷속도 체크(AMPN03)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java.net은 네트워크용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는 클래스들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java.net.* Exception 로그는 java.net을 사용하여 개발된 네트워크용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한 에러 상황(Exception)을 기록한 로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 로그 DB 요소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sql.* Exception 로그 체크(AMPD01) 결과를 포함한다.
java.sql.* Exception 로그는 java를 사용하여 개발된 DB용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한 에러 상황(Exception)을 기록한 로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계 소프트웨어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ESB(Enterprise Service Bus) 헬스체크(HealthCheck, AMPS01) 결과를 포함한다. 여기서, 헬스체크(HealthCheck)는, 컴퓨터의 자기 진단 기능으로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미리 답이 정해진 일정한 룰을 실행함으로써 장애의 유무를 결정하고, 필요할 때는 장애 단위를 분리시키고 운영을 계속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계 서버(800)는, 연계 서비스에 관한 메시지가 상기 기관 서버(300)와 상호 전송되도록, 연계 DB(864)에 미리 정의된 연계 규칙에 따라, 해당하는 연계 솔루션을 분배하는 솔루션 분배부(802)를 구비한다. 연계 솔루션은 연계되는 다양한 기관 서버(300)의 특성을 고려하여 ESB(Enterprise Service Bus) 또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기반의 공지의 연계 솔루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상용 패키지 형태의 솔루션이 적용될 수 있다.
ESB(Enterprise Service Bus)는 일반적으로 서비스들을 컴포넌트화된 논리적 집합으로 묶는 핵심 중간 도구이며, 비즈니스 프로세스 환경에 맞게 설계 및 전개할 수 있는 아키텍처 패턴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ESB는 전사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에 공통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데이터 등을 연결하는 지능형, 분산형, 트랜잭션형, 메시징 레이어로 작용한다. 또한 지능형 전송 기능과 라우팅 기능으로 동기 및 비동기 메시징 백본을 형성하여 메시지를 신뢰성있게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ESB는 실시간 및 배치 방식의 연계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애패턴 분석 모듈(910)은, 모니터링 로그 DB(975)에 기록된 장애패턴 요소 발생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900)는,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862)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건수 분석 모듈(920)을 구비한다.
장애 건수 분석은, 연계되는 기관 서버의 처리 부하로 인한 일시적 서비스 장애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며, 장애 발생 가능 여부를 경험적 수치를 설정 적용하여 판단한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또한, 상기 연계 서버(800)의 하드웨어의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정의 장애 발생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하드웨어 분석 모듈(93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는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분석은, 연계 서버의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의 운영 적정치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설정된 기준치 또는 통계치(스토리지의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또한, 상기 연계 서버(800)의 서버 인증 유효 만료시점이 소정의 설정 기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연계환경 분석 모듈(940)을 구비한다.
연계환경 분석은, 연계 서버에서 연계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하는 각종 연계 소프트웨어의 서버 인증서 및 라이센스의 유효 체크를 위한 것이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또한, 상기 연계 서버(800)에서 배치 파일 자료를 읽기 또는 쓰기 처리 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데이터 오류 분석 모듈(950)을 구비한다. 데이터 오류의 예로서, 데이터 정합성 위배를 들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또한, 연계 서버(800)의 연계 DB(864)를 참조하여 배치 파일의 송수신 주기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862)에 기록된 배치 처리 데이터가 상기 매핑 데이터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주기 분석 모듈(960)을 구비한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또한, 상기 각 분석 모듈(910~960)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975)에 기록하는 로그 DB 관리 모듈(970)을 구비한다.
모니터링 서버(900)는 또한, 상기 모니터링 로그 DB(975)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보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보드 생성 모듈(98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보드는 도 14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보드의 대략 중앙부에는 모니터링 차트 존(Monitoring Chart Zone)이 위치하는데, 모니터링 차트 존은 전체 분석 결과에 따른 장애 발생 현황 또는 예측장애의 발생 위험도, 발생 예측 시점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도 15의 예시 도면 참조).
모니터링 차트 존의 주변을 따라, 하드웨어 존(Hardware Zone), 장애패턴 존(Trouble Pattern Zone), 연계환경 존(Environment Zone), 장애 건수 존(Trouble Counting Zone), 장애 주기 존(Trouble Period Zone), 데이터 오류 존(Data Error Zone), 로그 존(Log Zone) 등이 배치되어, 상기 각 분석모듈의 분석 및 장애 판단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각 존의 분석 및 판단 과정과 화면 예시는 도 5 내지 도 15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각 분석 모듈(910~960)이 분석 기능과 장애 판단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각 분석 모듈은 장애 판단을 위한 분석만을 수행하고 별도의 장애 판단 모듈을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드 생성 모듈(980)에 판단 모듈의 기능을 함께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연계 서버(800)와 별도로 모니터링 서버(900)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분석 모듈을 연계 서버(800) 내에 직접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분석 모듈(910~960)의 분석 기능을 보조하거나 그 일부를 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연동되는 서버 또는 시스템에 분산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의 전체 개념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 서버는 연계 서비스 과정에서의 데이터 입력/출력(Input/Output)을 모니터링하거나, 연계 서버 또는 연계 소프트웨어의 상태(Status)를 모니터링하고, 연계 상황을 판단하여 경고나 장애를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통해, 장애 건별로 매뉴얼을 통한 수동(Manual)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거나 경장애는 자동 조치될 수 있도록 하고, 경고 내용을 체크 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이나 사전 조치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무중단 연계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계 로그 DB 또는 하드웨어의 상태, 연계 소프트웨어의 상태 등을 참조하여 하기의 각 단계가 실행된다.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패턴 분석 단계(S100)가 실행된다.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건수 분석 단계(S200)가 실행된다.
상기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의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정의 장애 발생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하드웨어 분석 단계(S300)가 실행된다.
상기 연계 서버의 서버 인증 유효 만료시점이 소정의 설정 기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연계환경 분석 단계(S400)가 실행된다.
상기 연계 서버에서 배치 파일 자료를 읽기 또는 쓰기 처리 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데이터 오류 분석 단계(S500)가 실행된다.
연계 서버의 연계 DB를 참조하여 배치 파일의 송수신 주기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배치 처리 데이터가 상기 매핑 데이터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주기 분석 단계(S600)가 실행된다.
상기 각 분석 단계(S100~S600)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로그 DB 관리 단계(S900)가 실행된다.
상기 모니터링 로그 DB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보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보드 생성 단계(S1000)가 실행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패턴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패턴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패턴 예시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 건수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 건수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화면에서 오류 내용을 확인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100).
또한,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200).
상기 S100 및 S20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한다(S900).
상기 S900 단계에서는,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된 상기 S100 단계의 장애패턴 요소 발생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실시간 방화벽 체크(AMPN01) 결과 및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net.* Exception 로그 체크(AMPN02) 결과,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패킷속도 체크(AMPN03)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계 로그 DB 요소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sql.* Exception 로그 체크(AMPD01) 결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계 소프트웨어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ESB(Enterprise Service Bus) 헬스체크(HealthCheck, AMPS01) 결과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장애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패턴 요소의 체크 과정을 각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 판단 시나리오에 따라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각 장애패턴 요소의 체크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 판단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애패턴에 따른 판단 과정은 도 7을 통해 예시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된 로그 기록에 근거하여, 판단 과정(DMP001)이 이뤄지고, 이후 각 장애패턴 요소에 대한 발생 여부(Y,N)를 판단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최종적인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가 판단된다.
이러한 판단은 예를 들어, 1시간 단위로 이뤄질 수 있으며, 현재 시간 기준으로 1시간 이내의 자료를 분석하여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S900 단계에서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된 상기 S20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장애패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에 따라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패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과부하로 인한 일시적 장애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S200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연계 시 발생하는 장애를 모니터링하고, 장애발생률(하기 수학식1)에 따라 모니터링 보드 상에 적절하게 컬러를 구분 표시하여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1
즉, 연계 로그 DB에서 현재 시간 기준으로 1시간 이전까지 데이터 입력(Input) 총 건수와 데이터 오류(Error) 총 건수를 분류하여 그룹 자료를 생성하고, 그룹 화면에서 연계 ID를 기준으로 데이터 자료를 생성하며, 데이터 화면에서 트랜젝션 ID를 기준으로 결과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 화면에서 오류 내용을 확인 가능하다.
이때, 결과 화면에서 오류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전문테스트' 버튼을 클릭 시, 도 8b와 같이 팝업창이 뜨고 왼쪽 화면에는 요청전문이 표시되고, 오른쪽 화면에는 빈 전문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모니터링 서버에서 데이터를 해당 연계 서버로 전송하고, 연계 서버에서는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고, 연계 ESB를 통해 수신 기관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결과를 받아 오른쪽 화면에 전문을 표시할 수 있다. 일시적 장애일 때는 정상적으로 표시되나, 장애일 때는 오류 내용이 화면에 표시된다. 'Reading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한 처리 절차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 예시도이다.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의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정의 장애 발생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00).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는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S30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한다.
한편, 상기 연계 서버는 내부 연계(Inner)와 외부 필수연계, 외부 준필수연계(Outer)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연계는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에서 관리되는 연계 서버이고, 5분 단위로 상태(Status)를 체크하고, 외부 연계는 외부 기관에서 관리되는 연계 서버이고, 외부 필수연계는 1시간 단위, 외부 준필수연계는 12시간 단위로 상태(Status)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연계 서버 및 외부 연계 서버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일정 시간 단위로 작동하여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 정보를 수집하여 파일을 생성한다. 연계 서버 내 ESB 또는 기타 EAI로 파일을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서버의 장애 건수 분석 모듈이 파일을 독취하여 상태(Status) 정보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저장한다. 일정시간 단위로 모니터링 DB를 풀링(pooling)하여 하드웨어 존(Hardware Zone)에 상태(Status)를 표시한다.
모니터링 보드의 화면에서, 각 상태(Status)별 사용률이 75% 이상이면 빨간색 박스를 표시하고, 90% 이상이면 모니터링 차트 존(Monitoring Chart Zone)에 예측장애로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환경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이다.
연계 서버의 서버 인증 유효 만료시점이 소정의 설정 기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400).
예를 들어, ESB 대 ESB, 기관과 연계 시 자료 암복호화를 위한 서버인증서의 유효기간을 관리한다. 이때,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서버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일 단위로 구동되어, 인증서 만료일자 및 남은 기간을 관리하게 된다.
상기 S40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한다(S900).
모니터링 보드의 화면에서 남은 기간이 3일 이내이면 모니터링 차트 존(Monitoring Chart Zone)에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오류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이다.
연계 서버에서 배치 파일 자료를 읽기 또는 쓰기 처리 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500). 상기 오류는 예를 들어, 배치(파일) 자료를 독취(Reading) 이나 기록(Writing) 시 발생하는 오류이다.
상기 S50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한다(S900).
모니터링 보드의 화면에서 해당 셀(Row)을 클릭하면 오류 상세 로그가 표시된다. 오류 상세 로그를 분석하여 처리하면 데이터 오류 존(Data Error Zone)에서 삭제되고, 업무 담당자가 조치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 주기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과정의 흐름도이다.
연계 서버의 연계 DB를 참조하여 배치 파일의 송수신 주기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배치 처리 데이터가 상기 매핑 데이터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600).
상기 S600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한다.
도 12를 예로 들면, 배치(파일)자료를 관리하는 화면이고, 해당 일자에 주기적으로 자료가 생성되고 송수신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1시간 단위로 응용 프로그램이 작동되고, 배치 처리를 위한 일별/주별/월별/년별 매핑 데이터(Mapping Data)를 생성한다.
데이터가 연계 로그 DB에 존재하지 않으면, 자료의 속성(송신 또는 수신)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미처리 일자가 1일 이상이면 모니터링 차트 존(Monitoring Chart Zone)에 표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로그 DB의 내역 확인 과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보드의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차트의 화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차트의 화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모니터링 로그 DB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보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태로 구현한다(S1000).
상기 모니터링 보드는 모니터링 차트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차트는 시간의 흐름을 표시하는 가로축과, 장애 또는 예측장애까지의 잔여 시간 또는 장애 발생 기준까지의 임계치를 표시하는 세로축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로그 DB에서 장애 및 예측장애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모니터링 차트 존의 표시 과정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표(x, y)와 좌표(x+dx, y-dy)는 모니터링 차트 존(Monitoring Chart Zone)의 박스 기준 좌표이다. dx는 모니터링 차트 존에서 일 시간을 24 시간(hour)으로 등분할 길이이고, dy는 예측 시간을 60 시간(hour)으로 등분할 길이이다. 'sysdate'는 시스템의 현재 시간을 나타낸다.
표현 기법상으로는, 좌표 x는 차트의 우측으로 갈수록 좌표값이 증가 되며, 좌표 y는 차트의 상측으로 갈수록 좌표값이 감소 되도록 구성된다.
y'는 임계치(하드웨어 및 연계 소프트웨어 등의 임계치)의 시작 y좌표이다. 모니터링 차트 존의 하단에 해당하는 좌표 y를 임계치의 시작 위치로 하게 되면, 특정 분석 대상 요소의 임계치가 80% 또는 90%로 설정되는 경우에 그 위치가 너무 상측에 위치하고 %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시각적 확인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임계치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가상의 시작 좌표 y'을 하단으로 더욱 확장된 위치에 설정하고 임계치를 위한 수직축의 길이가 가상적으로 확장된 것처럼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 차트 존에서 각종 분석 대상 요소의 좌표 표시는 시간적 관점(예측장애 발생 시까지의 잔여 시간, 또는 장애 발생 시간)으로 표현되거나, 임계치 관점(임계치 도달 시 까지의 잔여 %)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각적 표현은 각 분석 대상 요소에 대하여 연산된 시간 또는 임계치 관점의 연산 결과에 따라 특정 x,y 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차트 상에 도시하는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모니터링 차트 존에서 각 분석 대상 요소의 좌표 표시는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2 내지 수학식6에 따라 도시한다.
하기 설명에서 f(y)는 특정 분석 대상 요소가 시간점 관점(예측장애 발생까지의 잔여 시간)에서 예측장애가 판단된 경우의 예측시간이며, f'(y)는 특정 분석 대상 요소가 임계치 관점(예측장애 발생까지의 잔여 %)에서 예측장애가 판단된 경우의 임계 기준치이다.
[수학식2]
특정 x 좌표점 =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2
[수학식3]
특정 y 좌표점 =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3
[수학식4]
특정 임계치 y 좌표점 =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4
[수학식5]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5
= 예측시간
[수학식6]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6
= 기준치(%)
한편, 하드웨어 분석 결과의 경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CPU, 메모리, 프로세스 임계치의 90% 도달 시 화면에 표시한다. 시스템 시간(sysdate), 하드웨어 임계치, 분/시간/일 단위에 근거하여 표시한다.
스토리지는 장애 발생 임계치 90% 도달치 통계치를 적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7에 따라 구해진 SER(T)를 상기 수학식4에 입력하고 y 좌표를 산출하여 도시한다.
[수학식7]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7

한편, 연계 환경 분석 결과의 경우는 예를 들어, 서버 인증서 유효 만료일자가 3일 이내 시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8에 따라 구해진 EER(T)를 상기 수학식3에 입력하고 y 좌표를 산출하여 도시한다.
[수학식8]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8

한편, 장애패턴 분석 결과의 경우는 예를 들어, 하기 수학식9로 계산된 값이 80% 이상일 때 표시된다.
[수학식9]
Figure 112012079489116-pat00009

한편, 장애 건수 분석 결과의 경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연계 로그 DB에서 체크 시작 시간(Check Start Time)과 체크 종료 시간(Check End Time) 범위 내에 장애 건수가 80% 이상일 때 화면 표시되는데, 장애패턴(유형)에 해당하는 결과가 없을 때는 서비스 과부하로 인한 일시적 장애로 표시되고, 장애패턴(유형)에 해당하는 결과가 있을 때는 장애패턴(유형)의 예측결과를 우선하여 표시되고 장애 건수(통계)에 의한 예측 결과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판단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10에 따라 구해진 ER(%)를 상기 수학식4에 입력하고 y 좌표를 산출하여 도시한다.
[수학식10]
Figure 112012079489116-pat00010

한편, 데이터 오류는 모니터링 차트 존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장애 주기 분석의 경우에는, 모니터링 로그 DB에서 1일 이상으로 판단되면 장애로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각 수학식에서 각 좌변에 표기된 '(T)'는 해당 값이 시간 도메인의 값으로 구해진다는 의미이고, '(%)'는 백분율(임계치) 도메인의 값으로 구해진다는 의미의 식별 표기이며, 별도의 변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업무 서버
300: 기관 서버 400: 네트워크
800: 연계 서버 900: 모니터링 서버
910: 장애패턴 분석 모듈 920: 장애 건수 분석 모듈
930: 하드웨어 분석 모듈 940: 연계환경 분석 모듈
950: 데이터 오류 분석 모듈 960: 장애 주기 분석 모듈
970: 로그 DB 관리 모듈 975: 모니터링 로그 DB
980: 보드 생성 모듈

Claims (15)

  1.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하는 연계 서버의 연계 서비스 중단 방지를 위하여, 상기 연계 서버의 연계 로그 DB를 참조하여 모니터링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b)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실시간 방화벽 체크(AMPN01) 결과 및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net.* Exception 로그 체크(AMPN02) 결과,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패킷속도 체크(AMPN03)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 요소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sql.* Exception 로그 체크(AMPD01)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 소프트웨어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ESB(Enterprise Service Bus) 헬스체크(HealthCheck, AMPS01)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된 상기 (a) 단계의 장애패턴 요소 발생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패턴 요소의 체크 과정을 각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 판단 시나리오에 따라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각 장애패턴 요소의 체크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 판단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된 상기 (b)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장애패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에 따라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패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과부하로 인한 일시적 장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d) 상기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의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정의 장애 발생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는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포함함-; 및
    (d1) 상기 (d)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e) 상기 연계 서버의 서버 인증 유효 만료시점이 소정의 설정 기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e1) 상기 (e)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f) 상기 연계 서버에서 배치 파일 자료를 읽기 또는 쓰기 처리 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f1) 상기 (f)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g) 연계 서버의 연계 DB를 참조하여 배치 파일의 송수신 주기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배치 처리 데이터가 상기 매핑 데이터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g1) 상기 (g)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로그 DB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보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보드는 모니터링 차트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차트는 시간의 흐름을 표시하는 가로축과, 장애 또는 예측장애까지의 잔여 시간 또는 장애 발생 기준까지의 임계치를 표시하는 세로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12.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업무를 위한 원천 정보를 보유하는 복수의 기관 서버와, 상기 원천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며 관련 업무 정보를 보유하는 업무 서버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하는 연계 서버의 연계 서비스 중단 방지를 위하여, 상기 연계 서버의 연계 로그 DB를 참조하여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모니터링 서버로서,
    상기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연계 로그 DB, 연계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 요소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패턴 분석 모듈;
    소정의 체크 시간 동안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총 건수에 대비한 오류 데이터의 총 건수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건수 분석 모듈;
    상기 연계 서버의 하드웨어의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정의 장애 발생 임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하드웨어 분석 모듈-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는 프로세스, 스토리지, 메모리, C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포함함-;
    상기 연계 서버의 서버 인증 유효 만료시점이 소정의 설정 기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연계환경 분석 모듈;
    상기 연계 서버에서 배치 파일 자료를 읽기 또는 쓰기 처리 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데이터 오류 분석 모듈;
    연계 서버의 연계 DB를 참조하여 배치 파일의 송수신 주기에 관한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에 기록된 배치 처리 데이터가 상기 매핑 데이터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애 주기 분석 모듈;
    상기 각 분석 모듈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하는 로그 DB 관리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로그 DB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모니터링 보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보드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성된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패턴 분석 모듈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실시간 방화벽 체크(AMPN01) 결과 및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net.* Exception 로그 체크(AMPN02) 결과, 상기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패킷속도 체크(AMPN03)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계 로그 DB 요소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연계 로그 DB 데이터의 java.sql.* Exception 로그 체크(AMPD01)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 소프트웨어에 대한 장애패턴 요소는, ESB(Enterprise Service Bus) 헬스체크(HealthCheck, AMPS01)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패턴 분석 모듈은,
    모니터링 로그 DB에 기록된 장애패턴 요소 발생 결과를 미리 설정된 장애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장애 또는 예측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버.
KR1020120108827A 2012-09-28 2012-09-28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KR10121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27A KR101219364B1 (ko) 2012-09-28 2012-09-28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27A KR101219364B1 (ko) 2012-09-28 2012-09-28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364B1 true KR101219364B1 (ko) 2013-01-21

Family

ID=4784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827A KR101219364B1 (ko) 2012-09-28 2012-09-28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94B1 (ko) 2019-03-08 2019-08-19 사회보장정보원 공적기관 소득재산 연계자료 검증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102093764B1 (ko) 2019-06-24 2020-03-26 배진홍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KR102190795B1 (ko) 2020-06-01 2020-12-14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복지정보 통합연계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연계프레임워크, 이를 이용한 사회복지정보 통합연계 관리 시스템
KR102190792B1 (ko) 2020-06-01 2020-12-14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복지 자격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3535506A (zh) * 2020-04-21 2021-10-22 上海际链网络科技有限公司 服务系统的监控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17608912A (zh) * 2024-01-24 2024-02-27 之江实验室 基于nlp大模型的全自动日志分析和故障处理系统和方法
KR102669665B1 (ko) * 2023-09-13 2024-05-27 인스피언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인터페이스 거버넌스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867A (ko) * 2006-01-10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분산환경의 망 감시 장치 및 시스템
KR20080044508A (ko) * 2006-11-16 2008-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계적인 분석을 이용한 성능장애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867A (ko) * 2006-01-10 2007-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분산환경의 망 감시 장치 및 시스템
KR20080044508A (ko) * 2006-11-16 2008-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계적인 분석을 이용한 성능장애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94B1 (ko) 2019-03-08 2019-08-19 사회보장정보원 공적기관 소득재산 연계자료 검증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102093764B1 (ko) 2019-06-24 2020-03-26 배진홍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CN113535506A (zh) * 2020-04-21 2021-10-22 上海际链网络科技有限公司 服务系统的监控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102190795B1 (ko) 2020-06-01 2020-12-14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복지정보 통합연계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연계프레임워크, 이를 이용한 사회복지정보 통합연계 관리 시스템
KR102190792B1 (ko) 2020-06-01 2020-12-14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복지 자격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69665B1 (ko) * 2023-09-13 2024-05-27 인스피언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인터페이스 거버넌스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CN117608912A (zh) * 2024-01-24 2024-02-27 之江实验室 基于nlp大模型的全自动日志分析和故障处理系统和方法
CN117608912B (zh) * 2024-01-24 2024-06-07 之江实验室 基于nlp大模型的全自动日志分析和故障处理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7958B2 (en) Enabling real-time operational environment conformity within an enterprise architecture model dashboard
KR101219364B1 (ko)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US9105000B1 (en) Aggrega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data sources
CN111538634B (zh) 计算系统、方法及存储介质
US8276161B2 (en) Business systems management solution for end-to-end event management using business system operational constraints
US8671007B2 (en) Work packet enabled active project management schedule
US8694969B2 (en) Analyzing factory processes in a software factory
US20110004538A1 (en) Multi-level transaction flow monitoring
US20120143634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cessing Insurance Claims
US8065263B1 (en) Information technology configuration management
US20200242615A1 (en) First party fraud detection
US8930325B2 (en) Generating and utilizing a data fingerprint to enable analysis of previously available data
CN105556552A (zh) 欺诈探测和分析
Tsai et al. Data provenance in SOA: security, reliability, and integrity
US20100318859A1 (en) Production control for service level agreements
US11693958B1 (en) Processing and storing event data in a knowledge graph format for anomaly detection
US20180293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Enterprise Operations Management Trigger Event Handling
US85892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visually predicting at-risk integrated processes based on age and activity
US20210082061A1 (en) Data governance system, model and process for multi-source financial reference data using automated business logic
JP2007265296A (ja) ログ提供システム、ログ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okash Risk management for service-oriented systems
Buzdugan et al. Architecture Considerations for a Decision Support System in Cyber Risk Management
WO20131303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cro profiles
US202401935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stem-wide granular access risk management
Kapel et al. Incident Management in a Software-Defined Business: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