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764B1 -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764B1
KR102093764B1 KR1020190074837A KR20190074837A KR102093764B1 KR 102093764 B1 KR102093764 B1 KR 102093764B1 KR 1020190074837 A KR1020190074837 A KR 1020190074837A KR 20190074837 A KR20190074837 A KR 20190074837A KR 102093764 B1 KR102093764 B1 KR 10209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expert
storage
information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홍
Original Assignee
배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홍 filed Critical 배진홍
Priority to KR102019007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06F11/3476Data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와 스토리지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하며 다수의 전문가들에 의해 문제점을 진단받을 수 있는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및 스토리지와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서버에서 관리되는 서버 및 스토리지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에서 발생하는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개설된 다자간회의채널을 통해 연결된 다자간회의방에서 다수의 전문가들로부터 빠르고 간편하게 문제점을 진단받아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MANAGMENT SERVER FOR MANAGING THE SERVER AND STORAGE}
본 발명은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와 스토리지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하며 서버 및 스토리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다수의 전문가들에 의해 문제점을 진단받을 수 있는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버 및 스토리지는 기업, 은행, 관공서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업, 은행 및 관공서 등에서 운영되는 서버 및 스토리지는 사용자의 컴퓨터 제어, 보안을 제공하며, 고객에게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백업 또는 저장한다.
서버는 기업, 은행 및 관공서 내의 보안, 데이터 관리, 서비스, 네트워크, 하드웨어 등을 관리한다. 또한 서버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는 스토리지에 저장된다. 스토리지는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드라이브들일 수 있으며, 이 드라이브들은 기능에 따라 다량의 다양한 분류의 데이터를 백업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서버는 출입통제, 전원, 서버 및 스토리지와 연결된 네트워크, 네크워그 보안, VPN(Virtual Private Network) 등을 관리한다. 또한, 서버는 스토리지에 저장 또는 백업되는 데이터의 정책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기밀성 및 실시간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책에 있어서 완벽한 데이터의 관리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책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관리가 필요하다.
정책에 따라 관리되는 서버 및 스토리지는 보안이 중요하며 따라서 서버 주변에 출입을 제한하고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제한하여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서버에 가해지는 공격은 대부분 외부의 공격에 의해 발생하며 이 경우 서버 다운 또는 자료 유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에도 이례적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미숙 또는 내부자의 공격으로 인하여 서버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에 발생하는 증상과 각 증상에 대응하는 원인들을 추적하여 서버 및 스토리지에 발생한 문제의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서버 및 스토리지에 발생하는 증상의 수집에서부터 수집된 증상을 다시 각 오류의 원인들과 대조하고 다시 대조된 원인들에 대하여 추적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기업, 은행 및 관공서 등의 서비스가 일시 중지되거나, 자료 유출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 또한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오류가 발생한 기업, 은행, 관공서 등의 신인도 추락도 예상된다. 이와 같은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시키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그 원인을 쉽고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9364호(발명의 명칭 :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와 스토리지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하며 서버와 스토리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다수의 전문가들을 연결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며 대응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로그인한 기록부터 이후에 키를 입력한 로그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발생한 이벤트로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 상기 서버에서 발생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프로세스 저장부; 상기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에 저장된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를 수신하고 프로세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세스를 수신하여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대한 지식을 갖춘 다수의 전문가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의 등급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칭하고, 상기 매칭은 전문가 단말기로 접속 요청을 전송하여 운영자 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를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된 전문가들의 단말기들과 운영자 단말기로 화상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실행시키는 다자간회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분석부가 프로세스 모델에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를 적용하여 병목 현상 분석, 프로세스 진단과 예측, 프로세스 향상(Enhancement) 및 프로세스의 열화(Deterioration)를 분석한 결과값일 수 있다.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 상기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백업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 및 상기 서버를 외부와 연결시키고 상기 스토리지와 서버를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각각의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에 대하여 전문가의 등급, 각 전문가의 개인정보 및 전문가의 접속 가능 시간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전문가의 개인정보에는 전문가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문가의 접속 가능 시간 필드는,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다수의 전문가들 중 접속 가능한 시간 대에 속한 전문가의 단말기들로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 결과를 전송하고 답신을 요청하여 답신이 수신된 전문가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한 명의 전문가 단말기를 상기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자간회의부는,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병목 현상 분석결과, 프로세스 진단 결과, 프로세스 향상 정보 및 프로세스의 열화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연결된 관리서버가 운영자 단말기를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다자간회의부에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자간회의부에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검색된 전문가의 단말기로 상기 다자간회의부로의 접속을 요청하고 요청시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 서버 및 스토리지에서 발생하는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 결과를 운영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연결된 전문가 단말기 및 운영자 단말기로 화상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실행시키는 단계; 및 운영자 단말기는 전문가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해결책이 입력되면 이를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적용시켜 장애를 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자간회의부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전문가 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다자간회의부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문가 단말기는 상기 다자간회의부 접속 요청에 대하여 해당 전문가로부터 응답이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 및 상기 제3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입력된 경우에는 전문가의 단말기를 다자간회의부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관리서버는 다자간회의부 접속 요청에 대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들로부터의 응답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검색된 전문가의 단말기로부터 다자간회의부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경우 해당 전문가 단말기를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검색된 전문가 단말기들로부터 다자간회의부 접속 요청을 소정 횟수 송신하여 응답이 없거나, 거절된 것으로 판단되면 접속 요청을 종료시키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의 개수를 충족시켜 다자간회의 채널에 연결시켰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 및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각 전문가그룹 별로 설정된 숫자의 전문가 단말기들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등급에 따른 다음 순위의 전문가 단말기를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는 서버로부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서버에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키입력로그와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분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및 관리 방법은, 서버와 스토리지의 유지, 보수 및 관리에 있어서 전문가와 운영자 간에 다자간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자간회의 채널을 개설하고 개설된 다자간회의채널을 통해 연결된 다자간회의방에서 다수의 전문가들로부터 빠르고 간편하게 문제점을 진단받아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회의부와 전문가 단말기를 연결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문가 단말기에서 콜을 수신하고 다자간회의부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는 크게 관리의 대상이 되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와 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300)로 구성된다. 관리서버(300)에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운영자 단말기(302)와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이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서버(100)와 스토리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목적에 따라 적합한 기능이 부여된다. 예컨대, 서버(100)는 3계층 구조 이상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2계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요구하는 성능 및 구조에 맞게 어플리게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FTP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N계층 구조(N-tier architecture)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단순하게는 하나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연결된 2계층 구조(2-tier architecture)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은행, 기업 및 관공서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적합한 형태의 계층 구조를 갖는 서버를 갖추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계층 구조의 서버(100)로 구성되며,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스토리지(200)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관리서버(300)가 N계층 구조의 다수의 서버(100)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관리서버(300)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에 연결된다. 관리서버(300)는 서버(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대화방에 초대된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장애를 분석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서버(100) 및/또는 스토리지(200)에서 발생한 장애를 처리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기(302)와 다수의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이 네트워크(10)를 통해 관리서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300)는, 저장부(310),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320), 프로세스 저장부(330), 분석부(340),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 매칭부(360) 및 다자간회의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100)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따라서, 저장부(310)는 서버(100)로부터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이다. 저장부(310)는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사양 정보는 서버(1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종류, 메모리 용량, 인터페이스(interface) 등을 포함하며, 스토리지(200)의 데이터 저장방식,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정보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에서 운영되는 운영체제의 종류, 버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 및 스토지리(200)에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RDB) 또는 비관계형데이터베이스(NoSQL)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정보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총 용량 대비 남은 용량, CPU의 점유율, 메모리의 사용 상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디렉토리 정보는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있는 디렉토리의 구조 각 디렉토리의 명칭 및 만든 날짜, 용량 형식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백업 정보는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저장된 데이터가 백업된 날짜 및 시간, 백업의 주기, 백업 프로그램, 백업된 파일의 위치 및 백업파일의 파일 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성능 정보는 서버(100)의 유형[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파일 및 FTP서버(File and File Transfer Protocol Server), 터미널 서버(Terminal Server), 메일서버(Mail Server), DNS서버(Domain Name System Server)], 서버(100)의 계층구조, 속도, 서버(100)의 응답시간, 서버(100)의 단위시간 당 처리량, 각각의 스토리지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파일 정보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에 있는 파일의 확장자, 해당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토리의 명칭, 저장 형식, 생성일, 용량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쿼터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분할 및 할당의 정책에 대한 정보이며, 클라이언트(client)에게 할당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서버(100)로부터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 정보, 즉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한다.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320)는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가 로그인한 기록부터 이후에 키를 입력한 로그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320)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에서 입력된 로그온, 로그아웃 및 기타 키입력로그 기록들을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키입력로그 저장부(320)는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와 키가 입력된 시간을 포함하여 저장한다.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320)는 이벤트로그 기록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320)는 이벤트로그가 발생한 시간 기록을 저장한다.
프로세스 저장부(330)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버(100)의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저장부(330)는 프로세스가 발생한 시간 기록을 저장한다.
분석부(340)는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320) 및 프로세스 저장부(330)에 각각 저장된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부(340)는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이벤트로그를 비교하여 적합성 검사(Conformance checking), 프로세스 모델에 이벤트 로그를 적용하여 분석하는 병목 현상 분석, 프로세스 진단과 예측, 프로세스 향상(Enhancement) 및 프로세스의 열화(Deterioration)를 체크할 수 있다.
분석부(340)에 의해 분석되는 검사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도출될 수 있다. 분석부(340)는 키입력로그와 이벤트로그를 바탕으로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플레이인(Play-In),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플레이아웃(Play-Out) 및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와 프로세스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리플레이(Replay)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부(340)는 리플레이 방식으로 적합성 검사를 진행하고, 플레이아웃 방식으로 병목 현상 분석, 프로세스 진단과 예측, 프로세스 향상(Enhancement) 및 프로세스의 열화(Deterioration)를 체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는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대한 지식을 갖춘 다수의 전문가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는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에 대처할 수 있는 인재풀(talent pool)을 갖추고 있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 기록된 각각의 전문가들은 프리랜서(freelancer) 또는 회사에 속한 개일 일 수 있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가 갖춘 인재풀은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및 백업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서버(100)와 스토리지(200)를 연결하고 서버(100)와 스토리지(200)를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으로 구분된 그룹들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에서 각각의 전문가의 정보에는 전문가의 등급, 각 전문가의 개인정보 및 전문가의 접속 가능 시간 등의 필드(field)가 포함될 수 있다. 전문가의 등급 필드는 초기에는 경력에 따라 부과되고, 장애를 처리한 실적에 따라 가산점이 부가되면서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전문가의 등급은 전문가를 검색하여 다자간회의부(370)에 매칭시키기 위한 척도가 될 수 있다. 즉, 등급이 높은 전문가를 우선적으로 다자간회의부(370)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 때, 전문가 검색은 해당 시간에 접속 가능 시간에 속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다.
전문가의 개인정보에는 전문가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의 전문가가 접속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 가능 시간 필드는 다시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고 야간에 접속하는 경우 주간의 접속 시 보다 높은 보수와 가산점을 제공하여 전문가 접속시간이 주간 시간에 치중되지 않도록 한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으로 구분된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서 각 구분된 그룹의 전문가의 필드 이외에도 관리서버(300)를 통해 다른 필드가 추가될 수 있다.
매칭부(360)는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전문가의 단말기(304-1, ..., 304-n)를 다자간회의부(370)에 매칭시켜 운영자 단말기(302)와 연결되도록 한다. 운영자 단말기(302)는 관리서버(300)에 유무선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300) 자체일 수 있다.
매칭부(360)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1인 이상의 전문가의 단말기(304-1, ..., 304-n)를 매칭시킬 수 있으며, 사안에 따라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 개수를 다르게 적용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부(360)는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 매칭 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전문가의 등급에 따라 각 그룹별로 부여된 등급이 높은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매칭부(36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 전송한다. 즉, 매칭부(360)는 접속된 상태의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분석 정보를 전송하여 운영자 및 전문가들이 해당 단말기들(302, 304-1, ..., 304-n)을 통하여 다자간회의부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가는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 의사가 있는 경우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매칭부(360)로 송신하고, 매칭부(360)는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해당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시킨다. 전문가는 다자간회의부(360)에 접속 의사가 없는 경우 해당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통해 거부의사를 송신하거나 응답하지 않을 수 있으며, 매칭부(360)는 해당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거부 의사를 수신하면 다자간회의부(370) 접속 요청을 종료시킬 수 있다.
매칭부(360)는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전문가의 단말기(304-1, ..., 304-n)를 등급 및 접속 가능 시간에 따라 상기 다자간회의부(370)에 매칭시킨다. 여기서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는 화상회의가 가능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는 각각 카메라가 구비된다.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는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일 수 있다.
다자간회의부(370)는 연결된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과 운영자 단말기(302)에 화상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에 제공한다. 즉, 다자간회의부(370)는 전문가 그룹에서 선택된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과 운영자 단말기(302) 간에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운영자 단말기(302)는 관리서버(300)에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 상태이거나 또는 관리서버(100) 자체일 수 있다.
다자간회의부(370)는 연결 가능한 다자간회의채널을 10개 이상 구비하여 운영자 단말기(302)와 다수의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 간에 원활하게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서버(100) 및/또는 스토리지(200)에 발생한 장애는 관리서버(300)에 연결된 운영자 단말기(302)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이는 다자간회의부(370)에 연결된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통해 자문을 받아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다자간회의부(370)는 접속된 모든 단말기(302, 304-1, ..., 304-n)에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분석 결과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다자간회의부(370)는 접속된 모든 단말기(302, 304-1, ..., 304-n)에 전송된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가 해당 단말기(302, 304-1, ..., 304-n)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인터페이스를 전송하여 용이하게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자간회의부(3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모든 단말기(302, 304-1, ..., 304-n)에서 상기 분석부(340)에 의해 검사된 적합성 검사 결과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분석부(340)에 의해 분석된 병목 현상 분석결과, 프로세스 진단 결과, 프로세스 향상 정보 및 프로세스의 열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영자와 전문가들은 단말기(302, 304-1, ..., 304-n)들을 통해 보여지는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부(360)에 의해 분석된 정보와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참고하여 장애에 대해 토의하고, 장애의를 원인을 유추하고, 해결책을 도출시킬 수 있다.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에 대한 결정은 운영자 단말기(302)와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가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하고 상호 의견 교환을 통해 결정한다. 운영자 단말기(302)는 전문가 단말기들(302, 304-1, ..., 304-n)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해결책이 입력되면 이를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적용시켜 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회의부와 전문가의 단말기를 연결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202단계에서 다자간회의부(370)는 운영자 단말기(302)를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켜 다자간회의부(370)에 연결된 상태로 만든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영자 단말기(302)는 관리서버(300)에 유무선 네트워크(10)로 연결된 단말기이거나 또는 관리서버(300) 자체일 수 있다.
S204단계에서 관리서버(300)는 운영자 단말기(302)로부터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의 개수를 입력받는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운영자 단말기(302)로부터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 별로 각각 다자간회의 모듈(370)에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의 개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자간회의 모듈(370)에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의 개수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에 발생한 장애의 사안에 따라 운영자가 결정하여 운영자 단말기(302)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매칭부(360)는 운영자 단말기(302)에 의해 설정된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에서 각각 필요한 전문가의 인원수를 입력받아 필요한 인원수에 대응하는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을 매칭시킬 수 있다.
S206단계에서 매칭부(360)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서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시킬 전문가, 즉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검색한다. 여기서 검색된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에서 검색될 수 있다.
S208단계에서 매칭부(360)는 매칭된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로 다자간회의부(370)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매칭된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는 각각의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352),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354)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356)에서 각각 선택된다. 한편, 다자간회의부(370) 접속 요청에는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 정보가 포함되어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로 전송되어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된 이후에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S210단계에서 매칭부(360)는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 요청을 소정 횟수 전송하여 각각 매칭된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부터 소정 횟수의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3회 내지 5회일 수 있다.
S210단계에서 판단하여 매칭부(360)는 검색된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부터 다자간회의부(370)에 접속 요청을 소정 횟수 송신하여 응답이 없거나, 거절된 것으로 판단되면 접속 요청을 종료한다(S212단계).
S210단계에서 판단하여 매칭부(360)는 검색된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부터 다자간회의부(370)에 소정 횟수의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입력된 경우 해당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킨다(S214단계).
S216단계에서 매칭부(360)는 접속시킬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의 개수를 충족시켜 다자간회의 채널에 연결시켰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216단계에서 판단하여 각 전문가그룹별로 설정된 숫자의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부터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어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자간회의부(370)는 화상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운영자 단말기(302) 및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에 전송하고 실행시킨다(S218단계). 화상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설치된 경우에는 전송하지 않고 바로 실행시킨다.
S216단계에서 판단하여 각 전문가그룹별로 설정된 숫자의 전문가 단말기들(304-1, ..., 304-n)로부터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순위의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전문가 데이터베이스(350)에서 검색하기 위하여 S206단계로 리턴한다.
S220단계에서 운영자 단말기(302)는 전문가 단말기들(302, 304-1, ..., 304-n)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해결책이 입력되면 이를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적용시켜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서 발생한 장애가 해결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302단계에서 관리서버(300)는 서버(100)로부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스토리지(200)에 연결되어 있다. 관리서버(300)는 서버(100) 및 스토리지(200)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인지한다.
S304단계에서 관리서버(300)가 서버(100)에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를 송신을 요청한다.
S306단계에서 관리서버(300)는 서버(100)로부터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키입력로그는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키입력에서부터 이후에 키를 입력한 키 입력을 기록한 로그이다. 이벤트로그는 키입력로그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서버(100)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이외의 입력장치, 예컨대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에 의해 발생한 로그 및 서버(100)에 연결 및 해제되는 USB, 외장하드, 외장ODD(Optical Disk Drive), 프린터(printer), 플로터(plotter), 3D프린터(3 dimensional printer)와 같은 장치 들의 연결, 해제 및 실행을 기록한 것이다. 한편, 키입력로그와 이벤크로그를 분리한 것은 서버(100) 또는 스토리지(20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키입력로그를 확인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별로로 설정하였다.
S308단계에서 관리서버(300)는 키입력로그와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을 생성한다.
S310단계에서 S308단계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문가 단말기에서 콜을 수신하고 다자간회의부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402단계에서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는 관리서버(300)로부터 다자간회의부(360)에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자간회의부(360) 접속 요청에는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S404단계에서 전문가 단말기는 상기 다자간회의부(360)에 접속 요청에 대하여 해당 전문가로부터 응답이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전문가는 접속 요청에 포함된 서버 정보 및 스토리지 정보,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 정보를 확인하고 접속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 요청에 응답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S406단계에서 판단하여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를 통해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입력된 경우에는 전문가 단말기(304-1, ..., 304-n)를 다자간회의부(360)에 연결시킨다. 만약에 상기 접속 요정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지 않거나 접속 요청이 거절된 경우에는 전문가에게 보낸 접속 요청을 종료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네트워크 100 : 서버
200 : 스토리지 300 : 관리서버
302 : 운영자 단말기
304-1, ..., 304-n : 전문가 단말기
310 : 저장부
320 :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
330 : 프로세스 저장부 340 : 분석부
350 :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352 :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
354 :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 356 :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
360 : 매칭부 370 : 다자간회의부

Claims (14)

  1.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로그인한 기록부터 이후에 키를 입력한 로그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서 발생한 이벤트로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
    상기 서버에서 발생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및 프로세스가 발생한 시간 기록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프로세스 저장부;
    상기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 저장부에 저장된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를 수신하고 프로세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세스를 수신하여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및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대한 지식을 갖춘 다수의 전문가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의 등급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기로 접속 요청을 전송하여 운영자 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를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된 전문가들의 단말기들과 운영자 단말기로 화상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실행시켜 전문가 단말기와 운영자 단말기간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다자간회의부;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프로세스 모델에 키입력로그 및 이벤트로그를 적용하여 병목 현상 분석, 프로세스 진단과 예측, 프로세스 향상(Enhancement) 및 프로세스의 열화(Deterioration)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부는, 플레이아웃 방식으로 병목 현상 분석, 프로세스 진단과 예측, 프로세스 향상 및 프로세스의 열화를 분석하며,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 상기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백업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 및 상기 서버를 외부와 연결시키고 상기 스토리지와 서버를 연결시키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각각의 하드웨어 전문가 그룹, 소프트웨어 전문가 그룹 및 네트워크 전문가 그룹에 대하여 전문가의 등급, 각 전문가의 개인정보 및 전문가의 접속 가능 시간 필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전문가의 개인정보에는 전문가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문가의 접속 가능 시간 필드는,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다수의 전문가들 중 접속 가능한 시간 대에 속한 전문가의 단말기들로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 키입력로그, 이벤트로그, 프로세스 및 분석 결과를 전송하고 답신을 요청하여 답신이 수신된 전문가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한 명의 전문가 단말기를 상기 다자간회의채널에 연결시키고,
    상기 다자간회의부는,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병목 현상 분석결과, 프로세스 진단 결과, 프로세스 향상 정보 및 프로세스의 열화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화상통화를 통해 상기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결정되어 전문가들의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해결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해결책이 서버 또는 스토리지에 적용되며,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스토리지의 사양,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원, 디렉토리, 백업, 성능, 파일 및 쿼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74837A 2019-06-24 2019-06-24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KR10209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37A KR102093764B1 (ko) 2019-06-24 2019-06-24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37A KR102093764B1 (ko) 2019-06-24 2019-06-24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764B1 true KR102093764B1 (ko) 2020-03-26

Family

ID=699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837A KR102093764B1 (ko) 2019-06-24 2019-06-24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032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노바소프트 다자간 협업 기반의 보안 취약점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555A (ja) * 2011-04-20 2012-11-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メンテナンス管理装置
KR101219364B1 (ko) 2012-09-28 2013-01-21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JP2018088224A (ja) * 2016-11-30 2018-06-0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監視サーバ、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185570A (ja) * 2017-04-24 2018-11-22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遠隔支援システム
KR20190002280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케이티 5g 분산 클라우드 시스템의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555A (ja) * 2011-04-20 2012-11-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メンテナンス管理装置
KR101219364B1 (ko) 2012-09-28 2013-01-21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기관 서버와 업무 서버 간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 그 기록매체
JP2018088224A (ja) * 2016-11-30 2018-06-0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監視サーバ、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185570A (ja) * 2017-04-24 2018-11-22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遠隔支援システム
KR20190002280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케이티 5g 분산 클라우드 시스템의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032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노바소프트 다자간 협업 기반의 보안 취약점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91459B1 (ko) * 2020-11-27 2023-01-26 주식회사 노바소프트 다자간 협업 기반의 보안 취약점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4525B2 (en) Distributed data monitoring device
US11615082B1 (en) Using a data store and message queue to ingest data for a data intake and query system
US9104572B1 (en) Automated root cause analysis
US200800404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orkflow operations to a computing device
US11966797B2 (en) Indexing data at a data intake and query system based on a node capacity threshold
CN111861140A (zh)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10303678B2 (en) Application resiliency management using a database driver
US11609913B1 (en) Reassigning data groups from backup to searching for a processing node
US11237813B1 (en) Model driven state machine transitions to configure an installation of a software program
CN106126551A (zh) 一种Hbase数据库访问日志的生成方法、装置及系统
US11892976B2 (en) Enhanced search performance using data model summaries stored in a remote data store
WO2022028144A1 (en) Blockchain management of provisioning failures
US11416631B2 (en) Dynamic monitoring of movement of data
CN106506568B (zh) 信息交互系统
KR102093764B1 (ko) 서버 및 스토리지 관리 서버
US89145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ve load balancing
CN113836237A (zh) 对数据库的数据操作进行审计的方法及装置
CN107295086A (zh) 集群会话防丢失方法及系统
US11494392B2 (en) Tracking entity activity using computer generation of values for blockchain network entries
CN114338684A (zh) 一种能源管理系统及方法
US8005781B2 (en) Connection of value network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data via applications and support personnel
US11841827B2 (en) Facilitating generation of data model summaries
US11307940B2 (en) Cognitive data backup
CN107392415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电信营业员画像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0459895B2 (en) Database storage monito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