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36B1 -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36B1
KR101219336B1 KR1020060099392A KR20060099392A KR101219336B1 KR 101219336 B1 KR101219336 B1 KR 101219336B1 KR 1020060099392 A KR1020060099392 A KR 1020060099392A KR 20060099392 A KR20060099392 A KR 20060099392A KR 101219336 B1 KR101219336 B1 KR 101219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temperature
amount
oil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644A (ko
Inventor
전기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5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 온도센서 및 수온센서를 통해 엔진 오일 및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일 온도 및 냉각수온을 토대로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여 냉각수온의 상승과 관련하여 최적의 오일 온도의 상승량을 유도함으로써, 냉각수온 상승에 따른 냉각손실의 감소 효과 및 엔진 오일 온도 상승에 따른 마찰손실 감소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연비개선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오일쿨러, 연비개선

Description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Fuel efficiency improving system and method in oil cooler system of automobil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비개선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비개선 장치에서 ECU 및 밸브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비개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일쿨러 시스템의 연비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온 상승시 연비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2 : 오일쿨러
13 : 오일 온도센서 14 : 수온센서
15 : ECU 16 : 밸브수단
17 : 플랩밸브 18 : DC 모터
19 : 포지션 센서 21 : 바이패스라인
22 : 오일라인 23 : 리턴라인
본 발명은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온도센서 및 수온센서를 통해 엔진 오일 및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일 온도 및 냉각수온을 토대로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여 냉각수온의 상승과 관련하여 최적의 오일 온도의 상승량을 유도함으로써, 냉각수온 상승에 따른 냉각손실의 감소 효과 및 엔진 오일 온도 상승에 따른 마찰손실 감소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연비개선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흡기장치, 배기장치, 연료장치, 점화장치, 냉각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료와 공기를 연소실 내에서 연소시킴으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의 구동원이다.
상기 엔진은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솔린 엔진과,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디젤 엔진 등으로 구분된다.
가솔린 엔진의 경우에는 주로 승용차 등의 소형차량에 널리 이용되는 반면에 디젤 엔진은 버스나 화물차량 등의 대형차량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에는 엔진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엔진오일쿨러(이하, 오일쿨러라 약칭함)가 장착되는데, 엔진 출력이 큰 대형차량의 경우 오일쿨러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냉각모듈에 장착된다.
기존의 오일쿨러는 오일이 순환되는 배관의 외부 또는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을 하는 것으로, 엔진의 냉각수온에 상관없이 일정 방열면적으로 오일을 냉각시켜주도록 되어 있으며, 오일 온도에 관계없이 최초 설계시 고려된 냉각용량만으로 냉각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냉각수온 상승에 따른 냉각손실 저감만으로는 연비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오일 온도 상승에 따른 마찰손실 저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므로 연비개선 효과가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냉각수온의 온도가 상승하면 오일 온도도 동시에 상승(냉각수 온도 10℃ 상승 당 오일 온도 6~ 7℃ 상승)하는 바, 연비개선을 위해서는 냉각손실 감소와 더불어 오일 점성 저하에 의한 마찰손실 저감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오일 온도센서 및 수온센서를 통해 엔진 오일 및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일 온도 및 냉각수온을 토대로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여 냉각수온의 상승과 관련하여 최적의 오일 온도의 상승량을 유도함으로써, 냉각수온 상승에 따른 냉각손실의 감소 효과 및 엔진 오일 온도 상승에 따른 마찰손실 감소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연비개선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일쿨러 시스템에서 냉각수와 엔진 오일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도록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a)ECU가 엔진 시동 후 오일 온도센서와 수온센서로부터 엔진 오일의 온도와 냉각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b)ECU가 상기 두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오일의 온도와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오일쿨러로 연결된 오일라인에 설치된 밸브수단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으로 바이패스되는 엔진 오일량을 분배 및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b)단계에서, 상기 ECU는 시간 ΔT마다 냉각수온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되, 냉각수온이 상승함을 판단하는 경우, 저장된 냉각수온 상승 대비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에 대한 데이터 맵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을 결정하고, 상기 오일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현재의 오일 온도와 상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을 위한 밸브수단의 개도율을 데이터 맵으로부터 결정한 후 그에 따라 밸브수단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 및 엔진으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의 조절을 통해 전체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일쿨러 시스템에서 냉각수와 엔진 오일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도록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엔진에서 엔진 오일 통로에 설치되어 엔진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오일 온도센서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와; 상기 오일 온도센서와 수온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으로 바이패스되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와; 상기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밸브의 개폐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엔진에서 오일쿨러로 연결되는 오일라인에 설치되어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으로 바이패스되는 그 나머지의 엔진 오일량을 분배 및 조절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ECU는 시간 ΔT마다 냉각수온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되, 냉각수온이 상승함을 판단하는 경우, 저장된 냉각수온 상승 대비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에 대한 데이터 맵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을 결정하고, 상기 오일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현재의 오일 온도와 상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을 위한 밸브수단의 개도율을 데이터 맵으로부터 결정한 후 그 에 따라 밸브수단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 및 엔진으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의 조절을 통해 전체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엔진에서 오일쿨러로 연결되는 오일라인에 설치되는 플랩밸브와, 상기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면서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밸브를 구동시키는 DC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비개선 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비개선 장치에서 ECU 및 밸브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비개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일쿨러 시스템의 연비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통상 자동차의 엔진(10)을 냉각하는데 있어서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방법, 즉 수냉식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냉각수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냉각수 통로를 순환하면서 엔진을 냉각시킨 뒤, 쿨링 모듈의 라디에이터(11)에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다음, 다시 엔진으로 공급되어 엔진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엔진 자체의 온도, 즉 연소실 벽면의 온도는 연료의 연소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데, 예컨대 엔진이 시동 후 적정 온도로 가열되어야 비로소 정상적인 출력을 발생하고 배기가스 내 유해성분의 함량도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시동 초기 저온상태의 냉각수는 엔진이 신속히 적정 온도로 가열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되는 요소이며, 이에 따라 실린더 헤드의 라디에이터측 출구에 서모스탯(thermostat)을 설치하여 냉각수온이 일정 온도 이하일 때는 냉각수의 라디에이터측 흐름을 차단하여 냉각수가 바이패스통로를 통해 엔진 내에서만 순환되도록 하고 있는 바, 이를 통해 엔진이 신속히 적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엔진의 열적 내구성이 보장된다면 서모스탯의 개변온도를 올리는 것도 연비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바, 시동 후 냉각수온의 상승은 냉각손실을 줄이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수온의 상승만으로는 연비개선에 한계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냉각수 온도의 상승과 관련하여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로직을 적용하여 최적의 오일 온도 상승을 유도함으로써 냉각수온 상승에 따른 냉각손실의 감소 및 오일 온도 상승에 따른 마찰손실 감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연비개선 장치는 엔진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오일 온도센서(13)와,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14)와, 상기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의 신호를 토대로 오일쿨러(12)로 보낼 엔진 오일량을 계산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15)와, 상기 ECU(15)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도량이 제어되면서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는 밸브수단(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오일 온도센서(13)는 엔진(10)에서 엔진 오일의 통로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로서, 엔진 오일 통로를 통과하는 엔진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며, 예컨대 오일 갤러리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온센서(14)는 기존에 설치된 수온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 바, 이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ECU(15)는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 즉 각 센서(13,14)가 감지한 온도신호를 입력받아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적정의 엔진 오일량을 계산하고, 계산한 값에 따라 밸브수단(16)의 개도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밸브수단(16)은 엔진(10)에서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ECU(15)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밸브(17)의 개폐동작이 제어되면서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밸브수단(16)은 밸브(17)를 통과하여 조절된 양의 엔진 오일은 오일쿨러(12)로 보내지고 그 나머지는 바이패스라인(21)을 통해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밸브수단(16)에 의하면, 밸브에 의해 조절된 양만큼의 엔진 오일은 오일쿨러(12)로 보내진 후 냉각되어 리턴라인(23)을 통해 엔진(10)으로 리턴되고, 그 나머지는 바이패스라인(21)을 통해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되면서, 결국 오일쿨러(12)를 통과하여 냉각되는 엔진 오일의 양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수단(16)은 엔진(10)으로부터 연결된 엔진오일라인에서 오일쿨러(12)로 연결되는 오일라인(예, 오일 호스)(22)과 엔진(10)으로 연결된 바이패스라인(21)의 분기점에 설치되는 일종의 3웨이-밸브로서, 일 예로 오일쿨러(12)로 연결되는 오일라인(22)에 설치되는 플랩밸브(17)와, 상기 플랩밸브(17)의 구동부로서 상기 ECU(15)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면서 상기 플랩밸브(17)의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플랩밸브(17)를 구동시키는 DC 모터(18)가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CU(15)가 플랩밸브(17)에 연결되어 밸브 위치를 검출하는 포지션 센서(19)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DC 모터(18)를 PWM 제어하도록 하여 플랩밸브(17)의 개도량이 정확히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연비개선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ECU(15)는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의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엔진 오일 온도와 냉각수온을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상기 ECU(15)는 상기 두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오일의 온도와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엔진(10)으로부터 오일쿨러(12)로 연결된 오일라인(22)에 설치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되는 엔진 오일량을 분배 및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ECU(15)는 모니터링 되는 오일 온도와 냉각수온을 토대로, 즉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의 신호를 토대로 오일쿨러(12)로 보낼 엔진 오일 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엔진 오일량에 따라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결정하여 그에 따른 밸브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를 통해 밸브수단(16)의 개도율에 따른 엔진 오일량이 오일쿨러(12)로 보내지고 그 나머지 엔진 오일량이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ECU(15)는 엔진(10) 시동 후 수온센서(14)와 오일 온도센서(13)를 통해 검출되는 냉각수온과 오일 온도를 입력받는 바,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ΔT(차량 및 엔진에 따라 조정 가능)마다 냉각수온의 차이가 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0℃를 초과한다면 냉각수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ECU(15)에 저장된 냉각수온 상승 대비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에 대한 데이터 맵으로부터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을 결정하고, 오일 온도센서(13)를 통해 검출된 현재의 오일 온도와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을 위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데이터 맵으로부터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시간 ΔT마다 냉각수온의 차이가 0℃ 이하이면 냉각수온이 하강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 경우 ECU(15)에 저장된 냉각수온 하강 대비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에 대한 데이터 맵으로부터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을 결정하고, 현재의 오일 온도와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을 위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데이터 맵으로부터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에 따라 엔진 오일량이 결정되므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은 곧 엔진 오일량이 된다.
상기와 같이 ECU(15)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밸브수단(16)의 개도량이 적절히 조절되면서 그에 따른 일부 엔진 오일이 오일쿨러(12)로 보내지며, 그 나머지 오일은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된다.
결국, 오일 온도 및 냉각수온에 따라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오일의 양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냉각수의 불필요한 냉각손실을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오일이 냉각되는 것을 막아 오일 점성 저하에 의한 마찰손실 저감 효과가 있게 되며, 결국 연비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오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온과 오일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냉각손실 감소 효과와 오일 점성 저하에 의한 마찰손실 저감 효과가 연비개선에 동시 반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온 및 오일 온도 상승시의 연비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냉각수온 10℃ 증가 당 연비개선율이 0.43% 에서 0.67%(Q), 0.58% 에서 0.69%(L)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온도센서 및 수온센서를 통해 엔진 오일 및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일 온도 및 냉각수온을 토대로 오일쿨러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여 냉각수온의 상승과 관련하여 최적의 오일 온도의 상승량을 유도함으로써, 냉각수온 상승에 따른 냉각손실의 감소 효과 및 오 일 온도 상승에 따른 마찰손실 감소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의 연비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냉각수 온도와 더불어 오일 온도도 동시에 상승하므로 냉각손실 감소 효과가 극대화되고, 오일 점성 저하에 의한 마찰 손실 저감 효과가 연비개선에 동시에 반영되며, 오일쿨러가 쿨링 모듈에 장착되는 상용차의 경우 냉각 시스템 설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혹서기, 혹한기에도 연비개선에 적극적으로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냉각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12)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일쿨러 시스템에서 냉각수와 엔진 오일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도록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a)ECU(15)가 엔진 시동 후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로부터 엔진 오일의 온도와 냉각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b)ECU(15)가 상기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로부터 입력되는 엔진 오일의 온도와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엔진(10)으로부터 오일쿨러(12)로 연결된 오일라인(22)에 설치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으로 바이패스되는 엔진 오일량을 분배 및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ECU(15)는 시간 ΔT마다 냉각수온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되, 냉각수온이 상승함을 판단하는 경우, 저장된 냉각수온 상승 대비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에 대한 데이터 맵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을 결정하고, 상기 오일 온도센서(13)를 통해 검출된 현재의 오일 온도와 상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을 위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데이터 맵으로부터 결정한 후 그에 따라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12) 및 엔진(10)으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의 조절을 통해 전체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방법.
  3. 삭제
  4. 냉각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12)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일쿨러 시스템에서 냉각수와 엔진 오일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도록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엔진(10)에서 엔진 오일 통로에 설치되어 엔진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오일 온도센서(13)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14)와;
    상기 오일 온도센서(13)와 수온센서(14)의 신호를 토대로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되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15)와;
    상기 ECU(15)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밸브의 개폐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엔진(10)에서 오일쿨러(12)로 연결되는 오일라인(22)에 설치되어 오일쿨러(12)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과 엔진(10)으로 바이패스되는 그 나머지의 엔진 오일량을 분배 및 조절하는 밸브수단(16);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ECU(15)는 시간 ΔT마다 냉각수온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되, 냉각수온이 상승함을 판단하는 경우, 저장된 냉각수온 상승 대비 최적의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에 대한 데이터 맵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을 결정하고, 상기 오일 온도센서(13)를 통해 검출된 현재의 오일 온도와 상기 필요 오일 온도 상승량으로부터 필요 오일 온도 상승을 위한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데이터 맵으로부터 결정한 후 그에 따라 밸브수단(16)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오일쿨러(12) 및 엔진(10)으로 보내지는 엔진 오일량의 조절을 통해 전체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16)은, 엔진(10)에서 오일쿨러(12)로 연결되는 오일라인(22)에 설치되는 플랩밸브(17)와, 상기 ECU(15)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면서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밸브(17)를 구동시키는 DC 모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KR1020060099392A 2006-10-12 2006-10-12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KR101219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392A KR101219336B1 (ko) 2006-10-12 2006-10-12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392A KR101219336B1 (ko) 2006-10-12 2006-10-12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644A KR20080033644A (ko) 2008-04-17
KR101219336B1 true KR101219336B1 (ko) 2013-01-08

Family

ID=3957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392A KR101219336B1 (ko) 2006-10-12 2006-10-12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511B1 (ko) * 2017-11-10 2022-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최적오일온도방식 다일루션 제어 방법 및 디젤엔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617A (ja) * 1982-02-24 1983-08-29 Hino Motors Ltd 車両用内燃機関のオイル冷却系
JP2002340161A (ja) * 2001-05-21 2002-11-27 Toyota Motor Corp 油温制御装置
JP2004084882A (ja) * 2002-08-28 2004-03-18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油温制御装置
JP2005325790A (ja) * 2004-05-17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冷却系制御方法およびエンジン冷却系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617A (ja) * 1982-02-24 1983-08-29 Hino Motors Ltd 車両用内燃機関のオイル冷却系
JP2002340161A (ja) * 2001-05-21 2002-11-27 Toyota Motor Corp 油温制御装置
JP2004084882A (ja) * 2002-08-28 2004-03-18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油温制御装置
JP2005325790A (ja) * 2004-05-17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冷却系制御方法およびエンジン冷却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644A (ko)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088A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904974B2 (en) Electric water pump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758172B2 (en) Method of engine cooling
JP6417315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冷却装置
US1016136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olant circuit
US81916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a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in a hybrid vehicle
US20050028756A1 (en) Engine cooling system
EP1111491A2 (en) ECU temperature control
GB2429763A (en) Cooling system comprising heat exchangers for motor vehicle cold start operation
KR20150080660A (ko) 엔진의 냉각시스템
US20180038267A1 (en) Cooling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348793A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JP2015502497A (ja) 車両の冷却システムの冷却液を冷却する装置及び方法
GB2472228A (en) Reducing the fuel consumption of an i.c. engine by using heat from an EGR cooler to heat engine oil after cold-starting
JP2004060652A (ja) 自動車の冷却及び加熱循環路の動作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冷却及び加熱循環路
US9222399B2 (en) Liquid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oolant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on of the liquid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30060219A (ko) 냉각 시스템에서 순환하는 냉매를 가온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27683A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용 냉각수 제어시스템
JP2006161806A (ja) 液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US9523306B2 (en) Engine cooling fan control strategy
KR101219336B1 (ko) 오일쿨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연비개선 장치 및 방법
US20110265740A1 (en) Engine cooling device
JP2010096042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EP1411215B1 (en) Engine oil cooling
US20020189800A1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