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78B1 -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78B1
KR101219178B1 KR1020110040804A KR20110040804A KR101219178B1 KR 101219178 B1 KR101219178 B1 KR 101219178B1 KR 1020110040804 A KR1020110040804 A KR 1020110040804A KR 20110040804 A KR20110040804 A KR 20110040804A KR 101219178 B1 KR101219178 B1 KR 10121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zing
center
fence
mobi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70A (ko
Inventor
박정환
이철우
박운용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4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17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은, 방목가축에 착용되며 각기 다른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다수의 발신장치와, 방목가축들을 감시하는 목장견에게 착용되며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방목가축에 관한 각종 정보를 센터로 전송하고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목장견에게 출력하는 이동단말기와, 방목 울타리의 펜스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방목가축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센터로 전송하는 펜스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센터의 관리자가 방목지의 가축과 목장견을 원격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기존의 목장과 방목지에 통신망을 도입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넓은 방목지에서 통제하기 어려웠던 방목가축들을 원격으로 보다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grazing based on Ubiquitous network}
본 발명은 방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비쿼터스 망에 기반하는 방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한 세상이 되었고,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 즉,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유비쿼터스는 교통, 건설, 통신, 문화 등 우리 주위의 모든 산업과 접목하여, 일상생활 공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러운 통합(Human Computer Interaction)을 가능케 한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적용된 축사에서 RFID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기르는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들은 출생하여 출하될 때까지 생육상태, 질병, 기타 필요한 모든 정보가 별도의 입력과정없이 자동으로 저장 및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목장에서 자유롭게 사육하거나 방목하는 소, 말, 양 등은 그 수가 많거나 방목지의 면적이 넓은 경우 가축의 위치나 상태를 파악하거나 통제하기 힘들 뿐 아니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치하기 위한 접근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의 목장과 방목지에도 통신망을 도입하여, 유비쿼터스 기술과 접목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의 관리자가 방목지의 가축과 목장견을 원격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센터의 관리자가 방목지의 가축과 목장견을 원격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방목가축와 목장견에 발신장치와 이동단말기를 각각 착용시켜, 방목지 내에서 원격통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이동단말기에 장착하여, 900MHz(예: 셀룰라 통신 등)와 2.4GHz(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의 듀얼밴드를 지원하여 통신거리 및 데이터 전송율(Data Rate), 채널의 인터페이스(Interference)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고, 약 1Mbps 전송속도와 약 2Mbps 전송속도의 듀얼모드를 지원하여 전송속도가 각기 다른 2개 모드에 대해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기존의 목장과 방목지에 통신망을 도입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넓은 방목지에서 통제하기 어려웠던 방목가축들을 원격으로 보다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band Dual-mode) 방식에 관한 개념도.
도4의 a)는 발신장치를 착용한 방목가축의 예시도.
도4의 b)는 이동단말기를 착용한 목양견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목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목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은,
방목가축에 착용되며, 각기 다른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다수의 발신장치와, 방목가축들을 감시하는 목장견에게 착용되며,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방목가축에 관한 각종 정보를 센터로 전송하고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목장견에게 출력하는 이동단말기와, 방목 울타리의 펜스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방목가축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센터로 전송하는 펜스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폴대 단말기는,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이동단말기의 신호가 착신되면 단말의 상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제3제어부와, 상기 제3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태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열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 제3제어부, 카메라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상기 펜스 단말기는,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방목가축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하는 카메라부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방목가축에 관한 각종 정보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고, 센터로부터 방목가축들의 통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센터로부터 수신된 관리자의 명령을 스피커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센터의 지시에 따라 이동단말기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여 센터로 전송하는 사운드 입출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와 사운드 입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기술되는 방목시스템은 양떼 방목에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소, 말 돼지 등 다양한 가축에 적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은 크게, 이동단말기(100), 펜스 단말기(200a), 폴대 단말기(200b), 다수의 발신장치(300), 센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발신장치(300)는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목가축(예: 이하, '양떼'라 한다)에 착용되며, 각기 다른 고유신호를 발신한다. 발신장치(30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기를 구비한다. 도4의 a)는 발신장치를 착용한 방목가축의 예시도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떼들을 감시하는 목장견(이하, '목양견'이라 한다)에게 착용(장착)되며,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양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상기 센터(400)로 전송하고, 센터(400)로부터 양떼들의 통제를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목양견에게 출력한다.
원격지(예: 센터(400))의 목장 관리자가 내린 명령은 무선통신으로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고, 이동단말기(100)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목양견에게 전달된다. 학습능력과 충성도가 뛰어난 목양견들은 오랜 동안의 반복 훈련을 통해, 이미 목장 관리자의 명령(예: 관리자의 육성, beep 등)을 정확히 수행할 준비가 된 상태이므로, 이동단말기(100)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목장 관리자의 명령이 출력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당 명령을 이행한다. 도4의 b)는 이동단말기를 착용한 목양견의 예시도이다.
상기 펜스단말기(200a)는 방목 울타리의 펜스(PE1, PE2,..., PEm)에 일정 간격(예: 50m)으로 설치되며,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신호를 센터(400)로 실시간 전송하여 관리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다.
펜스단말기(200a)는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해 이웃하는 펜스들 간의 울타리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인근에 이동단말기(100)(목양견)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접근한 양(들)이 무리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약속된 경고음을 출력하고 목양견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목양견은 사전에, 상기 경고음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반복적으로 훈련받는다. 상기 경고음이 출력되면 이를 인지한 목양견은 상기 양(들)을 무리로 인도하게 된다.
인근에 이동단말기(100)(목양견)의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펜스단말(200a) 은 경고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폴대 단말기(200b)는 방목지역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폴대(PO1, PO2,...,POx)에 설치되며,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이동단말기(100)의 신호가 착신되면 이동단말기(100)와 통신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신호는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이동단말기(100)로 전송되고, 이동단말기(100)에 의해 다시 신호를 센터(400)로 실시간 전송하여 관리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사운드 입출력부(120), 제1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양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상기 센터(400)로 전송하고, 센터(400)로부터 양떼들의 통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
무선통신부(21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band Dual-mode) 방식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도3은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band Dual-mode) 방식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은 900MHz(예: 셀룰라 통신 등)와 2.4GHz(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의 듀얼밴드를 지원하여 통신거리 및 데이터 전송율(Data Rate), 채널의 인터페이스(Interference)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반모드(Normal mode, 약 1Mbps 전송속도)와 터보모드(Turbo mode, 약2Mbps의 전송속도)의 듀얼모드를 지원하여 전송속도가 각기 다른 2개 모드에 대해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2.4GHz대역 망(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을 통해 양떼들의 발신신호를 수신하고, 900MHz대역 망(예: 셀룰라 통신)을 통해 상기 양떼들의 발신신호 정보를 센터(40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10)의 전송속도는 일반모드(Normal mode, 약 1Mbps 전송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폴대 단말기(200b)와의 통신로가 설정되면, 2.4GHz대역 망(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을 통해 상기 폴대 단말기(200b)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900MHz대역 망(예: 셀룰라 통신)을 통해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센터(40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10)의 전송속도는 터보모드(Turbo mode, 약2Mbps의 전송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양견(이동단말기(100))와 센터(400)가 근거리 통신가능한 지점에 위치한 경우, 무선통신부(110)는 2.4GHz대역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상기 센터(4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센터(400)와의 거리가 2.4GHz대역으로 설정 가능한 지점을 벗어나면 900MHz대역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센터(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제어부(130)는, 양떼를 통제하기 위한 명령이 센터(400) 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0)를 통해 목양견에게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0)는 상기 센터(400)로부터 수신된 관리자의 명령을 스피커 장치로 출력한다. 그리고 센터(400)의 지시에 따라 이동단말기(100)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여 센터(400)로 전송한다.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 단말기(200a)는 무선통신부(210), 사운드 출력부(220), 제2제어부(230), 카메라부(240),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제어부(230)는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240)를 작동시킨다.
제2제어부(230)는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해 울타리 일부(예: 상기 관리영역 인근 울타리)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 방목지역 울타리에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의 발신신호가 착신되었을 때만 울타리에 고전압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방목 시스템의 전력낭비를 최소화하였다.
상기 카메라부(240)는 상기 제2제어부(230)의 지시에 따라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 촬영을 개시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센터(400)로 전송한다. 무선통신부(210)는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band Dual-mode) 방식의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20)는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즉 발신장치(300)를 착용한 가축이 펜스 근처로 접근하면, 상기 제2제어부(230)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여 목양견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고음을 인지한 목양견은 상기 양(들)을 무리로 인도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250)는 발신장치(300)를 착용한 가축이 펜스 근처로 접근하면, 상기 제2제어부(230)의 지시에 따라 상기 관리영역 인근 울타리에 고전압 전류를 인가한다.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대 단말기(200b)는 근거리 통신부(215), 제3제어부(235), 카메라부(245), 전원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제어부(235)는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이동단말기 (100)의 신호가 착신되면 수면모드의 단말기(200b)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동단말기(100)와의 통신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245)를 작동시킨다.
상기 카메라부(245)는 상기 제3제어부(235)의 지시에 따라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 촬영을 개시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215)는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로 전송된 영상신호는 관리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다시 센터(400)로 실시간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대 단말기(200b)는 통신부(215)에 값비싼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band Dual-mode) 방식의 통신모듈을 장착하지 않는다. 대신에, 목양견에 착용된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원격지의 센터(400)로 전송함으로써, 방목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한다.
상기 전원부(255)는 태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열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전원부(255)는 폴대 단말기(200b)의 각 구성장치(예: 근거리 통신부(215), 제3제어부(235), 카메라부(245))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대 단말기(200b)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평상시 수면모드(sleep)를 유지한다. 그리고, 폴대 관리영역으로 목양견(이동단말기(100))이 이동해 들어오면, 폴대 단말기(200b)의 상태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목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이하, 도1과 도2, 그리고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를 나온 목양견과 양떼는 목초가 무성한 지역(예: 펜스 PE1)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펜스 PE1의 펜스 단말기(200a)는 펜스 PE1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양들(발신장치(300)의 신호)을 감지하고, 양들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해 관리영역 내의 울타리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카메라부(240)를 실행하여 펜스 PE1의 관리영역 촬영을 개시한다. 펜스 단말기(200a)는 관리영역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센터(400)로 실시간 전송하여 관리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 PE1의 관리영역에 목양견(이동단말기(100)의 발신신호)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펜스 단말기(200a)는 상기 접근한 양들이 무리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경고음의 출력은 목양견(이동단말기(100))이 펜스 PE1의 관리영역으로 들어올 때까지 지속된다.
한편, 폴대 PO1의 폴대 단말기(200b)는 폴대 PO1의 관리영역으로 들어온 목양견(이동단말기(100)의 발신신호)을 감지하고 이동단말기(100)와의 통신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카메라부(245)를 실행하여 폴대 PO1의 관리영역 촬영을 개시한다. 폴대 단말기(200b)는 상기 관리영역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로 전송된 영상신호는 관리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다시 센터(400)로 실시간 전송된다.
센터(400)의 관리자는 두 지점(펜스 PE1의 펜스 단말기(200a)와 폴대 PO1의 폴대 단말기(200b))으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보면서 목양견과 양떼를 원격으로 통제하고 관리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목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양견과 양떼가 폴대들(PO1, PO2, PO3)로 둘러싸인 방목지로 이동하는 경우, 폴대 PO1, PO2, PO3의 폴대 단말기들(200b)은 각기 자신들의 관리영역으로 들어온 목양견(이동단말기(100)의 발신신호)을 감지하고 이동단말기(100)와의 통신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폴대 PO1, PO2, PO3의 폴대 단말기들(200b)은 각기 카메라부(245)를 실행하여 자신들의 관리영역 촬영을 개시한다. 폴대 PO1, PO2, PO3의 폴대 단말기들(200b)은 자신들의 관리영역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각각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로 전송된 영상신호는 관리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다시 센터(400)로 실시간 전송된다.
센터(400)의 관리자는 세 지점(폴대 PO1, PO2, PO3의 폴대 단말들(200b))으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보면서 목양견과 양떼를 원격으로 통제하고 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제어부(130, 230, 235)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제1 내지 제3제어부(130, 230, 235)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상기 제1 내지 제3제어부(130, 230, 235)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터의 관리자가 방목지의 가축과 목장견을 원격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방목가축와 목장견에 발신장치와 이동단말기를 각각 착용시켜, 방목지 내에서 원격통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이동단말기에 장착하여, 900MHz(예: 셀룰라 통신 등)와 2.4GHz(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의 듀얼밴드를 지원하여 통신거리 및 데이터 전송율(Data Rate), 채널의 인터페이스(Interference)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고, 약 1Mbps 전송속도와 약 2Mbps 전송속도의 듀얼모드를 지원하여 전송속도가 각기 다른 2개 모드에 대해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목 시스템은 기존의 목장과 방목지에 통신망을 도입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넓은 방목지에서 통제하기 어려웠던 방목가축들을 원격으로 보다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100 : 이동단말기 110, 210, 215 : 무선통신부
120, 220 : 사운드 출력부 130 : 제1제어부
200a : 펜스 단말기 200b : 폴대 단말기
215 : 근거리 통신부 230 : 제2제어부
235 : 제3제어부
240, 245 : 카메라부 250, 255 : 전원부
300 : 발신장치 400 : 센터

Claims (8)

  1. 방목가축에 착용되며, 각기 다른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다수의 발신장치(300)와;
    방목가축들을 감시하는 목장견에게 착용되며,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폴대 단말기(200b)의 촬영 영상신호나 이동단말기(100) 주변에서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센터(400)로 전송하고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목장견에게 출력하는 이동단말기(100)와;
    방목 울타리의 펜스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방목가축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센터로 전송하는 펜스단말기(20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방목지역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폴대에 설치되며,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이동단말기의 신호가 착신되면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를 통해 센터로 전송하는 폴대 단말기(20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 단말기(200b)는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이동단말기의 신호가 착신되면 폴대 단말기(200b)의 상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제3제어부(235)와;
    상기 제3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해당 폴대의 관리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45)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215)와;
    태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열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 제3제어부, 카메라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단말기는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방목가축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해 이웃하는 펜스들 간의 울타리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단말기는
    해당 펜스의 관리영역으로 접근하는 방목가축의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가축의 방목지역 이탈을 막기 위한 소정의 경고동작을 실행하는 제2제어부 (230)와;
    상기 제2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관리영역의 촬영을 개시하는 카메라부 (240)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방식의 통신모듈을 통해 폴대 단말기(200b)의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고, 센터로부터 방목가축들의 통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0)와;
    상기 센터로부터 수신된 관리자의 명령을 스피커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센터의 지시에 따라 이동단말기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여 센터로 전송하는 사운드 입출력부(120)와;
    상기 무선통신부(110)와 사운드 입출력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폴대 단말기와의 통신로가 설정되면 2.4GHz대역 망을 통해 상기 폴대 단말기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900MHz대역 망을 통해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센터와 2.4GHz대역 통신 가능한 지점에 위치한 경우 2.4GHz 대역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상기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2.4GHz 대역으로 설정 가능한 지점을 벗어나면 900MHz대역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KR1020110040804A 2011-04-29 2011-04-29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KR10121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04A KR101219178B1 (ko) 2011-04-29 2011-04-29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04A KR101219178B1 (ko) 2011-04-29 2011-04-29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70A KR20120122570A (ko) 2012-11-07
KR101219178B1 true KR101219178B1 (ko) 2013-01-22

Family

ID=4750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804A KR101219178B1 (ko) 2011-04-29 2011-04-29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538A (ko) 2015-01-27 2016-08-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치알제주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 가축 질병 예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60094589A (ko) 2015-01-30 2016-08-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치알제주 개체식별장치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가축 추적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6269B (zh) * 2017-09-14 2024-03-01 翔创科技(北京)有限公司 牲畜信息采集系统、数据库建立及识别方法、介质、设备
CN115941895B (zh) * 2022-11-09 2023-09-26 东北农业大学 一种具有无人机辅助的可穿戴放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95A (ko) * 2005-10-10 2007-04-13 정우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rfid 관리 시스템 및그의 운용 방법
KR20100121878A (ko) * 2009-05-11 2010-11-19 은기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전자울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95A (ko) * 2005-10-10 2007-04-13 정우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rfid 관리 시스템 및그의 운용 방법
KR20100121878A (ko) * 2009-05-11 2010-11-19 은기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전자울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538A (ko) 2015-01-27 2016-08-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치알제주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 가축 질병 예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60094589A (ko) 2015-01-30 2016-08-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치알제주 개체식별장치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가축 추적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70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356B2 (en) Smart lighting device, and smart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219178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방목 시스템
US9898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based on LED lighting device
US20100139576A1 (en) Electronic fence system
CN102905348B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非接触式信息传输系统及传输方法
EP2597783A3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wireless charging, tracking and monitoring of equipments
US20170164275A1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2692252A (zh) 温室大棚环境监控系统
CN103535288A (zh) 一种远程智能监控宠物喂食器系统
CN204808517U (zh) 智能门窗传感器
CN103353743A (zh) 一种宠物监控系统及控制方法
KR101409844B1 (ko) 실험용 동물의 생체 신호 획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5145394A (zh) 一种基于Zigbee技术的牧场动物跟踪监管系统
KR101729443B1 (ko)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CN108885468A (zh) 信息传输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06292672A (zh) 一种多平台控制巡检机器人
CN105813122A (zh) 无线路由器及其控制方法
CN204650257U (zh) 基于物联网感知技术的水产养殖监控系统
Beng et al. Field testing of IoT devices for livestock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fer
CN104143221A (zh) 一种新型的电力设备巡检手持终端
CN108243214B (zh) 牧群监控方法、装置和系统
CN106376012A (zh) 无线接入点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204374988U (zh) 一种基于无源rfid标签的室分天馈监控系统
CN110785081A (zh) 远程无线监视系统
CN213303053U (zh) 基于5g的牲畜健康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