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800B1 -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800B1
KR101218800B1 KR1020110067719A KR20110067719A KR101218800B1 KR 101218800 B1 KR101218800 B1 KR 101218800B1 KR 1020110067719 A KR1020110067719 A KR 1020110067719A KR 20110067719 A KR20110067719 A KR 20110067719A KR 101218800 B1 KR101218800 B1 KR 10121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groove
fixing
coupled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환
권용준
이상주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게이지의 높낮이와 좌,우 방향 및 상,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어떠한 위치에서도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게이지의 상,하 각도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는 흔들림 없이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는, 게이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며 볼팅결합되어 상기 게이지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편이 연장형성된 게이지 고정부와;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평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게이지 고정부의 배면에 수평결합되며, 중앙부분에 개재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상,하 회전부와; 상측이 상기 상,하 회전부의 개재홈에 개재되는 승강부와; 중앙부분에 상기 승강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위치 조절홈이 관통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상,하 회전부와 승강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상,하 회전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조절용 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GAUGE OF DIRECTION ADJUSTOR DEVIC}
본 발명은 게이지의 높낮이와, 각도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 용기에 압축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측정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압력 게이지로 지칭되는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압력 게이지는 통상 기체 및 액체가 압축되어 있는 측정원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압축 기체 또는 액체가 이와 접촉되어 있는 압력 게이지의 접촉부를 압축하여 측정원 내부의 압력을 압력 게이지로 전달하며 상기한 접촉부와 연결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핀이 동작됨으로써 압력을 표시하게 되며, 이러한 압력 게이지를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오차가 발생되므로, 압력 게이지에 표시되는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압력 게이지의 정면에서 바라봐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압력 게이지는 설치면에 브라켓 등을 통해 부동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압력 게이지에 표시되는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압력 게이지의 정면으로 이동해서 관찰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번거로움과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게이지의 높낮이와 좌,우 방향 및 상,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어떠한 위치에서도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게이지의 상,하 각도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는 흔들림 없이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게이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며 볼팅결합되어 상기 게이지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편이 연장형성된 게이지 고정부와;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평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게이지 고정부의 배면에 수평결합되며, 중앙부분에 개재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상,하 회전부와; 상측이 상기 상,하 회전부의 개재홈에 개재되는 승강부와; 중앙부분에 상기 승강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위치 조절홈이 관통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상,하 회전부와 승강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상,하 회전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조절용 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게이지의 저면에 수직결합되는 게이지 고정부와; 상기 게이지 고정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게이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동조작을 통해 상기 게이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후렉시블 주름관과;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판;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조절 장치는, 게이지의 높낮이와 좌,우 방향 및 상,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어떠한 위치에서도 기체 및 액체의 압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게이지의 상,하 각도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는 흔들림 없이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100)는 게이지(1)를 고정하는 게이지 고정부(110)와,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하 회전부(130)와, 상기 상,하 회전부(130)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승강부(140)와, 상기 승강부(14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150)와, 상기 상,하 회전부와 승강부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상,하 회전부(13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게이지(1)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용 축(16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는 삽입홀(11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게이지(1)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의 일측에는 게이지(1)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편(112)이 연장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의 직경이 삽입홀(111)의 직경 보다 클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를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 및 결합편(112) 일부분이 그 수직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게이지(1)가 삽입홀(111)의 직경보다 클 경우 게이지 고정부(110)를 벌려서 삽입홀(111)에 게이지(1)를 삽입한 다음 결합편(112)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게이지(1)를 용이하게 설치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하 회전부(130)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평 연결부(120)를 매개로 하여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의 배면에 수평결합되며, 중앙부분에 개재홈(13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승강부(140)는 상측이 상기 상,하 회전부(130)의 개재홈(131)에 개재되며, 대략 중앙부분에서부터 하단까지 본체(150)의 위치 조절홈에 회전되면서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 승강부(140)의 상측은 개재홈(131)에 개재될 수 있도록 슬림하게 형성되고 중앙부분에서부터 하단까지는 위치 조절홈(151)에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 조절홈(151)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5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원형상의 위치 조절홈(151)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승강부(140)는 위치 조절홈(151)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 된다.
상기 본체(150)에는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를 더 적용하여 상기 승강부(140)가 위치 조절홈(151)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150)의 일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위치 조절홈(151)과 연통되는 고정홀(152)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고정홀(152)에는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를 체결하므로서, 상기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의 끝단이 상기 승강부(14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홀(152)에는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홀(152)의 나선에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고정홀(152)에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를 나선결합하여 승강부(14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140)를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승강부(140)에는 그 수직방향으로 좌,우로 관통되는 삽입홀(미도시)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 중 사용자가 원하는 삽입홀에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를 삽입하여 승강부(14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140)는 위치 조절홈(151)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업 위치를 변경하였을 경우 변경된 방향으로 상기 승강부(140)를 돌려 게이지(1)의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50)에는 연결관(180)을 통해 게이지 고정부(110)와 연결되는 게이지 부착부(190)가 더 결합되며, 상기 게이지 부착부(190)는 게이지(1)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용접 또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설치된다.
상기 게이지 부착부(190)는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한 직사각형 형상 또는 원 형상이나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용 축(160)은 상기 상,하 회전부(130)와 승강부(140)에 수평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상,하 회전부(130)가 조절용 축(16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게이지(1)의 상,하 각도를 조절한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하 회전부(130)의 개재홈(131) 일측벽에는 다각형 형상의 고정홈(132)과 상기 고정홈(132)과 연통되는 나선홀(133)을 더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140)에는 상기 개재홈(131)의 나선홀(133)과 연통되는 나선홀(141)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용 축(160)의 외주연에는 상기 나선홀(133,141)에 나선결합되는 나사선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용 축(160)의 나사선에는 개재홈(131)의 고정홈(132)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조임부(161)를 체결하여 고정홈(132)에 수용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상,하 회전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태에서 상기 게이지(1)의 상,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조임부(161)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조절용 축(160)이 조임부(161)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방향으로 돌려 조절용 축(160) 및 조임부(161)를 상,하 회전부(130)에서 해제한다. 그리고 변경하고자 하는 각도에 맞게 상기 상,하 회전부(130)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돌려 게이지(1)의 각도를 설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조절용 축(160)을 상,하 회전부(130)와 승강부(140)의 나선홀(133,141)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조절용 축(160)이 승강부(140)의 나선홀(141)을 통과하여 고정홈(132)으로 노출될 경우, 상기 조임부(161)와 고정홈(132)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조임부(161)가 고정홈(132)에 수용되지 못할 것이므로,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절용 축(160)이 왼쪽에 위치된 상,하 회전부(130)의 나선홀(141)에 잠시 머무르게 하고, 조임부(161)를 고정홈(132)에 삽입한 이후에 조절용 축(160)을 마저 돌려 조임부(161)에 체결되도록 하여 게이지(1)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임부(161) 및 고정홈(132)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조임부(161)는 고정홈(132)과 맞물리게 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며, 상기 고정홈(132)은 조임부(16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각도가 조절된 게이지(1)는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200)는 게이지(1)의 저면에 수직결합되는 게이지 고정부(210)와, 상기 게이지 고정부(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동조작을 통해 상기 게이지(1)의 위치를 조절하는 후렉시블 주름관(230)과,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230)의 일단에 결합되며, 설치면에 부착되는 설치판(240)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게이지 고정부(210)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게이지(1)의 저면에 용접 결합되거나, 상기 게이지(1)의 저면 및 게이지 고정부(210)의 상면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편(미도시)을 구비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0)는 게이지 고정부(210)의 배면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어 상기 게이지(1)를 지지한다.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230)은 사용자의 회동조작을 통해 상기 게이지(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230)을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리면 게이지(1)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230)을 좌,우로 회동시키면 게이지(1)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230)을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어 회동시키면 게이지(1)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게이지(1)를 정확히 관찰하기 위한 위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설치판(240)은 주름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작업장의 설치면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어 게이지(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240)은 연결관(180)을 통해 게이지 고정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100, 200 : 방향 조절장치 110, 210 : 게이지 고정부
111 : 삽입홀 112 : 결합편
120 : 수평 연결부 130 : 상,하 회전부
131 : 개재홈 132 : 고정홈
133, 141 : 나선홀 140 : 승강부 150 : 본체 151 : 위치 조절홈
152 : 고정홀 160 : 조절용 축
161 : 조임부 170 : 높낮이 조절용 레버
180 : 연결관 190 : 게이지 부착부
220 : 지지부 230 : 후렉시블 주름관
240 : 설치판

Claims (5)

  1. 게이지(1)의 방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1)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며 볼팅결합되어 상기 게이지(1)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편(112)이 연장형성된 게이지 고정부(110)와;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평 연결부(120)를 매개로 하여 상기 게이지 고정부(110)의 배면에 수평결합되며, 중앙부분에 개재홈(13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상,하 회전부(130)와;
    상측이 상기 상,하 회전부(130)의 개재홈(131)에 개재되는 승강부(140)와;
    중앙부분에 상기 승강부(14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위치 조절홈(151)이 관통형성되는 본체(150)와;
    상기 상,하 회전부(130)와 승강부(140)에 수평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상,하 회전부(13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조절용 축(160);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50)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위치 조절홈(151)과 연통되는 고정홀(15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52)에는 승강부(14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용 레버(170)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50)에는 연결관(180)을 통해 게이지 고정부(110)와 연결되며, 설치면에 설치되는 게이지 부착부(19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회전부(130)의 개재홈(131) 일측벽에는 다각형 형상의 고정홈(132)과 상기 고정홈(132)과 연통되는 나선홀(133)을 더 형성하며, 상기 승강부(140)에는 상기 개재홈(131)의 나선홀(133)과 연통되는 나선홀(141)을 더 형성하고, 상기 조절용 축(160)의 외주연에는 상기 나선홀(133,141)에 나선결합되는 나사선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용 축(160)의 나사선에는 개재홈(131)의 고정홈(132)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조임부(161)를 체결하여 고정홈(132)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상,하 회전부(130)를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5. 게이지(1)의 방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1)의 저면에 수직결합되는 게이지 고정부(210)와;
    상기 게이지 고정부(210)의 배면에 결합되어 게이지(1)를 지지하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동조작을 통해 상기 게이지(1)의 위치를 조절하는 후렉시블 주름관(230)과;
    상기 후렉시블 주름관(230)의 일단에 결합되며,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판(240);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KR1020110067719A 2011-07-08 2011-07-08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KR10121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19A KR101218800B1 (ko) 2011-07-08 2011-07-08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19A KR101218800B1 (ko) 2011-07-08 2011-07-08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800B1 true KR101218800B1 (ko) 2013-01-04

Family

ID=4784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19A KR101218800B1 (ko) 2011-07-08 2011-07-08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607Y1 (ko) * 1995-09-01 1999-05-01 정형 마그넷 베이스
US6334594B1 (en) 2000-05-12 2002-01-01 Boice Industrial Corp. Adjustable indicator mount
KR200298550Y1 (ko) 2002-09-17 2002-12-20 백태우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80035713A (ko) * 2006-10-20 2008-04-24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차량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607Y1 (ko) * 1995-09-01 1999-05-01 정형 마그넷 베이스
US6334594B1 (en) 2000-05-12 2002-01-01 Boice Industrial Corp. Adjustable indicator mount
KR200298550Y1 (ko) 2002-09-17 2002-12-20 백태우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80035713A (ko) * 2006-10-20 2008-04-24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차량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64358U (zh) 一种支架
KR101218800B1 (ko) 게이지의 방향 조절장치
CN110578862A (zh) 一种水表智能化防护设备
CN111089567A (zh) 一种双轴调节的杆塔倾斜监测传感器固定夹具及安装方法
KR102004897B1 (ko)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CN105066849A (zh) 岩体结构面摩擦角测量装置
CN214425373U (zh) 一种油田钻井节流管汇系统
CN212179888U (zh) 一种三脚架水平检测装置
CN2769845Y (zh) 一种测量仪
CN216556220U (zh) 相机支架
CN210001481U (zh) 一种可调节的塔吊起重机用基座支撑架
CN219806044U (zh) 阀门角度调节设备
CN220322213U (zh) 一种钢丝螺套检测工装
CN107061947B (zh) 激光贴墙仪用挂式定位支撑装置
CN218408757U (zh) 一种闸阀泄漏状态在线监测装置
CN202033069U (zh) 热网加热器液位计可调节支撑装置
CN108680085A (zh) 一种液压机定位销角度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219551570U (zh) 一种可调节检测仪表校验装置
CN214747976U (zh) 一种工程造价现场测绘用测绘仪支撑装置
CN210180587U (zh) 一种方便更换测量管的倾斜式微压计
CN108645510A (zh) 一种高压交流输电线路噪声监测装置
CN212007463U (zh) 一种水表检定用定位夹具
CN210977605U (zh) 一种隧道凝灰岩段落预防变形施工装置
CN210981132U (zh) 一种轴承装配干涉检具
CN210046593U (zh) 一种油量传感器的装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