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079B1 -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079B1
KR101218079B1 KR1020100067289A KR20100067289A KR101218079B1 KR 101218079 B1 KR101218079 B1 KR 101218079B1 KR 1020100067289 A KR1020100067289 A KR 1020100067289A KR 20100067289 A KR20100067289 A KR 20100067289A KR 101218079 B1 KR101218079 B1 KR 10121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connecting portion
hot wa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683A (ko
Inventor
김경섭
김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니
Priority to KR102010006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0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래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는 구조가 복잡하고 동작이 원활하지 못할 뿐 아니라 미세유량을 조절하여 비례제어를 구현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일측에 환수 배관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환수 분배기 접속부가 마련되며, 중앙에 밸브체 접속부가 마련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체 접속부의 내부 하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환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하부의 수나사부가 상기 밸브체의 내부 상부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체를 승강시키는 밸브 스템과;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체 접속부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승을 제한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체 접속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속핀을 통해 상기 밸브 스템과 접속되며, 외주에 피동기어가 마련되는 피동회전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스텝핑 모터와; 상기 스텝핑 모터의 모터축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피동회전체의 피동기어와 접속되는 구동기어;로 구성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의하면 구동기어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 180°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석과 회로기판의 하단에 설치된 이펙트 스위치(Hall Effect Switch)를 통해 난방수 환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밸브의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비례제어형 난방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상품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a water control valve for a room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각 방의 난방코일로부터 보일러 쪽에서 환수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각 방의 난방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도 1과 같이 난방수를 공급하는 보일러(10)와; 상기 보일러로부터의 난방수를 각 방의 난방코일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되는 순환펌프(20)와; 각 방으로부터 보일러(10)로 환수되는 난방수 배관이 연결되는 다수의 환수 지관(31)이 마련된 환수 분배기(30)와; 상기 환수 분배기(30)의 각 환수 지관(31)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40)와; 상기 유량조절밸브(40)에 설치되어 환수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0)와; 상기 온도센서(50)로부터 환수온도를 전송받아 분석한 후 유량조절밸브(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를 구비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에 관계한다.
상기 실내 온수난방장치에 있어서 각 방의 난방코일의 난방수는 유량조절밸브(40)와 환수 지관(31), 환수 분배기(30)를 거쳐 보일러(10)로 환수된다.
또한 유량조절밸브(40)에 설치된 온도센서(50)가 해당 방의 난방수 환수온도를 감지하여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로 송신하고,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가 유량조절밸브(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방의 난방온도를 자동 조절하게 된다.
즉, 유량조절밸브(40)의 개도량(해당 방의 난방수 환수량)을 조절하여 해당 방의 난방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고, 해당 방의 난방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난방환수 밸브(50)를 닫아 난방수의 환수를 막아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는 회로기판(PCB)의 제어회로를 통해 구동모터를 작동하고, 구동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형태의 것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는 구조가 복잡하고 동작이 원활하지 못할 뿐 아니라 미세유량을 조절하여 비례제어를 구현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밸브의 개폐량 및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난방수의 미세 유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각 방의 난방코일로부터 보일러 쪽에서 환수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방의 난방온도를 더욱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는 일측에 환수 배관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환수 분배기 접속부가 마련되며, 중앙에 밸브체 접속부가 마련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체 접속부의 내부 하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환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하부의 수나사부가 상기 밸브체의 내부 상부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피동회전체 및 링형 지지블록에 삽입 설치되며,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체를 승강시키는 밸브 스템과;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체 접속부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승을 제한하는 링형 지지블록과;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체 접속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피동회전체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어 하부가 밸브 스템의 내부 상부에 삽입되는 접속핀을 통해 상기 밸브 스템과 접속되고, 밸브 스템의 상단 외주 양측에 마련된 면취부와 대응되는 면취부가 마련되어 밸브 스템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외주에 피동기어가 마련되는 피동회전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스텝핑 모터와; 상기 스텝핑 모터의 모터축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피동회전체의 피동기어와 접속되는 구동기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피동회전체는 상기 밸브 스템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밸브 스템에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싱의 내부 하단과 피동지지체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단에 마련된 핸들 접속부에 수동 핸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 한 쌍의 자석이 180°간격으로 설치되고, 케이싱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하단에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홀 이펙트 스위치(Hall Effect Switch)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밸브체의 상단 양측에 가이드핀이 돌출 설치되고, 지지블록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의하면 구동기어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 180°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석과 회로기판의 하단에 설치된 이펙트 스위치(Hall Effect Switch)를 통해 난방수 환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밸브의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비례제어형 난방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상품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설치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동 실시예의 밸브 닫힘 상태의 종단면도
도 4b는 동 실시예의 밸브 열림 상태의 종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설치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동 실시예의 밸브 닫힘상태의 종단면도 및 밸브 열림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b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40)는
일측에 환수 배관 접속부(411)가 마련되고, 타측에 환수 분배기 접속부(412)가 마련되며, 중앙에 밸브체 접속부(413)가 마련되는 밸브 본체(410)와;
상기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내부 하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환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420)와;
하부의 수나사부(431)가 상기 밸브체(420)의 내부 상부의 암나사부(423)에 나사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체(420)를 승강시키는 밸브 스템(430)과;
상기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430)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밸브체(420)의 상승을 제한하는 링형의 지지블록(440)과;
상기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450)과;
상기 케이싱(4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속핀(461)을 통해 상기 밸브 스템(430)과 접속되며, 외주에 피동기어(462)가 마련되는 피동회전체(460)와;
상기 케이싱(45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스텝핑 모터(470)와;
상기 스텝핑 모터(470)의 모터축(47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피동회전체(460)의 피동기어(462)와 접속되는 구동기어(480);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동회전체(460)는 상기 밸브 스템(43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스프링(463)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단에 마련된 핸들 접속부(464)에 수동 핸들(490)이 설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기어(480)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는 한 쌍의 자석(481)이 180°간격으로 설치되고, 케이싱(45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회로기판(510)의 하단에는 상기 자석(481)과 대응되는 홀 이펙트 스위치(511; Hall Effect Switch)가 설치되어 밸브의 개폐량 및 밸브체(420)의 최대 상승위치와 최대 하강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밸브체(420)의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핀(422)이 돌출 설치되고, 지지블록(44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핀(422)이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구멍(44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링형의 지지블록(440)은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밸브 스템(430)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밸브 스템(430)의 하단부에는 수나사부(431)가 마련되며, 밸브체(420)의 내부에는 상기 수나사부(431)와 결합되는 암나사부(423)가 마련된다.
따라서 밸브 스템(430)이 제자리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수나사(431)와 결합된 암나사부(423)가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밸브체(420)가 승강하게 되며, 상기 밸브체(42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밸브체(420)의 상단이 지지블록(440)의 하단에 닿게 되면 밸브체(420)가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밸브 스템(430)은 피동회전체(460)의 내부 하부에 삽입 설치되며, 피동회전체(46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접속핀(461)의 하부가 밸브 스템(430)의 내부 상부에 삽입되어 피동회전체(460)와 밸브 스템(430)을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 스템(430)의 상단 외주 양측에는 면취부가 마련되고, 피동 회전체(460)의 내부에도 그와 대응되는 면취부가 마련되어 피동회전체(460)와 밸브 스템(43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피동지지체(460)는 밸브 스템(430)에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싱(450)의 내부 하단과 피동지지체(46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63)을 통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40)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4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온도센서(50)에서 감지한 난방수 환수온도가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로 송신되고,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의 작동신호에 따라 스텝핑 모터(470)가 작동되어 밸브체(420)가 승강됨으로써 유로의 개방면적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난방수 환수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게 되면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는 스텝핑 모터(4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체(420)를 상승시킴으로써 유로의 개방면적을 크게 하고, 난방수 환수온도와 설정온도가 같아지게 되면 스텝핑 모터(47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체(420)를 하강시킴으로써 유로를 밀폐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40)에 있어서 난방자동 온도조절기(60)의 작동신호에 따라 스텝핑 모터(470)의 모터축(471) 및 그에 결합된 구동기어(480)가 일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피동기어(462)를 통해 구동기어(480)에 접속된 종동회전체(460) 및 접속핀(461)을 통해 종동회전체(460)에 접속된 밸브 스템(430)이 타방향(예를 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밸브 스템(43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밸브체(420)가 풀어지면서 하강하게 되어 유로의 개방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스텝핑 모터(470)의 모터축(471) 및 그에 결합된 구동기어(480)가 타방향(예를 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피동기어(462)를 통해 구동기어(480)에 접속된 종동회전체(460) 및 접속핀(461)을 통해 종동회전체(460)에 접속된 밸브 스템(430)이 타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밸브 스템(43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밸브체(420)가 조여지면서 상승하게 되어 유로의 개방면적이 커지게 된다.
상기에서 밸브체(420)는 도 4a와 같이 그의 외주 하부에 설치된 밀폐링(421)이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내부 하부에 마련된 받침 단턱(414)에 닿아 유로가 완전 밀폐될 때까지 하강될 수 있게 되며, 도 4b와 같이 그의 상단면이 지지블록(440)의 하단면에 닿아 유로가 완전 개방될 때까지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체(420)의 최대 상승위치(유로 완전 개방) 및 밸브체(420)의 최대 하강위치(유로 완전 밀폐)는 구동기어(480)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 180°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석(481)과 회로기판(510)의 이펙트 스위치(511; Hall Effect Switch)를 통해 감지되고, 밸브체(420)의 최대 상승위치 및 최대 하강위치에서는 회로기판(510)의 제어회로에서 스텝핑 모터(47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40)에 있어서는 수동 핸들(490)을 통해서도 밸브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40)에 있어서 수동 핸들(490)을 누르게 되면 수동 핸들(490)의 하단부가 코일스프링(46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피동회전체(460)를 하부로 누르게 되어 피동회전체(460)가 하강하게 되면서 피동회전체(460)의 피동기어(462)가 구동기어(480)에서 이탈되며, 이처럼 수동 핸들(490)을 눌러 피동기어(462)와 구동기어(480)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동 핸들(490)을 통해 피동회전체(460)와 밸브 스템(430)을 회전시키게 되면 밸브체(420)를 승강시켜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는 구동기어(480)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 180°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석(481)과 회로기판(510)의 하단에 설치된 이펙트 스위치(511; Hall Effect Switch)를 통해 밸브의 개폐량을 감지하여 난방수 환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밸브의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비례제어형 난방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보일러
20 : 순환펌프
30 : 환수 분배기
40 : 유량조절밸브
50 : 온도센서
60 : 난방자동 온도조절기
410 : 밸브 본체
411 : 환수 배관 접속부
412 : 환수 분배기 접속부
413 : 밸브체 접속부
420 : 밸브체
421 : 밀폐링
422 : 가이드핀
423 : 암나사부
430 : 밸브 스템
431 : 수나사부
440 : 지지블록
442 : 가이드 구멍
450 : 케이싱
460 : 피동회전체
461 : 접속핀
462 : 피동기어
463 : 코일스프링
464 : 핸들 접속부
470 : 스텝핑 모터
471 : 모터축
480 : 구동기어
481 : 자석
490 : 수동 핸들
510 : 회로기판
511 : 홀 이펙트 스위치

Claims (4)

  1. 일측에 환수 배관 접속부(411)가 마련되고, 타측에 환수 분배기 접속부(412)가 마련되며, 중앙에 밸브체 접속부(413)가 마련되는 밸브 본체(410)와;
    상기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내부 하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환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420)와;
    하부의 수나사부(431)가 상기 밸브체(420)의 내부 상부의 암나사부(423)에 나사 결합되고, 피동회전체(460) 및 링형 지지블록(440)에 삽입 설치되며,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체(420)를 승강시키는 밸브 스템(430)과;
    상기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밸브 스템(430)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밸브체(420)의 상승을 제한하는 링형 지지블록(440)과;
    상기 밸브 본체(410)의 밸브체 접속부(4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450)과;
    상기 케이싱(450)의 내부에 설치되며, 피동회전체(46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어 하부가 밸브 스템(430)의 내부 상부에 삽입되는 접속핀(461)을 통해 상기 밸브 스템(430)과 접속되고, 밸브 스템(430)의 상단 외주 양측에 마련된 면취부와 대응되는 면취부가 마련되어 밸브 스템(43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외주에 피동기어(462)가 마련되는 피동회전체(460)와;
    상기 케이싱(45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스텝핑 모터(470)와;
    상기 스텝핑 모터(470)의 모터축(47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피동회전체(460)의 피동기어(462)와 접속되는 구동기어(4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회전체(460)는 상기 밸브 스템(43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밸브 스템(430)에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싱(450)의 내부 하단과 피동지지체(46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63)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단에 마련된 핸들 접속부(464)에 수동 핸들(49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480)의 상단의 회전 중심 양측에 한 쌍의 자석(481)이 180°간격으로 설치되고, 케이싱(45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회로기판(510)의 하단에 상기 자석(481)과 대응되는 홀 이펙트 스위치(511; Hall Effect Switch)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420)의 상단 양측에 가이드핀(421)이 돌출 설치되고, 지지블록(440)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핀(421)이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구멍(4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KR1020100067289A 2010-07-13 2010-07-13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KR10121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89A KR101218079B1 (ko) 2010-07-13 2010-07-13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89A KR101218079B1 (ko) 2010-07-13 2010-07-13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83A KR20120006683A (ko) 2012-01-19
KR101218079B1 true KR101218079B1 (ko) 2013-01-03

Family

ID=4561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289A KR101218079B1 (ko) 2010-07-13 2010-07-13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410A (ko) * 2018-06-27 2020-01-06 명성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3방향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96Y1 (ko) * 2012-06-07 2014-02-10 정동진 난방용 온수 분배기의 밸브 개폐장치
KR101395841B1 (ko) * 2012-11-20 2014-05-27 주식회사 다에스 난방배관용 유량조절밸브
KR101663070B1 (ko) * 2015-01-09 2016-10-06 (주)상신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DE102018108562A1 (de) * 2018-04-11 2019-10-17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Stellantrieb, Heizkreisverteiler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Stellantriebes in einem solchen Heizkreisvertei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763A (en) * 1954-10-12 1959-06-23 Edward H Lang Diaphragm valve
KR950004641Y1 (ko) * 1993-06-18 1995-06-12 송택번 보일러용 온수 분배장치의 온도 조절 밸브
JPH07167342A (ja) * 1993-12-17 1995-07-04 Nec Yamagata Ltd 真空バルブ
JP2003307307A (ja) * 2002-04-16 2003-10-31 Noritz Corp 気体流量制御弁及びこの気体流量制御弁付き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763A (en) * 1954-10-12 1959-06-23 Edward H Lang Diaphragm valve
KR950004641Y1 (ko) * 1993-06-18 1995-06-12 송택번 보일러용 온수 분배장치의 온도 조절 밸브
JPH07167342A (ja) * 1993-12-17 1995-07-04 Nec Yamagata Ltd 真空バルブ
JP2003307307A (ja) * 2002-04-16 2003-10-31 Noritz Corp 気体流量制御弁及びこの気体流量制御弁付き燃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410A (ko) * 2018-06-27 2020-01-06 명성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3방향 밸브
KR102179514B1 (ko) * 2018-06-27 2020-11-17 명성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로터리식 3방향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83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079B1 (ko)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KR101847868B1 (ko) 밸브 구동장치
KR101713132B1 (ko) 유량 및 온도감지식 난방제어밸브
KR20170138002A (ko) 밸브 구동장치
KR101365463B1 (ko) 유량조절 기능이 탑재된 난방용 자동 조절 밸브
CN201672121U (zh) 一种新型温控阀
KR20180029312A (ko) 미세유량조절밸브
KR101218084B1 (ko)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KR100914678B1 (ko) 밸브 구동 장치
CN104100731A (zh) 一种恒温出水阀
KR102053032B1 (ko) 밸브 구동 장치
CN206206745U (zh) 温控阀之弹性抵押装置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101218080B1 (ko)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의 밀폐링 고착 방지 방법
KR102053031B1 (ko) 밸브 구동 장치
KR100912670B1 (ko) 온수조절밸브의 컨트롤장치 및 그 컨트롤장치가 구비된자동 제어 난방시스템
KR20110092727A (ko) 유량 조절 밸브
KR101140370B1 (ko)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KR200280557Y1 (ko) 보일러 온수자동공급시스템용 자동밸브
KR100668236B1 (ko) 유량조절구조를 갖는 온수분배기용 밸브
KR200376936Y1 (ko) 유량조절구조를 갖는 온수분배기용 밸브
KR20070023198A (ko) 난방용 유량제어밸브
KR101146680B1 (ko) 온수분배기용 밸브
KR101208313B1 (ko) 전동제어용 밸브
KR101102063B1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