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312A - 미세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미세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312A
KR20180029312A KR1020160116989A KR20160116989A KR20180029312A KR 20180029312 A KR20180029312 A KR 20180029312A KR 1020160116989 A KR1020160116989 A KR 1020160116989A KR 20160116989 A KR20160116989 A KR 20160116989A KR 20180029312 A KR20180029312 A KR 2018002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flow rate
control valve
port
sta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봉
Original Assignee
(주)모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시스템 filed Critical (주)모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1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312A/ko
Publication of KR2018002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세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닛; 및 상기 보닛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고,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며, 최하단의 바깥지름은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스템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유량조절밸브{Flow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미세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세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실내난방은 방바닥에 매설된 난방용 배관을 따라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온수보일러의 온수 출구와 환수 입구에는 각 방으로 연결된 난방용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온수분배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분배기에는 각 방으로 연결된 난방용 배관으로 온수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밸브들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0738973호에는 유량의 급격한 변화 없이 비례적으로 유량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미세유량조절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세유량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밸브 몸체(1)의 양측으로 유입구(2)와 유출구(3)를 구성하고, 그 중간에 상기 유입구(2)와 유출구(3)를 연결하는 출구(4)가 형성된 밸브시트(S)를 구성하며, 상부에 형성된 핸들(6)의 상측으로는 유량조절다이얼(9)을 구성하고, 핸들(6)의 조작에 따라 피스톤(7)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샤프트(8)를 상기 밸브 몸체(1) 내부에 구성하되, 상기 샤프트(8)의 하면으로는 샤프트(8)가 삽입되는 관통공(11)과 결합단부(12)와 유량조절홈(13)을 형성한 밸브게이트(10)와 상기 결합단부(12)에 결합되는 패킹(21)과 플레이트(22)로 구성된 개폐구(20)가 결합되고, 상기 유량조절홈의 최상단이 패킹에 맞닿는 면까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승강 작동에 따라 유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 및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여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세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닛; 및 상기 보닛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고,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며, 최하단의 바깥지름은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스템플러그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템플러그는,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보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기 위한 나사결합부가 형성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상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바깥지름이 점점 작아져 최하단의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단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단부의 외측에는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는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큰 시일링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상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보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템플러그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스템플러그의 상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는 최대 유량을 제한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세유량조절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량조절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량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량조절밸브의 평면도.
본 발명은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세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량조절밸브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0), 보닛(200) 및 스템플러그(300)로 이루어진다.
밸브바디(100)에는 도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연결구(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0)는 상부가 개방형성되고, 내측에 보닛(20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s1)가 형성된다.
보닛(200)은 밸브바디(10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고, 내측에 스템플러그(3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보닛(200)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측에 밸브바디(10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결합부(s2)가 형성되며, 내측에 스템플러그(30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결합부(s3)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닛(200)의 내측 상부에는 스냅링(220)이 삽입되는 고정홈(210)이 형성되고, 고정홈(210)에는 스냅링(220)이 삽입되어 스템플러그(300)의 상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그리고 보닛(200)의 상부에는 표시부(230)가 결합된다. 표시부(230)는 스템플러그(300)의 회전량을 표시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30)에는 스템플러그(300)의 상단부(310)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숫자가 표시되어 있어서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때 표시부(230)에 표시된 숫자를 통해 스템플러그(300)의 회전량 및 이에 따른 연결구(130)의 개폐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스템플러그(300)는 보닛(20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연결구(130)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스템플러그(300)는 종래의 미세유량조절밸브의 샤프트(8, 스템)와 개폐구(10, 플러그)가 일체화된 구성으로, 상단부(310), 중단부(320) 및 하단부(330)로 구분할 수 있다.
상단부(310)는 중단부(320)의 상부에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단부(310)의 상부에는 조절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홈(311)에 (-)스크류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스템플러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닛(200)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템플러그(300)가 상하로 이동하여 연결구(130)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홈(311)을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하여 표시부(230)를 통해 스템플러그(300)의 회전량을 확인하면서 연결구(130)를 통과하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중단부(320)는 바깥지름이 연결구(130)의 안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측에 보닛(2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기 위한 나사결합부(s4)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부(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바깥지름이 점점 작아져 최하단의 바깥지름이 연결구(130)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330)의 외측에는 링홈(331)이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홈(331)에는 바같지름이 연결구(130)의 안지름보다 큰 시일링(332)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템플러그(300)의 하강시에 하단부(330)가 연결구(130)에 삽입되면서 시일링(332)에 의해 연결구(130)가 완전히 차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템플러그(300)는 보닛(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스냅링(220)에 의해 상방향 이동이 저지되어 연결구(130)를 통과하는 최대 유량이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세유량조절밸브는 크게 밸브바디(100), 보닛(200), 및 스템플러그(300) 세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의 주요 구성 외에 스냅링(220), 표시부(230), 시일링(332) 등의 부가적인 구성이 포함될 수 있고, 서로 결합되는 밸브바디(100), 보닛(200) 및 스템플러그(300)의 사이에는 연결구(130)를 통과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오링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량제어밸브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밸브바디,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연결구,
200 : 보닛, 210 : 고정홈, 220 : 스냅링, 230 : 표시부,
300 : 스템플러그,
310 : 상단부, 311 : 조절홈,
320 : 중단부,
330 : 하단부, 331 : 링홈, 332 : 시일링,

Claims (5)

  1.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닛; 및
    상기 보닛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고,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며, 최하단의 바깥지름은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스템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조절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템플러그는,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보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기 위한 나사결합부가 형성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상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바깥지름이 점점 작아져 최하단의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조절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외측에는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는 바깥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안지름보다 큰 시일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조절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보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템플러그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조절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템플러그의 상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는 최대 유량을 제한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조절밸브.
KR1020160116989A 2016-09-12 2016-09-12 미세유량조절밸브 KR20180029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89A KR20180029312A (ko) 2016-09-12 2016-09-12 미세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89A KR20180029312A (ko) 2016-09-12 2016-09-12 미세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12A true KR20180029312A (ko) 2018-03-21

Family

ID=6190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89A KR20180029312A (ko) 2016-09-12 2016-09-12 미세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3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17B1 (ko) * 2018-04-25 2019-04-26 주식회사 신동테크 유량조절밸브
KR102076315B1 (ko) * 2019-01-22 2020-03-02 이수인(주) 버튼형 샤워기
KR102363334B1 (ko) * 2020-11-25 2022-02-15 디에스이앤 주식회사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급탕 분배기
KR20230060047A (ko) * 2021-10-27 2023-05-04 (주)알레스테크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17B1 (ko) * 2018-04-25 2019-04-26 주식회사 신동테크 유량조절밸브
KR102076315B1 (ko) * 2019-01-22 2020-03-02 이수인(주) 버튼형 샤워기
KR102363334B1 (ko) * 2020-11-25 2022-02-15 디에스이앤 주식회사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급탕 분배기
KR20230060047A (ko) * 2021-10-27 2023-05-04 (주)알레스테크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9312A (ko) 미세유량조절밸브
US6237622B1 (en) Flow diverter assembly
US9720426B2 (en) Single-handle dual-control thermostatic valve and single-handle dual-control thermostatic faucet
CN1626859A (zh) 双手柄过流阀
CN207246484U (zh) 一种便于调节水温的混水阀
RU2647949C2 (ru) Саморегулируемая заглушка клапана
CN103968090A (zh) 蝶-闸式节流阀
KR101599821B1 (ko) 조립식 3방 유량제어밸브
CA2568706C (en) Wafer-type direct-acting valve
EP2696120B1 (en) Pneumatic control valv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109630688A (zh) 一种燃气阀和燃气具
CN106609864A (zh) 双把同轴温控阀芯
KR101156605B1 (ko) 밸브 스템의 리프트 길이를 최적화한 게이트 밸브
KR100922006B1 (ko) 차단 밸브 기능이 구비된 유량조절밸브
US20140151588A1 (en) Adjustable gas electromagnetic valve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CN103075544B (zh) 防烫恒温水龙头
CN105987195A (zh) 套管式直型阀门
US20100044610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utlets of a fluid distributor valve
KR101049962B1 (ko) 복합밸브
US9371936B2 (en) Balanced globe valve assembly
KR101636353B1 (ko) 조립식 3방 유량제어밸브
CN213451763U (zh) 一种可限位式y型隔膜阀
KR200448694Y1 (ko) 복합 정유량 밸브
KR101035561B1 (ko) 개폐밸브 기능을 일체로 갖는 유량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