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709B1 -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709B1
KR101216709B1 KR1020110008111A KR20110008111A KR101216709B1 KR 101216709 B1 KR101216709 B1 KR 101216709B1 KR 1020110008111 A KR1020110008111 A KR 1020110008111A KR 20110008111 A KR20110008111 A KR 20110008111A KR 101216709 B1 KR101216709 B1 KR 10121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high power
protection detector
neu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826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7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35Moderator- or coolant-level detec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로의 수위를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하여 수위지시기의 오류여부를 판단하고 정확한 수위를 예측하는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노심의 수위지시기의 지시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b)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추정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e) 추정수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LIQUID ZONE CONTROL LEVEL ASSESSMENT METHOD USING RESPONSE OF NEUTRON OVERPOWER PROTECTION DETECTOR}
본 발명은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로의 수위를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하여 수위지시기의 오류여부를 판단하고 정확한 수위를 예측하는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 발전소에서 액체영역제어계통은 출력편차에 따라 전체출력 제어 및 공간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월성 2호기의 액체영역제어계통에서 1998년부터 연료교체로 상부 외곽 영역의 수위가 전체 수위의 80%이상 증가되면 원자로 출력조절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원자로의 수위지시기를 이용한 수위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액체영역제어계통의 좁은 유로를 타고 중수가 액체영역제어기에 유입되어야 하나 액체영역제어계통에 존재하는 지지판과 압축된 헬륨이 공기 막을 형성하고 충수를 방해하여 액체영역제어계통의 수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헬륨의 부피만큼 실제로 액체영역제어계통에 존재하는 수위보다 높은 수위가 수위지시기에 표시되어 배수는 일정하나 유입되는 중수가 지지판 위치에서 상승되는 헬륨 공기 막과 하강되는 경수 물의 압력정체에 의해 경수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원자로 내부에 중성자흡수체가 없어져 노심출력은 계속 증가되었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지지판과 경수와 헬륨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내부 구멍을 확장하여 설계변경하여 설비를 교체하는 것이 해결책이나, 교체시 고방사선의 문제 및 작업기간 과도로 전력의 기회비용 발생으로 약 200억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개선보다는 이러한 수위측정시 발생하는 오류여부를 판단하고 정확한 수위를 추정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정확한 노심의 수위지시기를 보완하기위하여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하여 수위를 추정하는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노심의 수위지시기의 지시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b)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추정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e) 추정수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수위 변화에 민감한 제어검출기 위치와 인접한 중성자고출력 보호 검출기를 선정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연료교체후 전출력운전시간마다 소정의 수치만큼 수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추정수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하여 수위지시기의 수위오류여부를 판단하고 수위지시기 없이도 정확한 수위를 예측할 수 있어 후속대책을 수립하고 정상화하여 원자로 정지를 예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에서 수위평가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노심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의 흐름도.
도 4 는 비정상적인 액체영역제어계통의 수위 그래프.
도 5 는 액체영역제어계통에 이상현상이 발생한 경우의 수위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영역제어계통의 그래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에서 수위평가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를 위해서는 노심(10) 및 수위평가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노심(10)은 액체영역제어계통(11), 제어검출기(13),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 및 수위지시기(17)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액체영역제어계통(11)은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원자로 출력이 증가하면 출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액체영역제어계통(11)의 수위는 증가한다.
상기 제어검출기(13)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심(10)안에 위치하여 노심(10)의 출력 상승 또는 감소 현상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는 노심(10)안에 위치하여 노심(10)의 이상현상으로 노심(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는 제어검출기(13)보다 출력을 높게 설정된다.
상기 수위평가장치(100)는 수위지시기(17)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110), 제어검출기(13) 및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의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20), 상기 수위지시기(17)의 수위, 제어검출기(13)의 신호 및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의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0), 상기 제어검출기(13) 및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의 신호로 수위측정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수위를 추정하는 판단부(140) 및 판단부(140)에서 판단한 오류여부 및 추정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의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심(10)의 수위지시기(17)의 지시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S10),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 제어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추정수위를 계산하는 단계(S40), 추정수위를 표시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S10 내지 S50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수위평가장치(100)의 측정부(110)는 노심(10)의 수위지시기(17)의 지시 수위를 측정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S10). 수위평가장치(100)의 송수신부(120)는 노심(10)의 제어검출기(13)의 신호를 수신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S20). 또한, 수위평가장치(100)의 송수신부(120)는 노심(10)의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의 신호를 수신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S30). 수위평가장치(100)의 수위평가장치(100)의 판단부(140)는 추정수위를 계산한다(S40). 수위평가장치(100)의 표시부(150)는 상기 판단부(140)에서 판단한 추정수위를 표시한다(S50).
상기 S4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는 비정상적인 액체영역제어계통(11)의 수위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적인 액체영역은 연료교체로 인해 수위가 상승되어도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감소해야하지만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도 5 와 같이 이상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원자로 상부외곽영역에서 액체영역제어계통(11) 압축기 기동에 의해 헬륨지역 압력이 변동됨으로 수위 사이클링이 있었고, 순간적인 급락이 있었다. 이러한 수위 이상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모르고 수위지시기(17)만을 신뢰하여 연료교체를 수행하여 연속출력감발이 약 93%까지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도 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영역제어계통(11)의 그래프로서, 제어검출기의 출력,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15)의 출력, 수위지시기(17)의 지시수위 및 본 발명에 의한 추정수위를 나타낸다. 상기 판단부(140)는 기존에 정상적으로 액체영역제어계통(11)이 작동하였을때 측정한 중성자고출력 보호 검출기의 자료를 바탕으로하여, 연료교체완료 직후의 전체수위에서 전출력 운전시간(FPH)마다 연료의 상태와 원자로의 상황을 고려하여 0.30%내지 1%씩 수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수위를 판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연료교체완료 직후의 전체수위에서 전출력운전시간마다 연료의 상태와 원자로의 상황을 고려하여 0.58%씩 수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수위를 판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노심 11 : 액체영역제어계통
13 : 제어검출기 15 :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17 : 수위지시기 100 : 수위평가장치
110 : 측정부 120 : 송수신부
130 : 메모리부 140 : 판단부
150 : 표시부

Claims (3)

  1. (a) 수위평가장치의 측정부가 노심의 수위지시기의 지시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b) 수위평가장치의 송수신부가 노심의 중성자고출력 제어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수위평가장치의 송수신부가 노심의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수위평가장치의 판단부가 추정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e) 수위평가장치의 표시부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추정수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연료교체후 전출력운전시간마다 소정의 수치만큼 수위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추정수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노심안에 위치한 제어검출기와 중성자고출력 보호 검출기를 선정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3. 삭제
KR1020110008111A 2011-01-27 2011-01-27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KR10121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111A KR101216709B1 (ko) 2011-01-27 2011-01-27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111A KR101216709B1 (ko) 2011-01-27 2011-01-27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26A KR20120086826A (ko) 2012-08-06
KR101216709B1 true KR101216709B1 (ko) 2012-12-28

Family

ID=4687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111A KR101216709B1 (ko) 2011-01-27 2011-01-27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1094A (zh) * 2017-02-28 2018-09-07 国核华清(北京)核电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反应堆堆芯液位和空泡的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727A (ja) 2008-03-27 2009-10-15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沸騰水型原子炉の炉心性能計算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727A (ja) 2008-03-27 2009-10-15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沸騰水型原子炉の炉心性能計算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26A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0342B1 (en) Leakage detection system in a wind turbine
US20120324985A1 (en) Fluid leak detection system
KR101837249B1 (ko) 필터의 교환 시기의 예측 기능을 갖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CN103698236A (zh) 一种用于核电厂管道的疲劳寿命估算方法
JP5677274B2 (ja) 原子炉水位計測システム
US20140305201A1 (en) Electronic liquid level sensing device and gauge for liquid-immersed power transformers, reactors and similar equipment
US20090180514A1 (en) Transformer and a method of monitoring an operation property of the transformer
CN105070332A (zh) 核电站防主蒸汽管道泄漏的监测系统
US114151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cavitation
JP4753244B2 (ja) 水素貯蔵容器への水素充填方法および水素充填監視装置
KR101216709B1 (ko) 중성자고출력 보호검출기를 이용한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평가방법
JP6471035B2 (ja) 漏水発生位置推定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149829A (ja) 漏洩検知装置
CA3075134A1 (en) Tank volume monitoring using sensed fluid pressure
JP5815100B2 (ja) 原子炉水位計測システム
KR20160015694A (ko) 3차원 변위측정장치에 연계된 배관 수명관리시스템
JP5950834B2 (ja) 異常計測器判定システム
GB25309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e state of a spent-fuel facility
JP2014084774A (ja) エンジン発電機
JP5431143B2 (ja) 放射線計測装置
US20200370285A1 (en) State analysis device, state 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527737B2 (en) Dose calculation device, dose calculation method, and measurement device with dose calculation function
WO2014091954A1 (ja) 液体漏洩検知装置、液体漏洩検知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11402247B2 (en) Gas meter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grid pressure from pressure regulator
JP6247615B2 (ja) 漏洩監視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