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684B1 -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684B1
KR101216684B1 KR1020110012964A KR20110012964A KR101216684B1 KR 101216684 B1 KR101216684 B1 KR 101216684B1 KR 1020110012964 A KR1020110012964 A KR 1020110012964A KR 20110012964 A KR20110012964 A KR 20110012964A KR 101216684 B1 KR101216684 B1 KR 10121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image
light
laser
scan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990A (ko
Inventor
백승웅
나종상
최준호
고승용
김동욱
황용연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1001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3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 B23K26/032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us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B41J2/44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using la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7Marks, e.g. trade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특정 파장대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어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하는 컬러 필터; 컬러 필터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과한 마킹 이미지 영상의 스캔헤드의 F-θ 렌즈에 의해 발생된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옵티컬 렌즈;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동축 조명; 및 옵티컬 렌즈를 통과한 마킹 대상물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Marking image leading device and reading method of laser marking system}
본 발명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킹 대상물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여 분석하기 위한 리딩용 비전(Vision)을 통해 특정 패턴의 마킹 후 마킹 대상물 상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를 리딩용 비전을 통해 자동으로 촬상하여 마킹 품질의 불량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웨이퍼나 패키징, 자동차, 철강, 프라스틱 및 목재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임의의 마킹 대상물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증발시키거나 연소시킴으로써 제품생산번호, 모델명, 문자 또는 패턴 등을 마킹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는 레이저 소스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이 스캔헤드의 X미러 및 Y미러와 F-θ 렌즈를 거쳐 임의의 마킹 대상물에 조사됨으로써 임의의 마킹 대상물에 제품생산번호, 모델명, 문자 또는 패턴 등이 마킹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구성에서 스캔헤드는 마킹 대상물 표면의 특정한 영역을 마킹하기 위해 기 설정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엑스(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X미러와 와이(Y)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Y미러를 구동하여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 표면에 조사하여 마킹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기구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레이저 빔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레이저 소스, 레이저 소스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빔 미러, 빔 미러에 의해 정렬된 레이저 빔의 경로를 일정비율로 반사하거나 투과시켜 분기시키는 빔 스플리터 및 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기된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에 조사하는 스캔헤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는 마킹 대상물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레이저 마킹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비된 리딩장치를 통해 마킹 대상물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를 리딩하여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처럼 레이저 마킹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비된 리딩장치를 통해 리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적지 않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과는 별도로 구비된 리딩장치를 통해 마킹 대상물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를 리딩하여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 다음 생산라인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적용된 판단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마킹 품질이 불량인 것을 알기 전까지는 마킹 품질이 불량인 체로 제품의 생산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 품질의 불량 발생시 라인의 장비를 자동으로 정지시켜 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 이미지의 리딩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는 마킹 대상물 상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에 있어서, 특정 파장대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어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하는 컬러 필터; 컬러 필터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과한 마킹 이미지 영상의 스캔헤드의 F-θ 렌즈에 의해 발생된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옵티컬 렌즈;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동축 조명; 및 옵티컬 렌즈를 통과한 마킹 대상물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으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스캔헤드 전단에 구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동축 조명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은 450~900nm 파장의 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빔 스플리터는 스캔헤드로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레이저 빔은 투과시키되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은 컬러 필터로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방법적인 특징은 특정 파장대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어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하는 컬러 필터, 컬러 필터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과한 마킹 이미지 영상의 스캔헤드의 F-θ 렌즈에 의해 발생된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옵티컬 렌즈,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동축 조명 및 옵티컬 렌즈를 통과한 마킹 대상물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가 구비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어지되, (a) 동축 조명을 통해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동축 조명의 광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의 동축 조명에 노출된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의 F-θ 렌즈를 통해 피드백되어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단계; (c) 단계(b) 과정의 갈바노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마킹 이미지 영상을 빔 스플리터를 통해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단계; (d) 단계(c) 과정의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컬러 필터를 통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을 축출하여 투과시키는 단계; (e) 단계(d) 과정의 컬러 필터를 통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이 축출되어 투과된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해 조절하는 단계; (f) 단계(e) 과정의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에 의해 광량이 조절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옵티컬 렌즈를 통해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단계; 및 (g) 단계(f) 과정의 옵티컬 렌즈에 의해 구면수차가 보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비전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적인 구성에서 단계(a) 과정의 동축 조명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은 450~900nm 파장의 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적인 구성에서 빔 스플리터는 스캔헤드로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레이저 빔은 투과시키되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은 컬러 필터로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특정 패턴의 마킹 후 이어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의 불량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특정 패턴의 마킹 후 이어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 품질의 불량 발생시 라인의 장비를 즉시 정지시켜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에서 특정 패턴의 마킹 후 이어서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마킹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 이미지의 리딩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줄일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가 구성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통한 마킹 이미지의 촬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통한 마킹 이미지 촬상의 흐름을 보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가 구성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통한 마킹 이미지의 촬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설명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는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익스펜더(140)와 스캔헤드(150) 사이의 스캔헤드(150)의 전단에 설치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익스펜더(140)와 스캔헤드(150) 사이의 스캔헤드(150)의 전단에 설치되는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는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여 마킹 위치 및 마킹 품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마킹 대상물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의 구성은 특정 파장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210), 빔 스플리터(210)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하는 컬러 필터(220), 컬러 필터(220)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을 통과한 마킹 이미지 영상의 F-θ 렌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된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옵티컬 렌즈(240), 마킹 대상물(10)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동축 조명(250) 및 옵티컬 렌즈(240)를 통과한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2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빔 스플리터(210)는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반사되는 마킹 이미지 영상을 컬러 필터(220)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빔 스플리터(21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파장대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스캔헤드(150)의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컬러 필터(220)로 반사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빔 스플리터(210)는 후술하는 동축 조명(250)으로부터 출사되는 450~90nm 파장의 광을 컬러 필터(220)로 반사시켜 마킹 이미지 영상의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빔 스플리터(210)는 빔 익스펜더(140)로부터 스캔헤드(150)로 경유하는 레이저 빔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은 투과시키되 스캔헤드(150)의 갈바노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은 컬러 필터(220)로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빔 스플리터(210)는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되는 350~410nm 파장의 레이저 빔은 스캔헤드(150)로 투과시키고, 동축 조명(250)으로부터 출사되는 450~900nm 파장의 광은 컬러 필터(220)로 반사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컬러 필터(220)는 특정 파장대의 광만이 출출되어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컬러 필터(22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스플리터(210)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한다.
다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빔 스플리터(210)의 구성이 동축 조명(250)으로부터 출사되는 450~900nm 파장의 광을 컬러 필터(220)로 반사키기 때문에 컬러 필터(220)는 450~900nm 파장의 광만을 축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은 컬러 필터(220)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필터(220)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비전 카메라(160)에 의해 촬상되는 마킹 이미지 영상이 선명하게 촬상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옵티컬 렌즈(240)는 마킹 이미지 영상의 구면수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옵티컬 렌즈(24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에 의해 광량이 조절된 마킹 이미지 영상의 구면수차를 보상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구면수차는 마킹 대상물(10)로부터 피드백된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150)의 F-θ 렌즈를 경유하게 되면 마킹 이미지 영상은 스캔헤드(150)의 F-θ 렌즈에 의해 구면수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면수차를 보상하지 않게 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 이미지 영상의 왜곡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동축 조명(250)은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동축 조명(25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 대상물(10)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동축 조명(250)의 광을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에 노출시키게 되면 광에 노출된 마킹 이미지 영상은 스캔헤드(150)의 F-θ 렌즈를 통해 피드백되어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를 통해 빔 스플리터(161)로 반사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비전 카메라(260)는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비전 카메라(26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티컬 렌즈(240)에 의해 구면수차가 보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게 된다. 이처럼 최종적으로 촬상된 특정값을 분석하여 마킹된 마킹 이미지가 제 위치에 마킹 되었는지 마킹 품질의 불량여부는 어떤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를 포함한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포함한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은 출사된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10)에 조사하여 특정 패턴을 마킹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은 레이저 빔이 출사되는 레이저 모듈(110), 레이저 모듈(110)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을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빔 미러(120), 레이저 빔을 온/오프(On/Off) 제어하여 레이저 빔의 온(On)시 빔 미러(120)를 통해 반사되는 가운데 정렬된 레이저 빔을 오프(Off)시에도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빔 셔터(130), 빔 미러(120)에 의해 정렬되어 빔 셔터(130)를 경유한 레이저 빔의 광폭을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는 빔 익스펜더(140), 광폭의 조절 및 포커싱이 이루어진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10) 상에 조사하되 갈바노 미터에 의해 제어되는 X방향 갈바노 미러와 Y방향 갈바노 미러 및 F-θ 렌즈를 통해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에 조사하여 2차원 형상을 마킹하는 스캔헤드(150) 및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되어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는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레이저 모듈(110)은 하나 또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가운데 정렬하는 빔 미러(120) 역시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은 레이저 마킹을 통해 특정 패턴을 마킹 대상물(10)에 마킹한 다음, 리딩용 비전(160)을 통해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여 촬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의 마킹 품질이 불량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생산라인의 장비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이저 모듈(110)은 레이저 빔을 출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레이저 모듈(1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0~410 nm 파장의 레이저 빔을 빔 미러(120)로 출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50~410 nm 파장의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모듈(11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빔 미러(120)는 레이저 빔을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빔 미러(1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모듈(110)의 다음단에 구성되어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가운데 정렬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가운데 정렬시키는 빔 미러(12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빔 셔터(130)는 빔 미러(120)에 의해 정렬된 레이저 빔을 온/오프(On/Off) 제어하여 오프(Off)시에도 레이저 빔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빔 셔터(1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미러(120)의 다음단에 구성되어지되 레이저 빔을 온/오프(On/Off) 제어하여 레이저 빔의 온(On)시 빔 미러(120)를 통해 반사되는 가운데 정렬된 레이저 빔을 오프(Off)시에도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빔 익스펜더(140)는 빔 미러(120)에 의해 정렬되어 빔 셔터(130)를 경유한 레이저 빔의 광폭을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빔 이스펜더(14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셔터(130)의 다음단에 구성되어지되 빔 미러(120)에 의해 정렬되어 빔 셔터(130)를 경유한 레이저 빔의 광폭을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레이저 빔을 포커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캔헤드(150)는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고 포커싱된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10)에 조사하여 2차원 형상을 마킹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캔헤드(15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의 조절 및 포커싱이 이루어진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10) 상에 조사하되 갈바노 미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는 X방향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와 Y방향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 및 F-θ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레이저 빔을 마킹 대상물(10)에 조사하여 2차원 형상을 마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을 통해 마킹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레이저 빔의 출사가 이루어지면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은 빔 미러(120)를 통해 반사되는 가운데 정렬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모듈(110)로부터 출사되어 빔 미러(120)를 통해 반사되어 정열되는 레이저 빔은 빔 셔터(130)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된다. 즉, 빔 셔터(130)는 온(On)시 빔 미러(120)를 통해 반사되는 가운데 정렬되는 레이저 빔을 오프(Off)시에도 빔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셔터(130)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빔 익스펜더(140)에 의해 레이저 빔의 광폭이 조절되고 포커싱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빔 익스펜더(140)는 빔 셔터(130)를 통과한 레이저 빔의 광폭을 조절하거나 포커싱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익스펜더(140)에 의해 광폭이 조절되거나 포커싱된 레이저 빔은 F-θ가 장착된 스캔헤드(150)를 통해 마킹 대상물(10) 상에 조사되어 2차원 형상을 마킹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빔 이스펜더(140)에 의해 광폭이 조절되거나 포커싱되어 스캔헤드(150)에 입사된 레이저 빔은 스캔헤드(150)의 갈바노 미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는 X방향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와 Y방향 갈바노 미러(도시하지 않음) 및 F-θ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마킹 대상물(10) 상에 조사되어 마킹이 이루어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를 통한 마킹 이미지 촬상의 흐름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방법은 (a) 동축 조명(250)을 통해 마킹 대상물(10)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동축 조명(250)의 광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S100), (b) 동축 조명(250)에 노출된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스캔헤드(150)의 F-θ 렌즈를 통해 피드백되어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단계(S110), (c) 갈바노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마킹 이미지 영상을 빔 스플리터(210)를 통해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단계(S120), (d) 빔 스플리터(210)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컬러 필터(220)를 통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을 축출하여 투과시키는 단계(S130), (e) 컬러 필터(220)를 통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이 축출되어 투과된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을 통해 조절하는 단계(S140), (f)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에 의해 광량이 조절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옵티컬 렌즈(240)를 통해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단계(S150) 및 (g) 옵티컬 렌즈(240)에 의해 구면수차가 보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비전 카메라(260)를 통해 촬상하는 단계(S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를 통한 마킹 이미지의 촬상 과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축 조명(250)을 통해 마킹 대상물(10)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동축 조명(250)의 광에 노출되도록 한다(S100).
다음으로, 동축 조명(250)에 노출된 마킹 대상물(10)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은 스캔헤드(150)의 F-θ 렌즈를 통해 피드백되어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를 통해 빔 스플리터(210)로 반사되어진다(S11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캔헤드(150)의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에 의해 빔 스플리터(210)로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은 빔 스플리터(210)에 의해 컬러 필터(220)로 반사되어진다. 즉, 스캔헤드(150)의 F-θ 렌즈를 통해 피드백되어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를 통해 빔 스플리터(210)로 반사되어진 마킹 이미지 영상은 빔 스플리터(210)에 의해 컬러 필터(220)로 반사되어진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스플리터(210)에 의해 컬러 필터(220)로 반사되어진 마킹 이미지 영상은 컬러 필터(220)에 의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이 축출되어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으로 입사된다(S130). 이때,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으로 입사된 특정 파장대의 광으로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 영상은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에 의해 그 광량이 조절된다(S140).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리스 다이아그램(230)에 의해 광량이 조절된 마킹 이미지 영상은 옵티컬 렌즈(240)에 의해 구면수차의 보상이 이루어진다(S150). 즉,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 영상은 스캔헤드(150)로 피드백될시 F-θ 렌즈에 의해 구면수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옵티컬 렌즈(240)는 F-θ 렌즈에 의해 구면수차가를 보상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옵티컬 렌즈(240)를 통해 F-θ 렌즈에 의한 구면수차의 보상이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 영상은 마킹 대상물(10)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260)에 의해 촬상이 이루어진다(S160).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전 카메라(260)에 의해 촬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은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이 마킹 위치의 불량 여부와 마킹 품질이 불량여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의 구성에서 동축 조명(250)으로부터 출사되는 특정 파장의 광은 450~900nm 파장의 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축 조명(250)으로부터 출사되는 특정 파장의 광이 450~900nm 파장의 광으로 이루어기 때문에 빔 스플리터(210), 걸러 필터(220), 아이리스 다이그램(230) 및 옵티컬 렌즈(240)을 경유하는 특정 파장의 광 역시도 450~900nm 파장의 광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200)를 레이저 마킹 시스템(100)에 구성함으로써 마킹과 함께 마킹 이미지의 리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 품질의 불량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가 있음은 물론, 마킹 품질의 불량 판단시 라인의 장비를 자동으로 정지시켜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레이저 마킹 시스템 110. 레이저 모듈
120. 빔 미러 130. 빔 셔터
140. 빔 익스펜더 150. 스캔헤드
200. 리딩용 비전 210. 빔 스플리터
220. 컬러 필터 230. 아이리스 다이아드램
240. 옵티컬 렌즈 250. 동축 조명
260. 비전 카메라 10. 마킹 대상물

Claims (7)

  1. 마킹 대상물 상에 마킹된 마킹 이미지를 촬상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에 있어서,
    특정 파장대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어 상기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
    상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하는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
    상기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과한 마킹 이미지 영상의 상기 스캔헤드의 F-θ 렌즈에 의해 발생된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옵티컬 렌즈;
    상기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상기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상기 스캔헤드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동축 조명; 및
    상기 옵티컬 렌즈를 통과한 상기 마킹 대상물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는 상기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스캔헤드 전단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조명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은 450~900nm 파장의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상기 스캔헤드로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레이저 빔은 투과시키되 상기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은 상기 컬러 필터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5. 특정 파장대의 광에 의한 반응을 통해 스캔헤드로 피드백되어 상기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 상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특정 파장대의 광만 축출하는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에 의해 축출된 특정 파장대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조절하는 아이리스 다이아그램, 상기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과한 마킹 이미지 영상의 상기 스캔헤드의 F-θ 렌즈에 의해 발생된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옵티컬 렌즈, 상기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상기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상기 스캔헤드로 피드백되도록 하는 동축 조명 및 상기 옵티컬 렌즈를 통과한 상기 마킹 대상물의 마킹 이미지 영상을 촬상하는 비전 카메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가 구비된 레이저 마킹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어지되,
    (a) 상기 동축 조명을 통해 상기 마킹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상기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상기 동축 조명의 광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의 상기 동축 조명에 노출된 상기 마킹 대상물 상의 마킹 이미지 영상이 상기 스캔헤드의 F-θ 렌즈를 통해 피드백되어 Y방향 갈바노 미러와 X방향 갈바노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단계;
    (c) 단계(b) 과정의 상기 갈바노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마킹 이미지 영상을 빔 스플리터를 통해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단계;
    (d) 단계(c) 과정의 상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상기 컬러 필터를 통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을 축출하여 투과시키는 단계;
    (e) 단계(d) 과정의 상기 컬러 필터를 통해 특정 파장대의 광만이 축출되어 투과된 마킹 이미지 영상의 광량을 상기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을 통해 조절하는 단계;
    (f) 단계(e) 과정의 상기 아이리스 다이아그램에 의해 광량이 조절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상기 옵티컬 렌즈를 통해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단계; 및
    (g) 단계(f) 과정의 상기 옵티컬 렌즈에 의해 구면수차가 보상된 마킹 이미지 영상을 비전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과정의 동축 조명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은 450~900nm 파장의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상기 스캔헤드로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레이저 빔은 투과시키되 상기 스캔헤드의 갈바노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은 상기 컬러 필터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방법.
KR1020110012964A 2011-02-14 2011-02-14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KR10121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64A KR101216684B1 (ko) 2011-02-14 2011-02-14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64A KR101216684B1 (ko) 2011-02-14 2011-02-14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990A KR20120092990A (ko) 2012-08-22
KR101216684B1 true KR101216684B1 (ko) 2012-12-31

Family

ID=4688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964A KR101216684B1 (ko) 2011-02-14 2011-02-14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03B1 (ko) 2022-03-18 2023-05-15 문동원 일부인 마킹 및 비젼검사를 동시 처리하는 식품 포장재용 레이저 마킹장치
KR20230168676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케이랩 레이저 가공 장치
KR20230168750A (ko) 2022-06-08 2023-12-15 문동원 일부인 마킹과 비젼검사의 동시 처리 및 마킹 위치 보정이 가능한 식품 포장재용 레이저 마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8836B (zh) * 2020-04-23 2021-05-18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双摆头激光加工光束指向的高精度调节方法及激光加工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711A (ja) 1999-11-09 2001-05-18 Sony Corp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JP2002316276A (ja) 2001-04-18 2002-10-29 Nec Corp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のマーキング歪み補正装置及びマーキング補正方法
JP2008531143A (ja) 2005-03-01 2008-08-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ジェムストーン レジスト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ダイアモンドのような宝石用原石の体積内にレーザマーキ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711A (ja) 1999-11-09 2001-05-18 Sony Corp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JP2002316276A (ja) 2001-04-18 2002-10-29 Nec Corp 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のマーキング歪み補正装置及びマーキング補正方法
JP2008531143A (ja) 2005-03-01 2008-08-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ジェムストーン レジスト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ダイアモンドのような宝石用原石の体積内にレーザマーキ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03B1 (ko) 2022-03-18 2023-05-15 문동원 일부인 마킹 및 비젼검사를 동시 처리하는 식품 포장재용 레이저 마킹장치
KR20230168676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케이랩 레이저 가공 장치
KR20230168750A (ko) 2022-06-08 2023-12-15 문동원 일부인 마킹과 비젼검사의 동시 처리 및 마킹 위치 보정이 가능한 식품 포장재용 레이저 마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990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6773B (zh) 一种激光加工初始位置的对焦定位方法
KR101245804B1 (ko) 레이저 마킹 시스템
CN101868320B (zh) 激光束加工
KR102541913B1 (ko) 패턴 묘화 장치, 패턴 묘화 방법,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US8785810B2 (en) Laser optical system, repair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216684B1 (ko)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마킹 이미지 리딩장치 및 리딩방법
US20010041073A1 (en) Active aid for a handheld camera
KR101561895B1 (ko) 레이저 장치와 워크피스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
KR20130096840A (ko)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가진 레이저 마킹 장치
TW201543865A (zh) 光學裝置及用於校正光學裝置之方法
JP4594256B2 (ja) レーザ加工システム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US7945087B2 (en) Alignment of printed circuit board targets
JP2015211982A (ja) レーザ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203380507U (zh) 激光加工装置
JP2009053485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および計測装置
WO2010137637A1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および、製造方法
CN217277905U (zh) 光学检查装置
JP2014529734A (ja) 検査・修復・検査システム
KR20160107992A (ko) 레이저 마킹 장치
TWI667471B (zh)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printed circuit boards
KR101566347B1 (ko) 기판검사장치
CN203076787U (zh) 激光直接成像加工装置
KR102019488B1 (ko)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101126369B1 (ko) 다이렉트 방식의 레이저 빔 측정장치
CN103028842A (zh) 激光直接成像加工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