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476B1 -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476B1
KR101216476B1 KR1020120070086A KR20120070086A KR101216476B1 KR 101216476 B1 KR101216476 B1 KR 101216476B1 KR 1020120070086 A KR1020120070086 A KR 1020120070086A KR 20120070086 A KR20120070086 A KR 20120070086A KR 101216476 B1 KR101216476 B1 KR 10121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cylindrical structure
alignment
alignment assembly
assembly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안모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7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을 정렬하고 조립하는 정렬 조립 치구로서, 내주연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1 가이드링; 내주연이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2 가이드링;및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제1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링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치구를 제공하여. 유도무기의 동체와 같은 원통구조물들을 작업자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상호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Tool for aligning and assembling circular pipe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assembling circular pip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도무기의 동체와 같은 원통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켓 또는 미사일과 같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물의 경우, 다수개의 동체 블록들을 결합하여 완성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동체 블록들은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고 중량이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을 위한 보조 치구들이 꼭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로켓이나 미사일과 같은 항공 몸체들은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동체 블록들의 결합부위를 공차 범위를 작게 만든다. 따라서, 동체 블록들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체 블록들은 직선 이동하는 롤러 조립체위에 거치되어 조립된다.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동체 블록들을 정렬하여 조립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체 블록들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동체 블록들을 조립하는 경우, 동체 및 동체 내부의 구성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원통구조물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는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을 정렬하고 조립하는 정렬 조립 치구로서, 내주연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1 가이드링과, 내주연이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2 가이드링 및,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제1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링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치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볼트수용부와,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볼트수용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수용부를 가압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가 회전 체결되는 적어도 둘의 정렬 블록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제1 가이드링의 중심 또는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연결 샤프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정렬을 유도하는 움직임을 제공하는 구형 힌지부와,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부 및 상기 구형 힌지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구형 힌지부를 수용하는 힌지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샤프트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수용하는 회전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내주연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내주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완충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을 정렬하고 조립하는 정렬 조립 장치로서, 내주연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1 가이드링과, 내주연이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2 가이드링 및,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제1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링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치구와,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정렬 조립 치구가 장착된 원통구조물을 지지한 채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구조물을 회전 지지하는 롤러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볼트와,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볼트수용부와,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볼트수용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수용부를 가압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가 회전 체결되는 적어도 둘의 정렬 블록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제1 가이드링의 중심 또는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연결 샤프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정렬을 유도하는 움직임을 제공하는 구형 힌지부와,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부 및 상기 구형 힌지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구형 힌지부를 수용하는 힌지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샤프트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수용하는 회전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에 따르면, 일방의 원통구조물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링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링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함으로써, 유도무기의 동체와 같은 원통구조물들을 작업자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상호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 조립 치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가이드링 및 제2 가이드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연결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정렬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공차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연결 샤프트를 회전시켜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연결 샤프트를 계속 회전시켜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해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이 정렬되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 조립 치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 조립 치구(100)는, 원통구조물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과,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가이드링 및 제2 가이드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제1 가이드링(110) 및 제2 가이드링(120)은 내주면이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환형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링(110)은 일방의 원통구조물의 단부 외주연에 장착되며, 제2 가이드링(120)은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단부 외주연에 장착된다.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은 연결 샤프트(130)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은 상부 가이드링(111,121)과 하부 가이드링(112,122)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연결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샤프트(13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태로 구성된다, 연결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 중심에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용하는 회전 조작부(131)가 마련된다. 회전 조작부(131)는 그 단면 둘레가 다각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30)에는 회전 조작부(131)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제1 나사산(132)과 제2 나사산(133)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나사산(132)과 제2 나사산(133)은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도록 형성된다. 제1 나사산(132)에는 제1 가이드링(110)이 나사결합하며 제2 나사산(133)에는 제2 가이드링(120)이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연결 샤프트(130)의 회전에 따라,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은 연결 샤프트(1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작동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가이드링(111,121) 및 하부 가이드링(112,122)의 단부는 체결부(140)를 통해 상호 체결 및 해제된다. 체결부(140)는 회전축(141)과, 고정볼트(142)와, 고정볼트수용부(143)와 고정너트(144)를 포함한다.
회전축(141)은 상부 가이드링(111,121) 및 하부 가이드링(112,12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회전축(141)의 단부에는 멈춤링이 마련되어 소정의 범위로 회전 변위가 제한될 수 있다. 고정볼트(142)는 회전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고정볼트수용부(143)는 상부 가이드링(111,121) 및 하부 가이드링(112,122) 중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요입 형성된다. 고정볼트수용부(143)에는 고정볼트(142)가 회동하여 안착된다. 고정너트(144)는 고정볼트(142)에 끼워져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볼트수용부(143)를 가압함으로써. 상부 가이드링(111,121)과 하부 가이드링(112,122)을 체결한다.
상부 가이드링(111,121)에 원통구조물이 놓이고 하부 가이드링(112,122)이 상술한 체결부(140)에 의해 체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140)에 의해 체결된 상부 가이드링(111,121)과 하부 가이드링(112,122)의 내주면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도 2의 C를 원점으로 하는 원을 형성한다. 상부 가이드링(111,121) 및 하부 가이드링(112,122)의 내주면에는 탄성력 및 접촉저항이 큰 실리콘 고무와 같은 완충재(160)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정렬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의 외주연에는 연결 샤프트(130)가 회전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정렬 블록(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이드링(110) 중심(도 2의 C) 또는 제2 가이드링(120)의 중심(도 2의 C)을 기준으로 2개의 정렬 블록(150)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블록(150)은, 너트부(151)와, 구형 힌지부(152)와, 하우징(153)을 포함한다.
너트부(151)는 연결 샤프트(130)와 나사 결합한다. 구형 힌지부(152)는 너트부(151)의 외측에 형성된다. 하우징(153)은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너트부(151) 및 구형 힌지부(152)를 내부에 포함하고 내부에 구형 힌지부(152)를 수용하는 힌지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 샤프트(130)를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결 샤프트(130)를 무리하게 회전시키면, 원통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구형 힌지부(152)는 연결 샤프트(130)가 전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도록 여유를 확보한다. 즉, 구형 힌지부(152)는 연결 샤프트(130)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153) 내부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임으로써,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이 정렬되도록 유도한다.
도 6은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공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연결 샤프트를 회전시켜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방의 원통구조물(1)과 타방의 원통구조물(2)의 공차(d)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조작부(131)를 회전 조작하면, 연결 샤프트(130)가 회전을 시작하면서 구형 힌지부(152)의 움직임에 의해 일방의 원통구조물(1)과 타방의 원통구조물(2)이 정렬된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연결 샤프트를 계속 회전시켜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결 샤프트(130)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연결 샤프트(130)를 따라 제1 가이드링(110)과 제2 가이드링(120)이 상호 근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일방의 원통구조물(1)과 타방의 원통구조물(2)이 조립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해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이 정렬되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 조립 장치(10)는 위와 같은 정렬 조립 치구(100)와, 레일부(200)와 복수 개의 지지대(300)을 포함한다.
정렬 조립 치구(100)는 일방의 원통구조물(1)과 타방의 원통구조물(2)의 마주보는 단부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지지대(300)는 일방의 원통구조물(1) 및 타방의 원통구조물(2)을 지지한다. 지지대(300)에는 원통구조물(1,2)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구조물(1,2)의 표면을 회전지지하는 롤러 조립체(31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레일부(2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렬 조립 치구(100)를 조작하면, 지지대(30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방의 원통구조물(1)과 타방의 원통구조물(2)이 정렬되어 조립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정렬 조립 장치
100 : 정렬 조립 치구
110 : 제1 가이드링
120 : 제2 가이드링
130 : 연결 샤프트
131 : 회전 조작부
140 : 체결부
141 : 회전축
142 : 고정볼트
143 : 고정볼트수용부
144 : 고정너트부
150 : 정렬 블록
151 : 너트부
152 : 구형 힌지부
153 : 하우징
160 : 완충재
200 : 레일부
300 : 지지대

Claims (18)

  1.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을 정렬하고 조립하는 정렬 조립 치구로서,
    내주연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1 가이드링;
    내주연이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2 가이드링;및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제1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링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프트
    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치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볼트수용부와,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볼트수용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수용부를 가압하는 고정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가 회전 체결되는 적어도 둘의 정렬 블록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제1 가이드링의 중심 또는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연결 샤프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정렬을 유도하는 움직임을 제공하는 구형 힌지부와,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부 및 상기 구형 힌지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구형 힌지부를 수용하는 힌지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수용하는 회전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9.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내주연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내주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완충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치구.
  10.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타방의 원통구조물을 정렬하고 조립하는 정렬 조립 장치로서,
    내주연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1 가이드링과, 내주연이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고 적어도 둘의 섹션으로 구획되는 제2 가이드링 및,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제1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링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체결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상기 제2 가이드링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치구;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정렬 조립 치구가 장착된 원통구조물을 지지한 채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원통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구조물을 회전 지지하는 롤러 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링은 상부 가이드링과 하부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링의 단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링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체결 및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상부 가이드링 및 상기 하부 가이드링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볼트수용부와,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볼트수용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수용부를 가압하는 고정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가 회전 체결되는 적어도 둘의 정렬 블록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제1 가이드링의 중심 또는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7.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블록은,
    상기 연결 샤프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방의 원통구조물과 상기 타방의 원통구조물의 정렬을 유도하는 움직임을 제공하는 구형 힌지부와,
    상기 제1 가이드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링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상기 너트부 및 상기 구형 힌지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구형 힌지부를 수용하는 힌지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프트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수용하는 회전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조립 장치.
KR1020120070086A 2012-06-28 2012-06-28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KR10121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086A KR101216476B1 (ko) 2012-06-28 2012-06-28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086A KR101216476B1 (ko) 2012-06-28 2012-06-28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476B1 true KR101216476B1 (ko) 2012-12-31

Family

ID=4790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086A KR101216476B1 (ko) 2012-06-28 2012-06-28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4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67A (ko) * 2017-07-07 2019-01-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관 조립 치구
KR20200137608A (ko) *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벨로우즈 파이프의 길이조절 장치
CN112318408A (zh) * 2020-11-05 2021-02-05 中国航发四川燃气涡轮研究院 一种高压涡轮转子组件导气跑道安装定位装置及方法
KR20230060164A (ko) * 2021-10-27 2023-05-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용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방법
KR102669099B1 (ko) * 2021-12-30 2024-05-27 한국지역난방공사 차수판 삽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483A (ja) 1997-09-30 1999-04-13 Toshiba Corp 位置決め治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483A (ja) 1997-09-30 1999-04-13 Toshiba Corp 位置決め治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67A (ko) * 2017-07-07 2019-01-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관 조립 치구
KR101971344B1 (ko) 2017-07-07 2019-04-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관 조립 치구
KR20200137608A (ko) *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벨로우즈 파이프의 길이조절 장치
KR102316765B1 (ko) * 2019-05-31 2021-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벨로우즈 파이프의 길이조절 장치
CN112318408A (zh) * 2020-11-05 2021-02-05 中国航发四川燃气涡轮研究院 一种高压涡轮转子组件导气跑道安装定位装置及方法
KR20230060164A (ko) * 2021-10-27 2023-05-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용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방법
KR102586567B1 (ko) 2021-10-27 2023-10-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용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방법
KR102669099B1 (ko) * 2021-12-30 2024-05-27 한국지역난방공사 차수판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476B1 (ko) 원통구조물의 정렬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조립 장치
CN105517742A (zh) 动力装置的刀片下降装置及其制造方法
EP3292343B1 (en) Orientable support head for video-photographic apparatuses
CN108262763B (zh) 一种机器人关节变刚度执行器
US9759301B2 (en) Clamping apparatus
CN104590590B (zh) 一种适用于空间锥杆机构的多瓣式导向阻尼装置
CN102019619A (zh) 接头
CN103447916A (zh) 球面垫片及磨削球面垫片的夹具
CN106680009A (zh) 一种舵机调试架
JP2019094963A (ja) カップリングとその固定方法
CN104332337B (zh) 剪刀式高压隔离开关装配工装
CN102778233B (zh) 一种航空遥感惯性稳定平台水平框架锁紧装置
KR101216475B1 (ko) 원통구조물 조립 장치
CN103671474B (zh) 一种带有旋钮开关的角度调节器
EP3037212B1 (en) Wrench combining sleeve
CN103410901B (zh) 一种弹簧阻尼减振器
TWI501844B (zh) 可調式環件拆裝工具
CN104895958B (zh) 一种自复位型可调限矩器
CN203380734U (zh) 球面垫片及磨削球面垫片的夹具
CN104647021A (zh) 用于狭小空间设备拆装的可六自由调节拆装工具
CN111412220A (zh) 一种轴承调整装置
CN103963999A (zh) 一种推力矢量调节机构锁定与展开装置
JP6520474B2 (ja) 回転慣性質量ダンパー
JP2009209983A (ja) 摩擦ダンパー
CN204437067U (zh) 一种轴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