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347B1 - 회전식 선반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선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347B1
KR101216347B1 KR1020117019997A KR20117019997A KR101216347B1 KR 101216347 B1 KR101216347 B1 KR 101216347B1 KR 1020117019997 A KR1020117019997 A KR 1020117019997A KR 20117019997 A KR20117019997 A KR 20117019997A KR 101216347 B1 KR101216347 B1 KR 10121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rner
tray
main tray
shelf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851A (ko
Inventor
조셉 폴리치
마이클 케인
Original Assignee
레디 리치 엘엘시
마이클 케인
조셉 폴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디 리치 엘엘시, 마이클 케인, 조셉 폴리치 filed Critical 레디 리치 엘엘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0/02056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081051A2/en
Publication of KR2011011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나 기타 수평 직사각형 저장면을 갖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회전식 저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회전식 저장기구나 선반기구는 사용자가 구조물 내부로부터 손으로 당겨서 그 내용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선반기구{PIVOTING SHELF ASSEMBLY}
본 발명은 회전식 선반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냉장고나 기타 수평 직사각형 저장면을 갖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회전식 저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회전식 저장기구나 선반기구는 사용자가 구조물 내부로부터 손으로 당겨서 그 내용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저장고에 사용되는 각종 회전식 저장기의 용도와 장점이 널리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저장기의 원하는 특성, 사용법은 물론, 그 사용을 촉발하는 근본적인 동기를 해결하는데는 여전히 문제가 있다.
캐비넷이나 냉장고와 같은 저장고에 사용하는 회전식 선반시스템이 Powder의 미국특허 3,172,715, Toronto의 미국특허 2,692,813에 소개되었는데, 이들 특허에 소개된 선반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이동식 선반과 그 내용물 전체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피봇조인트를 필요로 했다. 이런 시스템은 복잡하고, 중량이며, 공간을 낭비하는 설비이다. 또, 냉장고의 측벽은 이런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와,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Lee의 미국특허 5,810,462와 Warren의 미국특허 1,899,171에 소개된 선반시스템은 지지구역이 냉장고의 측벽과 뒷벽을 포함해 여러 곳이고, 전면의 냉장고문에 연결된다. 이런 연결부 때문에 이동식 선반에 하중 부담이 가해지고 매일 냉장고문을 열 때마다 하중이 더해진다. 또, 선반에 놓이는 전체 내용물이 냉장고문을 열때마다 냉장고 밖으로 노출되어 열손실이 생기거나 음식물이 상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Maglinger의 미국특허 5,577,823에 소개된 선반시스템은 바닥면과 측벽을 갖는 완전 원형의 회전식 저장용기가달린 서랍을 이용한다. 용기가 원형이어서 직사각형에 비해 저장면적의 손실이 크다. 또, 일반적으로 원형의 저장기에 부족한 원위치가 없어서, 저장물의 배열이 다음에 열때까지 그대로 유지되기가 어렵다. 또, 서랍식이기 때문에, 용기 내용물을 보려면 서랍을 끝까지 완전히 열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술한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면서도 새로운 특징을 갖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식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캐비넷이나 냉장고와 같은 박스형 저장고에 사용되는 회전식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본 시스템을 이루는 회전식 메인트레이는 (선반, 측벽, 뒷벽과 같은) 저장구조를 갖는 고정부에 부착되는 평판형 베이스의 윗면에 연결된다. 회전식 저장장치, 즉 선반기구의 메인트레이는 사용자가 저장구조에서 손으로 당길 수 있어, 내용물에 접근하기가 쉽다.
회전식 선반기구에 놓여있는 물건에 접근하는 방법은, 저장구조(저장고)의 문을 열고, 메인트레이를 원위치로부터 앞으로 당겨 필요한 물건을 찾아 꺼낸 다음, 메인트레이를 원위치로 돌려놓고, 저장고의 문을 닫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부채꼴 모양의 회전식 선반기구를 기존의 선반 표면에 간단히 부착함은 물론, 냉장고나 캐비넷에서 볼 수 있는 슬롯이나 슬롯형 트랙과 같은 표준 설치구조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박스형 저장고의 저장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된 물건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저장환경에 대해 유지하는데 있다. 물건의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회전식 저장특징에도 불구하고, 저장된 물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저장공간이 바뀌지 않아 기억에 의해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같은 목적은, 지지부재의 지지면에 결합되는 착탈식 회전 선반기구에 있어서: 윗면, 바닥면, 걸림턱을 갖는 미끄럼 틈새 및 베이스 피봇코너를 갖고,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 및 윗면, 바닥면, 서로 직각인 제1 연부와 제2 연부가 만나 이루어진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및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반대편의 원호형 연부를 구비하여 90도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호형 연부에는 베이스의 미끄럼 틈새와 맞물리는 미끄럼 연부가 있어서, 상기 미끄럼 틈새에서 미끄럼 운동이 허용되는 메인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가 베이스 피봇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봇점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마다 체결구가 끼워지며, 상기 구멍들은 선반기구를 지지면에 설치한 뒤에는 선반기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위치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회전선반기구에서, 베이스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은 흡착기, 너트, 볼트, 타이랩, 묶음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착탈식 체결구와 결합되어, 베이스가 상기 지지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메인트레이가 피봇점을 중심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또, 이런 다수의 체결구가 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멍들은 상기 흡착기를 끼울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수의 체결구가 베이스의 바닥면과 일체일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의 코너 피봇점 반대쪽에 코너트레이가 돌출되게 부착되어, 메인트레이 옆으로 추가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런 코너트레이는 베이스와 일체일 수도 있다.
또, 메인트레이의 제1 연부와 제2 연부와 원호형 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수직벽이 형성되거나, 메인트레이의 제1 연부와 제2 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베이스의 윗면과 메인트레이의 바닥면 중의 어느 하나나 양쪽에 다수의 돌기가 있어서, 서로 간섭하는 접촉 표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인트레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연속적인 구조의 돌기가 메인트레이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있을 수 있다.
또, 코너트레이에 별도의 용기를 얹어놓을 수 있고, 이 경우, 이 용기는 단면 형상이 코너트레이와 비슷한 삼각형이고 별도의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좌우 측벽과 뒷벽을 갖는 직선형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착탈식 회전 선반기구에 있어서: 윗면, 바닥면, 걸림턱을 갖는 미끄럼 틈새, 베이스 피봇코너, 좌우 측벽들, 및 상기 선반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고,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 및 윗면, 바닥면, 서로 직각인 제1 연부와 제2 연부가 만나 이루어진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및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반대편의 원호형 연부를 구비하여 90도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호형 연부에는 베이스의 미끄럼 틈새와 맞물리는 미끄럼 연부가 있어서, 상기 미끄럼 틈새에서 미끄럼 운동이 허용되는 메인트레이;를 포함하고, 메인트레이 피봇코너가 베이스 피봇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봇점을 형성하고; 베이스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마다 체결구가 끼워지며, 상기 구멍들은 선반기구를 지지면에 설치한 뒤에는 선반기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위치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도 제공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전술한 특징 외에도, 상기 결합수단이 베이스 바닥면에 부착된 2개 이상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이 브라켓은 상기 뒷벽에 설치된 슬롯형 트랙에 끼워진다. 또는, 상기 결합수단이 베이스의 좌우측에 부착된 2개 이상의 지지 레일들을 포함하고, 이런 레일은 상기 좌우 측벽에 배치된 수평 지지부 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도 1A~E는 각각 회전식 선반기구의 상부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A의 선반기구의 전개사시도;
도 3A는 도 1A의 선반기구 중의 베이스의 상부사시도;
도 3B는 도 1A의 선반기구 중의 베이스의 평면도;
도 3C는 코너트레이가 달린 베이스의 사시도와 체결구들의 사시도;
도 3D는 메인트레이에 베이스가 결합된 부분의 사시도;
도 4A~D는 회전식 선반기구의 메인트레이의 평면도, 사시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5A~C는 코너트레이의 평면도, 하부사시도 및 저면도;
도 6A~B는 회전식 선반기구의 2가지 설치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선반기구와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선반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는 일정 간격으로 슬롯이 뚫린 한쌍의 수직 레일에 설치되는 2개의 지지브라켓을 구비한 회전식 선반기구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선반기구의 평면도;
도 7C는 도 7A의 선반기구에 사용되는 지지레일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D는 도 7A의 선반기구의 저면도;
도 8A는 저장고의 양쪽 측벽에 형성된 수평한 슬롯에 미끄럼 결합되는 회전식 선반기구의 사시도;
도 8B~C는 도 8A의 선반기구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9A는 별도의 코너트레이 용기를 얹은 상태의 사시도;
도 9B는 코너트레이 용기 자체의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9C는 코너트레이 용기를 얹은 상태의 평면도.
별도의 코너트레이(114)가 달린 회전식 선반기구(110)의 첫번째 실시예가 도 1~5에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는 냉장고나 캐비넷과 같은 저장고에 사용하여 물건을 쉽게 처리하기 위한 액세서리 타입의 장치로 사용된다. 이 장치는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도 6과 같은 저장고(614)의 기존의 지지부재(612)의 지지면(610)에 설치된 액세서리이다. 기존의 지지부재(612)는 지지면(610)을 갖고 선반이나 시렁 등을 포함한다.
도 1A, 1B는 각각 회전식 선반기구(110)의 상부사시도와 평면도로서, 이 선반기구는 연결부(116)를 통해 메인트레이(1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코너트레이(114)와(도 1E 참조), 회전식 코너(118)를 갖는다. 도 1E에의하면, 미끄럼 틈새(126)를 형성하기 위한 걸림턱(512)이 달린 코너트레이(114)는 베이스(310)에 설치될 수 있고,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회전식 선반기구(110)의 부수적인 요소일 뿐이다.
디스크와 같은 원판의 회전중심이나 피봇점은 회전할 때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원형의 회전기구(예; 회전쟁반)가 회전한다고 해도 회전기구 중앙에 놓인 물건에 접근하기가 특별히 쉬운 것은 아니다. 도 1A~B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피봇점은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코너 피봇점(118) 부분에 위치한다. 도 6A에의하면, 회전 선반기구(110)의 코너피봇점(118)이 기존의 지지부재(612)의 접근가능한 전방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메인트레이(112)에서 접근하지 못하는 사점이 없어진다. 원형 회전기구의 중앙에 있는 물건에 대한 접근성이 이 회전기구의 회전에 의해 특별히 개선되는 것은 아닌데, 이는 회전기구의 기하학적 중심에 회전중심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설치상태에서 회전기구의 전방 코너에 회전중심이 위치하기 때문에, 기존의 접근곤란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저장된 물건들은 원형 회전기구와는 달리 상대적인 배열을 유지할 수 있고, 이런 특징은 시각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공간적 배치가 중요한 사람에게 특히 유리하다.
도 2는 도 6A의 (냉장고나 캐비넷의 선반으로 쓰이는) 지지부재(612)의 지지면(610)에 맞는 회전식 선반기구(110)의 전개사시도이다. 이 선반기구(110)의 베이스(310)는 평판형이고, 베이스(310)의 바닥면(124)에서 접근할 수 있는 체결구멍(312)이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다(도 1D 참조). 이들 체결구멍(312)에 흡착기 형태의 지지면 체결구(216)를 끼울 수 있다. 지지면 체결구(216)의 기능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냉장고나 캐비넷의 매끈한 선반 표면에 본 발명을 부착하는데 있다. 지지면 체결구(216)는 냉장고의 선반의 매끈한 표면에 단단히 부착되는 흡착기 형태를 취한다. 이런 흡착기는 대부분 유연한 폴리머 물질로 만들어진다.
도 3C에 다른 체결수단이 도시되었다. 도시된 체결구멍(312a)은 다른 종류의 베이스(310a)에 형성된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이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체결구멍(312a)에 다른 체결구(315)를 끼울 수 있고, 이 체결구는 구멍이 여러개 뚫린 선반이나 철망형 선반과 같이 구멍이 너무 많아 흡착컵형 체결구를 사용할 수 없는 지지면(610)을 갖는 지지부재(612)에 사용된다. 이 체결구(315)에는 타이랩(315a), 묶음줄(315b), 너트-볼트-와셔 체결구(315c) 등이 있다.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체결구를 사용하면, 회전식 선반기구를 분리해 그 주변과 함께 청소하기가 쉬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탭이 달린 특수한 형태의 타이랩(315a)을 사용하면 재사용도 가능하고 전술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직사각형이 아닌 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도 볼트와 같은 원통형 체결구에 어울리므로, 본 발명에서 고려할 수 있는 형상이다. 또, 후크-루프, 자기형과 같은 다른 체결구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수 있다.
도 1D에 의하면, 흡착기 형태의 체결구(216)가 체결구멍(312)에 결합되어 베이스(310)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면서도 쉽게 떨어질 수 있게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체결구멍(312)에 체결구(216)가 반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런 반영구적 부착방식 때문에 흡착기가 손상되면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수리도 쉽다.
도 2에 의하면, 베이스(310)의 피봇구멍과 메인트레이(112)의 피봇구멍 둘다를 관통하는 베이스피봇 체결구(214)에 메인트레이(112)를 베이스의 윗면(3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메인트레이 체결구 리시버(210)로 피봇조인트를 막는다. 베이스피봇 체결구(214)와 메인트레이 체결구 리시버(210)의 조합은 기존의 여러가지 방식(예; 너트-볼트, 스냅핏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체결구로는 쉽게 풀리지 않으면서도, 얼룩 등을 닦기 위해 분해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3D는 도 3C의 베이스(310a)의 일부분으로 형성된 베이스 피봇구멍(316)에 형성된 턱(316a)이 메인트레이의 탭(316b)와 맞물리는 다른 피봇방식을 보여준다. 이런 피봇방식은 신속하고 용이한 분해결합이 가능한 경제적인 방식이다. 도 3D의 피봇방식은 탭(316b)이여러개인 실시예이다. 다수의 탭이 스냅결합될 수도 있고, 단순히 끼워질 수도 있으며, 다수의 탭이 아닌 완전한 원형의 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 피봇결합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피봇방식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2에 의하면, 메인트레이(112)는 90도 부채꼴 형태를 갖고, 서로 직각을 이루는 제1 연부(128)와 제2 연부(130), 원호형의 제3 연부(428) 및 제3 연부에 달린 미끄럼턱(418)으로 이루어진다. 코너트레이(114)는 베이스-코너트레이 구멍(314)을 관통해 베이스 체결홈(514)에 걸리는 베이스-코너트레이 체결구(218)에 의해 베이스(310)에 결합되는데, 체결홈(514)은 코너트레이의 바닥면에 위치한다(도 5C 참조). 코너트레이(114)의 걸림턱(512)은 베이스(310)와 함께 미끄럼 틈새(126)를 이루고(도 1E 참조), 메인트레이(112)의 미끄럼턱(418)이 이런 틈새에서 피봇운동을 할 수 있다. 걸림턱(512)은 미끄럼 결합을 하도록 되어있지만(도 1E 참조), 이런 형상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도 2에서는 걸림턱(512)이 메인트레이(114)에 형성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도 3C와 같이 베이스(310)에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도 있는바, 여기서는 걸림턱(311)이 베이스(310)에 형성되어 있다.
도 3A~B는 베이스(310)의 상부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베이스(310)의 치수는 폭(318) 23~43 cm, 길이(320) 42~62 cm이고, 도 3B에서 보듯이, 베이스의 윗면(328)에 형성된 제1, 제2 정지돌기(322,324)는 메인트레이(112) 바닥면(430)의 제1, 제2 정지탭(414,416)와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되며(도 4D 참조), 이런 특징 때문에 메인트레이(112)가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도 4D를 보면, 제1, 제2 정지탭(414,416)은 메인트레이(112)의 바닥면(430)에 형성된 여러 돌기들(410) 중의 하나에 부착되어 있다. 완전조립 상태에서, 제1, 제2 정지탭(414,416)은 각각 제1, 제2 정지돌기(322,324)와 맞물리고, 제1, 제2 정지돌기(322,324)는 베이스(310)의 윗면(328)에 형성된 채널들(326)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다.
베이스(310)에 형성된 다수의 채널(326)과 다수의 볼록표면(330)은 베이스에 주름을 형성하여 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외에 미끄럼마찰을 줄여준다. (베이스의 강도보강은 중요치 않고) 미끄럼마찰 감소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마찰감소기능을 하는 (범프, 패드 등의) 형상을 추가할 수 있다. 돌기를 형성하면 미끄럼마찰이 줄어들고, 이런 돌기들은 베이스(310)의 윗면(328)과 메인트레이(112)의 윗면(430) 사이에 간섭하는 표면적을 줄여준다. 한편, 베이스(310)의 윗면(328)이나 메인트레이(112)의 바닥면(430) 중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 다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찰감소 구성은 이런 돌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 돌출부, 파형 표면, 랜덤 돌출부 등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레일이나 채널 형상의 구조는 마찰감소 외에 강도보강 효과도 가져온다.
도 3c의 다른 베이스(310a)에는 코너트레이(114a)가 일체로 달려있다. 코너트레이(114a)와 베이스(310a)는 사출공정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310a)에 형성된 2개의 체결구멍(312a)은 도 3D에 312b로 자세히 도시되어 있고, 철망형이나 다공식 금속이나 플라스틱 선반과 같은 구멍 뚫린 종류의 선반에 결합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체결구와 결합된다. 이런 체결구들의 일례가 도면에 315로 도시되어 있다. 일례로, 타이랩(315a)은 간단히 묶을 수 있는 것이지만, 재사용을 위해서는 풀림 탭이 달려있는 것이 좋다. 다른 종류의 체결구로는 철선에 플라스틱 피복을 입힌 묶음줄(315b)이나, 너트-볼트-와셔 체결구(315c) 등이 있다. 이상의 결합방식은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것이다.
도 3D의 베이스(310a)는 다른 피봇 구성을 취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메인트레이의 탭(316b)과 결합되는 턱(316a)이 달린 구멍(316) 형태의 구성을 취한다. 이런 방식에서는, 체결구가 베이스와 메인트레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좀더 간단하게 양자를 분리결합할 수 있다.
도 4A~D는 메인트레이(112)를 다양하게 보여주는데, 도 4B에보이는 수직벽(412)은 메인트레이를 강화시키는 기능을 함은 물론 국물 등을 담아두기 쉽게하는 울타리 역할도 한다. 한편, 수직벽(412) 외에도, 제1, 제2 에지(426)와 원호형 에지(428)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베이스와 마찬가지로, 메인트레이(112)의 바닥면(430)에도 다수의 돌기(410)를 주름 형태로 형성하여, 메인트레이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미끄럼마찰을 줄일 수 있다. 메인트레이(112)는 앞으로 회전하여 독립된 상태로 되는 부품이므로, 메인트레이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를 보강하면 메인트레이에 물건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미끄럼마찰 감소가 유일한 관심사라면, 범프나 패드와 같이 마찰을 줄이는 형상을 추가할 수 있다. 돌기를 형성하면 미끄럼마찰이 줄어들고, 이런 돌기들은 베이스(310)의 윗면(328)과 메인트레이(112)의 윗면(430) 사이에 간섭하는 표면적을 줄여준다. 한편, 베이스(310)의 윗면(328)이나 메인트레이(112)의 바닥면(430) 중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 다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찰감소 구성은 이런 돌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 돌출부, 파형 표면, 랜덤 돌출부 등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레일이나 채널 형상의 구조는 마찰감소 외에 강도보강 효과도 가져온다.
도 4A의 메인트레이(112)의 제1 에지(420)와 제2 에지(422)의 길이는 모두 29~39 cm로 같다. 도 1B에 도시된 조립체의 제1 변(120)과 제2 변(122)도 동일한데, 이는 양쪽 장치가 모두 정사각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평면 특징은 도 4C와 1C로부터 알 수 있다.
도 4는 코너트레이(114)를 보여준다. 도 5B~C에 보이는 코너트레이(114)의 바닥면(515)에 있는 정위치 부재(516)는 코너트레이(114)가 다른 요소에 대해 제대로 정렬되는 것을 보조한다. 도 5A의 코너트레이(114)의 치수는 제1 변(518)과 제2 변(520)은 15~35 cm로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 메인트레이(112)에 맞추려면, 코너트레이(114)의 걸림턱(512)의 곡률반경이 도 4A의 메인트레이(112)의 원호형 에지(428)의 곡률반경과 같은 것이 좋다.
도 6A~B는 회전식 선반기구(110)의 2가지 설치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선반기구(616)와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선반기구(618)를 보여준다. 2가지 설치 옵션(616,618)은 각각 좌측 도어(624)와 우측 도어(626)에 맞게 배치된다. 좌측도어(624)나 우측도어(626)를 닫으면 개방위치(634)로 열려있던 선반의 메인트레이(112)가 안전하게 닫힌위치로 돌아간다. 도 6B는 시계방향 선반기구(616)의 메인트레이(112)가 개방위치(634)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 선반이 도 6A의 2가지 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를 가지려면, 메인트레이(112)가 부채꼴 형태를, 바람직하게는 90도의 부채꼴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도 6A~B와 같이, 2 방향의 2개의 회전식 선반기구(110)는 임시로나 영구적으로나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런 회전식 선반은 이음매가 없는 구조를 가져, 더 크고 튼튼하며 저장용량을 키울 수 있다.
도 7A~D는 지지 브라켓(718,720)이 슬롯형 트랙(712,714)에 각각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회전식 선반기구(716)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슬롯형 트랙(712,714)는 캐비넷이나 냉장고와 같은 저장고(614)의 뒷벽(632)에 설치된다(도 6A 참조).
도 7C에 의하면, 지지 브라켓(730)의 탭(724)을 도 7A의 트랙(712,714)에 끼웠다 뺄 수 있다. 도 7A의 지지브라켓(718,720)에 형성된 구멍들은 도 7D에도시된 선반기구(716a)의 바닥면에 형성된 일렬로 나란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설치공(726,728)과 일치한다. (도 6A~B에서 볼 수 있는) 시계방향/반시계방향 원호(620,622)는 지지브라켓(730)의 구멍들을 적절히 선택하면 얻을 수 있다. 회전식 선반기구(716)는 (나사, 너트-볼트, 리벳, 핀, 스냅결합 등의) 적당한 체결수단을 이용해 설치공(726,728)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나 수리를 위해 분해하려면, 나사나 너트볼트 같이 분리가 가능한 체결구를 사용하는 것이, 리벳이나 접착제와 같은 영구 체결구보다 바람직하다.
도 8은 정사각형 베이스(830)의 바닥면(832)에 좌측 레일(826)과 우측 레일(828)이 양쪽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회전식 선반기구(824)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좌우 레일(824,826)은 수평한 좌우 슬롯(820,822)에 미끄럼 결합된다. 양쪽 슬롯(820,822)은 각각 저장고(816)의 내부(814)의 좌우 측벽(810,812)에 배치된다. 선반기구(824)를 아무 슬롯에 끼워도 자연스럽게 저장고의 뒷벽(818)에 막히게 된다.
슬롯에 미끄럼 결합된 선반기구(824)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앞으로 당길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선반기구(824)를 앞으로 당기면, 비회전 코너트레이(114)에 있는 내용물은 물론 회전식 코너트레이(114)에 있는 내용물에 사용자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도 6B와 같이 코너트레이(114)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코너트레이에 대한 접근성이 더 좋아지고 선반기구(824)도 동시에 앞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 9A는 코너트레이 바닥용기(904)를 갖는 독립형 코너트레이 용기(900)를 보여주는데, 이와 같이 일체형 코너트레이(114a)와 비슷한 크기와 형상의 바닥면(906)을 갖는 코너트레이 용기(900)를 코너트레이(114a)에 설치하면 저장룡량이 늘어난다. 이 용기(900)는 다수의 구멍(902a)이 뚫린 커버(902)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커버의 구멍은 악취나 베이킹소다를 배출시키는 환기구 역할을 한다.
도 9B는 코너트레이 용기(900)가 코너트레이(114a)에 얹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C는 평면도이다. 도 9B에서 볼 수 있는 제1, 제2 메인트레이 핸들(910,912)는 사용자가 메인트레이(914)를 더 쉽게 열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양쪽 핸들(910,912) 모두 메인트레이의 양 측변(911a,911b)에서 각각 수직으로 돌출한 탭 형상이지만,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꺼낼 때 열린 위치의 메인트레이가 자동으로 원래위치로 복귀하는 자동닫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자동닫힘 기능을 하는 장치는 공지된 것이고,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사용자가 메인트레이를 여는 동안 에너지가 저장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해, 여는 동안 감긴 스프링이 풀리는 힘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메인트레이를 열었다가 놓으면 중력에 의해 메인트레이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고, 압축스프링, 판스프링, 전기모터 등을 이용해 자동으로 닫히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료는 고강도 경량 재료가 바람직하다. 렉산, 나일론, ABS 등의 플라스틱이나 폴리머는 고강도경량이면서도 생산성이 높고 저렴한 재료이다. 필요하다면, 유리섬유와 같은 충전재를 사용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데, 충전량은 원하는 특성에 좌우된다. 충전제를 함유한 폴리머나 플라스틱의 예로는 30% 유리섬유로 충전된 나일론, 10% 유리섬유로 충전된 ABS, 30% 유리섬유로 충전된 렉산(폴리카보네이트라고도 함)이 있다. 투명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내용물을 파악하기가 더 쉽다. 금속 중에서 알루미늄이 고강도경량 재료이지만, 상업적인 환경에서는 더 고강도인 스테인리스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와 같은 복합재료은 외관이나 느낌을 향상하는 외에도 열팽창, 중량, 크리이프, UV 저항성 등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체결구, 브라켓, 트랙들은 폴리머, 금속, 복합재료 등을 포함해 응력과 마모를 견딜 수 있는 어떤 엔지니어링 재료로도 만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표면처리된 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나 캐비넷과 같은 저장고 내부의 선반이나 랙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이런 선반은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과 같은 구조는 물론 철망이나 다경형 플라스틱과 같이 구멍이 송송 뚫린 형태도 모두 포함한다. 또, 코너트레이가 달린 고유의 회전특성 때문에 완전 원형 저장기구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원형 저장기구(회전식 선반)은 저장손실이 있고, 중앙에 죽은공간이 생기며, 내용물의 배열의 손실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Claims (20)

  1. 지지부재의 지지면에 결합되는 착탈식 회전 선반기구에 있어서:
    윗면, 바닥면, 걸림턱을 갖는 미끄럼 틈새 및 베이스 피봇코너를 갖고,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 및
    윗면, 바닥면, 서로 직각인 제1 연부와 제2 연부가 만나 이루어진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및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반대편의 원호형 연부를 구비하여 90도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호형 연부에는 베이스의 미끄럼 틈새와 맞물리는 미끄럼 연부가 있어서, 상기 미끄럼 틈새에서 미끄럼 운동이 허용되는 메인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가 베이스 피봇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봇점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마다 체결구가 끼워지며, 상기 구멍들은 선반기구를 지지면에 설치한 뒤에는 선반기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멍들이 흡착기, 너트, 볼트, 타이랩, 묶음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착탈식 체결구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지지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메인트레이가 피봇점을 중심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구가 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멍들은 상기 흡착기를 끼울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구가 베이스의 바닥면과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코너 피봇점 반대쪽에 코너트레이가 돌출되게 부착되어, 메인트레이 옆으로 추가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트레이가 베이스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레이의 제1 연부와 제2 연부와 원호형 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수직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레이의 제1 연부와 제2 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핸들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있어서, 메인트레이의 바닥면과 간섭하는 접촉 표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레이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있어서, 베이스의 윗면과 간섭하는 접촉 표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레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연속적인 구조의 돌기가 메인트레이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트레이에 얹혀놓을 수 있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이 용기는 단면 형상이 코너트레이와 비슷한 삼각형이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3. 좌우 측벽과 뒷벽을 갖는 직선형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착탈식 회전 선반기구에 있어서:
    윗면, 바닥면, 걸림턱을 갖는 미끄럼 틈새, 베이스 피봇코너, 좌우 측벽들, 및 상기 선반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고,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 및
    윗면, 바닥면, 서로 직각인 제1 연부와 제2 연부가 만나 이루어진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및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 반대편의 원호형 연부를 구비하여 90도 부채꼴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호형 연부에는 베이스의 미끄럼 틈새와 맞물리는 미끄럼 연부가 있어서, 상기 미끄럼 틈새에서 미끄럼 운동이 허용되는 메인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트레이 피봇코너가 베이스 피봇코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봇점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마다 체결구가 끼워지며, 상기 구멍들은 선반기구를 지지면에 설치한 뒤에는 선반기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코너 피봇점 반대쪽에 코너트레이가 돌출되게 부착되어, 메인트레이 옆으로 추가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코너트레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레이의 제1 연부와 제2 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핸들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트레이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있어서, 베이스의 윗면과 간섭하는 접촉 표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베이스 바닥면에 부착된 2개 이상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뒷벽에 설치된 슬롯형 트랙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베이스의 좌우측에 부착된 2개 이상의 지지 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좌우 측벽에 배치된 수평 지지부 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트레이에 얹혀놓을 수 있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이 용기는 단면 형상이 코너트레이와 비슷한 삼각형이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회전선반기구.
KR1020117019997A 2009-02-02 2010-01-08 회전식 선반기구 KR101216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06409P 2009-02-02 2009-02-02
US61/149,064 2009-02-02
US12/684,740 US8517190B2 (en) 2009-02-02 2010-01-08 Pivoting shelf assembly
US12/684,740 2010-01-08
PCT/US2010/020561 WO2010081051A2 (en) 2009-01-08 2010-01-08 Pivoting shelf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851A KR20110110851A (ko) 2011-10-07
KR101216347B1 true KR101216347B1 (ko) 2012-12-27

Family

ID=4239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997A KR101216347B1 (ko) 2009-02-02 2010-01-08 회전식 선반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17190B2 (ko)
EP (1) EP2391243B1 (ko)
JP (1) JP2012516708A (ko)
KR (1) KR101216347B1 (ko)
CA (1) CA27519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602B2 (en) 2012-01-26 2015-02-10 Techni, Llc 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KR102301619B1 (ko) 2014-05-21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A3032040A1 (en) 2016-07-25 2018-02-01 Marmon Retail Store Equipment LLC Merchandis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D854423S1 (en) 2016-09-28 2019-07-23 Dean Foods Company Container tray
CA2980340A1 (en) 2016-09-28 2018-03-28 Dean Foods Company Caseless container tray
US10370107B2 (en) * 2017-03-31 2019-08-06 B/E Aerospace, Inc. Arced rail for aircraft tray table
DE102018108978A1 (de) * 2017-09-01 2019-03-21 Paul Hettich Gmbh & Co. Kg Ablageboden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US10568414B1 (en) 2018-02-05 2020-02-25 Hillsdale Furniture Llc Expandable furniture products
JP7396971B2 (ja) 2020-09-07 2023-12-12 フクシマガリレイ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USD992927S1 (en) * 2021-07-07 2023-07-25 Fengkui Ma Rotated shower caddy
CN217772162U (zh) * 2022-03-24 2022-11-11 潘立德 一种可调节的置物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86Y1 (ko) 2001-10-11 2002-01-19 권윤석 욕실용 코너 선반
KR200360525Y1 (ko) 2004-05-29 2004-08-30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의 회전 선반용 가이드장치
US20070051286A1 (en) 2005-09-07 2007-03-08 Sintek International Ab Locking device in shelf stand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4112A (en) * 1920-11-08 1924-05-13 Hilger George Display case
US1899171A (en) * 1928-12-26 1933-02-28 Virgil P Warren Refrigerator construction
US1899372A (en) * 1932-01-05 1933-02-28 Carl F Walter Refrigerator
US2035226A (en) * 1934-11-03 1936-03-24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Refrigerator cabinet
US2692813A (en) * 1951-03-22 1954-10-26 Peter A Toronto Auxiliary refrigerator shelf
US2813635A (en) * 1953-12-21 1957-11-19 Gen Electric Adjustable shelf structure
US2795474A (en) * 1954-06-03 1957-06-11 Gen Electric Rotating receptacle structure for household refrigerators
US2768043A (en) * 1954-12-20 1956-10-23 Andrew A Kristoff Adjustable service tray for use in motor vehicles
US3172715A (en) * 1963-02-14 1965-03-09 Gen Motors Corp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KR910018752A (ko) * 1990-04-20 1991-11-30 이우에 사또시 냉장고
CH683680A5 (de) * 1991-06-10 1994-04-29 Forster Ag Hermann Tablar zum Einbau in den Innenraum von Kühlschränken.
JP2571931Y2 (ja) 1993-08-18 1998-05-2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陳列台のコーナー棚装置
US5536081A (en) * 1994-09-15 1996-07-16 Pokhis; Naum Refrigerator with mating interleaved shelves
KR100203985B1 (ko) * 1995-07-20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회동선반
US5577823A (en) * 1995-07-21 1996-11-26 Whirlpool Corporation Lazy susan type pan/carriage assembly
WO1999062374A2 (en) * 1998-06-01 1999-12-09 Herman Miller, Inc. Adjustable work surface
US6164216A (en) * 1999-07-12 2000-12-26 Collier; David E. Rotatable shelf
US6296215B1 (en) * 1999-12-15 2001-10-02 Group Dekko Services, Llc Adjustable keyboard support
US6615744B1 (en) * 2000-12-07 2003-09-09 Hill-Rom Services, Inc. Overbed table
US6505566B1 (en) * 2000-12-14 2003-01-14 Fellowes, Inc. Support assembly
WO2003075779A1 (en) * 2002-03-05 2003-09-18 Becker Dan L Table for operating room
US7296523B1 (en) * 2003-12-12 2007-11-20 Unisys Corporation Space-saving mounting table for use with an equipment rack
US20050183637A1 (en) * 2004-02-19 2005-08-25 Reeser Eileen L. Odor-adsorbing tray for under refrigerator shelves
US20060175273A1 (en) * 2005-02-07 2006-08-10 Toomey-Rossow Eve M Take-out tray
US20060208498A1 (en) * 2005-03-04 2006-09-21 Smyers Justin M Storage and display tray assembly
JP2011524206A (ja) * 2008-06-13 2011-09-01 ヒル−ロム 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ベッドサイド用品物支持装置およ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86Y1 (ko) 2001-10-11 2002-01-19 권윤석 욕실용 코너 선반
KR200360525Y1 (ko) 2004-05-29 2004-08-30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의 회전 선반용 가이드장치
US20070051286A1 (en) 2005-09-07 2007-03-08 Sintek International Ab Locking device in shelf st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40892B2 (en) 2014-02-04
EP2391243A2 (en) 2011-12-07
CA2751971C (en) 2017-04-04
EP2391243A4 (en) 2012-08-08
KR20110110851A (ko) 2011-10-07
US20100193456A1 (en) 2010-08-05
US8517190B2 (en) 2013-08-27
EP2391243B1 (en) 2013-05-29
CA2751971A1 (en) 2010-07-15
JP2012516708A (ja) 2012-07-26
US20130307391A1 (en)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347B1 (ko) 회전식 선반기구
US9420882B2 (en) Sliding and pivoting mechanism of a rack of an item of furniture, item of furniture and domestic appliance
US9903643B2 (en) Drawer assembly
US7641253B2 (en) Adjustable shelving system for vehicles
US9010886B2 (en) Side cabinet and hutch system
US7845745B2 (en) Multipart domestic appliance
RU2498173C2 (ru) Выдвижной ящик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устройств, относящихся к холодильным аппаратам
US20130099651A1 (en)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090102337A1 (en) Side cabinet and hutch system
JP2008541809A (ja) 引き出し
US20060197419A1 (en) Overhead storage device
CA2491979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6988780B2 (en) Wall cabinet assembly
CA2561983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CN101392978A (zh) 冷藏设备和/或冷冻设备
WO2006088918A2 (en) Utility drawer system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0480284Y1 (ko) 조립식 수납장
CN112781294B (zh) 冰箱
CN219889962U (zh) 冷冻冷藏设备以及收纳设备
KR101403165B1 (ko) 캠핑 트레일러
KR102355986B1 (ko) 주방용 선반 조립체
WO2022248978A1 (en) Pull-out unit
CN104602567B (zh) 家具的搁物架的滑动和枢转机构、家具和家用器具
WO2010081051A2 (en) Pivoting shel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