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913B1 - 파이프 보호캡 - Google Patents

파이프 보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913B1
KR101215913B1 KR1020100053868A KR20100053868A KR101215913B1 KR 101215913 B1 KR101215913 B1 KR 101215913B1 KR 1020100053868 A KR1020100053868 A KR 1020100053868A KR 20100053868 A KR20100053868 A KR 20100053868A KR 101215913 B1 KR101215913 B1 KR 10121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trusion
present
cent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082A (ko
Inventor
백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남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남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남정밀
Priority to KR102010005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91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80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끝단면을 보호하며 파이프 내부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파이프의 끝단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파이프의 끝단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출부; 돌출부의 중심에서 직교하는 라인 형상으로 함몰되며, 파이프에 삽입시 돌출부가 수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 함몰부에 의해 구획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돌출부를 밀착시키는 탄성지지 리브부; 및 함몰부의 중심 반대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부를 수축하여 파이프로부터 탈착시키는 탈착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진공성형으로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파이프 등 관 부재의 보관 또는 이송 시 보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파이프 보호캡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보호캡{PROTECTION CAP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의 끝단면을 보호하며 파이프 내부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밸브관, 엘보 등은 산업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이들을 제작한 후 보관 또는 이송 시에는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끝단면, 특히 플랜지가 형성된 경우에는 플랜지면을 보호하기 위한 파이프 보호캡을 양 끝단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파이프 보호캡은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 필름 재질의 원판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조되었다. 이들 파이프 보호캡은 내구성이 낮아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보호 기능이 떨어지며 사용이 일회성으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이 또는 필름 파이프 보호캡 분리 후에도 파이프의 끝단면에 점착제가 잔존하기 때문에, 여기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파이프 끝단면이 오히려 더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제조 현장에는 대기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연화하거나 발화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파이프 보호캡이 사용되고 있다. 사출성형 파이프 보호캡은 그 내구성은 우수하지만, 체적과 중량이 크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가요성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이프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보호캡은 폐기후 재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 등 관 부재의 보관 또는 이송 시 보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은 파이프 보호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적 및 중량이 낮아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파이프 등 관 부재에 탈착이 용이한 파이프 보호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파이프 보호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파이프의 끝단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파이프의 끝단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출부; 돌출부의 중심에서 직교하는 라인 형상으로 함몰되며, 파이프에 삽입시 돌출부가 수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 함몰부에 의해 구획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돌출부를 밀착시키는 탄성지지 리브부; 및 함몰부의 중심 반대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부를 수축하여 파이프로부터 탈착시키는 탈착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진공성형으로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이프의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경우, 본 발명의 베이스부는 플랜지면 전체에 밀착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부에는 원판 형상을 따라 비틀림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이프의 끝단에 플랜지가 없는 경우, 본 발명의 베이스부는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으로 절곡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베이스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타 파이프 보호캡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부는 돌출 측면으로부터 돌출 끝단면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파이프 등 관 부재의 보관 또는 이송 시 보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파이프 보호캡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체적 및 중량을 낮추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파이프 등 관 부재에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산업현장에서 작업 중 작업자가 장갑을 벗지 않고도 탈착 손잡이 부위를 활용하여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적층포장이 용이한 형상을 이루며, 보조 손잡이부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철사나 걸고리에 규격별로 분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베이스부(110), 돌출부(120), 함몰부(130), 탄성지지 리브부(140) 및 탈착 손잡이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파이프(10)의 끝단면(11a)에 밀착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파이프(10)는 그 끝단에 플랜지(11)가 형성된 경우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플랜지면(11a, 상기 끝단면(11a)과 동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플랜지면(11a) 전체에 밀착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110)에 원판 형상을 따라 요철부(111)를 더 형성함으로써, 베이스부(11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평판에 요철을 형성함에 따라 평판의 비틀림 강도가 향상되는 현상에 기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파이프 보호캡의 다른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 토대를 이루는 한편, 파이프의 끝단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돌출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중심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파이프(10)의 끝단에 삽입되어 파이프(10)의 끝단의 내주면(11b)에 밀착된다. 돌출부(120)가 내주면(11b)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파이프 보호캡을 파이프(10)의 끝단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0)에는, 돌출 측면으로부터 돌출 끝단면으로 만곡되는 만곡부(121)를 더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곡부(121)는 파이프(10) 삽입 시, 돌출부(120)를 용이하게 삽입하는 가이드 기능을 행한다.
함몰부(130)는 돌출부(120)의 중심에서 직교하는 라인 형상으로 함몰되며, 파이프(10)에 삽입시 돌출부(120)가 수축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돌출부(120)는 함몰부(130)에 의해 사등분된다. 파이프(10)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경우, 사등분된 돌출부(120)는 돌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함몰부(130), 특히 그 중심을 향하여 휘어져, 전체 돌출부(120)의 외주면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20) 및 함몰부(130)의 구조와 파이프 보호캡의 가요성에 기인한다. 한편, 함몰부(130)의 함몰 형상 및 함몰 정도는 돌출부(120)의 수축 공간을 충분히 형성할 수 있으면 만족하므로, 그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하다.
탄성지지 리브부(140)는 함몰부(130)에 의해 구획되는 돌출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돌출부(120)를 파이프(10)의 끝단에 내주면(11b)에 밀착시킨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 리브부(140)는 사등분되는 돌출부(120)의 사이에서 양 돌출부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10)에 삽입 중에는 수축력에 대해 함몰부(130)의 간격을 일부 지지한다. 파이프(10)에 삽입 후에는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돌출부(120)를 외주면 방향으로 팽창시키므로, 돌출부(120)가 밀착력을 가지게 한다.
탈착 손잡이부(150)는 함몰부(130)의 중심 반대면, 즉 파이프 보호캡의 배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부(120)를 수축하여 파이프 보호캡을 파이프(10)로부터 탈착시킨다. 즉, 탈착 손잡이부(150)는 함몰부(130)의 형상에 따라 중심 부분이 넓은 십자형상을 이루며 베이스부(110)까지 돌출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보호캡의 배면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쥘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사용자의 악력으로 탈착 손잡이부(150)를 수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120)가 손쉽게 수축되어 체결 및 분리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베이스부(11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타 파이프 보호캡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161)이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조 손잡이부(160)를 쥐고서 당기는 것에 의해 파이프(10)로부터 파이프 보호캡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 고리(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홀(161)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 보호캡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파이프 보호캡의 수거, 보관 및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구조 및 형상의 특성상 합성수지재를 진공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공성형은 준비된 합성수지 시트를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이를 진공성형 금형에 진공흡착압으로 진공성형 금형에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성형물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진공성형은 성형물의 두께를 사출성형보다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체적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등의 단일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므로 폐기 후 재활용이 가능하며, 성형물이 일정 가요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진공성형 방법에 의해, 체적 및 중량을 낮추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가요성을 가지므로 상술한 수축에 의한 탈착 동작 및 팽창에 의한 밀착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파이프 등 관 부재의 보관 또는 이송 시 이들의 보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종래의 종이 또는 필름과 비교하여 파이프 보호캡의 내구성 또한 증가시킬 수 있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난연성이 우수한 ABS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파이프 보호캡을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제조 현장에는 높은 대기 온도에 의해 파이프 보호캡의 연화 및 발화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끝단에 플랜지가 없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10)는 파이프(20)의 끝단 외주면(20a)으로 절곡되어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파이프 보호캡의 밀착도 및 보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파이프를 일례를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은 파이프, 밸브관, 엘보 등은 산업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관 형상의 부재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파이프 보호캡’에서 ‘파이프’는 산업 현장에서 밸브관, 엘보 등과 구분하여 지칭하는 좁은 의미의 파이프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의 관 형상의 부재를 모두 지칭하는 넓은 의미의 파이프임이 자명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 파이프
11 : 플랜지
11a : 끝단면(플랜지면)
11b : 내주면
20a : 외주면
110, 210 : 베이스부
111 : 요철부
120 : 돌출부
121 : 만곡부
130 : 함몰부
140 : 탄성지지 리브부
150 : 탈착 손잡이부
160 : 보조 손잡이부
161 : 체결홀

Claims (7)

  1. 원형으로 형성되며, 파이프의 끝단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기 파이프의 끝단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중심을 직교하는 라인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돌출부를 사등분으로 구획하며, 상기 파이프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상기 돌출부가 원형중심을 향하여 수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수축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상기 돌출부를 파이프의 끝단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탄성지지 리브부; 및
    상기 함몰부의 중심 반대면에, 상기 함몰부의 형상에 따라 십자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를 수축하여 상기 파이프로부터 탈착시키는 탈착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진공성형으로 일체를 이루며,
    상기 파이프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경우, 배면에서 악력으로 상기 탈착 손잡이부를 수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수축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의 중심을 향하여 휘어져,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이 줄어들고,
    상기 파이프에 삽입 후에는, 상기 탄성지지 리브부가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상기 돌출부를 외주면 방향으로 팽창시켜, 상기 파이프에 대해 상기 돌출부가 밀착력을 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경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플랜지면 전체에 밀착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원판 형상을 따라 비틀림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플랜지가 없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으로 절곡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타 파이프 보호캡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돌출 측면으로부터 돌출 끝단면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7. 제1항에 있어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호캡.
KR1020100053868A 2010-06-08 2010-06-08 파이프 보호캡 KR10121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68A KR101215913B1 (ko) 2010-06-08 2010-06-08 파이프 보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68A KR101215913B1 (ko) 2010-06-08 2010-06-08 파이프 보호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82A KR20110134082A (ko) 2011-12-14
KR101215913B1 true KR101215913B1 (ko) 2012-12-27

Family

ID=4550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868A KR101215913B1 (ko) 2010-06-08 2010-06-08 파이프 보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0160B (zh) * 2017-12-04 2019-11-05 中国刑事警察学院 一种水利施工封堵盖拆卸装置
CN109058610B (zh) * 2018-10-30 2021-01-08 湖南省星晖科技有限公司 一种pvc管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707Y1 (ko) 2006-04-28 2006-08-28 (주)신명 밸브 입,출구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707Y1 (ko) 2006-04-28 2006-08-28 (주)신명 밸브 입,출구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82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49680B2 (en) A closure lid with identifying means
US20150096117A1 (en) Shower rod mounting assembly
CA2904012C (en) Paper closures and paper containers
KR101215913B1 (ko) 파이프 보호캡
US8251323B2 (en) Suction cup
CN210100036U (zh) 一种具有缓冲结构的内撑式夹具
US9186931B2 (en) Vacuum sealable paint tray liner
EP3616570A1 (en) Drinking straw device
US20140312124A1 (en) Rfid assembly including spring clip
JP5479872B2 (ja) ホイール用マスキング材
DK2411286T3 (en) A fastening system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CN107207136A (zh) 具有自闭阀的分配封闭件
KR101560371B1 (ko) 탄성체층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TWI228164B (en) Washer with dome profile
US20090134305A1 (en) Footpad
JP2007314213A (ja) 巻物受け具
JP3203559U (ja) ゴミ袋を、ゴミ箱に固定するための筒形の固定器。
KR101279207B1 (ko) 흡반 및 그 제조방법
JP5584635B2 (ja) シート、ロール状シート及び巻付方法
US20140262922A1 (en) Item retaining mat
CN209479571U (zh) 汽车尾箱垫
CN202175259U (zh) 一种带盖的折叠不破置物桶
WO2014107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bject with a bonded adhesive strip
CN210660875U (zh) 一种新型夹子
CN216547676U (zh) 用于家电包装底托模的护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