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966B1 -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 Google Patents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966B1
KR101214966B1 KR1020120098839A KR20120098839A KR101214966B1 KR 101214966 B1 KR101214966 B1 KR 101214966B1 KR 1020120098839 A KR1020120098839 A KR 1020120098839A KR 20120098839 A KR20120098839 A KR 20120098839A KR 101214966 B1 KR101214966 B1 KR 10121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fixing device
main body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원 filed Critical 정태원
Priority to KR102012009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에 관한 것으로, 문에 부착되어 전자식, 기계식으로 문을 개폐하는 도어록과, 내측으로 상기 도어록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전방으로 형성되며 쐐기형상의 걸림쇠와 간격홈이 형성되는 걸림장치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도어록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된 고정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형성된 걸림쇠를 통해 사용자가 도어록에 고정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간격홈을 통해 도어록과 고정장치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어 그 공간으로 사용자의 손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걸림쇠를 도어록에서 쉽게 이격시킴으로써, 고정장치의 파손 없이 손쉽게 도어록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도어록에 고정되는 걸림쇠가 본체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어록과 고정장치를 결합한 후, 문에 고정시킬 때, 고정장치와 도어록 간의 간격에 의해 두꺼운 문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A one touch type door lock holder for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본 발명은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록을 홀더를 이용하여 문에 고정시킬 때, 도어록에 걸리는 걸림장치를 도어록이 향하는 전방으로 형성하여 도어록과 고정장치 간의 간격이 발생함으로써, 두께가 두꺼운 문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걸림장치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간격홈을 형성하여, 사용자 등의 시공실수 시 상기 간격홈을 통해 사용자가 걸림장치를 쉽게 들어올려 도어록에서 도어록홀더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원터치형태로 도어록에 도어록홀더를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록홀더는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번호 제10-1154019호와 같이 도어록의 외부로 홀더를 결합하고, 홀더를 이용하여 도어록을 문 등에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홀더를 도어록에 결합하고 상기 도어록을 문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홀더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탄성고정부가 도어록이 위치한 반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어록과 홀더 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서 두께가 두꺼운 문에는 설치하지 못하였으며, 탄성고정부를 도어록에 고정시킨 후, 도어록과 홀더를 분해할 때, 탄성고정부와 도어록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탄성고정부를 도어록에서 이격시키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에 고정된 탄성고정부가 일자형태로만 문 등에 밀착되어 탄성고정부의 탄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아, 홀더가 도어록이나 문에서 쉽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는 문에 부착되어 전자식, 기계식으로 문을 개폐하는 도어록과, 내측으로 상기 도어록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전방으로 형성되며 쐐기형상의 걸림쇠와 간격홈이 형성되는 걸림장치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도어록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된 고정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형성된 걸림쇠를 통해 사용자가 도어록에 고정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간격홈을 통해 도어록과 고정장치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어 그 공간으로 사용자의 손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걸림쇠를 도어록에서 쉽게 이격시킴으로써, 고정장치의 파손 없이 손쉽게 도어록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도어록에 고정되는 걸림쇠가 본체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어록과 고정장치를 결합한 후, 문에 고정시킬 때, 고정장치와 도어록 간의 간격에 의해 두꺼운 문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밀착부가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에 의해 도어록과 고정장치 간의 간격이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공간으로 손, 도구 등을 이용하여 도어록과 고정장치를 간편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가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걸림쇠와 도어록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두께가 두꺼운 문에도 간편하게 설치하며, 연결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고정부에 의해 문과 경사고정부가 고정력을 높이면서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장치가 쉽게 흔들리지 않게 되면서, 밀착부에 형성된 보조간격홈에 의해 경사고정부가 원활하게 탄성을 유지하면서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인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도어록(10)은 문에 부착되어 문을 개폐하는 잠금장치로 사용되며, 상기 도어록(10)의 상, 하측으로 쐐기형상의 걸림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록(10)은 문에 장착되어 문을 개폐하기 위해 버튼작용, 전자식작용, 다이얼작용 등과 같이 전자식과 기계식 등으로 사용되는 잠금장치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든 형태의 도어록(10)을 말하는 것으로, 도어록(10)의 작동형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20)는 내측으로 상기 도어록(10)이 결합되도록 결합홈(21a)이 형성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상측전방으로 형성되고 쐐기형상의 걸림쇠(22a)와 상기 걸림쇠(22a)의 하측으로 간격홈(22b)이 형성되는 걸림장치(22)와, 상기 본체(21)의 후방양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도어록(12)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23)와, 상기 밀착부(23)의 측면으로 밀착부(23)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21)는 일체형으로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ㄷ'자 형태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밀착부(23)에 형성된 연결부(24)에 의해 한 쌍의 본체(21)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본체(21)를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한 쌍의 본체(21)를 서로 상, 하측면에서 마주보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21)로 전해지는 외부의 힘을 본체(21), 밀착부(23), 연결부(24) 등으로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21), 밀착부(23), 연결부(24)의 서로 연결되면서 각각의 강도가 합해지면서 고정장치(20)의 강도를 증가시켜 고정장치(20)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 연결부(24)가 한 쌍의 본체(21), 밀착부(23)를 연결하면서 연결부(24)에 의해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 간의 간격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그 공간으로 사용자의 손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통해 간편하게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상측전방으로 형성된 걸림장치(22)의 걸림쇠(22a)를 형성할 때, 상기 걸림쇠(22a)가 본체(21)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걸림쇠(22a)가 도어록(10)의 걸림부(1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걸림장치(22)를 고정장치(20)에 형성할 때, 상기 도어록(10)의 걸림부(11)가 도어록(10)의 상, 하측으로 형성되며, 본체(21)도 상, 하측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장치(22)도 본체(21)의 전방, 상하측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쇠(22a)가 본체(21)에 직접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21)에 보조연결대(22c)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연결대(22c)에 걸림쇠(22a)가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쇠(22a)가 보조연결대(22c)의 간격만큼 쉽게 유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걸림쇠(22a)가 본체(21)의 전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연결대(22c)도 본체(21)의 전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본체(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21), 밀착부(23), 연결부(24)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장치(20)가 도어록(10)에 결합되었을 때, 고정장치(20)가 문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부(24)의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고정부(24a)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경사고정부(24a)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고정장치(20)를 문에 밀착시킬 때, 상기 경사고정부(24a)의 탄성이 증가되도록 하여 고정장치(20)와 문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어 문에서 고정장치(20)가 쉽게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경사고정부(24a)가 더욱 쉽게 유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와 밀착부(23)에 보조간격홈(23a)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간격홈(23a)에 의해 상기 경사고정부(24a)가 원활하게 움직이거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고정부(24a)의 각도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간격홈(23a)과 경사고정부(24a)는 걸림장치(22)와 마찬가지로 본체(21)의 전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장치(20)의 본체(21)에는 고정장치(20)를 문에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도면에 미도시) 등이 삽입되는 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문에 구멍(도면에 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에 도어록(10)을 끼우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문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도어록(10)을 결합하게 되면, 문의 내측으로 도어록(10)의 후방이 돌출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장치(20)를 도어록(10)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결합홈(21a)에 도어록(10)이 끼워지도록 하면서 본체(21)의 후방에 형성된 밀착부(23)가 도어록(10)의 양측면과 밀착되도록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를 결합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21)의 상측과 하측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쇠(22a)가 도어록(10)의 걸림부(11)에 결합되도록 고정장치(20)를 문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어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쇠(22a)가 문의 방향으로 고정장치(20)가 완벽하게 문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어, 고정장치(20)가 문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22a)가 임의의 지점의 걸림부(11)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쇠(22a)가 걸림부(11)에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걸림쇠(22a)가 보조연결대(22c)에 의해 본체(21)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연결대(22c)의 간격만큼 상, 하로 쉽게 유격되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쇠(22a)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쇠(22a)가 도어록(10)의 걸림부(11)에 걸리게 될 때, 상기 걸림쇠(22a)의 하측으로 간격홈(22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간격홈(22b)의 간격만큼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간격홈(22b)에 의해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가 결합될 때, 상기 걸림쇠(22a)가 수평하게 형성될 경우, 걸림쇠(22a)가 걸림부(11)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쇠(22a)를 임의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쇠(22a)가 간격홈(22b)의 간격을 보상하면서 걸림쇠(22a)가 걸림부(11)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기 도어록(10)의 걸림부(11)에 고정장치(20)의 걸림쇠(22a)가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밀착부(23)가 도어록(10)의 양측면과 밀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24)에 형성된 경사고정부(24a)가 문에 밀착되어 눌러지게 되어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가 견고하게 문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고정부(24a)가 문에 밀착되어 눌러지게 될 때, 상기 경사고정부(24a)가 보조간격홈(23a)에 의해 원활하게 유격되면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고정부(24a)가 눌러지게 되면서 문에 밀착되게 되면, 상기 경사고정부(24a)의 탄성에 의해 고정장치(20)가 문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장치(20)가 쉽게 문에서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본체(21)의 전방으로 걸림장치(22)와 경사고정부(24a)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밀착부(23) 및 연결부(24)는 본체(21)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 간의 간격이 발생하게 되면서 그 공간에 의해 두께가 두꺼운 문에도 고정장치(20)를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기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를 문에 고정시킨 후, 도어록(10)이나 고정장치(20)를 유지보수 등을 하기 위해 도어록(10), 고정장치(20)를 문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가 결합되어 있으면, 본체(21)가 도어록(1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있어 공간이 발생되어 있지 않고, 상기 걸림장치(22)에 형성된 간격홈(22b)만큼 공간이 발생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홈(22b)은 걸림쇠(22a)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홈(22b)의 공간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간격홈(22b)으로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걸림쇠(22a)를 들어올려 걸림부(11)에 밀착되어 있던 걸림쇠(22a)를 걸림부(11)와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4)에 의해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 간의 간격이 발생하게 되어, 그 간격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넣어 도어록(10)에서 고정장치(20)를 쉽게 결합,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고정장치(20)의 상, 하측으로 형성된 걸림쇠(22a)를 움직여 걸림부(11)와 이격시키면서 도어록(10)에서 고정장치(20)를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고정장치(20)를 도어록(10)에 고정시키고 고정장치(20)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위하여 도어록(10)에서 고정장치(20)를 분리시킬 때, 상기 고정장치(20)의 걸림장치(22)에 형성된 간격홈(22b)을 통해 사용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도어록(10)의 걸림부(11)에 고정된 걸림쇠(22a)를 간편하게 걸림부(11)에서 이격시켜 고정장치(20)를 분리시킬 수 있어, 고정장치(20)를 파손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록(10)에서 고정장치(20)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본체(21)에 간격홈(22b)이 형성되어 있어, 걸림부(11)와 걸림쇠(22a) 간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상기 걸림쇠(22a)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간격홈(22b)에 의한 간격을 보상할 수 있게 되면서 걸림부(11)와 걸림쇠(22a)가 견고하게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20)를 도어록(10)에서 분리시킬 때, 간격홈(22b)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도어록(10)에서 고정장치(20)를 분리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장치(22)를 본체(21)의 전방으로 형성하고, 밀착부(23) 등을 본체(21)의 후방으로 형성함으로써,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를 결합할 때, 도어록(10)과 고정장치(20) 간의 공간에 의해, 두께가 두꺼운 문에도 고정장치(20) 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경사고정부(24a)가 본체(21)의 전방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도어록(10)에 고정장치(20)를 결합시킬 때, 경사고정부(24a)의 탄성력이 더욱 증대되어 고정장치(20)가 문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며, 상기 본체(21)와 밀착부(23)에 형성된 보조간격홈(23a)에 의해 경사고정부(24a)가 원활하게 유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도어록 11 : 걸림부
20 : 고정장치 21 : 본체
22 : 걸림장치 22a : 걸림쇠
22b : 간격홈 22c : 보조연결대
23 : 밀착부 23a : 보조간격홈
24 : 연결부 24a : 경사고정부
50 :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Claims (6)

  1. 문에 부착되어 전자식, 기계식으로 문을 개폐하는 도어록(10);
    내측으로 상기 도어록(1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상측전방으로 형성되며 쐐기형상의 걸림쇠(22a)와 간격홈(22b)이 형성되는 걸림장치(22)와, 상기 본체(2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도어록(10)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밀착부(23)와, 상기 밀착부(23)의 측면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부(24)로 구성된 고정장치(2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의 상측과 하측으로 고정장치(20)의 걸림쇠(22a)와 대응되는 쐐기형상의 걸림부(11)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20)의 본체(2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20)의 걸림장치(22)에 형성된 걸림쇠(22a)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걸림쇠(22a)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대(22c)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20)의 밀착부(23)에는 보조간격홈(23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20)의 연결부(24)에는 경사고정부(24a)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KR1020120098839A 2012-09-06 2012-09-06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KR10121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39A KR101214966B1 (ko) 2012-09-06 2012-09-06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39A KR101214966B1 (ko) 2012-09-06 2012-09-06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966B1 true KR101214966B1 (ko) 2012-12-24

Family

ID=4790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39A KR101214966B1 (ko) 2012-09-06 2012-09-06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0726A1 (zh) * 2021-08-06 2023-02-09 北京金博星指纹识别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19B1 (ko) 2012-01-12 2012-06-07 정태원 도어록의 원터치형 고정장치
KR101167697B1 (ko) 2012-04-13 2012-07-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19B1 (ko) 2012-01-12 2012-06-07 정태원 도어록의 원터치형 고정장치
KR101167697B1 (ko) 2012-04-13 2012-07-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0726A1 (zh) * 2021-08-06 2023-02-09 北京金博星指纹识别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2269A1 (en) Bracket device and slide rai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US20150296982A1 (en) Mounting device for drawer system
RU2011137653A (ru) Уг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KR101491913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TWI724310B (zh) 閂鎖及安裝閂鎖的方法
KR20130054268A (ko) 공기 안내 시스템
KR101214966B1 (ko)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형 도어록홀더
US20110115348A1 (en) Locking device and electronic enclosure using same
JP2010001134A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CN205450360U (zh) 光收发模块解锁装置
JP4716436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の蝶番構造
WO2019134406A1 (zh) 无人机
KR200455096Y1 (ko) 폴딩도어용 롤러유닛 결합 장치
KR101154019B1 (ko) 도어록의 원터치형 고정장치
CN106919265B (zh) 外接式键盘装置
JP2016139671A (ja) プリント板の固定構造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JP6686203B1 (ja) ブラケット装置
KR100595245B1 (ko) 무나사 체결 구조를 갖는 캐비넷 및 백커버 일체형 모니터케이스
JP5151656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の破壊防止構造
JP4639076B2 (ja) ドア用錠受け金具
KR100656399B1 (ko) 후크결합구조 및 이를 사용한 케이스
CN203808667U (zh) 一种后背门左上锁总成
JP4919835B2 (ja) ドア用錠受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