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913B1 -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913B1
KR101214913B1 KR1020100132267A KR20100132267A KR101214913B1 KR 101214913 B1 KR101214913 B1 KR 101214913B1 KR 1020100132267 A KR1020100132267 A KR 1020100132267A KR 20100132267 A KR20100132267 A KR 20100132267A KR 101214913 B1 KR101214913 B1 KR 10121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ransmission line
transmission
switch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802A (ko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9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40Impedanc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18Networks for phase shift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Landscapes

  • Microwave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에 있어서,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전송선로 그룹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은 n 개의 전송선로를 포함함 -, 및 상기 n 개의 전송선로 각각마다 양측에 배열되어 상기 n 개의 전송선로와 커플링을 일으키는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제2 전송선로 그룹 상기 제2 전송선로 그룹은 n+1 개의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n+1 개의 전송선로 각각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ON 또는 OFF 될 수 있음 -,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n+1) 개의 결합선로에 포함된 (n+1) 개의 스위치의 ON/OFF를 적절한 조합으로 변동시킴으로써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값이 넓은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가 연결된 각각의 결합선로가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각각의 결합선로와 바로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결합선로 사이에서 강한 커플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TUNABLE IMPEDANCE TRANSFORMER USING MULTI-CONDUCTOR COUPLED LINES}
본 발명은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n+1) 개의 λ/4 길이의 결합선로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변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피던스 변환기는 마이크로웨이브 회로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임피던스 변환기 중 하나는 λ/4 길이의 전송선로이며, 이러한 전송선로는 부하의 임피던스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1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2
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3
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임피던스 변환기는 특정 비율의 임피던스 변환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비율은 튜닝 가능한 임피던스 변환기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RF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최적화시키거나, 안테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이러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기의 예로서, 튜닝 가능한 캐패시터 또는 바랙터(varactor)가 집중 LC소자 임피던스 변환기(lumped LC impedance transformer)에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다소 넓은 범위의 임피던스 변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Jrad, A., Perrier, A.-L., Bourtoutian, R., Duchamp, J.-M. and Perrier, P.: ‘Design of an ultra compact electronically tunable microwave impedance transformer’. Electronics Letters, Vol. 41, No.12, pp.707-709, 2005 참조). 하지만, 바랙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임피던스의 변환범위가 제한적이며, 대전력 신호에 적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바랙터는 아날로그 소자이므로 효율적으로 임피던스를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홀수 개의 결합선로 및 소정 개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 범위가 큰 임피던스 변환기의 구조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n+1) 개의 결합선로와 여기에 부착된 스위치의 동작 모드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특성 임피던스의 변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n+1) 개의 결합선로 중 스위치가 연결된 (n+1) 개의 전송선로를 제외한 나머지 전송선로를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가 연결된 각각의 결합선로가 이웃 결합선로와 강한 커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에 있어서,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전송선로 그룹 -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은 n 개의 전송선로를 포함함 -, 및 상기 n 개의 전송선로 각각마다 양측에 배열되어 상기 n 개의 전송선로와 커플링을 일으키는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제2 전송선로 그룹 - 상기 제2 전송선로 그룹은 n+1 개의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n+1 개의 전송선로 각각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ON 또는 OFF 될 수 있음 -,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n+1) 개의 결합선로에 포함된 (n+1) 개의 스위치의 ON/OFF를 적절한 조합으로 변동시킴으로써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값이 넓은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가 연결된 각각의 결합선로가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각각의 결합선로와 바로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결합선로 사이에서 강한 커플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결합선로의 길이당 캐패시턴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5중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구현한 사진 및 이를 등가회로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부하 저항을 바꿔가면서 측정한 입력반사손실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해당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환 장치는 다수의 전송선로(100) 및 다수의 스위치(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회로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등에 의해 구현되어 전송선로(100) 사이의 전자기적 커플링(coupling)이 존재하는 결합선로를 상정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전송선로(100)는 인접하는 다른 전송선로(10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송선로(100)는 동일한 너비와 간격을 가지는 균일한 결합선로로 전기적 길이는 λ/4 인 것을 상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S)는 전송선로(100) 중 입출력 단자(P1, P2)와 연결된 제1 결합선로(1)에는 위치하지 않고 제1 결합선로(1)와 이웃하는 제2, 제3 결합선로(2, 3) 각각의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제2 결합선로(2)의 양단에는 제1 스위치(S1)가 위치하고, 제3 결합선로(3)의 양단에는 제2 스위치(S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의 온/오프를 제어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결합선로(100)의 단위 길이당 접지와의 캐패시턴스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입력단자(P1)와 출력단자(P2) 사이의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스위치(S)의 온/오프 제어 모드는 총 3가지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가 모두 오프(OFF)인 경우(A 모드), 제1 스위치(S1) 또는 제2 스위치(S2) 중 어느 하나만 온(ON)인 경우(B 모드),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가 모두 온(ON)인 경우(C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전송선로(100)의 양단에서의 전류와 전압 사이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4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6
은 어드미턴스(admittances) 로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7
,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8
,
Figure 112010084742088-pat00009
,
Figure 112010084742088-pat00010
(결합선로와 인접하지 않는 도체는 무시함)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112010084742088-pat00011
는 위상 속도임). 또한, 결합선로의 단위 길이당 캐패시턴스는
Figure 112010084742088-pat00012
을 만족한다(Ou, W.P.: ‘Design equations for an interdigitated directional coupler’. IEEETrans.Microw.TheoryTech.,23,2,1975,pp.253-255참조).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스위치 모드(즉, A, B, C 모드)마다 상기 수학식을 적용하면, A 모드의 경우
Figure 112010084742088-pat00013
,B모드의 경우
Figure 112010084742088-pat00014
,C모드의 경우
Figure 112010084742088-pat00015
와 같이 단위 길이당 그라운드(G)까지의 총 캐패시턴스가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모드가 변함에 따라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결합선로인 도체 수는 다양한 특성 임피던스 및 높은 임피던스 전송률을 구현하기 위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의 구조를 살펴보면, 스위치가 연결된 제2 및 제3 결합선로(2, 3)가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제1 결합선로(1)와 바로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결합선로 사이에서 강한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결합선로의 구조는 보다 큰 규모로 확장될 수 있는데, 가령 도 3과 같은 결합선로의 구조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5중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의 5중 결합선로 구조에서 도출될 수 있는 스위치 모드는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는데, 제1, 제2, 제3 스위치(S1, S2, S3)가 모두 오프(OFF)인 경우(A 모드), 제1 스위치(S1) 또는 제3 스위치(S3) 중 어느 하나만 온(ON)인 경우(B 모드), 제2 스위치(S2)만 온(ON)인 경우(C 모드), 제3 스위치(S3)가 온(ON)이며 제2 스위치(S2) 및 제1 스위치(S1) 중 어느 하나가 온(ON)인 경우(D 모드), 모든 스위치가 온(ON)인 경우(E 모드)가 그것이다.
이때, 도 3의 구조를 살펴보면, 스위치가 연결된 제1, 제4 및 제5 결합선로(1, 4, 5)가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제2 및 제3 결합선로(2, 3)와 바로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결합선로 사이에서 강한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지 않는 도체들은 커플링 효과가 무시할 정도로 작기 마련이므로, 실제 입력포트(P1)과 출력포트(P2) 사이에 연결되는 전송선로를 두 개의 전송선로(2, 3)로 쪼개어 이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전송선로(2, 3)의 양측에 스위치가 연결된 제1, 제4 및 제5 결합선로(1, 4, 5)가 위치하도록 하여 커플링 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3의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임피던스 변환 장치는 양단에 입/출력 단자가 연결되는 제1 도체 그룹 및 제1 도체 그룹과 평행하도록 배열되되 제1 도체 그룹과 인접하여 커플링 효과를 일으키고 스위치(S)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되는 제2 도체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일반화하면, 제1 도체 그룹에 포함된 전송선로의 개수가 n(n은 자연수)개이면, 제2 도체 그룹에 포함된 전송선로의 개수는 n+1개가 되고, 제2 도체 그룹에 포함된 n+1 개의 전송선로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보다 큰 폭으로 특성 임피던스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화된 구조에 따르면, 전체 전송선로의 개수는 제1 도체 그룹에 포함된 전송선로의 개수인 n 및 제2 도체 그룹에 포함된 전송선로의 개수인 n+1를 합하여 2n+1 개가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개시한다.
먼저, λ/4 길이의 임피던스 변환기를 1.9 GHz 주파수의 3중 및 5중 도체로 구성하였는데, MoM (method of moment)을 이용한 전파장 전자기 해석은 결합선로의 실제 치수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험은 유전 상수 4.5의 30 밀리 두께의 테플론(Teflon) 기판 상에서 수행되었고, 상기와 같은 발명 아이디어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스위치를 사용하지는 않았는데, 그 이유는 실제 스위치를 사용하면 기생 효과(parasitic effect)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 대신, 동일한 금속 패턴을 가지는 여러 개의 PCB가 사용되었고 스위치 ON 상태는 비아홀(via hole) 그라운드에 의해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도체 임피던스 변환 장치는 도체의 치수를 폭 1.0 mm, 간격 0.07 mm, 길이 21.8 mm(1.9GHz의 1/4 파장에 해당)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5중 도체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도체의 치수는 폭 0.4 mm, 간격 0.07 mm 길이 21.8 mm로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결합선로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기능에 대해 테스트하기 위해 제작한 실험 장치를 나타내는 사진 및 이에 대한 등가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포트(P2)의 끝단에 측정용 부하 저항 Rt가 위치한다. 특성 임피던스는 해당 주파수에 최적의 입력반사손실을 제공하도록 부하 레지스턴스를 조절해 가면서 측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부하 저항을 바꿔가면서 측정한 입력반사손실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A 모드인 경우 Rt=62 ohm, B 모드인 경우 Rt=39 ohm, C 모드인 경우 Rt=33 ohm을 가지는 3중 도체의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측정된 입력반사손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인된 주파수에서 측정된 입력반사손실은 상기 모든 모드에서 충분히 좋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변환기가 잘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적인 부하 및 실제 부하를 사용한 경우의 입력반사손실의 시뮬레이션 값이 각각의 도면에 역시 나타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측정에 사용된 실제 저항에 기생 요소가 있기 때문에 주파수 변이(frequency shift)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측정에 의해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특성 임피던스는 A 모드인 경우 55.7, B 모드인 경우 44.2, C 모드인 경우 40.6 ohm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 과정은 5중 임피던스 변환 장치에서도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측정된 특성 임피던스 값은 각각 A 모드인 경우 56.5 ohm, B 모드인 경우 46.8 ohm, C 모드인 경우 37.2 ohm, D 모드인 경우 33.0 ohm, E 모드인 경우 29.5 ohm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5중 도체 임피던스 변환 장치는 보다 넓은 범위와 다양한 모드의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임피던스 변환 장치는 2n+1 개의 다중 도체 결합선로 및 n+1 개의 스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실험예는 특성 임피던스가 스위치의 온/오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음을 증명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측정된 5중 임피던스 변환 장치의 스위치에 따른 5개 모드의 특성 임피던스는 최소값이 29.5 ohm 이고 최대값이 56.5 ohm 이므로 56.5/29.5 = 1.9에 해당되는바, 그 변동 폭이 아주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능은 결합선로인 도체 수를 증가시키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제1 전송선로
2: 제2 전송선로
3: 제3 전송선로
100: 도체(결합선로)
S: 스위치
P: 입출력단자

Claims (5)

  1.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에 있어서,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전송선로 그룹 -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은 n 개의 전송선로를 포함함 -, 및
    상기 n 개의 전송선로 각각마다 양측에 배열되어 상기 n 개의 전송선로와 커플링을 일으키는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제2 전송선로 그룹 - 상기 제2 전송선로 그룹은 n+1 개의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n+1 개의 전송선로 각각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ON 또는 OFF 될 수 있음 -,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n 개의 전송선로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n 개의 전송선로 각각은, 상기 제2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n+1 개의 전송선로 중, 자신에 가장 인접한 한 쌍의 전송선로와 커플링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선로 및 상기 제2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선로는 서로 동일한 치수와 전기적 파라미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선로 및 상기 제2 전송선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선로는 각각 λ/4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변환 장치.
KR1020100132267A 2010-12-22 2010-12-22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KR10121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67A KR101214913B1 (ko) 2010-12-22 2010-12-22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67A KR101214913B1 (ko) 2010-12-22 2010-12-22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02A KR20120070802A (ko) 2012-07-02
KR101214913B1 true KR101214913B1 (ko) 2012-12-24

Family

ID=4670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267A KR101214913B1 (ko) 2010-12-22 2010-12-22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9301B (zh) * 2018-07-03 2022-04-08 杨涛 一种多阶重构的负电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02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8943B1 (en) Harmonic processing circuit and amplifying circuit using the same
Tang et al. Phase-shifter design using phase-slope alignment with grounded shunt $\lambda/4$ stubs
Burdin et al. Design of compact reflection-type phase shifters with high figure-of-merit
US7764141B2 (en) Interleaved non-linear transmission lines for simultaneous rise and fall time compression
CN105140605B (zh) 一种基于slr结构的频率和带宽全可调带通滤波器
WO2015160689A1 (en) Directional coupler system
CN109818127B (zh) 一种相位连续可调横跨定向耦合器
CN113422190A (zh) 分支线定向耦合器及其设计方法、电子设备
US7276989B2 (en) Attenuator circuit comprising a plurality of quarter wave transformers and lump element resistors
KR101214913B1 (ko) 다중도체 결합선로를 이용한 가변 임피던스 변환 장치
Munir et al. Cohn topology-based 1: 8 power divider for S-band array antenna feeding network
RU2324266C2 (ru) Полосковый двухканальный делитель
RU2601533C1 (ru) Де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CN114267927A (zh) 基于相变材料的可切换微波滤波器
RU2526742C2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де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Moyra et al. Design of t-split power dividers using dumbbell shared dgs
Lopez-Villegas et al. Study of 3D-printed helical-microstrip transmission lines
JP4270000B2 (ja) 不等電力分配合成器
Squartecchia et al. Design of a planar ultra-wideband four-way power divider/combiner using defected ground structures
Zulfi et al. Compact capacitively-loaded transmission line with enhanced phase shift range
RU2743248C1 (ru) Микрополосковый тандемный направленный ответвитель
Lopez-Villegas et al. 3D-printed broadband impedance transformers using helical-microstrip transmission line segments
RU2262782C2 (ru) Полосковый фильтр
RU2234767C1 (ru) Диод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JP5664956B2 (ja) 高周波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