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826B1 - 해체용이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해체용이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826B1
KR101214826B1 KR1020100138985A KR20100138985A KR101214826B1 KR 101214826 B1 KR101214826 B1 KR 101214826B1 KR 1020100138985 A KR1020100138985 A KR 1020100138985A KR 20100138985 A KR20100138985 A KR 20100138985A KR 101214826 B1 KR101214826 B1 KR 10121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lower body
horizontal member
incision groo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135A (ko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13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8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8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체결되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만을 쉽게 분리하여 손쉽게 프로텍터를 해체할 수 있는 해체용이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와이어링이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의 상부에는 하부몸체(10)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재(20)와; 하부몸체(10)의 외측에 수평하게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게 수평부재(31)와, 수평부재(31)의 중앙부분에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홀(32)로 이루어져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부 마운팅부(30)를 구비하는 통상의 해체용이 프로텍터에 있어서, 수평부재(31)의 하부면 중에서 측면에서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된 측면절개홈(35)과, 측면절개홈(35)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된 중앙절개홈(36)으로 이루어진 절개홈(33)이 형성되고, 수평부재(31)의 상부면에는 절개홈(33)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화살표(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체용이 프로텍터{PROTECTOR WITH EASY DISASSEMBLY}
본 발명은 차체에 체결되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만을 쉽게 분리하여 손쉽게 프로텍터를 해체할 수 있는 해체용이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프로텍터의 해체시 마운팅부에서 프로텍터를 분리하여 프로텍터를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해체용이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고, 자동차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의 작동을 위한 배선을 하나로 묶은 와이러링이 배터리를 중심으로 전단부의 헤드램프에서 후단부의 리어램프에 이르기까지 차량의 전 부분에 걸쳐 있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링은 다른 부품과 마찰이 생겨 곡선 부위 등에 손상을 입거나, 상기 곡선부위 등이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변 작업 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각각의 부품들의 마찰과 손상을 막기 위해 프로텍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프로텍터는 와이어링이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의 상부에는 하부몸체(10)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재(20) 및 하부몸체(10)의 외측에는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부(30)로 이루어지며, 볼트를 이용하여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프로텍터를 차량에서 해체하기 위해서는 프로텍터에 체결된 다수의 볼트를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해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빠른 해체 작업을 위해 프로텍터를 파손한 후에 와이어링만 분리할 수 있지만 프로텍터의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2차 오염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프로텍터의 해체시 차체에 체결되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만을 쉽게 분리하여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해체용이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프로텍터의 해체시 마운팅부에서 프로텍터를 분리하여 프로텍터를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해체용이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는, 와이어링이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의 상부에는 하부몸체(10)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재(20)와; 하부몸체(10)의 외측에 수평하게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게 수평부재(31)와, 수평부재(31)의 중앙부분에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홀(32)로 이루어져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부 마운팅부(30)를 구비하는 통상의 해체용이 프로텍터에 있어서, 수평부재(31)의 하부면 중에서 측면에서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된 측면절개홈(35)과, 측면절개홈(35)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된 중앙절개홈(36)으로 이루어진 절개홈(33)이 형성되고, 수평부재(31)의 상부면에는 절개홈(33)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화살표(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절개홈(33)은 'U'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는 차체에서 프로텍터를 해체하는 경우 차체에 체결되는 마운팅부만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와이어링이 포함된 프로텍터부분만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운팅부의 전면에 절개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해체자가 더욱 쉽게 프로텍터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텍터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의 작업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를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는 와이어링이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가 구비되고, 하부몸체(10)의 상부에는 하부몸체(10)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재(20)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10)의 외측에는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부재(20)는 하부몸체(10)와 분리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몸체(10)의 일측면에서 회전가능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운팅부(30)는 하부몸체(10)의 외측에 수평하게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게 수평부재(31)가 형성되고, 수평부재(31)의 중앙부분에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된다. 이러한 마운팅부(30)는 하부몸체(10)의 일측면에만 형성된다.
관통홀(32)과 하부몸체(10) 사이의 수평부재(31) 하부면에는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절개홈(33)이 형성된다. 절개홈(33)은 'U'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부재(31)의 높이는 절개홈(33)이 형성된 부분이 절개홈(3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높이보다 얇고 이에 따라 절개홈(33)이 형성된 부분의 강도가 약해진다. 이때, 절개홈(33)은 수평부재(31)의 일측면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부재(31)의 상부면에는 절개홈(33)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화살표(34)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이 프로텍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프로텍터의 하부몸체(10)에 와이어링을 수용하고 커버부재(20)로 하부몸체(10)를 덮어 와이어링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와이어링의 수용은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한 후에 작업할 수 있다.
프로텍터를 차체에 장착할 때에는 하부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마운팅부(30)의 관통홀(32)에 볼트를 관통시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볼트의 두부는 관통홀(32)의 외측에 위치하고 볼트의 나사산은 차체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차체에서 프로텍터를 해체할 때에는 프로텍터의 하부몸체(10)를 들어 올리면 측면으로 잡아당기면 차체에 고정되지 않은 하부몸체(10)가 들리면서 마운팅부(30)에 회전력이 가해진다. 회전력을 받은 마운팅부(30)는 강도가 약한 절개홈(33)을 따라 접히면서 절단된다. 이때, 수평부재(31)의 상부면에 형성된 화살표(34)를 따라 프로텍터의 하부몸체(10)를 잡아당기면 절개홈(33)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프로텍터 중에서 볼트가 체결되는 마운팅부(30)가 차체에 남아 있지만 와이어링이 삽입된 프로텍터는 쉽게 차체에서 분리할 수 있어 프로텍터의 해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30)의 절개홈(33)은 측면절개홈(35), 중앙절개홈(36)으로 이루어진다. 측면절개홈(35)은 수평부재(31)의 하부면 중에서 측면에서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앙절개홈(36)은 측면절개홈(35)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측면절개홈(35)과 중앙절개홈(36) 사이의 높이는 수평부재(31)의 높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마운팅부(30)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으나, 측면 또는 사선으로 가해지는 힘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홈(33)을 측면절개홈(35)과 중앙절개홈(36)으로 형성하면 프로텍터의 설치시 수평부재(31)의 높이보다 얇게 형성된 측면절개홈(35)이 파손되더라도 중앙절개홈(36)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터를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프로텍터의 하부몸체(10)를 경사지게 들어올리면서 잡아당기면 측면절개홈(35)부터 중앙절개홈(36)까지 순차적으로 절단되어 간단한게 프로텍터를 해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하부몸체 20 : 커버부재
30 : 마운팅부 31 : 수평부재
32 : 관통홀 33 : 절개홈
35 : 측면절개홈 36 : 중앙절개홈
34 : 화살표

Claims (5)

  1. 와이어링이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부에는 하부몸체를 덮는 커버부재와; 하부몸체의 외측에 수평하게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중앙부분에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홀로 이루어져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해체용이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면에는 측면에서 하부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된 측면절개홈과, 측면절개홈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된 중앙절개홈으로 이루어진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화살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용이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절개홈은 'U'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용이 프로텍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38985A 2010-12-30 2010-12-30 해체용이 프로텍터 KR10121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85A KR101214826B1 (ko) 2010-12-30 2010-12-30 해체용이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85A KR101214826B1 (ko) 2010-12-30 2010-12-30 해체용이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135A KR20120077135A (ko) 2012-07-10
KR101214826B1 true KR101214826B1 (ko) 2012-12-24

Family

ID=4671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985A KR101214826B1 (ko) 2010-12-30 2010-12-30 해체용이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16B1 (ko) * 2012-07-12 2013-10-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가변형 프로텍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2Y1 (ko) * 2004-07-27 2004-10-21 경신공업 주식회사 멀티 어스 터미널
KR100622778B1 (ko) * 2004-09-30 2006-09-1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어하네스용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2Y1 (ko) * 2004-07-27 2004-10-21 경신공업 주식회사 멀티 어스 터미널
KR100622778B1 (ko) * 2004-09-30 2006-09-1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어하네스용 프로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135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397B2 (en) Invert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US8563866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KR101428276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US9748553B2 (en) Battery pack
JP2012164487A (ja) 充電用コネクタ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EP303164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battery on vehicle
KR101214826B1 (ko) 해체용이 프로텍터
KR100820595B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CN110395100A (zh) 车辆
CN202444066U (zh) 一种绝缘穿刺线夹
RU94621U1 (ru) Протектор защиты силового кабеля в скважине и крепежное соединение
JP2015101111A (ja) 車両のホーン用ワイヤハーネスの保護構造及び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モジュール
CN211046411U (zh) 一种地面电线盖线装置
KR101151864B1 (ko) 내장완철용 연장 브래킷
CN208158255U (zh) 电机
CN202586176U (zh) 绝缘操作杆
KR20100001822U (ko) 송전선로용 폴리머 피뢰기의 설치대
KR100839013B1 (ko) 배전용 전봇대의 안전장치
CN210973484U (zh) 一种升降电梯的底部裙板结构
JP2013105659A (ja) アースコネクタ
CN102891560B (zh) 一种汽车发电机防护罩
CN209653713U (zh) 一种铰链防脱落安全盖
CN211295506U (zh) 一种线盒
JP5203532B2 (ja) 鋼管ポ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