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25B1 - 터미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터미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25B1
KR101214525B1 KR1020110085310A KR20110085310A KR101214525B1 KR 101214525 B1 KR101214525 B1 KR 101214525B1 KR 1020110085310 A KR1020110085310 A KR 1020110085310A KR 20110085310 A KR20110085310 A KR 20110085310A KR 101214525 B1 KR101214525 B1 KR 10121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pin
coupled
coupling structur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정밀
Priority to KR102011008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terminal)에 결합되는 단자핀이 제작상의 오차로 헐겁거나 외부의 충격에도 터미널에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암,수형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 일측에 삽입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의 상부에 단자핀(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막(30)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에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0)에 리드선(50)이 결합된 단자핀(4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단자핀(40)의 외표면에 삽입부(20) 내로 결합되는 단자핀(40)이 유동방지막(30)의 걸림턱(31)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띠 형태의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미널 결합구조{Terminal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터미널(terminal)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에 결합되는 단자핀이 터미널에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적 접속을 위한 터미널(terminal)은 그에 결선된 리드선과 연결되는 전기부품의 용량 및 특성, 사용장소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된다.
종래 암,수의 터미널은 접촉단자가 구형이나 철편 형식으로 되고 암,수의 하우징은 암,수의 단자수에 일치되는 요철부로 교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종래에 따른 암,수의 터미널에는 리드선이 결합된 단자핀이 결합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터미널은 리드선의 외표면과 터미널 내벽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리드선이 터미널 내부로 단순히 끼워지게 되어 제작상의 오차 때문에 다소 헐거운 조립상태를 보이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리드선이 터미널로부터 이탈되어 단락되는 등의 제품의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터미널의 삽입부에 결합되는 단자핀이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결속력을 최대화하여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터미널에서 단자핀이 빠지지 않도록 단자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띠 형태로 형성되어짐으로써 단자핀의 끼움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터미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암,수형 터미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수형 터미널의 일측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유동방지막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동방지막의 내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 리드선이 결합된 단자핀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단자핀의 외표면에 삽입부 내로 결합되는 단자핀이 걸림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띠 형태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의 유동방지막 내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터미널의 삽입부에 결합되는 단자핀이 걸림턱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단자핀의 외표면에 띠 형태의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제작상의 오차로 단자핀이 헐거워지거나 충격이 가해져도 단자핀이 터미널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어 견고한 결속력으로 제품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핀의 이탈방지돌기가 띠 형태로 형성되어 단자핀의 삽입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결합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결합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평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결합부분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 터미널 결합구조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암,수형 터미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일측에 단자핀(40)이 결합되어지는 삽입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의 상부에 단자핀(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막(30)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 내로 결합되는 단자핀(40)의 외표면에 유동방지막(30)의 걸림턱(31)에 걸려 단자핀(40)이 삽입부(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1)은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외부에서 타격을 가해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턱(31)은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 일부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단자핀(40)의 이탈방지돌기(41)는 삽입부(20) 내로 결합되는 단자핀(40)이 끼움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띠 형태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자핀(40)에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지는 리드선(50)이 결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리드선(50)이 결합되어 있는 단자핀(40)을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삽입부(20)에 각각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20) 내로 단자핀(40)이 결합되어지면 상기 단자핀(40)이 유동방지막(30)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핀(40)이 삽입부(20) 내로 결합되면서 상기 단자핀(40)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41)가 상기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턱(31)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에 상기 삽입부(20)에 결합되는 단자핀(40)의 이탈방지돌기(41)가 걸림턱(31)에 걸리게 되어 상기 단자핀(40)이 삽입부(20)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에 단자핀(40)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접속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전기적인 접속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삽입부(20)에 단자핀(40)이 결합되어질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41)가 단자핀(40)의 외표면에 띠 형태로 형성되어짐에 따라 단자핀(40)의 끼움 방향에 관계없이 삽입부(20) 내로 단자핀(4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에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리드선(50)이 결합된 단자핀(40)이 외부의 충격에도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제품 기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수형 터미널
11 : 암형 터미널
20 : 삽입부
30 : 유동방지막
31 : 걸림턱
40 : 단자핀
41 : 이탈방지돌기
50 : 리드선

Claims (4)

  1.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 결합구조에 있어서,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일측에 단자핀(40)이 결합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의 상부에 삽입부(20)로 결합되는 단자핀(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막(30)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에 걸림턱(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 내로 결합되는 단자핀(40)의 외표면에 걸림턱(31)에 걸려 단자핀(40)이 삽입부(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1)은 수형 터미널(10)과 암형 터미널(11)의 외부에서 타격을 가해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1)은 유동방지막(30)의 내벽면 안쪽으로 일부만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41)는 삽입부(20) 내로 결합되는 단자핀(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결합구조.
KR1020110085310A 2011-08-25 2011-08-25 터미널 결합구조 KR10121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10A KR101214525B1 (ko) 2011-08-25 2011-08-25 터미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10A KR101214525B1 (ko) 2011-08-25 2011-08-25 터미널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25B1 true KR101214525B1 (ko) 2012-12-24

Family

ID=4790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310A KR101214525B1 (ko) 2011-08-25 2011-08-25 터미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2388U (ko) 1975-03-31 1976-10-04
JPS60147082U (ja) 1984-03-08 1985-09-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テンシヨンコ−ドの接続装置
JP2008091039A (ja) 2006-09-29 2008-04-17 Yukita Electric Wire Co Ltd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2388U (ko) 1975-03-31 1976-10-04
JPS60147082U (ja) 1984-03-08 1985-09-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テンシヨンコ−ドの接続装置
JP2008091039A (ja) 2006-09-29 2008-04-17 Yukita Electric Wire Co Ltd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3452B (zh) 連接器
US9437989B2 (en) Plug for electrically mating with a receptacle
TWI624115B (zh) Socket electrical connector, plug electrical connector and combinations thereof
US9431735B2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085527B2 (ja) 雌端子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US7938677B1 (en)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WO2012139500A1 (zh) 线束连接器
KR101214525B1 (ko) 터미널 결합구조
JP2013058420A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6331173B2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US8956194B2 (en) Battery connector and electrical terminal thereof
US1982169A (en) Electric connecter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TWI580127B (zh) 電連接器組合
CN112838442A (zh) 电连接器组合
JP2010123554A (ja) コネクタ
KR101228830B1 (ko) 터미널 하우징 결합구조
JP2013168302A (ja) ジョイント端子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20628375U (zh) 一种内置式锁扣电连接器
KR200391258Y1 (ko) 송수화기의 전화선 꼬임 방지장치
TWM547771U (zh) 插座電連接器、插頭電連接器及其組合
CN109119806B (zh) 连接器
KR101798826B1 (ko) 전등용 커넥터 결합구조
JP2007200639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