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331B1 - 쿠션실린더 - Google Patents

쿠션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331B1
KR101214331B1 KR1020100109678A KR20100109678A KR101214331B1 KR 101214331 B1 KR101214331 B1 KR 101214331B1 KR 1020100109678 A KR1020100109678 A KR 1020100109678A KR 20100109678 A KR20100109678 A KR 20100109678A KR 101214331 B1 KR101214331 B1 KR 10121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ydraulic oil
piston
cushion cylind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183A (ko
Inventor
이봉춘
Original Assignee
이봉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춘 filed Critical 이봉춘
Priority to KR102010010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3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8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shock absorbers mounted outside the actuato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47Pistons; Piston to piston rod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57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6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elastic elements, e.g. springs, rubber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역지밸브의 디스크의 배면에 작용하는 수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쿠션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로드의 승하강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유압유가 실린더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역지밸브의 디스크 배면에 작용하는 수격을 최소화로 완충시킬 수 있는 쿠션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는 피스톤로드(202)와 피스톤(201)이 실린더(200a)속에서 승하강될 때 피스톤과 피스톤로드의 체적이 변동되기 않기 때문에 실린더(200a)의 상부에서 하부로 혹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유압유가 부족해지거나 잉여 유압유가 생기지 않으므로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쿠션실린더{CUSHION CYLINDER FOR BUFFERING WATER HAMMER}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속에서 발생하는 수격에 대응하여 수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쿠션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속에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피스톤의 체적이 변동되지 않으므로 일정한 유압량으로 쿠선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고, 유압유가 실린더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에서 유입되지 않으므로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와 같은 별도의 유압유 공급장치가 필요치 않아 쿠션실린더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실린더내에 압축실을 마련하여 수격에 대응하여 신속한 쿠션작용과 쿠션해제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쿠션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장에는 기본적으로 펌프와 배관, 서지탱크 그리고 역지밸브, 유량조절밸브, 보수용 차단밸브, 안전변 등이 설치된다. 이 모든 밸브가 펌프장의 정상운전과 안전운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장치이나 펌프장이 정전이나 예상하지 못한 사정으로 펌프가 급작스럽게 정지하는 경우 수충격(워터 해머;water hammer)의 발생으로 펌프장 및 그 배관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된다.
펌프의 비상 정지시 역지밸브로 인한 2차 수충격 방지를 위해서는 적절한 역지밸브의 선택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펌프의 고성능화, 관로의 대구경화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역지밸브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수리조건이 요구되어 고양정, 대유량의 현대식 펌프장에서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현장 수리조건에 최적의 조정이 가능한 역지밸브의 개발되고 있다.
한편, 역지밸브에는 대시포트 실린더(dashpot cylinder)라 불리기도 하는 쿠션실린더(damping cylinder)가 부설되어 있는데, 쿠션실린더의 주된 기능은 역지밸브의 디스크가 부착된 샤프트에 연결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지밸브 디스크의 배면에 가해지는 수격으로부터 배관이나 펌핑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수충격 완충장치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쿠션실린더와 관련된 발명으로서, 종래의 쿠션실린더가 장착된 역지밸브(10)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역지밸브(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직경 배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에 플랜지(11) 이음에 의해 연결되는 역지밸브 케이싱(12)과 케이싱(12)의 내부에 관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디스크(15)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15)는 케이싱(12) 밖으로 연장된 보스(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축(13)에 부착되어 있고, 디스크(15)가 결합된 축(13)에는 기어박스(30)가 결합되어 있다.
기어박스(30)는 내부에 기어군(31)들이 내장되어 있고, 기어군(31)들은 수동 및 전동식 액츄에이터(40)의 구동축(401)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어박스(30)의 상부에는 액츄레이터(40)과 함께 쿠션실린더(20)가 함께 장착되어 있다. 쿠션실린더(20)는 디스크 축(13)에 장착된 스퍼기어(13a)와 랙크기어(21)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펌프(도면에는 미도시)의 정지로 인해 디스크(15)의 배면에 수압이 작용하여 디스크 축(13)이 회전하면 랙크기어(21)가 연동한다.
랙크기어(21)는 쿠션실린더(20)의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23)을 가압하여 실린더(20a)속에 충진된 유압유가 실린더(20a) 밖으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종래의 쿠션실린더(20)의 내부구성을 예시한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는 쿠션실린더(20)의 작동전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쿠션실린더(20)의 작동과정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송펌프(도면에는 미도시)가 예상하지 못한 이유로 정지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5)의 배면에 작용하는 수격에 의해 디스크(15)가 부착된 축(13)이 회전하면서 스퍼기어(13a)에 맞물린 랙크기어(21)와 피스톤로드(24)가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로드(24)가 하강하면, 피스톤로드(24)에 부착된 누름부재(25)가 피스톤(23)을 가압하여 피스톤(23)으로 하여금 실린더(20a)내에 충진된 유압유가 협소한 오리피스(27)를 서서히 통과하면서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28)속으로 배출되는 과정에 수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디스크(15)가 개방되는 경우 즉, 피스톤로드(24)가 상승하면서 피스톤(23)에 가해진 누름부재(25)의 압력을 해지되면, 실린더(20a)의 외부에 설치된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28)에서 크랙킹 압력이 실린더(20a)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유압유에 의해 피스톤(23)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피스톤로드(24)에 고정된 누름부재(25)가 피스톤(23)을 누를 때 까지는 디스크(15)는 신속하게 닫히게 되고, 누름부재가 피스톤(23)에 접촉된 이후에는 유압유의 배출지연작용에 의해 디스크(15)의 닫힘속도가 지연되면서 수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쿠션실린더는 실린더속에 충진된 유압유가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실린더 밖으로 배출되는 유압유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마련되어야 하고, 또한 피스톤(23)을 원위치시키기 위해 유압유를 실린더속으로 충진하기 위한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28) 등과 같은 장치를 별도로 갖추어야 하고, 또한 실린더에서 배출된 유압유의 량과 실린더속으로 충진되는 유압유의 량이 차이가 발생될 수 있어 유압유 보충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비하여 보조 유압유 탱크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피스톤을 원위치시키기 위해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28)에 의해 실린더속으로 공급되는 유압유가 실린더속으로 충진되는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수격발생시 쿠션실린더의 대응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28)를 위한 쿠션실린더의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시공비용이 증가하고 유지관리비가 소요되며, 운전시 또 다른 고장원이 되는 등 복합적인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쿠션실린더가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실린더의 내부에 쿠션작용을 위한 유압유 압축실을 마련하고, 유압유의 압축여부에 따라 이송되어지는 유압유가 실린더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린더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와 같이 유압유를 충진하기 위한 장치가 전혀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간소화되고 내구성을 향상되며, 수격에 대응하여 신속한 쿠션작용과 쿠션해제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쿠션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쿠션실린더의 해결과제는,
피스톤(201)을 갖추고 실린더(200a)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202)와;
실린더(200a)의 일측에 피스톤(201)의 외경과 같은 직경을 지닌 압축실(200b)을 더 포함하는 실린더(200a)와;
실린더(200a)의 상하부측에 볼트로 체결되면서 실린더(200a)와 압축실(200b)과 연통하는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를 갖춘 오리피스 블럭(205)이 결합된 실링플레이트(204)와;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실(200b)과 실린더(200a)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07)의 관로상에 하측 연결통로(206b)에서 배출되는 유압유가 상측 연결통로(206a)쪽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관로를 차단하고, 반대로 상측 연결통로(206a)에서 하측 연결통로(206b)쪽으로 통과하도록 관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207a)와, 첵크밸브(207a)의 입구와 축구측 바이패스관(207)에 연결되면서 유압유가 상측 연결통로(206a)에서 하측 연결통로(206b)쪽으로만 통과하도록 관로가 개방된 가변밸브(207b)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쿠션실린더는 쿠션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된 압축실에 피스톤이 진입여부에 따라 쿠션작용이 발생되고 해제되므로 수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며, 유압유의 압축에 따라 이송되어지는 유압유는 실린더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린더내부에서 순환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와 같이 유압유를 충진하기 위한 장치가 전혀 요구되지 않으며, 구조적으로 간소화된 쿠션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는 구조면에서 간소화됨으로써 잔고장이 적고 제조 및 시설 및 운전 비용을 낮출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쿠션실린더가 부착된 역지밸브의 요부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역지밸브에 부착된 종래의 쿠션실린더의 작동전 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쿠션실린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의 작동전 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의 쿠션작용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의 순차적인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0)의 상부에 장창되어 있으며, 기어박스(30)를 통해 디스크(15)의 축(103)에 결합된 스퍼기어(13a)와 랙크기어(21)가 연결되어 있고 랙크기어(21)는 실린더(20a)의 피스톤로드(24)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200)는 실린더(200a)의 내부에 피스톤(201)을 구비한 피스톤로드(20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00a)에는 그 상하측에 실링플레이트(204)가 길이가 긴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한 실링플레이트(204)에는 피스톤로드(20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피스톤로드(202)의 원주면과 접하는 실링플레이트(204)의 표면에는 실링(참조번호 미표기)가 마련되어 피스톤로드(202)의 승하강 동작시 실린더에 충진된 유압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하측 실링 플레이트(204)와 실린더(200a)사이에는 오리피스 블럭(205)이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한 상하측 오리피스 블럭(205)에는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은 피스톤로드(202)의 승하강 운동시 후술하는 바이패스관(207)을 통해 유압유가 실린더(200a)의 내부로 출입하는 통로이다.
상기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는 바이패스관(207)에 의해 압축실(200b)과 실린더(200a)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바이패스관(207)에는 체크밸브(207a)와 유량조절용 가변밸브(207b)를 포함하는 콘트롤러(20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체크밸브(207a)는 하측 연결통로(206b)에서 배출되는 유압유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패스관(207)에 하측 연결통로(206b)에서 상측 연결통로(206a)쪽으로는 진행하는 것을 차단한다. 물론 상측 연결통로(206a)에서 배출되는 유압유가 하측 연결통로(206b)속으로 유입되는 것은 당연하다.
유량조절용 가변밸브(207b)는 니들밸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체크밸브(207a)의 입구측 바이배스관(207)과 출구측 바이패스관(207)에 연결되어 체크밸브(207a)에 의해 차단된 바이패스관(207)의 관로를 우회적으로 연결하면서 가변밸브(207b)를 통과하는 유압유의 통과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가변밸브(207b)를 최대한 개방하면 많은 유압유가 일시에 통과하게 되고, 반대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유압유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한 유량조절용 가변밸브(207b)는 바이패스관(207)을 따라 흐르는 유압유는 하측 연결통로(206b)에서 상측 연결통로(206a)쪽으로는 진행할 수 있으나, 반대방향으로 유압유가 진행할 수 없는 일방향 밸브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이패스관(207)에 설치된 체크밸브(207a)와 가변밸브(207b)에 의해 하측 연결통로(206b)에서 배출되는 유압유는 가변밸브(207b)을 통해 상측 연결통로(206a)쪽으로 진행하고, 상측 연결통로(206a)에서 배출되는 유압유는 체크밸브(207a)를 통해서 하측 연결통로(206b)쪽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09는 실링부재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200)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쿠션실린더(200)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202)는 실린더(200a)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나, 디스크(15, 도 1 참조)의 배면에 수압이 가해지면 수압은 순차적으로 디스크 축(13), 스퍼기어(13a) 및 랙크기어(21)(도1 참조)로 전달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202)로 전달되면서 피스톤로드(202)는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로드(202)의 하강에 따라 피스톤(201)은 도 4에 도시된 "A"구간(급속이동구간)을 피스톤로드(202)와 함께 이동한 뒤 "B"구간(댐핑구간) 즉, 압축실(200b)속으로 진입한다.
실린더(200a)에 충진된 유압유는 피스톤(201)이 급속이동구간(A)을 통과하더라도 실린더내의 체적은 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의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되고 디스크는 단순히 관로를 닫거나 개방하는 작용만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01)이 급속이동구간(A)을 이동할 때에는 디스크(15)(도 1참조)가 닫힘동작을 수향하지만 디스크에 작용하는 수격에 대항하는 댐핑압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피스톤(201)이 급속이동구간(A)을 지나 댐핑구간(B) 즉, 압축실(200b)속으로 진입하면, 디스크(15, 도 1참조)의 배면에 작용하는 수압에 대항하는 저항력 즉, 수압에 대항하는 댐핑압력이 피스톤로드(202)에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피스톤(201)이 압축실(200b)속으로 진입하면 압축실(200b)의 유압유는 하측 연결통로(206), 바이패스관(207)의 가변밸브(207b) 및 상측 연결통로(206)를 통해 실린더(200a)속으로 이송된다.
이때 가변밸브(207b)를 통과하는 유압유의 배출속도에 의해 댐핑압력이 가변되므로 가변밸브(207b)의 개폐량을 조절하면 수압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댐핑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202)의 상승동작시, 피스톤(201)이 압축실(200b)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면 실린더(200a)속에 충진된 유압유가 상측 연결통로(206), 바이패스관(207)의 체크밸브(207a), 하측 연결통로(206)을 거쳐 압축실(200b)속으로 유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200)는 피스톤로드(202)의 상하이동시 유압유가 실린더(200a)의 상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쿠션실린더에서와 같이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와 같은 별도의 유압유 공급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본 발명에 따른 쿠션실린더는 피스톤로드(202)와 피스톤(201)이 실린더(200a)속에서 승하강될 때 피스톤과 피스톤로드의 체적이 변동되기 않기 때문에 실린더(200a)의 상부에서 하부로 혹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유압유가 전혀 부족해지거나 잉여 유압유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에어 하이드로 컨버터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200: 쿠션실린더 200a: 실린더
201: 피스톤 202: 피스톤로드
204: 실링플레이트 205: 오리피스 블럭
206: 연결통로 207: 바이패스관
207a: 체크밸브 207b: 가변밸브
208: 콘트롤러 209: 실링부재

Claims (1)

  1. 피스톤(201)을 갖추고 실린더(200a)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202)와;
    실린더(200a)의 일측에 피스톤(201)의 외경과 같은 직경을 지닌 압축실(200b)을 더 포함하는 실린더(200a)와;
    상기 실린더(200a)의 상하부측에 볼트로 체결되면서 실린더(200a)와 압축실(200b)과 연통하는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를 갖춘 오리피스 블럭(205)이 결합된 실링플레이트(204)와;
    상기 상하측 연결통로(206a,206b)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실(200b)과 실린더(200a)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07)에 하측 연결통로(206b)에서 배출되는 유압유가 상측 연결통로(206a)쪽으로 진행할 수 없도록 관로를 차단하고, 반대로 상측 연결통로(206a)에서 하측 연결통로(206b)쪽으로 통과하도록 관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207a)와, 상기 체크밸브(207a)의 입구와 축구측 바이패스관에 연결되면서 유압유가 상측 연결통로(206a)에서 하측 연결통로(206b)쪽으로만 통과하도록 관로가 개방된 가변밸브(207b)를 각각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실린더.
KR1020100109678A 2010-11-05 2010-11-05 쿠션실린더 KR10121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678A KR101214331B1 (ko) 2010-11-05 2010-11-05 쿠션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678A KR101214331B1 (ko) 2010-11-05 2010-11-05 쿠션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83A KR20120048183A (ko) 2012-05-15
KR101214331B1 true KR101214331B1 (ko) 2012-12-20

Family

ID=4626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678A KR101214331B1 (ko) 2010-11-05 2010-11-05 쿠션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17B1 (ko) 2012-07-04 2014-03-13 동양기전 주식회사 헤드 커버 측 쿠션 형성 구조가 향상된 유압 실린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5196A (zh) * 2021-09-30 2022-01-11 娄底光华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可变阻尼式液压激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1918A (ja) 2003-08-12 2007-02-01 グラム ケイ ロバートソン, 衝撃吸収器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1918A (ja) 2003-08-12 2007-02-01 グラム ケイ ロバートソン, 衝撃吸収器ア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17B1 (ko) 2012-07-04 2014-03-13 동양기전 주식회사 헤드 커버 측 쿠션 형성 구조가 향상된 유압 실린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83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2856B2 (ja) 建設機械用ダブルチェックバルブ
MX2015000262A (es) Amortiguador de vibracion de fluido recuperador de energia.
JPH02102901A (ja) 空気油圧増圧式の圧力変換器の圧油充填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110671502B (zh) 一种抗水锤截止阀
CN108136707B (zh) 电液式驱动单元
CN104179881A (zh) 一种自升式平台缓冲系统
KR101487748B1 (ko) 병렬 실린더형 체크밸브
KR101214331B1 (ko) 쿠션실린더
JP6386115B1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
CN101354094B (zh) 一种减震保护扭力小的电动阀
CN101354080B (zh) 关断式停电复位电动阀
KR101605965B1 (ko) 내부 완충식 역지밸브
WO2005113979A2 (en) Buoyancy engine
CN212103933U (zh) 一种应用于水利水电工程中的自充压水封装置
US4051676A (en) Hydraulic valve actuator
KR100646869B1 (ko) 파이롯트 밸브를 이용한 압력방출장치
CN202215805U (zh) 一种水击泄放阀
KR101395622B1 (ko) 충격완화용 피스톤형 축압기
CN1102233A (zh) 用于调节阀的操纵装置
CN101900217B (zh) 阀结构
KR101523955B1 (ko) 가변 교축에 의해 급폐 및 완폐의 조절이 가능한 체크밸브
CN101929487B (zh) 一种自动复位电液动装置
KR20100015148A (ko) 수압으로 작동하는 바이패스 밸브
CN201068988Y (zh) 关断式停电复位电动阀
CN211231734U (zh) 蓄能器式液控缓闭止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