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147B1 -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147B1
KR101214147B1 KR1020100073154A KR20100073154A KR101214147B1 KR 101214147 B1 KR101214147 B1 KR 101214147B1 KR 1020100073154 A KR1020100073154 A KR 1020100073154A KR 20100073154 A KR20100073154 A KR 20100073154A KR 101214147 B1 KR101214147 B1 KR 10121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herbal
dark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399A (ko
Inventor
최재환
황승진
정의택
정수나
진무현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07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1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배자 추출물, 단삼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5 내지 5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 및 세포 증식 효과와 더불어, 임상에서 혈류량 개선 및 눈 밑 명도차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크서클 개선 및 예방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NTI-DARK CIRCLE COMPOSITION}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배자, 자초 및 단삼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여 눈가의 다크서클 완화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련된다.
다크서클은 아래 눈꺼풀 밑쪽으로 자루처럼 불룩 솟아오른 눈밑 지방으로 인해 그늘져 보이는 현상으로, 눈 아래쪽 주머니 같은 근막에 지방이 고이거나, 피하의 울혈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다크서클은 특별한 병리학적 영향은 없으나, 나이가 들어보이고 피곤해 보이는 등 미용상 문제점이 많다.
다크서클의 치료방법은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서 조직을 제거하는 것으로, 외부활동에 지장이 많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어 쉽게 실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미용적인 방법으로는 파운데이션이나 컨실러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방법 외에는 없다. 이들 외과적 시술이나 메이크업 화장법 이외에 다크서클과 같은 미용상 문제가 되는 지방층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약재를 대상으로 다크서클과 관련된 여러 스크리닝을 수행함으로써, 혈류량 개선 등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은 한약재를 선별하여 다크서클 개선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크서클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한약재 유래의 다크서클 개선 및 예방제로서 화장품, 의약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오배자 추출물, 단삼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거나, 또는 오배자, 단삼 및 자초를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크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오배자, 단삼 및 자초 각각의 한약재를 동일한 중량 비율, 또는 2: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또는 젤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시에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오배자(五倍子)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또는 소교목인 붉나무(Rhus chinensis) 잎에 기생하는 오배자진딧물(Mellaphis chinensis)의 충영인 붕퉁이의 전체를 건조한 것으로, 임상본초학(영림사, 2000)에 의하면 염폐강화(斂肺降火), 삽장지사(澁腸止瀉), 염한지혈(斂汗止血), 삽정축뇨(澁精縮尿)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단삼(丹蔘)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초목인 단삼(Salvia miltiorrhiza)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이다. 임상본초학(영림사, 2000)에 의하면 활혈조경(活血調經), 양혈소종(凉血消腫), 양혈안신(養血安神)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자초(紫草)는 지치과(Borr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목인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임상본초학(영림사, 2000)에 의하면 양혈활혈(凉血活血), 해독투진(解毒透疹), 활장(滑腸)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재 추출물은, 오배자, 단삼 및 자초 각각의 한약재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추출하거나 개개 성분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수 추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 조성물의 각 성분에 물을 가해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시간 이상 가열한 후,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 시간은 줄어들지만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손실될 수 있고, 상기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완전 추출되지 않으므로,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출액은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추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로 얻어진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한약재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5 내지 5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다크서클 개선 및 예방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또는 젤 등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어떠한 제형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의 제조시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 및 세포 증식 효과와 더불어, 임상에서 혈류량 개선 및 눈 밑 명도차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크서클 개선 및 예방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약재 추출물 제조 실시예:
오배자, 단삼 및 자초 한약재를 잘 건조하여 세절한 후 2: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추출용매(증류수:1,3-부틸렌글리콜=7:3)를 넣어 한약재 추출물이 3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3일간 냉침한 후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0.2 ㎛ 필터로 여과하여 최종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는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하고, 비교예는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하지 않은 상태로 다음 방법에 따라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과 유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6000 rpm 조건 하에서 10분간 유화시킨 후 30 ℃까지 냉각하여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 중량% 용액) 15 15
글리세린 6 6
프로필렌글리콜 4 4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한약재 추출물 1.0 -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콜 1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1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 1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5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5 5
스쿠알란 5 5
향료 적량 적량
상기 표 1의 수치 단위는 중량%이다. 또한, 카르복시비닐폴리머로는 미국 비.에프.굿리치(B.F.Goodrich)사의 상품인 카보폴 940(Carbopol 940)을 1 중량% 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으로는 영국 아이씨아이(ICI)사의 상품명 아라셀 60(Arlacel 60)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였고,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는 일본 니혼 코교 알코올(Nihon Kokyu Alcohol)사의 상품인 아이씨이에이치(ICEH)를 사용하였다.
효과시험예 1. 자유 라디칼 평가
제조실시예에서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방법으로 수행하였다[Blois, M.S. Nature 181, 1190(1958)].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40 ㎚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0.15 mM 농도로 메틸알콜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한약재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제조하여(1 ㎍/㎖~100 ㎍/㎖),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씩 넣었다. 여기에 DPPH 용액을 100 ㎕씩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 plate reader, BioTek EL-340)를 이용하여 54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한약재 추출물 대신 메틸알콜 100 ㎕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것의 흡광도가 대조군의 흡광도의 절반이 될 때의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시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아스코르빈산 한약재 추출물
30분에서의 IC50 0.05% 0.001%
위 표 2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은 통상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진 아스코르빈산보다 매우 강력한 자유 라디칼 소거제임을 알 수 있다.
효과시험예 2. 세포 증식 효과
제조실시예에서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세포증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 Corning사)에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한약재 추출물을 1.0%, 0.1%, 0.01% 및 0.001% 농도로 2일간 적용하고, MTT 시험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증식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혈청(serum) 1%를 부가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료의 종류 2일후 세포증식율(%)
대조군(무혈청 배지) 100
비교군(혈청 1%) 107
한약재 추출물
농도
1.0% 119
0.1% 136
0.01% 102
0.001% 94
위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은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효과가 우수하며, 이러한 효과는 농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효과시험예 3. 혈류량 개선 효과
제조실시예에서 수득한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혈류량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12명의 피험자를 10분 동안 충분히 안정시킨 다음, 직경 12 ㎜로 둥글게 자른 여과지에 시료 50 ㎕를 점적하여 양측 팔 안쪽에 약 3 ㎝ 간격으로 2분간 도포하였다. 여과지를 떼어내고 도포 부위를 습기가 없도록 휴지로 닦아낸 다음, LDF(Laser Doppler Flowmeter; Periflux system 5000, Perimed)의 프로브를 도포 부위에 고정시키고, 여과지를 떼어낸 2분 뒤와 15분 뒤의 피부 혈류(CBF: cutaneous blood flow)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증가 유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간 LDF값
2분 후 7.1
8분 후 7.2
15분 후 11.3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은 혈류량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효과시험예 4. 피부 명도차 개선 효과
실시예에서 제조한 제품을 이용하여 눈가 피부의 명도차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25명의 피험자를 10분 동안 충분히 안정시킨 다음, Chromameter CR-400(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눈 밑 색소가 침착된 부위의 L*, a*, b* 값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품 도포 전(0 주), 제품 도포 4주 경과 후(4 주)로 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좌측은 비교예의 제품을 사용하고, 우측은 실시예의 제품을 사용하여 눈 밑 다크서클 개선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눈 밑 명도차 개선율
L* 15명(57.69%)
a* 18명(69.23%)
b* 17명(65.38%)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고 현저한 눈 밑 명도차 개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유효성분으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오배자, 단삼 및 자초를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 0.05 내지 5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크 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크 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오배자, 단삼 및 자초 각각의 한약재를 동일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크 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오배자, 단삼 및 자초 각각의 한약재를 2: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크 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또는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크 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크 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73154A 2010-07-29 2010-07-29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54A KR101214147B1 (ko) 2010-07-29 2010-07-29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54A KR101214147B1 (ko) 2010-07-29 2010-07-29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399A KR20120011399A (ko) 2012-02-08
KR101214147B1 true KR101214147B1 (ko) 2012-12-20

Family

ID=4583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154A KR101214147B1 (ko) 2010-07-29 2010-07-29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147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가영 외 6명, 다크서클과 담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제12권 제2호 2009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399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62904A (zh) 一种具有美白抗氧化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JPH0892056A (ja) 美白化粧料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38A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3918A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200613769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06309911B (zh) 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5946B1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CA2683731A1 (en) Use of vernonia extract
JP2007084448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3660833B2 (ja) 血行促進剤
KR101214147B1 (ko)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5106266B (zh) 一种香芸火绒草提取物及其应用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29227B1 (ko) 연우주안방과 연방을 함유하는 미백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한방화장품
JPH0672849A (ja) 美白化粧料
KR100537960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 방법
KR20120021868A (ko)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620295B (zh) 一种中草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