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100B1 -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100B1
KR101214100B1 KR1020060008862A KR20060008862A KR101214100B1 KR 101214100 B1 KR101214100 B1 KR 101214100B1 KR 1020060008862 A KR1020060008862 A KR 1020060008862A KR 20060008862 A KR20060008862 A KR 20060008862A KR 101214100 B1 KR101214100 B1 KR 10121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ulate matter
weighing cell
flow
predetermine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048A (ko
Inventor
이브 죄펠
Original Assignee
메일레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일레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메일레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6008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01G11/043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combined with totalising or integr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결정된 방향(63)으로 움직이는 미립자 물질(3) 유동의 질량 유량(DM)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유동의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63)은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 안에 위치되고,
- 내측면(61)과 외측면(62) 사이에 한정된 튜브형 벽(60)으로 이루어진 계량 셀(6)로서, 계량 셀은 미리 결정된 값의 체적(V), 미리 결정된 값의 단면적(C), 미리 결정된 값의 중량(W)을 가지고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에 의해 통과되도록 배치되는 계량 셀(6),
- 제 1 장치(7)로서,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의 무게를 계량하고,
* 적어도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 무게의 값(P)을 나타내는 제 1 의 신호(S1)를 발생시키는 제 1 의 장치(7),
- 제 2 장치(8)로서,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E)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유동 속도(E)를 나타내는 제 2 신호(S2)를 발생시키는 제 2 의 장치(8),
- 제 3 장치(9)로서, 제 1 신호(S1), 제 2 신호(S2), 계량 셀(6)의 체적(V)의 미리 결정된 값, 상기 계량 셀(6)의 단면적(C)의 미리 결정된 값(C) 및, 계량 셀(6)의 미리 결정된 값의 무게(W)를 이용하여,
* 미립자 물질(3)의 용적 밀도(Q)를 계산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질량 유량(DM)을 계산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질량 유량(DM)을 나타내는 제 3 신호(S3)를 발생시키는, 제 3 장치(3)를 가지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measuring a mass flow rate of a flow of particulat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유동의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 성분과 같이 압출기 안에 도입된 성분의 질량 유량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혼합 시스템(dosing system)과 조합되어 사용된다면 칼러 마스터배취(materbatch)와 같은 부가적인 성분들의 질량 유동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립자 물질로 지정된 것은 특히, 그리나 전적이지 않은 것으로서, 펠렛(pellet), 재-분쇄(re-ground) 물질, 거친 분말(coarse powder), 플라스틱 마스터배취등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출기와 같은 기계의 미립자 물질 소비율을 측정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압출기로 도입된 각각의 성분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성분들이 복수개의 중첩된 층들을 압출하도록 사용될 때, 그리고 각각의 층의 두께가 압출 라인(extrusion line)상에서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또는 불가능할 때 특히 중요하다.
미국 특허 출원 US-A-6,732,597 및, 유럽 특허 출원 EP-A-0213524 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미립자 물질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이한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장치들은 호퍼(hopper)의 "중량의 손실(loss-in-weight)" 측정에 전체적으로 기초한 것이며, 측정 호퍼에서 중량의 차이들이 전체적인 호퍼의 중량에 비하여 충분히 클 때만 정확성이 좋아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정확성을 가지고 단축된 시간 주기 동안에 질량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향상된 정확성을 가지고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그러한 장치의 이용은 특히 저유량이나, 또는 유량의 천이 동안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약적이고, 단순한 기계적 구조를 가지며, 강건하고 세정이 용이한 질량 유량 측정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발명의 주제로서 가진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따르는 횡단 단면에서 도시된, 본 발명 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 제한적인 예로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1)는 미리 결정된 방향(63)으로 움직이는 미립자 물질(3) 유동(40)의 질량 유량(DM)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63)은 유동의 방향이다.
주목되는 것이지만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미립자 물질(3)은 압출기와 같은 제 2 의 장치(5)로 도입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질량 유량(1)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1)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내에 위치하며, 다음의 요소들을 가진다.
- 내부면(61)과 외부면(62) 사이에 한정된 튜브형 벽(60)으로 이루어진 계량 셀(weighing cell, 6)로서, 상기 계량 셀(6)은 미리 결정된 값의 체적(V), 미리 결정된 값의 단면적(C), 미리 결정된 값의 중량(W)을 가지고,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이 통과되도록 배치된다.
- 제 1 장치(7)로서, 이것은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를 계량하고,
*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의, 적어도 중량의 값(P)을 나타내는 제 1 신호(S1)를 발생시킨다.
- 제 2 장치(8)로서, 이것은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E)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유동(E)의 속도를 나타내는 제 2 신호(S2)를 발생시킨다.
- 제 3 장치(9)로서, 이것은 제 1 신호(S1), 제 2 신호(S2), 계량 셀(6)의 미리 결정된 값의 체적(V), 상기 계량 셀(6)의 미리 결정된 값의 단면적(C) 및, 계량 셀(6)의 미리 결정된 값의 중량(W)을 이용하여,
* 미립자 물질(3)의 용적 밀도(Q)를 계산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질량 유량(DM)을 계산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질량 유량(DM)을 나타내는 제 3 신호(S3)를 발생시킨다.
바람직스럽지만 비 제한적인 방식으로, 유동(63)의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은 유동(63)의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파이프(4)를 통하여 움직이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4)의 외부로 나가는데, 상기 제 1 개구(41)는 파이프(4)의 단부(42)에 위치한다.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1)는 상기 파이프(4)의 제 1 개구(41)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한다.
"파이프"라는 명칭은 질량 유동을 측정하도록 장치(1)를 향해 상류로 과립의 물질을 이송시키도록 의도된 그 어떤 장치라도 지칭한다.
주목되는 바로서, 계량 셀(6)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투명한 튜브형 벽(60)을 가지는데, 이것은 내측면(61)에 대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을 계량 셀(6)의 밖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것이며, 제 2 장치(8)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가진다.
- 제 4 장치(10)로서, 이것은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의 벽(60)의 내측면(61)과 접촉하는 미립자 물질(3)의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을 튜브형 벽(60)을 통하여 캡쳐(capture)하고 등록(register)하며, 상기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은 제 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202)의 그룹을 구성한다.
- 제 5 장치(11)로서, 이것은,
*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의 그룹(2)의 제 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202)를 비교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 미립자 물질(3)의 변위(L)의 값을 결정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변위의 값(L)을 나타내는 제 4 의 신호(S4)를 발생시킨다.
- 제 6 장치(12)로서, 이것은 제 4 신호(S4)를 이용하고,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의 값의 함수로서,
*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 속도(E)를 계산하고,
*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유동 속도(E)를 나타내는 제 2 의 신호(S2)를 발생시킨다.
도면에 있어서,
*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로 이루어진 전체의 중량의 값(P)에 대한 참조 부호 "P" 는 제 1 신호(S1)에 대한 참조 부호 "S1"과 연관되어 있다.
* 유동 속도(E)에 대한 참조 부호 "E" 는 제 2 신호(S2)에 대한 참조 부호 "S2"와 연관되어 있다.
* 질량 유량에 대한 참조 부호 "DM"은 제 3 신호(S3)에 대한 참조 부호 "S3"와 연관되어 있다.
* 변위(L)에 대한 참조 부호 "L"는 제 4 신호(S4)에 대한 참조 부호 "S4"와 연관되어 있다.
제 2 신호(S2)는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제 2 신호의 값을 등록하기 위한 제 7 장치(13)로 향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러한 측정들이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미립자 물질은 장치(9)에 의해 계산된 특정의 용적 밀도(bulk density, Q)를 가지기 때문에, 그리고 계량 셀(6)은 공지된 값의 단면적(C)을 가지기 때문에,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질량 유량(DM)의 값은 유동 속도(E)의 값과 용적 밀도(Q)의 값의 함수이다.
주목되는 바로서,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를 계량하는 제 1 장치(7)는: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복수의 중량을 획득하고,
-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로 이루어진 전체의 평균 중량을 나타내는 제 1 신호(S1)을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주목되는 방식으로,
- 제 4 장치(10)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을 정기적으로 캡쳐(capture)하고 등록시키며,
- 제 5 장치(11)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해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변위(L)의 값을 나타내는 제 4 신호(S4)를 발생시키도록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의 각각의 그룹(2)의 제 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202)를 정기적으로 비교한다.
제 4 장치(10)는 비디오 카메라(100)와 이미지 포착기(grabber, 101 )를 가진다.
제 5 장치(11)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입자(30)의 변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 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202)를 분석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110)을 가진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는 상기 마지막에 언급된 측정들을 취할 수 있다.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안된 장치는, 중량 측정을, 계량 셀(6)을 통 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병진 비율의 광학적 측정과 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스럽기는 하지만 비 제한적인 방식으로, 미립자 물질(3)이 상기 중량 셀(6) 안에서 수직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계량 셀(6)이 배향되지만, 그러한 수직의 유동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미립자 물질(3)로 채워진 튜브형 벽(60)의 경우에, 상기 미립자 물질(3)의 변위는 튜브형 벽(60)의 양쪽 단부들로부터 합리적인 거리에서 응집되는 것을 알게 되는데, 즉, 상기 입자 물질(3)을 구성하는 모든 입자들(30)은 이들 입자(30)들이 블록을 구성하는 것처럼 같은 속도로 자체 변위한다.
주목되는 바로서, 계량 셀(3)은 다음과 같은 것을 가진다:
- 계량 셀(6) 안으로 미립자 물질(3)의 진입을 위한 제 2 개구(64) 및, 계량 셀(6)로부터 미립자 물질(3)의 배출을 위한 제 3 개구(65),
- 제 1 요소(66)로서, 제 2 개구(64)의 높이(level)에 위치되어, 상기 계량 셀(6)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미립자 물질(3)에 의하여 계량 셀(6)에 가해지는 작용을 최소의 값으로 제한함으로써 계량 셀(6) 안의 미립자 물질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 1 요소(66) 및,
- 제 2 요소(67)로서, 제 3 개구의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계량 셀(6)의 하류측에 위치된 미립자 물질(3)과 계량 셀(6)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소값으로 제한하는 제 2 요소(67)를 가진다.
또한 주목될만한 방법으로서, 계량 셀(6)의 벽(60)은, 상기 계량 셀의 내측 면(61)과 접촉하는 입자(30)들이 서로에 대하여 상대 변위를 겪지 않도록 계량 셀(6)의 내측면(61)과 미립자 물질(3) 사이의 마찰 계수가 가능한 한 낮은 값을 가지는 방식으로 선택된 물질(68)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서, 제 1 장치, 제 2 장치, 제 3 장치, 제 4 장치, 제 5 장치, 제 6 장치 및, 제 7 장치들이 신호들을 수신하고 신호를 입력하고 그리고/또는 발생시키는 기능 블록으로 나타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의 값, 밀도(Q)의 값, 계량 셀(6)의 체적(V)의 미리 결정된 값, 상기 계량 셀(6)의 단면적(C)의 미리 결정된 값 및, 계량 셀(6)의 미리 결정된 값의 중량(W)은 각각 문자 Z, Q, V, C, W 로 표시된다.
이러한 값들은 입력으로서 간주되고 적절한 도면 부호 또는 기호들에 부착된 화살표로서 표시된다.
주목되어야 할 바로서,
- 제 1 요소(66)는 제 1 부분(660) 및 제 2 부분(661)을 가지고,,
* 제 1 부분(660)은, 제 2 개구(6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그리고 미립자 물질(3)의 유동(63)의 미리 결정된 방향에 대하여 제 2 개구(64)로부터 상류측에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 및 미리 결정된 제 1 단면을 가져서,
미립자 물질(3)의 제 1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미립자 물질의 제 1 흐름이 제 1 축방향 중공형 공간을 가진 제 2 단면을 가지게 되며,
* 제 2 부분(661)은, 제 2 개구(64)의 주위에 제 2 개구의 높이에서,
미리 결정된 형상과 미리 결정된 제 3 단면을 가짐으로써,
제 2 단면을 가진 미립자 물질의 제 1 흐름을
상기 제 1 단면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제 4 단면의 제 2 흐름으로 변환시킨다.
- 제 2 요소는 제 3 부분(670) 및 제 4 부분(671)을 가지며,
* 제 3 부분(670)은, 제 3 개구(6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그리고 입자화 물질(3)의 유동(63)의 미리 결정된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 개구(65)로부터 상류측에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 및 미리 결정된 제 5 단면을 가짐으로써,
미립자 물질(3)의 제 3 흐름을 발생시키고,
미립자 물질의 제 3 흐름이 제 2 축방향 중공형 공간을 가진 제 6 단면을 가지며,
* 제 4 부분(671)은, 제 3 개구(65)의 주위에서 제 3 개구의 높이에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과 미리 결정된 제 7 단면을 가짐으로써,
제 6 단면의 제 3 흐름을
상기 제 5 단면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제 8 단면의 제 4 유동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1)는 상기 파이프(4)의 개방된 단부(42)와 개구(51) 사이에 위치되는데, 개구(51)는 상기 제 2 장치(5)의 상기 제 4 개구(51)이다.
바람직스럽지만 비 제한적인 방식으로,
- 제 1 단면, 제 4 단면 및, 제 8 단면은 원형이고,
- 제 2 단면 및 제 6 단면은 고리형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미립자 물질의 질량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미리 결정된 방향(63)으로 움직이는 미립자 물질(3) 유동(40)의 질량 유량(DM)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1)로서, 유동의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63)은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 안에 위치되고,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내측면(61)과 외측면(62) 사이에 형성된 튜브형 벽(60)으로 이루어진 계량 셀(6)로서, 계량 셀은 미리 결정된 값의 체적(V), 미리 결정된 값의 단면적(C), 미리 결정된 값의 중량(W)을 가지고,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에 의해 통과되도록 배치되는 계량 셀(6);
    제 1 장치(7)로서,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 및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의 무게를 계량하고,
    계량 셀(6) 및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전체 무게의 값(P)을 나타내는 제 1 신호(S1)를 발생시키는, 제 1 장치(7);
    제 2 장치(8)로서,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의 속도(E)를 측정하고,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유동 속도(E)를 나타내는 제 2 신호(S2)를 발생시키는, 제 2 장치(8);
    제 3 장치(9)로서, 제 1 신호(S1), 제 2 신호(S2), 계량 셀(6)의 체적(V)의 미리 결정된 값, 상기 계량 셀(6)의 단면적(C)의 미리 결정된 값 및, 계량 셀(6)의 미리 결정된 값의 무게(W)를 이용하여,
    미립자 물질(3)의 용적 밀도(Q)를 계산하고,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질량 유량(DM)을 계산하고,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질량 유량(DM)을 나타내는 제 3 신호(S3)를 발생시키는, 제 3 장치(3);를 가지고,
    계량 셀(6)은 튜브형 벽의 내측면(61)에 대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을 상기 계량 셀(6)의 밖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하여 적어도 국부적으로 투명한 튜브형 벽(60)을 가지며, 제 2 장치(8)는 제 4 장치(10), 제 5 장치(11) 및 제 6 장치(12)를 가지고:
    제 4 장치(10)는, 적어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의 벽(60)의 내측면(61)과 접촉하는 미립자 물질(3)의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을 튜브형 벽(60)을 통하여 캡쳐(capture)하고 등록하며, 상기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은 제 1 이미지(201) 및 제 2 이미지(202)의 그룹(2)을 구성하고,
    제 5 장치(11)는,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의 그룹(2)의 제 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202)를 비교하고,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 미립자 물질(3)의 변위(L)의 값을 결정하고,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변위의 값(L)을 나타내는 제 4 신호(S4)를 발생시키고,
    제 6 장치(12)는, 제 4 신호(S4)를 이용하여,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의 값의 함수로서,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 속도(E)를 계산하고,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유동 속도(E)를 나타내는 제 2 신호(S2)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계량 셀(6) 및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의 무게를 계량하는 제 1 장치(7)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 복수의 무게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과 상기 계량 셀(6) 안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3)의 양으로 이루어진 전체의 평균 무게를 나타내는 제 1 신호(S1)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장치(10)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하여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을 정기적으로 캡쳐(capture)하고 등록시키며,
    제 5 장치(11)는 제 1 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Z) 동안에 계량 셀(6)을 통해 유동하는 미립자 물질(3)의 변위(L)의 값을 나타내는 제 4 의 신호(S4)를 발생시키도록 2 개의 연속적인 이미지들의 각각의 그룹(2)의 제 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202)를 정기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계량 셀(6)은:
    계량 셀(6) 안으로의 미립자 물질(3)의 진입을 위한 제 2 개구(64) 및, 계량 셀(6)로부터 미립자 물질(3)의 배출을 위한 제 3 개구(65),
    제 2 개구(64)의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계량 셀(6)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미립자 물질(3)에 의하여 계량 셀(6)에 가해지는 작용을 최소의 값으로 제한함으로써 계량 셀(6) 안의 미립자 물질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 1 요소(66) 및,
    제 3 개구의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계량 셀(6)의 하류측에 위치된 미립자 물질(3)과 계량 셀(6)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소값으로 제한하는, 제 2 요소(6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셀의 내측면(61)과 접촉하는 입자(30)들이 서로에 대하여 상대 변위를 겪지 않도록, 계량 셀(6)의 내측면(61)과 미립자 물질(3) 사이의 마찰 계수가 낮은 값을 가지는 방식으로 선택된 물질(68)로써 계량 셀(6)의 벽(6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요소(66)는 제 1 부분(660) 및 제 2 부분(661)을 가지고,
    제 1 부분(660)은, 제 2 개구(6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그리고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의 미리 결정된 방향(63)에 대하여 제 2 개구(64)로부터 상류측으로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과 미리 결정된 제 1 단면을 가져서,
    제 1 축방향 중공형 공간을 구비한 제 2 단면을 가진 미립자 물질(3)의 제 1 흐름을 발생시키고,
    제 2 부분(661)은, 제 2 개구(64)의 주위에서 제 2 개구의 높이에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과 미리 결정된 제 3 단면을 가짐으로써,
    제 2 단면의 제 1 흐름을 상기 제 1 단면에 동등한 제 4 단면의 제 2 흐름으로 변환시키며,
    제 2 요소는 제 3 부분(670) 및 제 4 부분(671)을 가지고,
    제 3 부분(670)은, 제 3 개구(6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그리고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의 미리 결정된 방향(63)에 대하여 상기 제 3 의 개구(65)로부터 상류측에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과 미리 결정된 제 5 단면을 가짐으로써,
    제 2 축방향 중공형 공간을 구비한 제 6 단면을 가진 미립자 물질(3)의 제 3 흐름을 발생시키고,
    제 4 의 부분(671)은, 제 3 의 개구(65)의 주위에서 그것의 높이에 위치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과 미리 결정된 제 7 단면을 가짐으로써
    제 6 단면의 제 3 의 흐름을
    상기 제 5 단면에 동등한 제 8 단면의 제 4 유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의 미리 결정된 방향(63)으로 움직이는 미립자 물질(3)의 유동(40)은 파이프(4)를 통하여 움직이고, 개구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4)의 외부로 나가며, 상기 제 1 개구(41)는 파이프(4)의 단부(42)에 위치하고,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장치(1)는 상기 파이프(4)의 제 1 개구(41)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미립자 물질(3)은 제 2 장치(5)내에 도입되도록 의도되고: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장치(1)는 상기 파이프(4)의 개방된 단부(42)와 제 2 장치(5)에 있는 제 4 개구(51)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060008862A 2005-01-31 2006-01-27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1214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0617A EP1686357B1 (en) 2005-01-31 2005-01-31 Device for measuring a mass flow rate of a particulate material
EP05100617.9 2005-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048A KR20060088048A (ko) 2006-08-03
KR101214100B1 true KR101214100B1 (ko) 2012-12-20

Family

ID=3493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862A KR101214100B1 (ko) 2005-01-31 2006-01-27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40967B2 (ko)
EP (1) EP1686357B1 (ko)
JP (1) JP5075341B2 (ko)
KR (1) KR101214100B1 (ko)
CN (1) CN100439871C (ko)
AT (1) ATE402401T1 (ko)
CA (1) CA2534248C (ko)
DE (1) DE602005008361D1 (ko)
ES (1) ES2311928T3 (ko)
PL (1) PL1686357T3 (ko)
RU (1) RU239163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9797B (zh) * 2009-03-20 2011-01-19 北京航空航天大学 全弹性微小流量测量装置
US9562797B2 (en) * 2011-03-15 2017-02-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low rate measuring apparatus
RU2475707C1 (ru) * 2011-08-04 2013-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И.И. Ползунова" (АлтГТ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US8869629B2 (en) * 2012-03-08 2014-10-28 Cnh Industrial Canada,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gricultural product delivery
US9826683B2 (en) * 2015-11-04 2017-11-28 Deere & Company Grain mass flow rate determination
US9718562B1 (en) 2016-01-29 2017-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evaluating the effect of dust on aircraft engines
US10099804B2 (en) 2016-06-16 2018-10-16 General Electric Compan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DE102019109340A1 (de) * 2019-04-09 2020-10-15 CiTEX Holding GmbH THz-Messverfahren und THz-Messvorrichtung zum Erfassen eines Materiestro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23233B1 (en) * 1979-05-15 1982-09-30 Zaklady Mekh Precyzyjnej Method of measurement of flow rate and mass, especially of granular materials and flow-through scale therefor
US4793512A (en) 1985-08-26 1988-12-27 Stock Equipment Copy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particulate material such as coal and other bulk materials
US4838738A (en) * 1987-10-28 1989-06-13 Shell Oil Company Pressure compensated weigh system
WO1989011082A1 (en) * 1988-05-03 1989-11-16 Neumueller Josef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fluent material
NZ242499A (en) * 1992-04-24 1998-06-26 Ind Res Ltd Measuring or monitoring continuously a diameter of a flowing particulate material
US5685640A (en) * 1993-01-25 1997-11-11 Buhler Ag Fly ash dosing method for dosing and device therefor
US6196417B1 (en) * 1995-04-04 2001-03-06 Paul S. Joh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regulation of flow of particulate matter
US5798466A (en) * 1996-01-26 1998-08-25 Satake Corporation Flow meter and method of calibrating same
US5897826A (en) * 1996-06-14 1999-04-27 Materials Innovation, Inc. Pulsed pressurized powder feed system and method for uniform particulate material delivery
DE19702849C2 (de) * 1997-01-27 2000-05-18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Verfahren zum Erfassen der Massenstromverteilung einer Strömung über eine Ebene
US5986553A (en) * 1997-03-04 1999-11-16 Gyco, Inc. Flow meter that measures solid particulate flow
DE19820709C2 (de) * 1997-05-11 2003-04-24 Bolder Automati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ßtechnischen Ermittlung des Materialdurchsatzes einer Dosiereinheit, Extrudereinheit o. dgl.
US6526120B1 (en) * 1998-05-06 2003-02-25 Joseph N. Gray X-ray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for materials, including agricultural materials and food products
DE19947394A1 (de) * 1999-10-01 2001-05-03 Dynatechnik Messystem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von Schüttgutströmen
US6404344B1 (en) * 2000-02-23 2002-06-11 Gyco, Inc. Method of compensating for erroneous reading in a mass flow meter
US6732597B1 (en) 2002-11-14 2004-05-11 Robert O. Brandt, Jr. Precision gravimetric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91633C2 (ru) 2010-06-10
ATE402401T1 (de) 2008-08-15
JP5075341B2 (ja) 2012-11-21
PL1686357T3 (pl) 2009-02-27
DE602005008361D1 (de) 2008-09-04
EP1686357B1 (en) 2008-07-23
CN100439871C (zh) 2008-12-03
US20060169057A1 (en) 2006-08-03
KR20060088048A (ko) 2006-08-03
CA2534248C (en) 2012-12-18
CN1815152A (zh) 2006-08-09
CA2534248A1 (en) 2006-07-31
JP2006267086A (ja) 2006-10-05
RU2006102644A (ru) 2007-08-27
EP1686357A1 (en) 2006-08-02
ES2311928T3 (es) 2009-02-16
US7340967B2 (en)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100B1 (ko) 미립자 물질 유동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Yan Mass flow measurement of bulk solids in pneumatic pipelines
US11280748B2 (en) Conveyor system and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water content of a construction material
Gao et al. Mean residence time analysis for twin screw extruders
Orpe et al. Velocity correlations in dense granular flows observed with internal imaging
Rozbroj et al. Use of DEM in the determination of friction parameters on a physical comparative model of a vertical screw conveyor
CN101501458B (zh) 散装固体的质量流率的实时测量方法
Ostendorf et al. Application of particle image velocimetry for velocity measurements during silo discharge
Datta et al. Estimation of particulate velocity components in pneumatic transport using pixel based correlation with dual plane ECT
JP3164632U (ja) 双方向の非定常な流体流の流量を決定する装置
Longo et al. Grain shear flow in a rotating drum
Green et al. Sensor systems for lightly loaded pneumatic conveyors
RU265042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есовых показателей расходомера-дозатора
CN1877291B (zh) 检测新拌混凝土充填性能的装置
JP2012179654A (ja) 金属溶融物の変化するレベルを検知し表示する装置
JP4045022B2 (ja) 粉粒体の計量装置
JP6371657B2 (ja) 建設材料の粒度分布測定装置
Bardakhanov et al. Use of hot-wire anemometry for measuring the nanopowder flow velocity
RU24757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Nsom et al. Use of spatiotemporal diagrams to characterize a silo discharging process
Hunt Commercial flow measurement using electrical capacitance tomography
Pugh In-line continuous weighing
AU2006222696B1 (en) Impact style flow meter with physically isolated transducer
Irena et al. DPIV TECHNIQUE FOR GRANULAR MATERIAL FLOWS IN SILO MODELS
Cui et al. Application of a digital ECT system for measurements of dense-phase gas-solid fl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