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758B1 -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 Google Patents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758B1
KR101213758B1 KR1020110002447A KR20110002447A KR101213758B1 KR 101213758 B1 KR101213758 B1 KR 101213758B1 KR 1020110002447 A KR1020110002447 A KR 1020110002447A KR 20110002447 A KR20110002447 A KR 20110002447A KR 101213758 B1 KR101213758 B1 KR 10121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disposed
generating unit
force generating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958A (ko
Inventor
이병덕
문대기
Original Assignee
문대기
이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대기, 이병덕 filed Critical 문대기
Priority to KR102011000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7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06Coils or serpent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2Enhancing the particle separation by electrostatic or magnetic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는 일단과 타단이 연통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내부공간에 유동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복수 개의 자력발생부와, 자력발생부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발생부를 요동시켜 자력발생부에서 발생된 자력을 변화시키는 자력변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력변동부는 자력발생부를 감싸는 메인코일과, 메인코일 일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는 유체의 유동시 요동하며 와류를 발생시키는 자력변동부를 설치하고, 자력변동부가 자력발생부를 이동시켜 변동되는 자력을 발생함으로서 발생된 변동 자력에 유체를 노출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발생된 자력이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FILTER HAVING VARIABLE MAGNETIC FIELD GENERATO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필터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변동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물을 자화시키는 필터에 관한 분야이다.
자기장에 의하여 물분자 배열이 변화된 자화(磁化)된 자화수(magnetized water)에서 사육된 물고기의 신장이나 조직 내에 칼슘 농도는 일반적인 물에서 사육된 물에서 사육된 물고기 보다 현저하게 낮으며, 자화수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식물 내의 효소의 활성이 증가 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가 있음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특히 이러한 자화수를 이용한 보일러의 경우 일반적인 물을 이용한 보일러에 비하여 보일러 관로 내에 침전되는 석회질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화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화수를 생성하는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전기의 세기, 방향을 변동시켜 발생되는 맥동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화수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장치들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장치를 설치?운영하여야 하므로 자화수를 얻는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자화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유동하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발생된 와류에 의하여 자력의 변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자화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발생된 자력이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는 일단과 타단이 연통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내부공간에 유동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복수 개의 자력발생부와, 자력발생부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발생부를 요동시켜 자력발생부에서 발생된 자력을 변화시키는 자력변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자력변동부는 자력발생부를 감싸는 메인코일과, 메인코일 일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자력발생부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적층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자성체는 일측과 타측에 N극과 S극이 배치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자성체 중 일 자성체와 일 자성체에 인접한 타 자성체 사이에는 간극조절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자력변동부는 관통공에 관통배치되는 지지로드와, 지지로드의 외면을 감싸는 서브코일과, 서브코일이 관통배치되는 서브코일안착부와,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요동플레이트는 자력발생부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본체부의 내부공간에는 자력발생부와 요동플레이트를 감싸는 메인코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본체부의 외면에는 연질의 자성체 또는 금속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박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는 유체의 유동시 요동하며 와류를 발생시키는 자력변동부를 설치하고, 자력변동부가 자력발생부를 이동시켜 변동되는 자력을 발생함으로서 발생된 변동 자력에 유체를 노출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발생된 자력이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이하 '필터'라 함)는 유체가 흐르는 도관과 도관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수기, 보일러 등의 다양한 설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일단과 타단이 도관에 연결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200) 및 자력발생부(200)를 요동시켜 자력을 변화시키는 자력변동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관과 도관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일단과 타단이 연동되도록 내부공간(110)이 형성된다. 본체부(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으며, 본체부(100)의 외면 전연부와 후연부에는 도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관과 도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한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자력발생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10)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0)에 유동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화수를 만드는 장치의 경우 자력발생부(200)는 유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적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본 실시예의 자력발생부(200)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도 유체를 자화시킬 수 있다.
자력변동부(300)는 본체부(100)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본체부(100)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자력변동부(300)는 자력발생부(200) 일측에 배치되어 유체가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10)을 유동하는 경우, 자력발생부(200)를 요동시켜 자력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자력을 변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변동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200)를 감싸는 메인코일(310)과, 메인코일(310) 일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로(321)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코일(310)은 요동플레이트(320)에 의해 신장압축되어 자력발생부(200)를 보다 원활하게 요동시키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인코일(310)의 신장압축시 메인코일(310) 내부에 배치된 자력발생부(200)가 요동하게 된다.
이때, 메인코일(310)의 일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로(321)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320)가 배치되므로, 내부공간(110)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면 유입된 유체는 요동플레이트(320)의 유로(321)를 따라 이동하며 요동플레이트(320)를 이동시키켜, 요동플레이트(320)는 메인코일(310)을 신장압축시키고, 메인코일(310) 내부의 자력발생부(200)를 요동시키게 된다. 또한, 자력발생부(200)가 요동하게 되어 메인코일(310)과 맞닿게 되면 메인코일(310)은 신장압축되어 요동플레이트(320)을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발생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케이싱(210)과, 케이싱(210) 내부에 적층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10)의 일측과 타측은 복수 개의 자성체(220)를 적층배치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때, 자성체(220)는 일측과 타측에 N극과 S극이 배치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21)이 형성되며, 적층된 자성체 사이에는 각각의 자성체가 인접한 다른 자성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조절플레이트(2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220) 내의 N극과 S극의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양단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되는 자성체(22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성체(220) 사이에 배치되는 간극조절플레이트(230)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자성체(220)의 자력이 강하게 발생되므로 각 자성체를 이격시킬 수 있는 한 가급적 얇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력변동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21)에 관통배치되는 지지로드(330)와, 지지로드(330)의 외면을 감싸는 서브코일(3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요동플레이트(320)에는 서브코일(340)이 관통배치되는 서브코일안착부(322)와, 복수 개의 유로(3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로드(330)는 자력발생부(200)의 요동시 자력발생부(200) 상호 간의 위치를 구속하는 것으로, 자력발생부(200)의 요동시 자력발생부(200) 상호 간의 거리가 벌어질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200)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므로, 자력발생부(200) 상호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자력발생부(200) 상호 간에 발생되는 자력이 작아지게 되므로 자력발생부(200) 상호 간의 거리는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리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력발생부(200) 상호간에는 지지로드(330)가 관통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로드(330)는 자성체(220)의 관통공(22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330)의 외면에는 서브코일(340)이 배치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코일(340)이 관통공(22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동플레이트(320)에는 서브코일(340)이 관통배치되는 서브코일안착부(322)와, 복수 개의 유로(321)가 형성되어 자력발생부(200)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10)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요동플레이트(32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동하며 서브코일(340)을 변형시키게 되며, 변형된 서브코일(340)은 자력발생부(200)를 이동시키게 되어 자력발생부(200)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변동시키게 된다.
또한, 자력발생부(200)의 외측,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10)에 메인코일(3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요동플레이트(320)는 서브코일(340) 외에 메인코일(310)를 변형시켜 자력발생부(2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의 작동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요동플레이트(320)가 유체의 유동시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는 요동플레이트(320)는 자력발생부(200)를 이동시키고, 다시 자력발생부(200)는 요동플레이트(320)를 이동시켜 변동하는 자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유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자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1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외면에는 자력발생부(200)에서 발생되는 자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연질의 자성체(120)를 배치할 수도 있으며, 필터의 분해사시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130)를 배치하여 자력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자력이 본체부(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내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140)이 배치되어 자력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자력이 본체부(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박판(140)은 다양한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유체 내부에서의 부식등을 고려하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내부공간
120 : 자성체 130 : 금속플레이트
140 : 박판 200 : 자력발생부
210 : 케이싱 220 : 자성체
221 : 관통공 230 : 간극조절플레이트
300 : 자력변동부 310 : 메인코일
320 : 요동플레이트 321 : 유로
322 : 서브코일 안착부 330 : 지지로드
340 : 서브코일

Claims (8)

  1. 일단과 타단이 연통되도록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10)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0)에 유동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복수 개의 자력발생부(200); 및
    상기 자력발생부(20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발생부(200)를 요동시켜 상기 자력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자력을 변화시키는 자력변동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력발생부(200)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케이싱(210); 및
    상기 케이싱(210) 내부에 적층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220)는 일측과 타측에 N극과 S극이 배치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21)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자성체 중 일 자성체와 상기 일 자성체에 인접한 타 자성체 사이에는 간극조절플레이트(230)가 배치되고,
    상기 자력변동부(300)는
    상기 관통공(221)에 관통배치되는 지지로드(330);
    상기 지지로드(330)의 외면을 감싸는 서브코일(340); 및
    상기 서브코일(340)이 관통배치되는 서브코일안착부(322)와, 복수 개의 유로(321)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동플레이트(320)는 상기 자력발생부(200)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변동부(300)는
    상기 자력발생부(200)를 감싸는 메인코일(310)과,
    상기 메인코일(310) 일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유로(321)가 형성된 요동플레이트(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10)에는
    상기 자력발생부(200)를 감싸는 메인코일(310)이 배치되고, 상기 메인코일(310)의 일단에는 상기 요동플레이트(3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7. 제1항, 제2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에는 연질의 자성체(120) 또는 금속플레이트(13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는 박판(14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KR1020110002447A 2011-01-10 2011-01-10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KR10121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47A KR101213758B1 (ko) 2011-01-10 2011-01-10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47A KR101213758B1 (ko) 2011-01-10 2011-01-10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58A KR20120080958A (ko) 2012-07-18
KR101213758B1 true KR101213758B1 (ko) 2012-12-18

Family

ID=4671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447A KR101213758B1 (ko) 2011-01-10 2011-01-10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430B1 (ko) * 2017-12-08 2018-06-22 삼성나노기술 주식회사 육각수 발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05Y1 (ko) 2002-11-19 2003-02-26 유종화 자화 육각수기
KR100771503B1 (ko) 2007-05-16 2007-11-01 윤선환 물분자를 나노입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파동장치
KR100938441B1 (ko) 2008-01-09 2010-01-22 이주철 자화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05Y1 (ko) 2002-11-19 2003-02-26 유종화 자화 육각수기
KR100771503B1 (ko) 2007-05-16 2007-11-01 윤선환 물분자를 나노입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파동장치
KR100938441B1 (ko) 2008-01-09 2010-01-22 이주철 자화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58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9688A5 (ko)
GB2455405A (en) A Fluid Magnetizer
KR101213758B1 (ko) 변동자력발생부를 구비한 필터
JP2014138912A (ja) 濾過装置
CN106762369A (zh) 涡激振动发电装置
US20150076825A1 (en) Inline electric generator with magnetically suspended axial flow open center impeller
CN208656665U (zh) 一种基于液滴振荡的发电装置
GB2395369A (en) A generator to produce electricity from flowing sea water
CN206513923U (zh) 直插式电磁阀
KR200251421Y1 (ko) 자화수 발생장치
CN206368414U (zh) 清洗装置的喷杆组件和具有其的智能座便器
KR101709462B1 (ko) 자화수 제조장치
CN111285449B (zh) 电磁水处理装置和包含其的热水器
KR100838593B1 (ko) 활성화 자화액체 제조장치
CN203477525U (zh) 防垢型排气阀
RU2005103065A (ru) Клапан регулирующий
KR20190001267U (ko) 자화육각수 생성장치
JP3161263U (ja) 流体磁気処理器
JP2013094760A (ja) 円筒形高密度磁場発生装置
CN111422957B (zh) 电磁水处理装置和包含其的热水器
JP2023156552A (ja) 磁化水生成器
RU937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в потоке магнитным полем
JP2007145544A (ja) 物品供給装置
KR101570705B1 (ko) 자화수 생성장치
JP2002361261A (ja) 磁気活性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