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586B1 -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2586B1 KR101212586B1 KR1020100040163A KR20100040163A KR101212586B1 KR 101212586 B1 KR101212586 B1 KR 101212586B1 KR 1020100040163 A KR1020100040163 A KR 1020100040163A KR 20100040163 A KR20100040163 A KR 20100040163A KR 101212586 B1 KR101212586 B1 KR 1012125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water
- air
- opening
- exter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된 외부탱크, 외부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탱크로부터 물과 외부공기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입된 외부공기는 물속에서 버블링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 흡착 제거된 뒤 배출되고, 유입된 물은 제1개폐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외부탱크로 유출되는 내부탱크, 내부탱크와 연결되어, 내부탱크로부터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공기는 재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보조탱크 및 보조탱크와 내부탱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물과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부피를 줄여 컴팩트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부피를 줄여 컴팩트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따라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공기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공기여과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여과장치는, 공기여과방식에 따라 종이나 부직포 등의 필터를 이용한 필터 방식, 필터 없이 전기적인 방전 원리를 이용한 전기집진방식, 물을 이용한 물흡착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공기여과방식 중 특히 물흡착방식의 경우에는, 필터교환의 불편함이나, 필터로 여과되지 않는 미세분진도 제거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공기를 여과시킴과 동시에 가습효과를 구현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선 상기한 필터를 이용한 방식이나 전기를 이용한 집진방식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물흡착방식은 공기에 물을 분사 또는 무화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이며, 또한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부피를 줄여 컴팩트한 구성을 이룰 수 있는 공기여과장치 및 공기여과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된 외부탱크,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탱크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외부공기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물속에서 버블링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물에 흡착 제거된 뒤 배출되고, 유입된 상기 물은 상기 제1개폐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외부탱크로 유출되는 내부탱크, 상기 내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탱크로부터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재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보조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상기 내부탱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상기 물과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부피를 줄여 컴팩트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여과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공기여과방법에 따른 공기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여과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공기여과방법에 따른 공기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여과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장치는, 외부탱크(100)와, 내부탱크(200)와, 보조탱크(300)와, 흡입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탱크(100)는, 내부에 물(1)이 수용되며, 일측 또는 상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110)는, 도 2를 참조하면, 흡입부재(112)와, 안내관(111)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재(112)는 외부공기를 모아서 흡입할 수 있도록 깔데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 유입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112)는 대략부채꼴형상의 소재를 깔데기형상으로 말아서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111)은, 상기 흡입부재(112)의 유입홀(113)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부재(112)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탱크(100)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111)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다단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안내관(111)은 상기한 절첩구조 외에 밴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플렉셔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외부탱크(100)로 상기 물(1)을 투입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물(1)을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투입부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흡입부(110)를 통하여 상기 물(1)을 투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외부에서 상기 외부탱크(100)로 물(1)을 투입할 수 있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탱크(100)로 투입되는 물(1)의 양을 조절하고 물(1)의 투입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부탱크(200)는, 상기 외부탱크(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으로는 상기 외부탱크(100)와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유입관(220)을 구비하며, 상측으로는 상기 보조탱크(300)와 연통되는 연결관(240)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1개폐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220)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장치(400)가 작동하여 상기 내부탱크(200)의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면 상기 외부탱크(100)의 물(1)과 외부공기가 상기 내부탱크(20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부가 상기 외부탱크(100)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탱크(200)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220)의 일단부는 상기 외부탱크(100)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유입관(220)의 타단부는 상기 내부탱크(200)의 일측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입관(220)은, 상기 외부탱크(10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내부탱크(200)로 유입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가 물(1)과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타단부의 유입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이때의 상기 유입관(220)의 경사도는 상기 내부탱크(200)의 형상이나 유입속도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내부탱크(200)는, 흡입장치(400)에 의한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유입관(220)으로 상기 외부탱크(100)의 물(1)과 외부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하되,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물(1)속에서 버블링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물(1)에 흡착 제거되고, 유입된 상기 물(1)은 이 후 상기 흡입장치(400)의 작동중지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210)의 개방되면 상기 외부탱크(100)로 유출된다.
한편, 상기 내부탱크(200)는, 상기 물(1)속에서 버블링되는 상기 공기를 미세화하고, 버블링시 내부탱크(200)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다공판(230)을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다공판(230)은 버블링된 상기 외부공기의 직경보다 크기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들의 배열은 상기 내부탱크(200)의 형상 또는 유입되는 공기의 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230)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다공판(230)을 구비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 개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탱크(200) 내에 서로 이격되게 다층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탱크(300)는 상기 연결관(240)을 통하여 상기 내부탱크(200)로부터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여과필터(330)를 통하여 재여과되어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필터(330)는 상기 내부탱크(20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상기 외부공기의 미세먼지와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원통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물(1)과 외부공기를 분리시켜 외부공기만을 배출시키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여과필터(330)는 이후에 장착되는 흡입장치(400)의 작동에 무리를 줄 정도의 배압이 걸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며, 청소 등이 용이하도록 분리가 가능하거나 교체가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300)는, 하측에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2개폐밸브(310)를 구비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2개폐밸브(310)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탱크(100)와 연통되어 상기 제2개폐밸브(310)의 개방에 따라 내부의 물(1)을 상기 외부탱크(100)로 배출하는 회수관(320)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210,310)는, 상기 흡입장치(400)가 작동하여 상기 내부탱크(200)와 보조탱크(300)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폐쇄되어 상기 흡입장치(400)가 작동중지하여 진공압이 해제되기 전까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210,310)는, 개폐를 통하여 상기 내부탱크(200)와 상기 보조탱크(300) 내의 물(1)을 배출하는 역할도 하지만, 상기 내부탱크(200)와 상기 보조탱크(300)의 내부환경 즉 진공압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흡입장치(400)는 상기 보조탱크(300)와 상기 내부탱크(200)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상기 물(1)과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흡입장치(400)는 진공흡입팬을 포함한 공지의 흡입장치(400)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외부탱크(100)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탱크(100)로 기능성용액(10,20)을 투입하는 기능성용액투입장치(9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용액투입장치(900)는, 상기 기능성용액(10,20)을 수용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수용공간(911,912)이 형성된 몸체(910)와, 상기 몸체(910)와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용액(10,20)을 상기 외부탱크(100)로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조절밸브(921,9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용액(10,20)은 계면활성제 또는 탈취제 또는 방향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성용액(10,20)은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공기가 고기구이 시에 발생하는 외부공기인 경우 상기 기능성용액(10,20)은, 고기구이 시 발생하는 기름성분이 상기 물(1)에 용해가 잘 되도록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만약 상기 외부공기가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용액(10,20)은, 탈취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아로마향 등의 기능성용액(10,20)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용액투입장치(900)는 상기 외부탱크(100)에 물(1)이 수용된 후 상기한 적용용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921,922)를 통하여 그 양을 조절하여 투입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몸체(910)가 복수개의 수용공간(911,912)을 형성하여 상기 각 수용공간(911,912)에 서로 다른 기능성용액(10,20)이 수용된 경우, 상기 조절밸브(921,922)는 상기 각 기능성용액(10,20)의 배출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931,932는 각각 투입구를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는 조절스위치(600)와, 전원공급장치(700)와, 전기집진기(500)와, 하우징(800)과, 카본필터(100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조절스위치(600)는 상기 진공흡입장치(4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진공흡입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외부에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700)는, 상기 진공흡입장치(400)와 상기 조절스위치(6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부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충전부를 통하여 외부전원공급이 없이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방식 외에, 외부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콘센트와 같은 공급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기(500)는, 상기 보조탱크(300)의 배출구에 설치되며,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탱크(3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전기집진기(500)는, RC집진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보조탱크(300)로부터 배출되는 외부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ultraviolet)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800)은 상기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800)의 형상, 크기 및 재질은 제품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카본필터(1000)는, 특히 음식물 조리 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장치(4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본필터(1000)는 상기 전기집진기(500)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500)를 통과한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본필터(1000)를 흡입장치(400)의 부하 및 소음감소를 위하여 상기 전기집진기(500)의 배출구에 설치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탱크(300)로부터 배출되는 외부공기를 후처리하기 위한 위치, 즉 상기 흡입장치(400)의 후방에서,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라면 어느 곳이든 설치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본필터(1000)는 사용자가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장치는, 외부탱크(100) 내에 내부탱크(200)가 수용되고 물(1)이 순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전체구조가 컴팩트하여 이에 따라 전체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실내용으로 적합 및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흡입장치(400)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탱크(200) 및 보조탱크(300)에 진공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물(1)과 상기 외부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작동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실내에서 고기를 구울 때나 그 이후의 실내의 연기제거용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실시예의 공기여과장치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공기여과방법에 따른 공기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210,310)가 폐쇄하는 단계(S40)와, 물(1)이 내부탱크(200)로 유입되는 단계(S50)와, 1차여과단계(S60)와, 외부공기가 보조탱크(300)로 유입되는 단계(S70)와, 2차여과단계(S80)와, 물회수단계(S90)를 포함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방법은 상기한 작동 전에 준비단계로서, 외부탱크(100)에 일정량의 물(1)을 투입하는 단계(S10)와, 그런 다음 상기 흡입장치(400)를 작동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210,310)가 폐쇄하는 단계(S40)는, 상기 흡입장치(400)가 작동되면 상기 보조탱크(300)와 상기 내부탱크(200) 각각의 내부를 빨아들여 진공압을 형성하고, 상기한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보조탱크(300)의 제2개폐밸브(210,310)와 상기 내부탱크(200)의 상기 제1개폐밸브(210,310)가 각각 폐쇄되는 단계이다.
상기 물(1)이 내부탱크(200)로 유입되는 단계(S5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210,310)가 폐쇄된 후 상기 진공압으로 인하여 상기 외부탱크(100)의 물(1)이 상기 내부탱크(200)로 유입되는 단계이다.
상기 1차여과단계(S60)는, 상기 외부탱크(100)의 물(1)이 상기 내부탱크(200)로 모두 유입된 후 상기 외부탱크(100) 내의 외부공기가 상기 내부탱크(200)로 유입되고(S61), 이렇게 내부탱크(200)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탱크(200)의 상기 물(1)속에서 버블링되면서 유입되어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물(1)에 의하여 흡착 제거(S62)되는 단계이다.
상기 외부공기가 보조탱크(300)로 유입되는 단계(S70)는, 상기 내부탱크(200)의 물(1)에 의하여 1차여과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보조탱크(300)로 유입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외부공기가 보조탱크(300)로 유입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공기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탱크(200)의 물(1)이 상기 보조탱크(3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2차여과단계(S80)는, 상기 보조탱크(300)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여과필터(330)를 통하여 여과되어 배출되는 단계이다.
상기 물회수단계(S9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장치(400)의 작동을 중지(S91)하면, 상기 보조탱크(300)와 상기 내부탱크(200)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이 해제되어 상기 보조탱크(300)와 내부탱크(200)의 내부가 대기압상태로 되고,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210,310)가 개방(S92)되어 상기 보조탱크(300)의 물(1)이 상기 외부탱크(100)로 배출되고, 상기 내부탱크(200)의 물(1)이 상기 외부탱크(100)로 배출되어 내부의 물(1)이 모두 상기 외부탱크(100)로 회수(S93)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A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외부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2차여과 후 배출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전기집진기(50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집진제거하거나, UV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부탱크 110... 흡입부
200... 내부탱크 210... 제1개폐밸브
220... 유입관 230... 다공판
240... 연결관 300... 보조탱크
310... 제2개폐밸브 320... 회수관
400... 흡입장치 500... 전기집진기
600... 조절스위치 700... 전원공급장치
800... 하우징 900... 기능성용액 투입장치
1000... 카본필터
200... 내부탱크 210... 제1개폐밸브
220... 유입관 230... 다공판
240... 연결관 300... 보조탱크
310... 제2개폐밸브 320... 회수관
400... 흡입장치 500... 전기집진기
600... 조절스위치 700... 전원공급장치
800... 하우징 900... 기능성용액 투입장치
1000... 카본필터
Claims (7)
-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된 외부탱크;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탱크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외부공기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물속에서 버블링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물에 흡착 제거된 뒤 배출되고, 유입된 상기 물은 상기 제1개폐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외부탱크로 유출되는 내부탱크;
상기 내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탱크로부터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재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보조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상기 내부탱크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상기 물과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여과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2개폐밸브와, 일단부가 상기 제2개폐밸브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탱크와 연통되는 회수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은 상기 제2개폐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개폐밸브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물이 상기 회수관을 통하여 상기 외부탱크로 배출되는 공기여과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깔데기형상으로 단부에 유입홀이 형성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유입홀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부재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탱크로 안내하고, 다단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내관 포함하는 공기여과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에는, 상기 물속에서 버블링되는 상기 공기를 미세화하기 위한 다공판을 더 포함하는 공기여과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로부터 재여과되어 배출되는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기를 더 구비하는 공기여과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여과장치는, 상기 흡입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카본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여과장치. - 청구항 제2항의 공기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여과방법으로서,
상기 흡입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보조탱크와 상기 내부탱크 각각의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하고,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보조탱크의 제2개폐밸브와 상기 내부탱크의 상기 제1개폐밸브가 각각 폐쇄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가 폐쇄된 후 상기 진공압으로 인하여 상기 외부탱크의 물이 상기 내부탱크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외부탱크의 물이 상기 내부탱크로 모두 유입된 후 상기 외부탱크 내의 외부공기가 상기 내부탱크의 상기 물속에서 버블링되면서 유입되어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물에 의하여 흡착 제거되는 1차여과단계;
상기 내부탱크의 물에 의하여 1차여과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2차여과단계; 및
상기 흡입장치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보조탱크와 상기 내부탱크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을 해제하여 대기압으로 형성하고, 상기 흡입장치의 작동중지에 의하여 상기 보조탱크의 제2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보조탱크의 물이 상기 외부탱크로 배출되고, 상기 내부탱크의 제1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내부탱크의 물이 상기 외부탱크로 배출되는 물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여과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163A KR101212586B1 (ko) | 2010-04-29 | 2010-04-29 |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163A KR101212586B1 (ko) | 2010-04-29 | 2010-04-29 |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0655A KR20110120655A (ko) | 2011-11-04 |
KR101212586B1 true KR101212586B1 (ko) | 2012-12-14 |
Family
ID=4539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0163A KR101212586B1 (ko) | 2010-04-29 | 2010-04-29 |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25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09893B1 (fr) * | 2020-05-05 | 2022-10-28 | Giulia Spina | Appareil de filtration de l'air avec réservoir d'eau |
KR102438377B1 (ko) * | 2021-02-08 | 2022-08-30 | 김통일 |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공기정화용 물필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0857B1 (ko) | 1996-09-25 | 1999-09-15 | 임정홍 | 1단계 및 다단계 공기 조절 시스템 |
-
2010
- 2010-04-29 KR KR1020100040163A patent/KR1012125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0857B1 (ko) | 1996-09-25 | 1999-09-15 | 임정홍 | 1단계 및 다단계 공기 조절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0655A (ko) | 2011-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8130B1 (ko) | 공기청정기 | |
CN108139110A (zh) | 用于空气处理设备的加湿模块 | |
KR101872669B1 (ko) | 다기능 공기청정기 | |
KR102274377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212586B1 (ko) |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 |
CN211862175U (zh) | 包含衣物掸灰用空气吐出部的多功能收纳系统 | |
KR20110069965A (ko) | 필터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 |
KR100527358B1 (ko) |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 |
KR102370613B1 (ko) |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
KR102215444B1 (ko) |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 |
EP3934500B1 (en) | Multifunction machine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and environments | |
KR20110041692A (ko) | 공기 청정기 | |
JP6487298B2 (ja) | 便器の脱臭装置 | |
KR101926375B1 (ko) | 살균기능이 구비된 제습형 공기 청정기 | |
KR100503283B1 (ko) |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 |
KR20210141250A (ko) | 의류관리시스템 | |
KR100823632B1 (ko) | 공기청정기 | |
KR20170031934A (ko) | 공기청정기 | |
KR101743236B1 (ko) |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불가마 | |
KR20200001745U (ko) | 대시보드형 공기청정기 | |
KR20200144809A (ko) | 워터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 |
KR20190092779A (ko) |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 |
KR101246010B1 (ko) |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 |
CN216454010U (zh) | 衣物管理系统 | |
KR100820587B1 (ko) | 공기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