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36B1 -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36B1
KR101212336B1 KR1020100124622A KR20100124622A KR101212336B1 KR 101212336 B1 KR101212336 B1 KR 101212336B1 KR 1020100124622 A KR1020100124622 A KR 1020100124622A KR 20100124622 A KR20100124622 A KR 20100124622A KR 101212336 B1 KR101212336 B1 KR 10121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image
transparent substrate
transparent conductiv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680A (ko
Inventor
유-초우 예
차오-위 왕
치-시엔 성
민-후이 치앙
Original Assignee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3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 또는 3D 영상의 표시상태를 절환가능한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영상표시수단과, 상기 표면에 결합되는 영상절환부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절환부는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을 구비하고 표면에 각각 제1 투명도전소자와, 제2 투명전도소자를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에 전기변색층과 전해질층을 각각 설치한다.

Description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2D/3D IMAGE SWITCH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일종의 영상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종의 2D영상 또는 3D표시상태 절환가능한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입체영상 표시기술의 원리는 양안의 상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고 좌측눈과 우측눈(left and right eyes)이 각각 영상을 수신하여 대뇌에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통합시킨다. 나안입체의 표시기술은 구조에 따라 렌티큐라(lenticular, 또는 원통형 렌즈라 한다)와 광학배리어(Barrier)의 2종류로 나뉘어진다. 상술한 2종류의 구조에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렌티큐라 렌즈(lenticular lens)는 많은 볼록렌즈를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연속으로 배열시키고 광학의 굴절원리를 이용하고 분광의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에 광의 손실은 적고 밝기가 우수하다. 그러나 렌즈구조의 에지에 굴절의 제한이 있고 굴절의 효과는 좋지 않다. 또한 원통형 렌즈의 제작오차와 렌즈표면의 평탄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산란광이 형성되고 입체영상으로 일부에 얼룩을 발생하고 3D영상전체의 표시효과가 영향을 받는다. 또한 광학배리어식은 정렬된 배리어에 의해 소정 각도의 광의 출사가 제한되고 소정 각도의 영상을 좌측눈과 우측눈으로 전송하여 입체영상이 형성된다. 원통형 렌즈에 대해 한쪽 눈의 영상의 밝기는 양호하지만 구조의 특징으로부터 전체영상의 밝기는 낮아지고 영상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입체형상 표시장치는 입체영상만을 표시하지 않지만 평면상과 입체영상과의 사이에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것의 주요 원인은 렌티나와 광학배리어를 일반 표시장치에 결합시킨 후에 모든 평면상의 외부부착식의 입체영상표시모듈을 입체영상표시가 필요없을 때에 표시장치로부터 분리하고 렌티큐라 또는 광학배리어를 통과한 후, 좌측눈과 우측눈의 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무적으로 이용할 때 영상의 해상도 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위치를 정확하게 조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입체영상과 평면상으로 절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개발되는 것이 필요하다.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71902호(특허문헌1)의 2D 평면상과 3D 입체영상 표시화면의 절환표시 장치에 의하면 플랫 판넬과 상기 플랫 판넬의 표시면에 설치되는 시차 배리어 판넬을 구비한다. 상기 시차 배리어 판넬은 제1 전기변색부재층과 제2 전기변색부재층을 구비한 그리드 패턴을 갖는다. 2D 평면상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변색부재층과 제2 전기변색부재층은 투명하고 3D 입체영상 표시상태에 있어서 그리드 패턴은 불투명한 패턴이다. 또한 제1 전기변색부재층은 제1 색을 갖고 제2 전개변색부재층은 제2 색을 갖는다.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68088호(특허문헌2), 2D 평면상과 3D 입체영상 표시화면의 절환표시장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결합된 시차 배리어부와, 상기 시차 배리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컬러필터부와, 상기 컬러필터부의 하부에 설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의 하부에 설치되는 액정부와, 상기 액정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기판과, 제2 기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광원을 구비하고 오차 배리어부에 의해 평면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절환을 실시하고 종래 공기기술의 표시장치의 두께와 조립비용을 경감한다.
참고문헌1 :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71902호
참고문헌2 :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68088호
상기 2건의 특허문헌도 전기변색부재를 입체영상의 시차 배리어장치에 사용하고 있다. 공통적인 단점은 전기변색장치에 필요한 전해질층이 구비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전기변색층의 전해질층에 이온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기변색장치에 변색 또는 색을 맑게 변화하기에 필요한 산화 또는 환원의 가역반응이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2건의 특허문헌도 실시 불가능하다. 그리고 시차 배리어장치의 투명전극층과 전기변색부재층도 그리드 배리어가 설치되어 있다. 때문에 생산공정에 있어서 도포, 스퍼터링, 식각은 층을 나누어 실행하는 것은 각 적층과도 정확하게 위치결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생산공정이 극기 복잡하게 된다.
모든 적층에 그리드 패턴을 구비하기 때문에 각 그리드 패턴끼리의 중간부에 중공의 구역이 가능하게 되고, 전체의 광투과, 굴절 또는 반사에 영향을 준다. 통상의 2D 표시때에도 표시장치의 영상품질에 영향을 주고 색차 또는 휘도의 불균형 문제를 발생한다. 한편 특허문헌2의 상기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68088호에 기재된 일종의 매립식 액정표시장치의 기재의 구조는 그리드 패턴이 절연성을 띠는 투명부재에 매립되고 이것에 의해 입체영상의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경감되지만 생산공정은 현저하게 복잡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지기술은 평면상과 입체영상의 절환이 가능한 것이지만 시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수동식 장치에는 입체영상의 각도를 변경할 수 없고 일정 방향으로 고정하지 않으면 3D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상기 요구에 따라 발명자는 열의를 가지고 연구를 하고 발명자의 분야에 있어서 오랫동안 경험에 근거하여 신규한 2D/3D 영상절환장치를 개발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2D/3D 영상의 표시상태를 절환가능할 수 잇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시차 배리어장치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는 2D/3D 영상표시 가능한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평면상을 표시할 때에 영상의 해상도가 영향받지 않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생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시청의 각도에 따라 입체영상표시에 사용되는 차광각도를 조정가능한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는,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구비되는 영상절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절환부는, 대향하게 구비되는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기판에 대응하는 표면에 각각 제1 투명도전소자와 제2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제2 투명기판의 다른 표면은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하방은 순차적으로 추가하여 다수의 전기변색층(Electrochromic Layer)과 전해질층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전기변색층은 제1, 제2 투명도전소자의 전기도통에 의해 변색변화를 일으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기변색층은 변색할 때 마스크효과를 향상하기 때문에 전해질층의 양측에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제2 전기변색층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1 전기변색층의 배열방향을 동일하게 하거나 전체 조합된 구조로 간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질층은 제2 전기변화층에 의해 완전하게 치환되고 제2 전기변색층에 보색 및 이온제공의 기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로 영상표시부는 평면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의 표시상태로 절환될 수 있고 표시영상은 좌측눈의 영상과 우측눈의 영상으로 각각 구분된다. 이 때 투명도전소자를 도통시키고 전기변색층의 색을 투명에서 불투광의 암색 차광구역으로 절환하고 전기변색층의 간격배열 상태로 이루어지고 전기변색층의 형성되는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차광구역은 육안의 수신으로 간섭모양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좌측눈의 영상과 우측눈의 영상으로 나누고 차광구역으로부터 일부 간섭모양의 영역을 제거한다. 또한 공지기술은 입체영상표에서 영상표시부에 렌티큐라(Lenticular) 또는 광학배리어(Barrier) 2종의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2D / 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는 입체영상의 표시에 따라 영상표시부에 의해 좌측눈의 영상과 우측눈의 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는 입체영상을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전기변색구조에 있어서 전기변색층과 전해질층의 적층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전기변색층의 변색기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인가하는 전압의 제어에 의해 전기변색층의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2D / 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전기변색층은 다수로 간격배열되지만 투명도전소자는 다수로 간격배열을 하지 않거나 또는 동일 기재의 생산공정에 하나의 적층만으로 간격에 배열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각 적층의 위치결합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생산공정도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2조의 전기변색장치를 결합하고 센서소자의 동작검지 및 제어소자의 회로 절환에 의해 입체영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 시청자는 장치를 회전한 후 시차배리어장치의 마스크각도가 상응하게 절환되는 것에 의해 장치의 어느 방향에서도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동작상태도(1)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동작상태도(2)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동작상태도(3)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1)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2)이고,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3)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4)이고,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5)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6)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보호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1)이고,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2)이고,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3)이고,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의 보호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제7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의 다른 분해사시도이고,
도23은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와 동작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2D / 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는 영상표시부(1)와 영상절환부(2)를 구비한다.
그 중에서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1)에 있어서, 표시의 입체영상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기술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의해 평면상을 좌측눈의 영상과 우측눈의 영상을 포함하는 중합시킨 영상으로 변환하고 또는 렌티큐라 또는 광학배리어의 두 개의 하드웨어장치에 의해 좌측눈의 영상과 우측눈의 영상으로 분할한다.
다만, 이런 종류의 입체영상 표시기술은, 본안의 기술 특징이 아닌, 한편,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표시부(1)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전도전자 이미터디스플레이(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SED),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진공형광 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전자 페이퍼(E-Paper) 중에서 하나가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절환부(2)는 영상표시부(1)에 결합하고 제1 투명기판(21)과, 제1 투명기판(22)과, 전기변색층(23)과 전해질층(2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투명기판(21) 하방의 표면에 평판형, 박판형 또는 필름형 제1 투명도전소자(211)를 설치한다. 상기 제1 투명기판(21)과 제2 투명기판(22)의 부재는 플라스틱, 고분자 플라스틱, 유리 또는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 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methacrylate(PMM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중합체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투명도전소자(211)와 제2 투명도전소자(221)의 부재는 인듐 틴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 알루미늄(Al-doped ZnO, (AZO)) 또는 안티모니 틴 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로부터 조합되는 산화물 도핑 그룹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은 다수로 간격배열하여 제2 투명기판(22)의 상방에 설치되고 제2 투명도전소자(221)의 표면에 피복된다. 상기 결합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한 것이 가능하다. 졸 겔법(a sol-gel method), 진공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plating), 레이저 식각법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의 부재는, 양극변색(a anodic coloration), 음극변색(a cathodic coloration), 또는 음극/양극변색(a cathodic/anodic coloration)을 조합한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극변색부재는 산화크롬(Cr2O3), 니켈산화물(NiOx), 이리듐산화물(IrO2), 망간산화물(MnO2), 페릭페로시안산염(ferric ferrocyanide, Fe4[Fe(CN)6]3) 또는 수산화니켈 (Ni(OH)2)로부터 조합한 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음극변색부재는,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오브(Nb2O3), 산화 티탄(TiO2), 티탄산스트론티움(SrTiO3)으로부터 조합한 음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음극/양극변색부재는 주로 산화바나지움(V2O5), 산화로지움(Rh2O3) 또는 산화코발트(CoOx)로부터 조합한 음극/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에 고체상태의 전해질, 이온도전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산화탄탈(Ta2O5) 등의 천이금속원소 산화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천이금속산화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전기변색부재의 분류는 이하의 표1에 의한다.
천이금속산화물 산화상태 환원상태
환원상태변색
(음극변색)


WO3 투명 청색
MoO3 투명 청색
Nb2O3 투명 청색
TiO2 투명 감청색/진녹색
산화상태변색
(양극변색)


NiOx 짙은 청동색 투명
IrO2 흑색 투명
Ni(OH)2 차색 투명담황색
Fe4[Fe(CN)6]3) 감청색 투명
산화상태/환원상태변색
(음/양극변색)

V2O5 회색 황색
CoOx 적색 청색
Rh2O3 황색 녹색
상기 전해질층(24)은 전기변색층(23)과 제1 투명기판(21)과의 사이에 구비된다. 주된 목적은 이온을 제공하고 전기변색층(23)으로 전송시키고 액체상태의 또는 고체상태의 전해질 중의 하나가 된다. 다만 액체상태의 전해질은 소자의 패키지공정에서 누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고체상태의 전해질을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해질층(24)의 실시예는 고체상태의 전해질으로 수소이온 교환막(a proton exchange membrane)이 바람직하다. 이온막(ionomer membrane), 유기/무기이온 하이브리드막(an organic-inorganic hybrid membrane) 또는 고분자와 옥소산막(a membrane based on polymer and oxo-acids)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중 이온중합막은 퍼플루오르 설폰산 중합막(a polymerized perfluorosulfonic acid (PFSA) membrane)으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해질층(24)은 과염소산리튬(LiClO4),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규소산나트륨(Na2SiO3)로부터 선택되는 액체전해질이다.
상기와 같은 전기변색부재는 전위를 인가하고 산화 또는 환원의 가역반응을 발생하고 변색을 일으키는 부재이다. 상기 전기변색층(23)의 가동원리는 전기변색부재 내부의 천이금속원소의 이온값 상태를 일으키고 변색과 퇴색의 반응을 일으킨다. 바이어스압을 전기변색층(23)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전해질층(24)으로 격납하고 있는 이온은 전기변색층(23)으로 확산함과 동시에 전자를 제2 투명도전소자(221)로부터 전기변색층(23)으로 주입하고 전기변색층의 중성을 유지한다. 한편 변색공정에서는 전자와 이온이 전기변색층(23)으로 주입하는 것에 의해 전기변색층(23) 부재의 산화환원상태는 서서히 변경을 일으키고 전기변색층(23)의 굴절율과 투과율이 개선된다. 상기 공정은 수초에서 1분 이내로 완료된다. 따라서 도3에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변색층(23)은 투명으로부터 변색상태로 절환되고 불투광의 차광구역(231)을 형성한다. 또한 양극변색방식에서는 전기변색층(23)으로 인가하는 바이어스압이 소진된 후에 전기변색층(23)은 변색상태로부터 투명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퇴색공정에서는 역방향의 전압 또는 제로바이어스 전압을 전기변색층(23)으로 인가하면 반대경로로 따라 전기변색층(23)으로부터 전해질층(24)으로 되돌려지고 전기변색층(23)을 종래의 무색상태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도4에서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기변색층(23)은 변색상태의 불투광의 차광구역(231)으로부터 투명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음극변색방식에서는 전기변색층(23)에 인가해 있는 바이어스전압이 소진된 후에 전기변색층(23)은 투명상태로부터 변색상태로 절환되고 부투광의 차광구역(231)으로 환원된다.
상기 전기변색층(23)은 다수로 간격배열방식으로부터 제2 투명기판(22)의 상부표면에 구비되는 것에 대해 전기변색층(23)은 제2 투명도전소자(221)의 상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투명도전소자(211)와 제2 투명도전소자(221)가 전기도통되면 전기변색층(23)으로 변색절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로 간격배열방식으로 구비되는 불투광의 차광구역(231)은 영상표시부(1)에 의해 처리제만의 다중영상(좌측눈의 영상L과 우측눈의 영상R로 나뉘어진다)을 표시할 때 이들의 차광구역(231)에 의해 일부의 영상의 중합영역을 제거하고 육안의 시청에 의한 간섭막 상태는 방지된다. 또한 공지기술의 입체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표시부에 렌티큐라(lenticular) 또는 광학배리어(barrier) 2종의 장치를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2D/3D 영상절환 표시장치를 적용하면 영상표시부에 의해 좌측눈의 영상과 우측눈의 영상을 직접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도전소자(211)는 다수로 간격배열 방식에 의해 제1 투명기판(21)의 하부표면을 설치하고 또는 제2 투명도전소자(221)가 다수로 간격배열방식에 의해 제2 투명기판(22)의 상부표면을 설치하고 또는 제1, 제2 투명도전소자(211,221)와도 다수로 간격배열 방식에 의해 제1, 제2 투명기판(21,22)의 표면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열방식은 전기변색층(23)의 배열방향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다만 생산공정의 간소화를 이루기 위해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변색층(23)이 다수로 간격배열방식에 의해 적층구조로 설치되어 매우 바람직한 변색기제와 마스크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투명도전소자(211)를 전해질에 의해 침식을 피하기 위해 표면은 먼저 보호층(26)을 설치하고 전기변색층(23)을 전해질에 의해 수해를 피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전기변색층(23)과 전해질층(24)과의 사이에 먼저 보호층(26)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층(26)의 부재는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테트라메틸디실옥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C4H14OSi2), 및 그외의 탄소-규소 산화필름(carbon-silicon-oxide layer) 등을 전기도금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으로 적층한다.
도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다른 점은 전해질층(24)이 다수로 간격배열 방식에 의해 제1 투명기판(21)과 전기변색층(23)과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해질층(24)의 배열방식은 바람직한 응용예로서 전해질층(24)을 전기변색층(23)의 보조변색기능으로서 투과율의 콘트라스트를 유효하게 심층시킨다. 즉 전해질층은 전기변색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는 양극변색(anodic coloration), 음극변색(cathodic coloration) 또는 음/양극변색(anodic/cathodic coloration)에 의해 조합되는 천이금속 원소산화물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양극변색부재는 산화크롬(Cr2O3), 니켈산화물(NiOx), 이리듐산화물(IrO2), 망간산화물(MnO2), 페릭페로시안산염(ferric ferrocyanide, Fe4[Fe(CN)6]3) 또는 수산화니켈 (Ni(OH)2)로부터 조합되는 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음극변색부재는 주로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오브(Nb2O3), 산화티탄(TiO2), 티탄산스트론티움(SrTiO3)으로부터 조합되는 음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음극/양극변색부재는 주로 산화바나지움(V2O5), 산화로지움(Rh2O3) 또는 산화코발트(CoOx)로부터 조합한 음극/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체상태의 전해질, 이온전도층이 될 수 있는 5산화탄탈(Ta2O5) 등의 천이금속 원소산화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해질층(24)을 보조변색층으로 하는 경우, 전기변색층(23)에 음극변색부재를 사용하고 보조변색층에 양극변색부재를 사용한다.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따라서 전기변색층(23)이 변색하면 동시에 보조변색층도 변색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기변색층(23)이 퇴색하면 동시에 보조변색층도 퇴색반응이 이루어진다.
도1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전기변색층(23)과 전해질층(24)의 결합위치를 치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발명의 효과 및 각 구조적인 특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투명도전소자(221)를 전해질에 의한 침식을 회피하기 위해 표면은 보호층을 구비하고 전기변색층(23)을 전해질에 의해 수해를 피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하도록 전기변색층(23)과 전해질층(24)의 사이는 보호층(26)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층(26)의 부재는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테트라메틸디실옥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C4H14OSi2), 및 그외의 탄소-규소 산화필름 등을 전기도금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으로 적층한다.
도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다른 적층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도전소자(211)는 다수로 간격배열하고 제1 투명기판(21)의 하부표면에 설치되고 또는 제2 투명도전소자(221)는 다수로 간격배열하고 제2 투명기판(22)의 상부표면 또는 제1, 제2 투명도전소자(211,221)와도 다수로 간격배열하고 제1, 제2 투명기판(21,22)의 표면에 설치되고 배열방향은 전기변색층(23)의 배열방향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층(24)은 다수로 간격배열하고 제2 투명기판(22)과 전기변색층(23)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전해질층(24)의 배치방식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해질층(24)을 전기변색층(23)의 보조변색기능으로서 투과율의 콘트라스트를 유효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전해질층은 전기변색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전해질층(24)과 전기변색층(23)과의 위치가 치환되어 있지만 발명의 효과 및 구성의 특징은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와 같은 설치의 목적은 보다 바람직한 차광효과가 보다 유용하게 이루어지도록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기변색층이 증설된다. 이러한 구조는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부(1)와, 상기 영상표시부(1)의 표면에 결합하는 영상절환부(2)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절환부(2)는 제1 투명기판(21)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에 제2 투명도전소자(211)를 설치한다. 상기 제2 투명기판(22)은 제1 투명기판(21)의 대향하는 표면에 제2 투명도전소자(221)를 설치하고 하나의 표면이 영상표시부(1)의 표면에 결합한다.
제1 전기변색층(232)은 다수로 간격배열되고 제1 투명기판(21) 하부의 표면에 설치된다. 제2 전기변색층(233)은 다수로 간격배열되고 제2 투명기판(22)의 상부표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해질층(24)은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2 전기변색층(233)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2 전기변색층(233)은 동일한 배열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 제2 투명도전소자(211,221)의 전기 도통으로부터 제1, 제2 전기변색층(232,233)에 변색을 일으킨다. 즉 제1 전기변색층(232)이 변색하면 제2 전기층(233)도 변색된다. 그리고 제1 전기변색층(232)이 변색할 때 제2 전기변색층(233)도 퇴색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제1 전기변색층(232)은 음극변색부재를 사용하면 제2 전기변색층(233)은 양극변색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발명의 효과와 구성의 특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기변색층(232,233)은 전해질에 의한 수해를 회피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하도록 전기변색층(232,233)과 전해질층(24)의 사이는 보호층(26)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층(26)의 부재는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테트라메틸디실옥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C4H14OSi2), 및 그외의 탄소-규소 산화필름 등을 전기도금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으로 적층한다.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는, 영상표시부(1)와, 영상절환부(2)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절환부(2)는 제1 투명기판(21)과 제2 투명기판(22)과,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1 전해질층(241)과, 제2 전기변색층(233)과, 제2 전해질층(242)과, 투명도통층(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투명기판(21)의 하부표면에 제1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제2 투명기판(22)의 상부표면에 제2 투명도전소자(221)를 구비한다. 제1 전기변색층(232)은 제1 배열방향을 다수로 간격배열하고 제1 투명기판(21)의 하부표면에 설치하고 제1 투명도전소자(211)의 상부에 덮어 씌우고 제1 전기변색층(232)의 하부표면에 제1 전해질층(241)을 설치하고 제2 전기변색층(233)은 제2 배열방향을 다수로 간격배열하여 제2 투명기판(22) 상부의 표면에 설치하고 제2 투명도전소자(221)의 상부에 피복하고 제2 전기변색층(233)의 상부표면에 제2 전해질층(242)을 설치한다.
그리고 투명도통층(25)은 제1 전해질층(241)과 제2 전해질층(242)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투명도전소자(211)와 제2 투명도전소자(221)와를 전기 도통시킨다. 따라서 제1 전기변색층(232)은 제1 투명도전소자(211)와 투명도통층(25)과의 전기 도통에 의해 변색변화를 일으키고 제2 전기변색층(233)은 제2 투명도전소자(221)와 투명도통층(25)의 전기도통에 의해 변색변화를 일으킨다.
상기 제1, 제2 전기변색층(232,233)의 설치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졸 겔법(a sol-gel method), 진공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 레이저 식각법 등을 이용하여 각 기판 상부에 결합한다. 제1, 제2 전기변색층(232,233)의 부재는 양극변색, 음극변색 또는 음극/양극변색에 의해 조합된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또는 유기산화합물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제2 전해질층(241,242)의 부재는 액체상태의 전해질 또는 고체상태의 전해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전해질층(241,242)을 이온을 제공하는 것이 보조변색의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전해질층의 부재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라 전기변색부재를 선택한다. 전기변색층(23)에 음극변색부재를 선택하는 경우 보조변색층은 양극변색부재를 사용하고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따라서 전기변색층(23)이 변색되면 보조변색층도 변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기변색층(23)이 퇴색할 때에 보조변색층도 퇴색반응된다. 제1, 제2 전해질층(241,242)은 제1, 제2 전기변색층(232,233)의 설치위치와 방향으로 결합되고 다수로 간격배열되어 각 적층되게 구비되고 각 층의 전기변색층에 차광구역을 형성시킨 후에 보다 바람직한 차광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6 실시예는 2조의 전기변색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설치방식이다. 그것의 목적은 표시장치를 시청자(E)의 시청각도에 따라 입체영상표시장치로 사용하는 차광각도의 조정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전기변색층(232)은 제1 배열방향으로 다수 간격배열하여 구비하고 제2 전기변색층(233)은 제2 배열방향으로 다수 간격배열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배열방향과 제2 배열방향은 서로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2 전기변색층(233)은 전압제어에 의해 다수 간격배열된 차광구역이 형성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도22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투명도통층(25)은 제3 투명기판의 상부표면 또는 하부표면에 제3 투명도전소자(251)를 설치하고 제3 투명도전기판의 하부표면에 제4 투명도전소자(252)를 설치하고 제1 투명도전소자(211)와 제3 투명도전소자(251)의 전기 도통에 의해 제1 전기변색층(232)을 구동하고 변색을 일으킨다. 제2 전기변색층(233)은 제2 투명도전소자(221)와 제4 투명도전소자(252)의 도통에 의해 변색을 일으킨다.
그것의 가동원리는 표시장치에 센서소자(미도시)와 제어소자(미도시)를 갖고, 센서소자와 제어소자를 서로 전기도통 한다. 상기 센서소자는 예를 들면 자이로스코프(Gyroscope)가 있고 제어소자는 각각 제1 투명도전소자(211)와 제2 투명도전소자(221)와 투명도통층(25)을 전기 도통한다. 상기 센서소자는 표시장치의 회전방향(수평 또는 수직)을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제어소자에 전송한 후, 제어소자를 통해 제1,제2 투명도전소자(211,221)와 투명도통층(25)의 전압을 절환하여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2 전기변색층(233)의 상태를 절환하여 변색시킨다. 예로써 영상표시부(1)가 제1 배열방향으로 시청자(E)를 향할 때 제1 배열방향으로 향해 구비된 제1 전기변색층(232)은 변색된다. 영상표시부(1)의 영상은 제1 전기변색층(232)에 의해 시차 배리어가 형성되고 제1 배열방향으로 입체영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영상표시부(1)는 제2 배열방향으로 시청자(E)를 향할 때 제어소자에 의해 제1, 제2 투명도전소자(211,221)와 투명도통층(25)의 전압절환을 제어하고 제1 전기변색층(232), 제1 전해질층(241)의 상태를 절환하고 변색딘 제1 전기변색층(232)을 퇴색시킴과 동시에 제2 전기변색층(233)을 변색시킨다. 따라서 영상이 제2 전기변색층(233)에 의해 형성된 시차 배리어를 통과한 후, 제2 배열방향으로 입체영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시청자(E)는 평면상의 표시로 되돌릴 때는 제1, 제2 투명도전소자(211,221)와 제3 투명도통층(25)의 전압절환을 제어하고 제1, 제2 전기변색층(232,233)을 퇴색시키는 것에 의해 영상표시부(1)는 입체영상으로부터 평면상으로 절환된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제7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제6 실시예와의 다른 점은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1 전해질층(241)의 설치위치가 서로 치환된 것이고 제2 전기변색층(233)과 제2 전해질층(242)의 설치위치도 서로 치환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및 구성상의 특징은 시청각도에 따르고 입체영상표시할 때에 사용하는 차광각도의 가동원리는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6, 제7 실시예의 2조의 전기변색장치의 적층순서는 상이해도 관계없다. 그 이유는 각 전기변색층은 각각에 전압제어된다. 조합된 후에 제1 전기변색층(232)과 제2 전기변색층(233)의 제1 배열방향과 제2 배열방향을 각각의 방향이라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2조의 전해질층과 전기변색층의 설치순서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다.
또한 제3 투명도전소자와 제4 도전소자는 제3 투명기판(도20에 도시)의 표면을 덮거나 가각 간격을 두고 제3 투명기판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도21에 도시).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1 ... 영상표시부 2 ... 영상절환부
21 ... 제1 투명기판 211 ...제1 투명도전소자
22 ... 제2 투명기판 221 ...제2 투명도전소자
23 ... 전기변색층 231 ... 차광구역
232 ... 제1 전기변색층 233 ... 제2 전기변색층
24 ... 전해질층 241 ... 제1 전해질층
242 ... 제2 전해질층 25 ... 투명도통층
E ... 시청자 L ... 좌측눈의 영상
R ... 우측눈의 영상

Claims (48)

  1. 영상표시부와, 영상절환부를 갖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이용되고,
    상기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된 상기 영상절환부는, 표면에 제1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한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1 투명기판에 대응하는 일측 표면에는 제2 투명도전소자가 구비되고, 타측 표면은 상기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제2 투명기판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투명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와 제2 투명도전소자와의 전기 도통에 의해서 색변화를 일으키는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1 투명기판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전해질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a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전도전자 이미터 디스플레이(a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SED)),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a field emission display (FED)), 진공 형광 표시장치(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전자 페이퍼(an electronic paper (e-Paper))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부재는 플라스틱, 고분자 플라스틱, 유리 또는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 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methacrylate(PMM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중합체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을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설치할 때는, 졸 겔법(a sol-gel method), 진공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 레이저 식각법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양극변색, 음극변색, 또는 음극/양극변색을 조합한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크롬(Cr2O3), 니켈산화물(NiOx), 이리듐산화물(IrO2), 망간산화물(MnO2), 수산화니켈 (Ni(OH)2), 5산화탄탈(Ta2O5) 또는 페릭페로시안산염(ferric ferrocyanide, Fe4[Fe(CN)6]3)으로부터 조합한 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오브(Nb2O3), 산화티탄(TiO2), 티탄산스트론티움(SrTiO3) 또는 5산화탄탈(Ta2O5)로부터 조합한 음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바나지움(V2O5), 산화로지움(Rh2O3) 또는 산화코발트(CoOx)로부터 조합한 음극/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액체상태의 전해질 또는 고체상태의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고체상태의 전해질이며, 이노머막(an ionomer membrane), 유기/무기 이온하이브리드막(an organic/inorganic hybrid membrane) 또는 고분자와 옥소산막(oxo-acids membrane)으로부터 조합한 수소이온 교환막 그룹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의 부재는 수소이온 교환막이며, 퍼플루오르 설폰산 중합막(a polymerized perfluorosulfonic acid (PFSA) membr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 하부의 표면은 부가적으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배열방향으로 다수로 간격 배열하여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배열방향은 수평 또는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기판 상부의 표면은 부가적으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배열방향으로 다수로 간격 배열하여 상기 제2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배열방향은 수평 또는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 하부의 표면은 부가하여 다수로 간격 배열하여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투명기판 상부의 표면은 부가하여 다수로 간격 배열하여 상기 제2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투명도전소자는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배열방향이고 배열방향은 수평 또는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다수로 간격 배열하고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와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배열방향은 수평 또는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은 양극변색, 음극변색, 또는 음극/양극변색으로부터 조합한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또는 유기화합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크롬(Cr2O3), 니켈산화물(NiOx), 이리듐산화물(IrO2), 망간산화물(MnO2), 수산화니켈 (Ni(OH)2), 5산화탄탈(Ta2O5) 또는 페릭페로시안산염(ferric ferrocyanide, Fe4[Fe(CN)6]3)으로부터 조합한 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오브(Nb2O3), 산화티탄(TiO2), 티탄산스트론티움(SrTiO3) 또는 5산화탄탈(Ta2O5)로부터 조합한 음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바나지움(V2O5), 산화로지움(Rh2O3) 또는 산화코발트(CoOx)로부터 조합한 음극/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제1 투명도전소자와 전해질층과의 사이에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테트라메틸디실옥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C4H14OSi2) 및 탄소-규소 산화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변색층과 전해질층과의 사이에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테트라메틸디실옥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C4H14OSi2) 및 탄소-규소 산화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2. 영상표시부와, 영상절환부를 갖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이용되고,
    상기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된 상기 영상절환부는, 표면에 제1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한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1 투명기판에 대응하는 일측 표면에는 제2 투명도전소자가 구비되고, 타측 표면은 상기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제2 투명기판과, 상기 제1 투명기판 하부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상부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과,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형성된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의 배열방향은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의 배열방향과 일치되고 동시에 상기 다수의 제1, 2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1, 제2 투명도전소자의 전기 도통에 의해서 색변화되고,
    상기 전해질층은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a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전도전자 이미터 디스플레이(a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SED)),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a field emission display (FED)), 진공 형광 표시장치(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전자 페이퍼(an electronic paper (e-Paper))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부재는 플라스틱, 고분자 플라스틱, 유리 또는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 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methacrylate(PMM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중합체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을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설치할 때는, 졸 겔법(a sol-gel method), 진공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 레이저 식각법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양극변색, 음극변색, 또는 음극/양극변색을 조합한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크롬(Cr2O3), 니켈산화물(NiOx), 이리듐산화물(IrO2), 망간산화물(MnO2), 수산화니켈 (Ni(OH)2), 5산화탄탈(Ta2O5) 또는 페릭페로시안산염(ferric ferrocyanide, Fe4[Fe(CN)6]3)으로부터 조합한 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오브(Nb2O3), 산화 티탄(TiO2), 티탄산스트론티움(SrTiO3) 또는 5산화탄탈(Ta2O5)로부터 조합한 음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의 부재는, 산화바나지움(V2O5), 산화로지움(Rh2O3) 또는 산화코발트(CoOx)로부터 조합한 음극/양극변색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액체상태의 전해질 또는 고체상태의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고체상태의 전해질이며, 이노머막(an ionomer membrane), 유기/무기 이온하이브리드막(an organic/inorganic hybrid membrane) 또는 고분자와 옥소산막(oxo-acids membrane)으로부터 조합한 수소이온 교환막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의 부재는 수소이온 교환막이며, 퍼플루오르 설폰산 중합막(a polymerized perfluorosulfonic acid (PFSA) membr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배열방향으로 다수로 간격 배열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과의 사이에 구비되고 배열방향은 수평 또는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4. 삭제
  35. 삭제
  36. 영상표시부와, 영상절환부를 갖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이용되고,
    상기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된 상기 영상절환부는, 표면에 제1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한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1 투명기판에 대응하는 일측 표면에는 제2 투명도전소자가 구비되고, 타측 표면은 상기 영상표시부의 표면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제2 투명기판과,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전해질층과,
    상기 제1 전해질층 하부에 구비되며 소정 간격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전해질층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위에 배치되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과,
    상기 다수의 제1, 제2 전기변색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와 상기 제2 투명도전소자와 전기도통되는 제3 투명도통층;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와 상기 제3 투명도통층과의 전기도통에 의해 색변화를 일으키고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2 투명도전소자와 상기 제3 투명도통층과의 전기도통에 의해 색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도통층에 제3 투명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3 투명기판의 상부 표면에 상기 제3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도통층에 제3 투명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3 투명기판의 하부 표면에 상기 제3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도통층에 제3 투명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3 투명기판의 상부 표면에 상기 제3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3 투명기판의 하부 표면에 제4 투명도전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1 투명도전소자와 상기 제3 투명도전소자와의 전기도통에 의해 변색을 일으키고,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은 상기 제3 투명도전소자와 상기 제4 투명도전소자와의 전기 도통에 의해 변색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은 배열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층은 다수로 간격 배열하고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1 투명도통층과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제1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배열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층의 부재는, 양극변색, 음극변색 또는 음극/양극변색으로부터 조합한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또는 유기화합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해질층은 다수로 간격 배열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투명도통층과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전기변색층과 동일한 배열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해질층의 부재는, 양극변색, 음극변색 또는 음극/양극변색으로부터 조합한 천이금속 원소산화물 그룹 또는 유기 화합물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KR1020100124622A 2010-06-14 2010-12-08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KR101212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19247 2010-06-14
TW099119247A TW201145234A (en) 2010-06-14 2010-06-14 2D/3D image switch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680A KR20110136680A (ko) 2011-12-21
KR101212336B1 true KR101212336B1 (ko) 2012-12-13

Family

ID=4509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622A KR101212336B1 (ko) 2010-06-14 2010-12-08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92765B2 (ko)
JP (1) JP2012003221A (ko)
KR (1) KR101212336B1 (ko)
TW (1) TW2011452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3695B2 (en) * 2011-01-25 2014-09-02 Hannstar Display Corp. 3D display, barrier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CN103376558A (zh) * 2012-04-19 2013-10-30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CN103376557A (zh) * 2012-04-19 2013-10-30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CN103376556A (zh) * 2012-04-19 2013-10-30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KR101941525B1 (ko) * 2012-06-07 2019-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TWI475307B (zh) * 2012-09-24 2015-03-01 Wistron Corp 電致色變面板及控制裝置
WO2014088585A1 (en) 2012-12-07 2014-06-12 Perfecseal, Inc. Multilayer film
KR101975348B1 (ko) * 2012-12-29 2019-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KR102011950B1 (ko) * 2013-09-23 2019-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WO2015079096A1 (en) * 2013-11-27 2015-06-04 Polar Electro Oy Displaying activity data
US20150225151A1 (en) 2014-02-11 2015-08-13 Christopher L. Osborn Anti-Scalping Transdermal Patch Packaging Film
US9468584B2 (en) 2014-04-02 2016-10-18 Bemis Company, Inc. Child-resistant packaging
KR20160050696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CN105304677B (zh) * 2015-09-24 2019-09-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显示系统
US10261382B2 (en) * 2015-12-22 2019-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Light modulation device
US10747017B2 (en) * 2016-01-04 2020-08-18 Chi-Chung Hu Autostereoscopic pixel emitting unit and 2D/3D auto-conversion display device
CN106940482B (zh) * 2016-01-04 2019-02-05 胡继忠 裸眼3d显示像素单元及具有2d或3d切换功能的装置
CN106970497B (zh) * 2016-01-14 2021-03-09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光控制元件、光控制装置及光控制元件的制造方法
CN106292119A (zh) * 2016-09-29 2017-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色电子纸及其制备方法
CN108878665B (zh) * 2017-05-1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7959846B (zh) * 2017-12-06 2019-12-0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影像显示设备及影像显示方法
CN108848370B (zh) * 2018-07-04 2020-01-1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全视差可切换的裸眼3d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8766269A (zh) * 2018-07-27 2018-11-06 祺虹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透明显示基板、透明显示屏及其制作方法
US10932902B2 (en) 2018-08-03 2021-03-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Dynamically tunable apodized multiple-focus opthalmic devices and methods
CN111584540A (zh) * 2019-02-19 2020-08-25 陕西坤同半导体科技有限公司 可控透明显示器件
EP3926391A4 (en) * 2019-02-21 2022-11-23 Leaphigh Inc.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INCLUDED THIS
CN115035806B (zh) * 2022-08-02 2022-11-25 惠科股份有限公司 防窥组件的制造方法、防窥组件、防窥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42B1 (ko) 2009-11-04 2010-02-02 박선후 전기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6058A (ja) * 1994-06-30 1996-03-22 Sanyo Electric Co Ltd 光シャッター及び3次元画像表示装置
JP2003315844A (ja) * 2002-04-19 2003-11-06 Fuji Photo Film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ィスプレイ
US7199845B2 (en) * 2002-09-26 2007-04-03 Sharp Kabushiki Kaisha 2D/3D switch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2D/3D se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45203B1 (ko) * 2004-02-03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투과 제어장치, 이를 구비한 2차원 및 3차원영상표시장치 및 광 투과 제어장치의 제조방법
KR101210887B1 (ko) * 2005-12-22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9053391A (ja) * 2007-08-27 2009-03-12 Seiko Epson Corp 表示素子
FR2928463B1 (fr) * 2008-03-04 2010-12-03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rome comportant un maillage.
TWM368088U (en) 2009-04-07 2009-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Integrated electro chromic 2D/3D display device
TWM371902U (en) 2009-04-27 2010-0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2D/3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42B1 (ko) 2009-11-04 2010-02-02 박선후 전기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03221A (ja) 2012-01-05
US20110304530A1 (en) 2011-12-15
TW201145234A (en) 2011-12-16
US8692765B2 (en) 2014-04-08
KR20110136680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336B1 (ko) 2d/3d 영상절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
US8368993B2 (en) 2D/3D image switching display device
US8427734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chromic module thereof
KR10113639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338960A (zh) 2d/3d影像切换显示装置
CN102478739A (zh) 立体影像显示装置及其电致变色模块
EP2555048B1 (en) Electrochromic device
EP3163364B1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JP2009053391A (ja) 表示素子
US8520287B2 (en) Parallax barrie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9823484B2 (en) Electrochromic grating and 3D display device
US20120038966A1 (en) Electrochromic module and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he same
US9874762B2 (en) Electrochromic gra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050054415A (ko)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디스플레이
CN201514515U (zh) 切换2d平面影像/3d立体影像显示画面的显示装置
CN110632804A (zh) 调光膜、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201402347Y (zh) 整合式电变色2d/3d显示器
KR2013000809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308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5425A (ko) 양방향 투명 표시장치
US9513489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US8885113B2 (en) Display device, barri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rrier device
TWM395845U (en) 2D/3D image switching display apparatus
CN102455559A (zh) 2d/3d影像切换显示装置
KR20150033166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