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081B1 -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081B1
KR101211081B1 KR1020100125355A KR20100125355A KR101211081B1 KR 101211081 B1 KR101211081 B1 KR 101211081B1 KR 1020100125355 A KR1020100125355 A KR 1020100125355A KR 20100125355 A KR20100125355 A KR 20100125355A KR 101211081 B1 KR101211081 B1 KR 10121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olar cell
information
electricit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223A (ko
Inventor
정영삼
Original Assignee
(주)현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우기술 filed Critical (주)현우기술
Priority to KR102010012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0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뿐만 아니라 풍력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광원(60)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고, 도로변이나 길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동절기에도 안정적으로 활용가능하고, 태양전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의 탈색 및 변색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볼록렌즈(90)를 구비하여 표시패널(10)에 기재된 정보를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현위치와 목적지에 대한 지도정보 및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REGION AND TOUR GUIDE BOARD USING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뿐만 아니라 풍력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광원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고, 도로변이나 길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동절기에도 안정적으로 활용가능하고, 태양전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탈색 및 변색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표시패널에 기재된 정보를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현위치와 목적지에 대한 지도정보 및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명 및 건물 번호 부여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원도심 권역 내 보행자 환경 개선사업과 연계한 도시 경관사업의 시범 모델 사업의 일환으로 새 주소를 활용한 도로안내 게시판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도심 지역 내 지리정보를 통한 타 지역과의 경쟁력 확보 및 도시 미관 개선과 각종 재난, 재해에 신속히 대처하고 주민 및 방문객에게 편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조명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야간에는 표시패널의 지리정보를 판독할 없으며, 태양전지 및 조명장치를 갖춘 일부 제품들도 에너지 저장장치로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을 이용하면서 추가로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서 표시패널을 밝히는 광원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변이나 길가에 설치되어 도로변이나 길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동절기에도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의 표면에 오염방지막 기술을 적용하여 태양전지의 표면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패널의 탈색 및 변색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패널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표시패널에 기재된 정보를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위치와 목적지에 대한 지도정보 및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지역 및 관광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광투과성이 있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이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표면에 무기질 나노 코팅막이 도포되는 태양전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부; 상기 태양전지 및 풍력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그 후면에서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축전지에 축전되는 전기량이 설정치보다 낮아지는 경우를 야간으로 판단하여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를 상기 광원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풍력발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회전날개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에는, 평면상 길이방향으로 바람의 이동통로가 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풍력발전부는,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관통부의 입구는 관통부로의 바람의 유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날개의 개수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절반만이 상기 바람의 이동통로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의 출구에는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 바람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표시패널에 대한 정보를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는 볼록렌즈와, 상기 표시패널 상에서 상기 블록렌즈가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렌즈를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는 이송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에서 현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각 지점의 위치정보 및 도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표시패널에서 감지된 지점과, 현위치로 미리 저장된 지점을 연산하여 현위치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에서 감지된 지점으로의 경로를 설정하고 현위치와 상기 표시패널에서 감지된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GPS 통신을 통해 상기 표시부의 지도상에 사용자의 현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패널에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UV층과 자외선 차단필름이 적층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유리가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의하면, 태양광을 이용하면서 추가로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서 표시패널을 밝히는 광원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 야간에도 표시패널에 대한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변이나 길가에 설치되어 도로변이나 길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도로변이나 길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동절기에도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어 지역안내 표지판 또는 관광 안내판의 정보 전달 기능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표면에 오염방지막 기술을 적용하여 태양전지의 표면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태양전지의 성능 유지 및 수명 연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먼지의 세척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탈색 및 변색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패널에 기재된 정보의 전달 기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파손에 따른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패널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표시패널에 기재된 정보를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어 시력이 약한 노인도 표시패널에 기재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현위치와 목적지에 대한 지도정보 및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지역 안내 표지판 또는 관광 안내판에서 확인된 정보를 목적지까지 쉽게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사도,
도 2는 제1실시예에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도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사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은 크게 표시패널(10), 프레임(20), 태양전지(30), 풍력발전부(40), 축전지(50), 광원(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은 지역 및 관광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광원(60)으로부터 방사된 빛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과될 수 있는 광투과성을 갖음으로써 야간에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패널(10)은 야외에서 태양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라 자외선에 의해 표시패널(10)에 표시된 글자, 숫자 및 도안 등이 희미해지거나 지워질 수 있고, 심한 경우 변색되어 의도된 지역 및 관광 안내 기능을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0)에 UV층 및 자외선 차단필름이 적층되어 표시패널(10)에 대한 자외선의 도달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은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만일 표시패널(10)이 다소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었다면, 상기 표시패널(10)에는 강화유리가 추가로 적층되어 상기 표시패널(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10)에 적층되는 UV층, 자외선 차단필름 및 강화유리의 적층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표시패널(10)이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는 지면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표시패널(10)이 장착되는 커버부(21)와, 상기 커버부(2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3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이러한 태양전지(3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30)는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라 이동하면서 태양광의 수집량을 극대화시키도록 회동가능한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태양전지(30)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이 도로변에 설치됨에 따라 많은 먼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30)가 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태양전지(30)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주기적으로 세척해 주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의 증가가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태양전지(30) 표면에 무기질 나노 코팅막을 이용한 자기정화(Self-cleaning) 기술을 도입하여 제품이 신뢰성 향상 및 수명 연장을 달성하면서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풍력발전부(40)는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0)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은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자동차의 통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람, 건물에 막혀 도로로 우회하여 통과하는 바람이 상시 불 수 있다. 따라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풍력발전부(40)를 구비하면 도로에서 발생되거나 도로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어, 태양전지(30)과 더불어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풍력발전부(4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41)와, 상기 회전날개(4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30)는, 회전날개(41)에 의해 태양광의 수집에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회전날개(4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기생성유닛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축전지(50)는 상기 태양전지(30)와 풍력발전부(4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축전한다. 이때 태양전지(30) 및 풍력발전부(40)에서 발생된 AC를 DC로 변환하여 상기 축전기에 공급하는 AC/DC변환기(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50)는 슈퍼커패시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슈퍼커패시터는 충방전 속도가 빠르고 넓은 온도범위에서도 충방전 효율이 매우 높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광원(60)은 상기 축전지(50)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의 후면에서 발광한다. 이러한 광원(60)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10)에 기재된 지역 및 관광 안내에 대한 정보를 야간에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전지(50)로부터 광원(60)으로의 전원공급은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축전지(50)에 축전되는 전기량이 설정치보다 낮아지는 경우를 야간으로 판단하여 상기 축전지(50)에 축전된 전기를 상기 광원(60)으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은 해당 지역의 주변 정보 안내 및 관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로변 또는 길가에 세워진다. 이때 상기 정보는 표시패널(10)에 인쇄되어 프레임(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에 기재된 정보는 주간에는 태양광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가능하고, 야간에는 태양전지(30) 및 풍력발전부(40)에서 생성된 전기를 축전지(50)에 저장하였다가 광원(60)을 발광시킴으로서 식별가능하게 된다.
또한 태양전지(30)만으로 전기를 생산한다면, 가로수나 주변 건물에 태양광이 가리거나 흐른 날씨에는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로변이나 길가에서 발생되는 자동차에 의한 바람 및 도로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풍력발전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야간에 광원(60)을 발광시키기 위한 전기의 확보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0)에는 UV층, 강화유리 및 자외선 차단필름이 적층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변색 및 탈색되거나, 주변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표시패널(10)이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도면번호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에 관통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5)에 풍력발전부(40)가 구비되는 점이 제1실시예에서와 상이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20)에는, 평면상 길이방향으로 바람의 이동통로가 되는 관통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풍력발전부(40)는, 상기 관통부(25)에 설치되는 회전날개(41)와, 상기 회전날개(4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통부(25)의 입구는 상기 관통부(25)로의 바람의 유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 관통부(25)의 출구로도 바람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출구도 내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25)에 상기 회전날개(41)가 바람의 이동통로로 노출되어 바람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전기생성유닛을 통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회전날개(41) 전체가 관통부(25)에서 노출된다면, 회전날개(41)의 회전방향 및 회전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풍력이 작용하므로, 회전날개(41)의 회전이 극대화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부(25)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날개(41)의 개수에 대응하는 홈부(27)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날개(41)는 상기 홈부(27)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날개(41)의 절반만이 상기 바람의 이동통로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25)의 출구에는 상기 관통부(25)를 통과한 바람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내기 위하여 필터(8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로변이나 길가에는 지속적으로 바람이 불기 때문에 도로나 길가의 공기에는 많은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을 하면서 유입된 바람을 필터링함으로서 도로변의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도면번호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0)에 기재된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표시패널(10)에 대한 정보를 확대하여 보여줄 있는 볼록렌즈(90)와, 상기 표시패널(10) 상에서 상기 볼록렌즈(90)가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렌즈(90)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하는 이송수단(93)이 설치된다.
이때 볼록렌즈(90)의 테두리에는 상기 볼록렌즈(90)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수단(93)이 관통될 수 있는 통공(91a)이 마련되는 파지부(9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93)은 와이어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이송수단(93)은 상기 프레임(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파지부(91)로 연장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프레임(2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이송수단(93)이 설치될 수 있는 슬라이드공(29)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93)은 볼록렌즈(9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공(29)을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93)은 와이어에 한정되지 않고, 끈이나 판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볼록렌즈(90)가 표시패널(10)의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들도 안내판에 기재된 글씨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도면번호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도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0)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패널(10)에서 현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표시패널(10)에 표시되는 각 지점의 위지정보 및 도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0)에서 감지된 지점(이하 '목적지'라 함)과, 현위치로 미리 저장된 지점을 연산하여 현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로의 경로를 설정하고 현위치와 상기 목적지를 포함하는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100)의 표시부(101)에 표시하고, GPS 통신을 통해 상기 표시부(101)의 지도상에 사용자의 현위치 정보(도 7에서 원과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를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상기 표시패널(10)에는 목적지를 입력하여 경로탐색을 할 수 있는 입력버튼과, 경유지를 설정할 수 있는 경유지 설정버튼과, 탐색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유선으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과 단말장치(100)가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는 구성인데, 만일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에 무선송신기가 구비된다면, 상기 표시패널(10)에는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버튼(예를 들면 '숫자버튼')이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표시패널 20 : 프레임
30 : 태양전지 40 : 풍력발전부
50 : 축전지 60 : 광원
70 : 제어부 80 : 필터
90 : 볼록렌즈 100 : 단말장치

Claims (9)

  1. 지역 및 관광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광투과성이 있는 표시패널(10);
    상기 표시패널(10)이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표면에 무기질 나노 코팅막이 도포되는 태양전지(30);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0)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부(40);
    상기 태양전지(30) 및 풍력발전부(4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50);
    상기 축전지(50)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을 그 후면에서 발광하는 광원(60); 및
    상기 축전지(50)에 축전되는 전기량이 설정치보다 낮아지는 경우를 야간으로 판단하여 상기 축전지(50)에 축전된 전기를 상기 광원(60)으로 전달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10)에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UV층과 자외선 차단필름이 적층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유리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부(4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41)와, 상기 회전날개(4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30)는 상기 회전날개(4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는, 평면상 길이방향으로 바람의 이동통로가 되는 관통부(25)가 형성되고,
    상기 풍력발전부(40)는, 상기 관통부(25)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41)와, 상기 회전날개(4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25)의 입구는 관통부(25)로의 바람의 유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부(25)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날개(41)의 개수에 대응하는 홈부(27)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날개(41)는, 상기 홈부(27)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날개(41)의 절반만이 상기 바람의 이동통로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25)의 출구에는 상기 관통부(25)를 통과한 바람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필터(8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표시패널(10)에 대한 정보를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는 볼록렌즈(90)와, 상기 표시패널(10) 상에서 상기 블록렌즈가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렌즈(90)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하는 이송수단(9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10)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패널(10)에서 현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표시패널(10)에 표시되는 각 지점의 위치정보 및 도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0)에서 감지된 지점과, 현위치로 미리 저장된 지점을 연산하여 현위치로부터 상기 표시패널(10)에서 감지된 지점으로의 경로를 설정하고 현위치와 상기 표시패널(10)에서 감지된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100)는, 상기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100)의 표시부(101)에 표시하고, GPS 통신을 통해 상기 표시부(101)의 지도상에 사용자의 현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9. 삭제
KR1020100125355A 2010-12-09 2010-12-09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KR10121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55A KR101211081B1 (ko) 2010-12-09 2010-12-09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55A KR101211081B1 (ko) 2010-12-09 2010-12-09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23A KR20120064223A (ko) 2012-06-19
KR101211081B1 true KR101211081B1 (ko) 2012-12-11

Family

ID=4668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355A KR101211081B1 (ko) 2010-12-09 2010-12-09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557B1 (ko) * 2023-10-11 2024-03-29 디스플레이허브 주식회사 관리 유지가 용이한 led 전광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517B1 (ko) * 2019-09-25 2021-07-09 주식회사 베이스캠프코리아 지하철 터널내 먼지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557B1 (ko) * 2023-10-11 2024-03-29 디스플레이허브 주식회사 관리 유지가 용이한 led 전광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23A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299B1 (ko) 도로용 펜스
ES2862377T3 (es) Plancha de señalización luminosa y sistema que puede utilizar una plancha de este tipo
JP6750065B2 (ja) 光ファイバ発光型標識装置
CN205576778U (zh) 一种韩语路标指示牌
JP2014010533A (ja) 停留所の情報表示装置
KR10121108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지역 또는 관광 안내 표지판
CN108597407A (zh) 一种具有自清洁装置的防炫目led交通标示牌
CN208472606U (zh) 一种旋转式交通安全标志牌
JP2002173913A (ja) 太陽光発電装置付き防雪柵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110038544A (ko) 가로명 사인시스템
US9022596B2 (en) Lighting arrangement comprising elongate light emitting members
KR101236404B1 (ko) 도로 설치용 발전 장치
CN205276153U (zh) 一种自动旋转太阳能交通指示牌
KR102115876B1 (ko) 태양광을 활용한 분산 발전소
CN208189091U (zh) 一种城乡规划用导视装置
CN104112409A (zh) 方便更换广告牌的太阳能广告灯箱
CN104421817B (zh) 自发光道边灯
CN206888583U (zh) 一种智能公交站牌
CN206179442U (zh) 一种数字化信息标识设备
KR20200027673A (ko)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정보서비스 장치
CN216897069U (zh) 一种城市道路节能照明装置
CN105737082B (zh) 一种分布式太阳能电子路标装置
CN207987808U (zh) 一种应急交通标志牌
CN202871206U (zh) 一种高透明度太阳能led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