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535B1 -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535B1
KR101210535B1 KR1020110119668A KR20110119668A KR101210535B1 KR 101210535 B1 KR101210535 B1 KR 101210535B1 KR 1020110119668 A KR1020110119668 A KR 1020110119668A KR 20110119668 A KR20110119668 A KR 20110119668A KR 101210535 B1 KR101210535 B1 KR 10121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elf
rotating
wash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석
Original Assignee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크린마스터(주) filed Critical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to KR102011011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결합구를 유성기어장치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물걸레와 세척용 물의 접촉을 극대화하여 물걸레의 세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 탈수유닛, 세척유닛 및 비산방지부재가 구성된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세척유닛은 다수의 제 1 나사 체결부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돌부; 제 1 나사 체결홈이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지지돌부 상에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링기어; 링기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어지되 상부면 상에 제 2 나사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캐리어; 캐리어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3개의 유성기어; 유성기어에 치결합되어 유성기어와 캐리어를 링기어 내주면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썬기어; 썬기어의 중심에 결합 고정되는 회전축; 캐리어의 상부측으로 고정되는 원판 상의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물걸레 받침판; 및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어 플레이트와 물걸레 받침판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중심 저부에 형성된 암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세척결합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Washing rotary damp cloth itself combined dewatering}
본 발명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걸레를 세척하는 세척유닛과 세척된 물걸레를 탈수하는 탈수유닛의 구성을 통해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과 탈수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 타입의 물걸레를 세척하여 탈수하는 장치는 일정수위까지 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페달을 밟아 회전시킬 수 있는 탈수바구니를 설치하되 탈수바구니 내측에 세척한 물걸레를 탑재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물걸레의 물을 탈수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봉 타입의 물걸레를 세척하여 탈수하는 장치의 구성에서 탈수바구니는 물이 담기는 본체 하우징의 일측 가장자리 상단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물걸레를 탈수바구니 옆의 일정공간을 통해 본체 하우징 내부의 물속으로 담그고 손으로 자루를 흔들어서 물걸레를 세척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걸레의 세척 및 탈수장치를 통해 세척 및 탈수가 이루어지는 통상의 물걸레는 봉 타입으로, 자루의 상단에 손잡이가 구성되고, 자루의 하단에 물걸레를 결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며, 고정수단에는 물걸레가 설치 고정된다.
더욱이, 근래에 들어서면서 전술한 물걸레는 고정봉을 승강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봉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사용에 따라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물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는 페달없이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탈수시키는 탈수바구니만을 구비한 간단한 구조의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로 개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는 일정수위까지 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물이 담겨진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는 탈수바구니가 단순히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탈수바구니 일측에 일정수위 담긴 물에 물걸레를 상하방향으로 흔들어 세척한 후 탈수바구니 내측에 물걸레를 회전시켜 탈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단지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상하방향으로만 흔들어 세척함에 따라 그 세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사용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는 앞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걸레의 탈수를 위한 탈수유닛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바구니 내측 바닥면 중앙에 탈수결합구를 설치한 구성과 본체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세척을 위한 별도의 회전가능한 세척결합구를 포함하는 세척유닛을 구성한 기술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는 세척유닛에서 세척결합구에 의한 물걸레의 회전이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고정봉에 대한 반복 승강에 따른 가속으로 고속 회전이 이루어져 물걸레의 물과의 접촉이 저하되고 단순히 고속 회전만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자체 회전식 물걸레가 물과의 접촉이 저하됨에 따라 물걸레의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고속회전에 따른 세척을 위한 물이 세척통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전술한 자체 회전식 물걸레에 대한 세척 및 탈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물걸레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감속시켜 물걸레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물걸레의 세척시 세척통의 외부로 세척을 위한 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기술적 구조를 가지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0985376 B1 2010.09.28. KR 20-2010-0011842 U 2010.12.07.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척결합구를 유성기어장치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물걸레와 세척용 물의 접촉을 극대화하여 물걸레의 세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 상에 슬라이딩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발을 인출하여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이나 탈수시 본체 하우징이 움직이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는 고정봉과 회전봉 및 물걸레가 결착되는 물걸레 결착부재로 이루어진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을 위하여 물이 수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탈수시키는 탈수바구니를 포함한 탈수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세척하는 세척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탈수바구니 상단 외주면을 커버하여 탈수시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재로 구성된 세척겸용 탈수장치의 물걸레를 세척하는 세척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되는 링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에 3개의 유성기어가 치결합되고, 상기 유성기어 사이의 중심에는 썬기어가 치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유성기어와 캐리어를 상기 링기어 내주면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썬기어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결합되어 키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세척결합구가 결합 고정되어 상부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중심 저부에 형성된 암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측에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측으로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받치는 물걸레 받침판이 설치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의 상부면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 나사 체결부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돌부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지지돌부의 제 1 나사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 1 나사 체결홈이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 상에 고정나사를 통해 링기어가 고정되며,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캐리어의 상부면 상에 정삼각형 배열로 제 2 나사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제 2 나사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 2 나사 체결홈과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이 구비된 원판상의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걸레결착부재에 원호 형태의 장홈인 걸림홈을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걸레 받침판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탄성걸림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시 상기 걸레결착부재의 걸림홈 상에 상기 탄성걸림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마련한에 의한다.

또한, 상기 탄성걸림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동일선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노브홈;
상기 노브홈 각각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측으로 위치되어 상부측이 상기 물걸레 받침판의 상부로 돌출되어지되 외주면 상부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물걸레 받침판을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물걸레 받침판 하부면에 걸림 유지되어 상기 걸레결착부재의 걸림홈 상에 걸리는 걸림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구조로 인출입되는 고정발수단이 더 구성되어지되 상기 고정발수단은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측에 단턱의 가이드 면이 형성된 고정발; 및
상기 고정발의 가이드 면 상에 안착되어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 상을 경유하여 상기 가이드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상부면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탈수시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상부면으로 비산된 물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유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세척결합구를 유성기어장치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자체회전 물걸레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물걸레와 세척용 물의 접촉을 극대화하여 물걸레의 세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 상에 슬라이딩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발을 인출하여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이나 탈수시 본체 하우징이 움직이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구성하는 유성기어장치의 결합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고정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고정발의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보인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구성하는 유성기어장치의 결합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세척유닛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고정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서 고정발의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 탈수유닛(120), 세척유닛(130), 비산방지부재(140) 및 이동손잡이(1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탁 겸용 탈수장치(100)는 상부측의 고정봉(12)을 하강시 하부측의 회전봉(14)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봉(14)의 하단에 구성된 물걸레(18)의 세척과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측의 고정봉을 하강시 하부측의 회전봉이 회전되도록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1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을 구성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상하로 승강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고정봉(12), 고정봉(12)의 하단 내측을 통해 상단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봉(12)의 하강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봉(14) 및 회전봉(14)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물걸레(18)를 결착하는 물걸레 결차부재(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를 구성하는 본체 하우징(110)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세척과 탈수를 위한 물이 수용되는 세척부가 구성된다. 이때,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일정 높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바구니(122)를 갖는 탈수유닛(120) 및 세척부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세척유닛(130)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탈수유닛(120)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물걸레(18)가 결착된 원반상의 걸레결착부재(16) 저부 중심에 형성되는 암결합부(16a)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축 결합부(124)가 바닥면 중심에 구성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탈수바구니(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탈수유닛(120)은 탈수바구니(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회전축(126)과 부싱(128)을 더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26)은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에 상향 돌출된 설치부(112) 중앙에 단이지도록 함몰 형성된 설치홈(114) 상에 부싱(12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를 구성하는 세척유닛(130)은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 타측에 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지되 상부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 나사 체결부(131a)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돌부(131), 지지돌부(131)의 제 1 나사 체결부(131a)에 대응하는 제 1 나사 체결홈(132b)이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지지돌부(131) 상에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되어지되 내주면에는 내접기어(132a)가 형성되는 링기어(132), 링기어(132)의 내주면 내접기어(132a)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어지되 상부면 상에 정삼각형 배열로 제 2 나사 체결부(133a)가 돌출 형성되는 캐리어(133), 캐리어(133)의 제 2 나사 체결부(133a)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지되 링기어(132)의 내접기어(132a)에 치결합되는 3개의 유성기어(134), 유성기어(134) 사이의 중심에 치결합되어 설치되어지되 회전을 통해 유성기어(134)와 캐리어(133)를 링기어(132) 내주면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썬기어(135), 썬기어(135)의 중심에 결합되어 키를 통해 고정되는 회전축(136), 캐리어(133)의 제 2 나사 체결부(133a)에 대응하는 제 2 나사 체결홈(137a)과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137b)이 구비된 원판 상의 플레이트(137), 플레이트(137)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지지돌부(131)의 상부측 일부까지 커버하되 상부면을 통해 자체 회전식 물걸레(10)를 받치는 물걸레 받침판(138) 및 회전축(136)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어 플레이트(137)와 물걸레 받침판(138)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중심 저부에 형성된 암결합부(16a)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세척결합구(139)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세척유닛(130)을 구성하는 내접기어(132a) 형성된 링기어(132), 캐리어(133), 유성기어(134), 썬기어(135) 및 회전축(136)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기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즉, 회전축(136)의 상단에 결합 고정된 세척결합구(139)에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중심 저부에 형성된 암결합부(16a)에 결합되어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회전축(136)의 회전에 의해 썬기어(135)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썬기어(135)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유성기어(134)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유성기어(134)가 링기어(132)의 내접기어(132a)에 치결합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때, 캐리어(133) 역시 유성기어(134)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를 구성하는 세척유닛(130)의 결합을 살펴보면 먼저, 캐리어(133)를 내접기어(132a) 하부측의 링기어(132) 내주면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링기어(132)의 제 1 나사 체결홈(132b)으로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지지돌부(131)의 제 1 나사 체결부(131a)로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캐리어(133)는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기어(132)를 통해 캐리어(133)를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3개의 유성기어(134)를 캐리어(133)의 상부면에 위치시켜 링기어(132)의 내접기어(132a)에 치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중심에 회전축(136)이 삽입 고정된 썬기어(135)를 3개의 유성기어(134) 사이의 중심에 위치시켜 썬기어(135)와 유성기어(134)의 치결합이 이루어어지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136)의 상단에는 세척결합구(139)가 고정되어진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썬기어(135)를 설치한 다음에는 캐리어(133)의 제 2 나사 체결부(133a)에 플레이트(137)의 제 2 나사 체결홈(137a)를 일치시켜 고정나사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캐리어(133)의 상부측에 플레이트(137)를 고정시킨 다. 이어서, 플레이트(137)의 상부측으로 물걸레 받침판(138)을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하게 되면 회전축(136)의 상단에 결합 고정된 세척결합구(139)는 플레이트(137)와 물걸레 받침판(138)의 관통된 중심을 통해 물걸레 받침판(138)의 상부측으로 돌출 구성되어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세척시 물걸레(18)를 결착하는 물걸레 결차부재(16)의 중심 저부에 형성된 암결합부(16a)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에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걸레결착부재(16)에 원호 형태의 장홈인 걸림홈(16b)을 형성하되 플레이트(137)의 양측에 걸림홈(16b)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걸레 받침판(13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탄성걸림수단(160)이 구성되어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세척시 걸레결착부재(16)의 걸림홈(16b) 상에 탄성걸림수단(160)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걸림수단(160)은 플레이트(137)의 양측 동일선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노브홈(162), 노브홈(162) 각각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64) 및 탄성스프링(164)의 상부측으로 위치되어 상부측이 물걸레 받침판(138)의 상부로 돌출되어지되 외주면 상부 일측에는 걸림턱(166a)이 형성되어 물걸레 받침판(138)을 플레이트(137)에 체결시 걸림턱(166a)이 물걸레 받침판(138) 하부면에 걸림 유지되어 걸레결착부재(16)의 걸림홈(16b) 상에 걸리는 걸림노브(16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탄성걸림수단(160)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세척시 걸레결착부재(16)의 암결합부(16a)를 세척결합구(139)에 결합시키는 경우 걸레결착부재(16)의 걸림홈(16b) 상에 걸림노브(166)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하거나 물걸레(18)에 걸림노브(166)가 구속되도록 하여 걸레결착부재(16)가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에는 물걸레(18)의 탈수시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재(140)의 일측에 세척용 물에 세척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통(170)이 더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세척제 공급통(170)에는 세척제가 충진되어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세척시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용 물에 세척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물걸레(18)의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에는 본체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배수구(180)와 배수구 마개(182)가 더 형성되어 더러워진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물걸레(18)의 세척과 탈수 후에는 본체 하우징(110)의 세척부 상에 더러워진 물을 배수구 마개(182)를 열어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100)에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10)를 회전시켜 세척하거나 탈수시 본체 하우징(110)이 밀려 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로 밟음으로써 본체 하우징(110)의 고정시키는 고정발수단(190)이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발수단(190)은 본체 하우징(1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구조로 인출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발수단(190)은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192), 가이드(192)가 삽입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194a)이 형성되어지되 가이드 홈(194a)의 하부측에 단턱의 가이드 면(194b)이 형성된 고정발(194) 및 고정발(194)의 가이드 면(194b) 상에 안착되어 고정나사(198)를 통해 가이드 홈(194a) 상을 경유하여 가이드(192)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19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발수단(190)은 자체 회전식 물걸레(10)를 회전시켜 세척하거나 탈수시 인입된 상태의 고정발(194)을 선으로 잡아 외부로 빼낸 상태에서 발로 고정발(194)을 밟게 되면 본체 하우징(110)이 밀려 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비산방지부재(140)의 상부면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탈수시 비산방지부재(140)의 상부면으로 비산된 물이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유로홈(142)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홈(142)은 비산방지부재(140)의 상부면으로 비산된 물이 본체 하우징(110) 외부로 흘러내지 않도록 하여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세척유닛(130)의 유성기어장치를 통해 자체 회전식 물걸레(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물걸레(18)와 세척용 물의 접촉을 극대화하여 물걸레(18)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세척 겸용 탈수장치 110. 본체 하우징
120. 탈수유닛 122. 탈수바구니
124. 축 결합부 126. 회전축
128. 부싱 130. 세척유닛
131. 지지돌부 132. 링기어
133. 캐리어 134. 유성기어
135. 썬기어 136. 회전축
137. 플레이트 138. 물걸레 받침판
139. 세척결합구 140. 비산방지부재
150. 이동손잡이 160. 탄성걸림수단
162. 노브홈 164. 탄성스프링
166. 걸림노브 170. 세척제 공급통
180. 배수구 182. 배수구 마개
190. 고정발수단 192. 가이드
194. 고정발 196. 안착 플레이트
198. 고정나사

Claims (7)

  1. 고정봉과 회전봉 및 물걸레가 결착되는 물걸레 결착부재로 이루어진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을 위하여 물이 수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탈수시키는 탈수바구니를 포함한 탈수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세척하는 세척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탈수바구니 상단 외주면을 커버하여 탈수시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재로 구성된 세척겸용 탈수장치의 물걸레를 세척하는 세척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되는 링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에 3개의 유성기어가 치결합되고, 상기 유성기어 사이의 중심에는 썬기어가 치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유성기어와 캐리어를 상기 링기어 내주면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썬기어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결합되어 키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세척결합구가 결합 고정되어 상부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중심 저부에 형성된 암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상부측에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측으로 자체 회전식 물걸레를 받치는 물걸레 받침판이 설치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의 상부면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 나사 체결부가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돌부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지지돌부의 제 1 나사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 1 나사 체결홈이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 상에 고정나사를 통해 링기어가 고정되며,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캐리어의 상부면 상에 정삼각형 배열로 제 2 나사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제 2 나사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 2 나사 체결홈과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이 구비된 원판상의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걸레결착부재에 원호 형태의 장홈인 걸림홈을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걸레 받침판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탄성걸림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시 상기 걸레결착부재의 걸림홈 상에 상기 탄성걸림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동일선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노브홈;
    상기 노브홈 각각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측으로 위치되어 상부측이 상기 물걸레 받침판의 상부로 돌출되어지되 외주면 상부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물걸레 받침판을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물걸레 받침판 하부면에 걸림 유지되어 상기 걸레결착부재의 걸림홈 상에 걸리는 걸림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구조로 인출입되는 고정발수단이 더 구성되어지되 상기 고정발수단은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측에 단턱의 가이드 면이 형성된 고정발; 및
    상기 고정발의 가이드 면 상에 안착되어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 상을 경유하여 상기 가이드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상부면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탈수시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상부면으로 비산된 물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유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KR1020110119668A 2011-11-16 2011-11-16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KR10121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68A KR101210535B1 (ko) 2011-11-16 2011-11-16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68A KR101210535B1 (ko) 2011-11-16 2011-11-16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535B1 true KR101210535B1 (ko) 2012-12-11

Family

ID=4790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668A KR101210535B1 (ko) 2011-11-16 2011-11-16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5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61Y1 (ko) * 2005-06-08 2005-08-25 김상도 탈수의 용이성이 확보된 봉걸레함
KR100579705B1 (ko) * 2004-07-23 2006-05-15 전자부품연구원 유성 치차 감속기
KR100990174B1 (ko) * 2010-01-22 2010-10-29 (주)자몽나라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705B1 (ko) * 2004-07-23 2006-05-15 전자부품연구원 유성 치차 감속기
KR200393861Y1 (ko) * 2005-06-08 2005-08-25 김상도 탈수의 용이성이 확보된 봉걸레함
KR100990174B1 (ko) * 2010-01-22 2010-10-29 (주)자몽나라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197B1 (ko) 세탁기
CN107740250B (zh) 用于洗衣机的脱水桶阻挡机构和洗衣机
KR101007943B1 (ko)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
US1066966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60045072A1 (en) Salad spinner
KR101190046B1 (ko) 탈수 기능을 갖는 막대 걸레 세탁기
KR20150077264A (ko) 세탁기
JP2015146898A (ja) 洗濯機
KR20140132326A (ko) 일체형 대걸레 양동이
WO2019120117A1 (zh) 洗衣机
JP2003311232A (ja) 洗浄装置
KR100990174B1 (ko) 착탈식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1210535B1 (ko) 자체 회전식 물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JP6932384B2 (ja) 手動洗濯機
KR100936643B1 (ko) 페달식 회전탈수장치
KR101210786B1 (ko) 용기 연마세척장치
TWI552710B (zh) 搥打清洗用之旋轉脫水式拖把清洗器
KR101135028B1 (ko) 몹과 세탁탈수통 조립체
KR200459855Y1 (ko)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CN213778389U (zh) 一种简易型脱水装置
JP2020534889A (ja) モップ洗浄システム
CN220546241U (zh) 一种具有脱水环的旋转拖把清洁装置
CN220512815U (zh) 一种旋转拖把及旋转拖把清洗装置
CN220800946U (zh) 一种脱水助力装置及旋转拖把清洗装置
CN220236807U (zh) 一种可喷水的旋转拖把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