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320B1 - 디스플레이행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320B1
KR101210320B1 KR1020120002366A KR20120002366A KR101210320B1 KR 101210320 B1 KR101210320 B1 KR 101210320B1 KR 1020120002366 A KR1020120002366 A KR 1020120002366A KR 20120002366 A KR20120002366 A KR 20120002366A KR 101210320 B1 KR101210320 B1 KR 10121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hanger
display
bar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운
Original Assignee
신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운 filed Critical 신동운
Priority to KR102012000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3/00Shop or lik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of tubes or wir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을 날짜 순으로 진열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품의 원하지 않는 이탈을 방지하며, 상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강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행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부지지바(11);와, 상품의 인출 측에 반대되는 측에서 상품을 투입하도록 형성되는 상품투입구(12A)가 형성된 상품걸이바(12);와, 진열된 상품의 인출 측에서 상기 상부지지바(11)와 상품걸이바(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행거{DISPLAY HANGER}
본 발명은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을 날짜 순으로 진열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품의 원하지 않는 이탈을 방지하며, 상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강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24시간 편의점, 슈퍼스토어, 할인 매장 등에서 포장이 된 많은 상품들을 분류별로 진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행거가 사용된다.
도 1은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231004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행거는 지지봉(5)과 상품진열바(1)와 지지봉(5)과 상품진열바(1)를 진열대 상의 매쉬 망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대좌(3)와 상품진열바(1)와 지지봉(5)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품진열바(1)에 진열된 상품을 전면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처짐방지구(8) 및 지지봉(5) 또는 상품진열바(1)에 의해 구매자들이나 직원 등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프로텍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행거는 또한 안전프로텍터(10)의 상부 등에 진열된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명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패널 또는 상품명패(미 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행거를 이용하여 상품을 진열하고자 하는 경우, 진열되는 상품은 상부에 상품진열바(1)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품이 상품진열바(1)에 걸리어져 진열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포장된다.
이와 같이 포장된 상품은 관통구멍을 상품진열바(1)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상품진열바(1)에 상품들을 진열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기술의 상품진열바(1)는 상품진열바(1)와 지지봉(5)의 상품이 투입되는 전면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동 중인 구매자나 직원들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품진열바(1)에 수납된 상품이 디스플레이행거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상품진열바(1)의 경우에는 상품이 전면에서 상품진열바(1)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게 되므로, 안쪽에 수납된 상품의 유통기한이 더욱 가까운 시일이 되어 유통기한 내에 판매되지 않는 경우 유통기한의 경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행거의 경우에는 상품진열바(1)에 상품을 보충하는 경우 안쪽에 있는 상품을 외부로 빼낸 후에 새로운 상품을 수납한 후 다시 빼낸 상품을 상품진열바(1)에 수납하여야 하는 상품 진열 작업의 번거로움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상품진열바(1)의 경우에는 지지봉(5)과 상품진열바(1)를 대좌(3)와 처짐방지구(8) 만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벌어짐 저항 강도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 경우 상품진열바(1)가 상품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을 디스플레이행거에 보충하는 경우 유통기한이 빨리 도래하는 상품이 먼저 인출되도록 자동으로 배열되고, 상품의 투입 또는 진열을 용이하게 하며, 상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진열된 상품이 디스플레이행거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부지지바(11);와, 상품의 인출 측에 반대되는 측에서 상품을 투입하도록 형성되는 상품투입구(12A)가 형성된 상품걸이바(12);와, 상기 상부지지바(11)와 상품걸이바(12)의 진열된 상품의 인출 측의 단부를 일체의 환형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와, 상기 상품걸이바(12)의 상기 연결부(13) 측에 인접된 단부가 상기 상품걸이바(12)보다 더 큰 하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부재가 형성된 절단부(15); 상기 상품걸이바(12)의 상기 절단부(15)의 시작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절단부(15)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것에 의해 걸림턱으로 형성되는 상품정지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상품투입구(12A)는 상품투입구(12A)의 중심을 따르는 연장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걸이바(12)는 상품이 연결부(13)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13) 측으로 감소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상부지지바(11)는 상기 연결부(13)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상품명패장착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기 상부지지바(11)의 상기 상품투입구(12A) 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행거(100)를 걸어 고정하도록 걸이홈(19)이 형성된 걸이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행거(100)는 또한, 상기 걸이부(20)와 상기 상부지지바(11)가 접합되는 접합부(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품을 진열하고자 하는 경우 걸이부(20) 측에 형성된 상품투입구(12A)를 통해 상품을 투입하여 수납하게 되므로, 미리 진열된 상품을 인출하지 않고 새로운 상품을 수납하는 경우에도 유통기한이 일찍 도래하는 상품이 먼저 인출되도록 배열되므로 상품의 진열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유통기한의 도과에 의한 상품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투입구(12A)를 연결부(13) 측으로 상 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품의 진열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부지지바(11)와 상품걸이바(12)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행거(100)의 강성을 크게하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진열된 상품이 디스플레이행거(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품걸이바(12)가 절단부(15) 측으로 하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품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절단부(15)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절단부(15)를 통해 상품 포장지의 상품진열을 위한 관통홈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품의 인출 작업을 현저히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231004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행거(1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행거(100)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행거(100)에 상품(200)이 진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절단부(15)를 통해 상품(200)의 포장을 파손하여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행거(100)의 측면도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부지지바(11)와, 상품걸이바(12)와, 상기 상부지지바(11)와 상품걸이바(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가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일체형의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바(11)는 디스플레이행거(100)가 고정되는 벽체 또는 상품 진열장의 매쉬망 등에 걸리어지는 단부(이하, "걸림부 측 단부"라 함)가 하부로 절곡 형성되고 상품을 인출하는 전면부는 일정 경사를 가지며 절곡되어 연결부(13)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3)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바(11)와 하부에 위치하는 상품걸이바(12)이 상품 진열을 위해 전면으로 노출되는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행거(100)의 전체 형상을 폐루프가 되도록 하여 진열된 상품이 구매자의 절단부(15)를 이용한 인출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에는 상품의 명칭 등의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상품명패를 장착하기 위한 상품명패장착부(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바(11)의 걸림부측단부에는 접합부(21)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행거(100)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홈(19)을 가지는 걸림부(20)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접합부(21)는 걸림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관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지지바(11)의 걸림부측단부가 관형 구조 내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히 고정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상부지지바(11)는 제품이 진열되는 상품걸이바(12)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품걸이바(12)에 투입되어 진열된 상품이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경우 디스플레이행거(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13)는 상부지지바(11)의 전면(도면에서 우측)에서 하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연결부(13)의 상부면에는 상품 정보를 가지는 상품명패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품명패장착부(17)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상품걸이바(12)가 일체로 연결형성된다.
상기 상품걸이바(12)는 상품 또는 제품이 걸리어져 진열되는 부분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품걸이바(12)에는 걸림부(20)와의 사이의 위치에 상품투입구(12A)가 형성된다.
상기 상품투입구(12A)는 상품투입구(12A)의 중심을 따르는 연장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품투입구(12A)는 제품을 상품걸이바(12)에 진열하는 경우 유통기한이 일찍 도래하는 제품이 먼저 인출될 수 있도록 걸림부(20) 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상품걸이바(12)는 제품을 상품걸이바(12)에 투입하여 진열하는 경우 유통기한이 나중에 도래하는 제품이 안쪽에 진열되고, 유통기한이 일찍 도래하는 제품이 바깥쪽에 진열되므로, 유통기한이 먼저 도래하는 상품이 먼저 인출되어 유통기한의 경과로 인한 상품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연결부(13) 측이 상품의 투입을 위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상품을 디스플레이행거(100)의 전면(연결부 측)에서 삽입하여야 하므로 유통기한이 먼저 도래하는 제품을 앞으로 진열하기 위하여 먼저 진열된 제품을 빼낸 후 새로운 제품을 투입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행거(100)는 상품투입구(12A)가 뒤 쪽에 형성되므로 상품을 투입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유통기한이 먼저 도래하는 상품이 앞쪽으로 배치되므로 상품 진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품투입구(12A)가 상품투입구(12A)의 중심을 따르는 연장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A)는 5~20 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연장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직원 등이 상품을 투입하는 경우 상품이 원형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품의 상품투입구(12A)를 통한 상품의 투입 또는 진열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품걸이바(12)는 걸림부(20) 측으로 5 ~10도의 상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품투입구(12A)를 통해 투입된 상품 또는 제품 등이 경사를 타고 연결부(13)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품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상품걸이바(12)는 연결부(13)와 연결되는 단부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걸림부(20) 측을 향하여 상 방향으로 더 큰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톱니(16) 등의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톱니(16) 등의 절단부재가 형성되는 절단부(15)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부(15)가 끝나는 상품걸이바(12)의 부위에는 걸림부(20) 측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는 상품정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상품정지부(14)는 상품걸이바(12)보다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품걸이바(12)에 투입된 상품이 하중에 의해 상품걸이바(12)의 경사를 타고 이동하다가 걸리어져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는 상품이 불필요하게 절단부(15) 상에 진열되어 포장이 불필요하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인출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품이 절단부(15)에 걸리어 진열되면 구매자 또는 직원의 이동, 진열대의 진동에 의해 불필요하게 상품의 포장지가 절단되거나, 상품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품정지부(14)는 이러한 원하지 않는 상품의 디스플레이행거(100)로부터의 분리 낙하 및 포장지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절단부(15)는 상품걸이바(12)에서 상품정지부(14)가 돌출 형성된 후, 상품정지부(14)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인출되는 상품을 절단부(15) 상으로 인출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매자가 상품의 포장지를 하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상부면에 형성된 톱니(16) 또는 커터 등의 절단부재가 상품걸이바(12)바가 삽입되어 상품을 매달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포장지를 절단시키는 것에 의해 상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구성의 상품걸이바(12)와 상기 절단부(15)에서 상품 인출을 위한 포장지의 절단을 위해 소비자가 힘을 가하는 경우, 가해진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21) 또한 변형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행거(100)는 걸림부(20)를 통해 벽면 또는 진열을 위한 매쉬망, 진열장 등에 걸리어 장착된다.
이 후 상품(200)들이 상품투입구(12A)를 통해 투입된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행거(100)에 상품(200)이 진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품투입구(12A)를 통해 투입된 상품들은 도 3과 같이 상품걸이바(12)에 걸리어 진열된다.
도 4는 절단부(15)를 통해 상품(200)의 포장을 파손하여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후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고자 인출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절단부(15) 측으로 상품(200)을 이송시킨 후 아래로 상품(200)을 잡아당기면 톱니(16) 등의 절단부재가 상품 포장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포장의 윗 부분을 파손시켜 상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100: 디스플레이행거, 11: 상부지지바, 12: 상품걸이바
12A: 상품투입구, 13; 연결부, 14: 상품정지부
15: 절단부, 16: 톱니, 17: 상품명패장착부
19: 걸이홈, 20: 걸이부, 21: 접합부

Claims (9)

  1. 상부지지바(11);와,
    상품의 인출 측에 반대되는 측에서 상품을 투입하도록 형성되는 상품투입구(12A)가 형성된 상품걸이바(12);와,
    상기 상부지지바(11)와 상품걸이바(12)의 진열된 상품의 인출 측의 단부를 일체의 환 형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와,
    상기 상품걸이바(12)의 상기 연결부(13) 측에 인접된 단부가 상기 상품걸이바(12)보다 더 큰 하 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부재가 형성된 절단부(15);
    상기 상품걸이바(12)의 상기 절단부(15)의 시작 위치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상기 절단부(15)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것에 의해 걸림턱으로 형성되는 상품정지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행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투입구(12A)는,
    상품투입구(12A)의 중심을 따르는 연장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행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걸이바(12)는,
    상기 연결부(13) 측으로 감소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행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02366A 2012-01-09 2012-01-09 디스플레이행거 KR10121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66A KR101210320B1 (ko) 2012-01-09 2012-01-09 디스플레이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66A KR101210320B1 (ko) 2012-01-09 2012-01-09 디스플레이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320B1 true KR101210320B1 (ko) 2012-12-11

Family

ID=4790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366A KR101210320B1 (ko) 2012-01-09 2012-01-09 디스플레이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3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512A (zh) * 2018-11-29 2019-01-18 上海聚特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提高承重能力的成列架用挂钩
CN110720788A (zh) * 2019-11-11 2020-01-24 戴春平 超市循环挂物器
WO2022125664A1 (en) * 2020-12-09 2022-06-16 Fasteners For Retail, Inc. Anti-theft merchandise hoo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876A (ja) * 1999-12-21 2001-06-26 Hideyuki Kikuchi 商品掛け具
JP2006231004A (ja) * 2005-02-25 2006-09-07 Hideyuki Kikuchi 商品掛け具と安全プロテクター取付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876A (ja) * 1999-12-21 2001-06-26 Hideyuki Kikuchi 商品掛け具
JP2006231004A (ja) * 2005-02-25 2006-09-07 Hideyuki Kikuchi 商品掛け具と安全プロテクター取付補助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512A (zh) * 2018-11-29 2019-01-18 上海聚特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提高承重能力的成列架用挂钩
CN110720788A (zh) * 2019-11-11 2020-01-24 戴春平 超市循环挂物器
WO2022125664A1 (en) * 2020-12-09 2022-06-16 Fasteners For Retail, Inc. Anti-theft merchandise hook
US11643850B2 (en) 2020-12-09 2023-05-09 Fasteners For Retail, Inc. Anti-theft merchandise hook
US11680427B2 (en) 2020-12-09 2023-06-20 Fasteners For Retail, Inc. Anti-theft merchandise hook
US11988024B2 (en) 2020-12-09 2024-05-21 Fasteners For Retail, Inc. Anti-theft merchandise ho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239C (en) Display system
EP2907418B1 (en) End cap for variable display configurations
US8499941B2 (en) Gravity-fed retail display hook
KR101210320B1 (ko) 디스플레이행거
US7909184B2 (en) Capsule merchandising cage
US5762212A (en) Display strip merchandiser
KR102064859B1 (ko) 물품 걸이대
US4258892A (en) Peg hook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JP2013146503A (ja) 吊り下げ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吊り下げ具
JP7158707B2 (ja) 商品吊り下げ具
KR200473739Y1 (ko) 레일식 디스플레이행거
KR101791191B1 (ko) 상품진열용 후크 유닛
JP3242456U (ja) 商品陳列用ハンガー
JP7056919B2 (ja) 可搬陳列装置
JP3104899U (ja) 商品等吊下げフック用商品落下防止部材
JP3080444U (ja) 商品陳列用吊下げ具
KR20020089872A (ko) 상품명 및 가격표시 수단을 갖춘 상품진열용 행거기구
JP3167374U (ja) 吊垂陳列可能な衣料用包装袋
JP2009166871A (ja) 重量収納物の展示用包装箱
JP3166176U (ja) 商品陳列用掛け具
JP3241329U (ja) 陳列用シャツ包装体
JP2010259493A (ja) 留め具
JP2009119002A (ja) 商品陳列ネックハンガー
JPH0737559Y2 (ja) ミシン糸、手縫糸等の陳列用対称形吊り下げ具
JP3108931U (ja) 商品等吊下げフック用キャッ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