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219B1 -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219B1
KR101210219B1 KR1020100122478A KR20100122478A KR101210219B1 KR 101210219 B1 KR101210219 B1 KR 101210219B1 KR 1020100122478 A KR1020100122478 A KR 1020100122478A KR 20100122478 A KR20100122478 A KR 20100122478A KR 101210219 B1 KR101210219 B1 KR 10121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oiler
indoor
control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252A (ko
Inventor
이헌재
심영섭
허석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p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5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using sequential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에서 룸 컨트롤러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룸 컨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인체가 검출되면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 값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롬 콘트롤러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을 "온"시키면 직수 및 실내온도를 검출하여 어느 계절인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없으면 외출운전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있으면 그때의 난방수 제어온도와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여 현재 계절에 맞게 산출된 각각의 제어온도에 맞게 보일러를 자동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고, 온수온도도 직수온도에 맞게 자동 설정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온수운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직수온도 검출을 통해 계절을 산출한 다음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의 검출을 통한 난방 제한시간을 산출하여 난방 공급수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괘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Automatic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using detection of city-water temperature for estimating season in boiler}
본 발명은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동운전 기능버튼을 "온"시키면 직수 및 실,내외의 온도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없으면 외출운전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있으면 그때의 난방수 제어온도(즉, 열 교환된 난방순환수 제어온도)와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즉, 직수를 간접 열 교환한 온수의 제어온도)를 산출하여 각각의 제어온도에 맞게 보일러를 자동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간편한 조작으로 직수온도 또는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보일러를 가동할 수 있고, 자동 기능이 사용자에게 맞지 않을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하에서 최적의 상태로 보일러를 가동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보일러의 난방 운전은, 난방수온도 제어기능과 실내온도 제어기능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일러를 사용하기 위해 난방수온도를 맞추거나 실내온도를 조절하여 난방을 실시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주변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수시로 설정온도를 변경하거나 보일러를 온/오프 해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가스보일러에서는 시간에 맞추어 난방을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도 하나, 이 기능의 경우는 사용자가 난방을 원하는 시간을 직접 설정을 해야 하므로 조작이 어려워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롬 콘트롤러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을 "온"시키면 직수 및 실내온도를 검출하여 어느 계절인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없으면 외출운전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있으면 그때의 난방수 제어온도와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여 현재 계절에 맞게 산출된 각각의 제어온도에 맞게 보일러를 자동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고, 온수온도도 직수온도에 맞게 자동 설정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온수운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직수온도 검출을 통해 계절을 산출한 다음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의 검출을 통한 난방 제한시간을 산출하여 난방 공급수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괘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 예는,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와, 보일러로 급수되는 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직수온도 검출부,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와; 실내온도 검출부와, 표시부, 자동운전 기능버튼, 온도 설정부, 인체감지센서, 중앙연산 처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한 룸 컨트롤러가 상호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주고받으며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에서 룸 컨트롤러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룸 컨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인체가 검출되면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 값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외출운전 모드가 실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와, 보일러로 급수되는 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직수온도 검출부,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와; 실내온도 검출부와, 표시부, 자동운전 기능버튼, 온도 설정부, 인체감지센서, 중앙연산 처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한 룸 컨트롤러가 상호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주고받으며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에서 룸 컨트롤러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온도와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룸 컨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인체가 검출되면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와 외기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외출운전 모드가 실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에 의하면, 직수온도와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 있어서, 사용자가 롬 콘트롤러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을 "온"시키면 직수 및 실내온도를 검출하여 어느 계절인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없으면 외출운전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있으면 그때의 난방수 제어온도와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여 현재 계절에 맞게 산출된 각각의 제어온도에 맞게 보일러를 자동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고, 온수온도도 직수온도에 맞게 자동 설정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온수운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직수온도 검출을 통해 계절을 산출한 다음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의 검출을 통한 난방 제한시간을 산출하여 난방 공급수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괘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에서 직수온도에 따른 실내 제어온도와 난방수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설정할 때의 예를 나타낸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서 직수온도와 외기온도에 따른 실내 제어온도와 난방 제한시간 및 난방수 제어온도를 설정할 때의 예를 나타낸 테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에서 직수온도에 따른 실내 제어온도와 난방수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설정할 때의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며, 도 5는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서 직수온도와 외기온도에 따른 실내 제어온도와 난방 제한시간 및 난방수 제어온도를 설정할 때의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11)(12)와, 보일러로 급수되는 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직수온도 검출부(17),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13),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4),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15) 및 통신부(16)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1)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21)와, 각종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2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난방 및 온수 제어온도에 따른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 난방 및 온수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부(24), 인체감지센서(25), 룸 컨트롤러(2)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26) 및 통신부(27)를 구비한 룸 컨트롤러(2)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보일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 룸 컨트롤러(2)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2)와;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3)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외출운전 모드를 실시(S17)하고,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는 단계(S14)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 값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15)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S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11)(12)와, 보일러로 급수되는 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직수온도 검출부(17),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13),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4),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15) 및 통신부(16)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1)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21)와, 각종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2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난방 및 온수 제어온도에 따른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 난방 및 온수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부(24), 인체감지센서(25), 룸 컨트롤러(2)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26) 및 통신부(27)를 구비한 룸 컨트롤러(2)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보일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 룸 컨트롤러(2)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S22)와;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3)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외출운전 모드를 실시(S27)하고,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와 외기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S24)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25)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S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난방수 제어온도는 열 교환된 난방순환수 제어온도를 말하고, 온수 제어온도는 직수를 간접 열 교환한 온수의 제어온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와 룸 컨트롤러(2)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보일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1)에는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11)(12)와, 직수온도 검출부(17),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13),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4),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15) 및 통신부(16)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룸 컨트롤러(2)에는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21)와, 각종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2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난방 및 온수 제어온도에 따른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 난방 및 온수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부(24), 실내에 인체(즉, 사용자)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인체감지센서(25), 룸 컨트롤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26) 및 통신부(27)를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보일러를 이용한 쾌적한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온도와 방바닥의 온도를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온도가 다를 수는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는, 실내온도는 24~25℃ 정도가 적당하고, 방바닥 온도는 32~38℃ 정도가 적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물의 시공구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상기와 같이 방바닥의 온도를 32~38℃를 맞추기 위해서는 보일러의 난방수 공급온도가 45~55℃ 정도가 공급이 되면 적절하다.
또한, 가정 내 보일러로 공급되는 직수온도 역시 배관의 설치 형태 및 주변의 환경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으나, 통계에 따르면 가정 내로 공급되는 수도 물의 경우, 평상시 봄이나 가을에는 대략 10~20℃를 나타내고, 여름에는 20~25℃를 나타내며, 겨울에는 5℃이하~10℃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어 이를 토대로 본 발명 방법에 적용된 테이블들을 작성하여 메인 컨트롤러(1) 내의 기억장치(13) 또는 중앙연산 처리부(15)에 기억시켜 두었다.
한편, 본 발명 방법을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맞추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간편한 버튼 조작으로 최적의 조건하에서 보일러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중 일 실시 예에서는 먼저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 통상시 룸 컨트롤러(2)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는지를 판단(S11)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을 누르지 않아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일반운전 모드를 실행하고, 만약 사용자가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을 눌러 "온"신호가 검출되면, 직수 유입관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검출센서를 통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을 검출함과 동시에 메인 및 룸 컨트롤러(1)(2)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실내온도 검출부(11)(21)를 통해 현재의 실내온도를 검출하게 된다(S12).
이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에서는 룸 컨트롤러(2)와 통신을 하여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S13)하여, 만약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불필요한 연료 및 전기 사용료 등을 줄이기 위하여 외출운전 모드에 따른 난방운전을 실시(S17)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를 검출한 결과 실내에 사용자 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는 기억장치 및 자체 내에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도 4 참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S14)하게 된다.
이때 난방수 제어온도와 실내 및 온수 제어온도의 산출 값을 도 4에 도시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수온도가 예를 들어 15-18℃로 검출된 상태에서 실내 제어온도는 22±1℃로 산출되며, 난방수 제어온도는 45±3℃로 산출되고, 온수 제어온도는 37±2℃로 산출되며, 또한 직수온도가 예를 들어 2℃ 이하로 검출된 상태에서 실내 제어온도는 25±1℃로 산출되며, 난방수 제어온도는 70±3℃로 산출되고, 온수 제어온도는 45±2℃로 산출된다.
이후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는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 값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S15)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는 계속해서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16)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직수온도를 검출하여 계절을 판단한 다음 해당 계절에서의 실내온도에 따른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여 최적의 조건하에서 보일러를 가동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온도 역시 현재 공급되고 있는 직수온도에 맞게 제어온도를 자동 설정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온수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먼저, 일 실시 예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 통상시 룸 컨트롤러(2)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는지를 판단(S21)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을 누르지 않아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일반운전 모드를 실행하고, 만약 사용자가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을 눌러 "온"신호가 검출되면, 직수 유입관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검출센서를 통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을 검출함과 동시에 메인 및 룸 컨트롤러(1)(2)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실내온도 검출부(11)(21)를 통해 현재의 실내온도를 검출함은 물론 도시생략된 보일러의 급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외기 온도검출센서와 연결된 외기온도 검출부(12)를 통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게 된다(S22).
이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에서는 룸 컨트롤러(2)와 통신을 하여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S23)하여, 만약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불필요한 연료 및 전기 사용료 등을 줄이기 위하여 외출운전 모드에 따른 난방운전을 실시(S27)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를 검출한 결과 실내에 사용자 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는 기억장치 및 자체 내에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도 5 참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및 외기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을 산출(S24)하게 된다.
이때, 난방수 제어온도와 실내 및 온수 제어온도의 산출 값을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수온도가 예를 들어 15-18℃로 검출된 상태에서 외기온도가 10℃ 이하-14℃일 경우 실내(설정)온도는 23±1℃로 산출되며, 난방수 제한(제어)온도는 45±3℃로 산출되고, 온수(설정)온도는 37±2℃로 산출되며, 1시간 당 난방 제한시간은 연소 20분 대비 소화 40분으로 산출된다.
또한, 직수온도가 예를 들어 2℃ 이하로 검출된 상태에서 외기온도가 10℃ 이상일 경우 실내(설정)온도는 23±1℃로 산출되며, 난방수 제한(제어)온도는 70±3℃로 산출되고, 온수(설정)온도는 45±2℃로 산출되며, 1시간 당 난방 제한시간은 연소 15분 대비 소화 45분으로 산출된다.
이후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는 상기에서 산출된 현재 직수온도 및 외기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 데이터를 토대로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S25)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는 계속해서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S26)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일러로 공급되는 직수온도의 검출을 통해 계절을 판단하고 그 계절에서의 현재 외기온도를 판단한 다음 해당 계절에서의 외기온도에 따른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을 산출하여 최적의 조건하에서 보일러를 가동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 공급수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보다 괘적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메인 컨트롤러
11 : 실내온도 검출부 12 : 외기온도 검출부
13 : 기억장치 14 : 기능부품 구동부
15 : 중앙연산 처리부 16 : 통신부
17 : 직수온도 검출부
2 : 룰 컨트롤러
21 : 실내온도 검출부 22 : 표시부
23 : 자동운전 기능버튼 24 : 온도 설정부
25 : 인체감지센서 26 : 중앙연산 처리부
27 : 통신부

Claims (6)

  1.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11)(12)와, 보일러로 급수되는 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직수온도 검출부(17),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13),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4),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15) 및 통신부(16)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1)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21)와, 각종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2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난방 및 온수 제어온도에 따른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 난방 및 온수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부(24), 인체감지센서(25), 룸 컨트롤러(2)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26) 및 통신부(27)를 구비한 룸 컨트롤러(2)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보일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 룸 컨트롤러(2)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2)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는 단계(S14)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 값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15)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S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룸 컨트롤러(2)에 인체감지센서(25)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2) 내 중앙연산 처리부(15)로 하여금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2) 이후,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더 판단(S13)하여, 인체가 검출되면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 및 온수 제어온도를 산출하는 단계(S14)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를 검출한 결과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외출운전 모드를 실시(S17)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4.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실내 및 외기온도 검출부(11)(12)와, 보일러로 급수되는 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직수온도 검출부(17), 각종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장치(13), 각종 기능부품을 구동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4),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15) 및 통신부(16)를 구비한 메인 컨트롤러(1)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21)와, 각종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2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난방 및 온수 제어온도에 따른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 난방 및 온수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부(24), 인체감지센서(25), 룸 컨트롤러(2)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26) 및 통신부(27)를 구비한 룸 컨트롤러(2)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보일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서 룸 컨트롤러(2)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계속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자동운전 기능버튼(23)이 "온"되면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S22)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 내의 중앙연산 처리부(15)에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와 외기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S24)와;
    상기에서 산출된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연소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25)와;
    보일러의 연소 운전이 실시되면 난방수 및 온수의 온도가 자동운전을 실시할 때 통상적인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단계(S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룸 컨트롤러(2)에 인체감지센서(25)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2) 내 중앙연산 처리부(15)로 하여금 계절 판단용 직수 온도와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S22) 이후, 룸 컨트롤러(2)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가 검출되는지를 더 판단(S23)하여, 인체가 검출되면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수온도 대비 현재 직수온도와 외기온도 대비 난방수 제어온도 또는 실내 제어온도와 온수 제어온도 및 난방 제한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S24)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25)를 통해 인체를 검출한 결과 인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외출운전 모드를 실시(S27)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KR1020100122478A 2010-12-03 2010-12-03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KR10121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78A KR101210219B1 (ko) 2010-12-03 2010-12-03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78A KR101210219B1 (ko) 2010-12-03 2010-12-03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252A KR20120061252A (ko) 2012-06-13
KR101210219B1 true KR101210219B1 (ko) 2012-12-07

Family

ID=4661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478A KR101210219B1 (ko) 2010-12-03 2010-12-03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347A (zh) * 2015-07-10 2015-09-30 魏峥 一种等体温的液体加热方法
KR101959526B1 (ko) 2017-11-23 2019-03-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수온도 예측에 따른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온도 자동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7596B (zh) * 2013-07-26 2016-08-10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一种暖风机的控制方法
CN104764201A (zh) * 2015-03-18 2015-07-08 黄成博 具有远程遥控的电热水器智能控制系统
CN104764198A (zh) * 2015-03-18 2015-07-08 陈斌 电热水器智能控制系统
AU2016243817A1 (en) * 2015-03-31 2017-10-05 Hamit MEMUR Improved operation combi boiler and an associated combi boiler operational efficiency device
KR102077727B1 (ko) * 2018-09-05 2020-02-1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기계 학습을 이용한 보일러 운전 시스템
CN110260529A (zh) * 2019-07-11 2019-09-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热水器的控制方法及热水器
KR102427770B1 (ko) * 2020-10-30 2022-08-01 주식회사 대림 공동주택 세대 난방 제어 시스템 및 환수 온도를 이용한 난방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9651A (en) 1978-10-05 1980-04-10 Tokyo Denki Kogyo Kk Instantaneous electric water heater
JP2005291623A (ja) 2004-03-31 2005-10-20 Denso Corp 温水利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9651A (en) 1978-10-05 1980-04-10 Tokyo Denki Kogyo Kk Instantaneous electric water heater
JP2005291623A (ja) 2004-03-31 2005-10-20 Denso Corp 温水利用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347A (zh) * 2015-07-10 2015-09-30 魏峥 一种等体温的液体加热方法
CN104949347B (zh) * 2015-07-10 2018-04-24 魏峥 一种等体温的液体加热方法
KR101959526B1 (ko) 2017-11-23 2019-03-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수온도 예측에 따른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온도 자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252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219B1 (ko) 계절 판단용 직수 검출온도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운전 제어방법
US7500453B2 (en) Boiler control unit
KR101393406B1 (ko) 외기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 제어방법
CN103912960A (zh) 一种空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644970B (zh) 空调出风自动控制的方法
KR101333095B1 (ko) 자동운전 기능을 내장한 보일러의 난방/온수 제어 방법
KR101240478B1 (ko) 보일러 제어방법
KR101476645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KR101165551B1 (ko) 보일러의 지능형 자동운전 제어방법
KR20120020621A (ko) 학습기능을 통한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밸브 개도 량 자동 제어방법
KR101959526B1 (ko) 급수온도 예측에 따른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온도 자동 제어방법
CN109312950B (zh) 空调系统
WO2008099259A3 (en) Boiler for a heating system, in particular for domestic use
KR101583022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CN109210788A (zh) 一种空气能热水器及其恒温出水控制方法
KR101038718B1 (ko) 태양열 시스템과 보일러를 연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난방장치의 제어방법
JP5738669B2 (ja) 省エネルギー制御システム
KR101949912B1 (ko)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멀티 연결시 실내온도 제어방법
KR102331001B1 (ko) 온수매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32111B1 (ko)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변화에 따른 자동운전방법
JPH09210428A (ja) 空気調和機
KR100611899B1 (ko) 각방온도 제어시스템의 난방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20619A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각방 난방온도 자동 제어방법
KR101582798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각방 난방온도 제어방법
AU2011100593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desired room temperature with portable electrical h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