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19B1 - 지주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주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19B1
KR101209819B1 KR1020120031932A KR20120031932A KR101209819B1 KR 101209819 B1 KR101209819 B1 KR 101209819B1 KR 1020120031932 A KR1020120031932 A KR 1020120031932A KR 20120031932 A KR20120031932 A KR 20120031932A KR 101209819 B1 KR101209819 B1 KR 10120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main body
upper pl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to KR102012003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04H12/223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with movable anchoring elements; with separately driven anchor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중에 박히는 하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본체 지주부, 및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둘레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보조 지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주부가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가 상기 상부판에 대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여 지중에 박히는 지주 기초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주 기초 구조물에 따르면, 지중에 박히는 본체 지주부의 내측에 보조 지주부가 삽입될 때 보조 지주부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부가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본체 지주부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는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 기초 구조물이 이중으로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고, 기초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의 안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주 기초 구조물{Base structure for support}
본 발명은 지주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지주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는 각종 시설물이나 구조물들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주는 휀스, 가로등, 가이드레일, 데크 등 다양한 시설물에 활용될 수 있다.
보통 지주는 기초 구조물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기초 구조물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지중에 삽입 또는 매설되어 고정되는데, 기초 구조물이 튼튼하게 고정되어야 지주 또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기초 구조물에 관한 종래 발명은 국내특허등록 제07856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발명은 지중에 타설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기초 구조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초 구조물은 단순히 고정부가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에 해당될 뿐, 고정부 이외의 별도의 보조적 장치가 부재되어 있어서 기초 구조물이 지중에 불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박히는 본체 지주부의 내측에 보조 지주부가 삽입될 때 보조 지주부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부가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본체 지주부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는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 기초 구조물이 이중으로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고, 기초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지주 기초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중에 박히는 하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본체 지주부, 및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둘레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보조 지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주부가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가 상기 상부판에 대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여 지중에 박히는 지주 기초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 기초 구조물은 상기 본체 지주부의 둘레 내주면에는 상기 상단 부분부터 하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형성된 돌출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 지주부에 대한 상기 보조 지주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돌출 라인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본체 지주부의 하부 측면 둘레에 상하로 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라인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둘레 부분과 어긋난 둘레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부 내지 상기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는 직경이 균일한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의 중앙 이하 부분은 상기 원형에서 변형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은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며 상기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는 상기 상부판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로서, 말단이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는 상단 모서리 일부분이 커팅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지주부는 상기 상부판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각각 회동 결합되는 체결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프레임에 대한 상기 다리부의 펼침 회동 시에 상기 커팅된 모서리 부분이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다리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지주부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보조 지주부의 삽입 시 상기 다리부의 펼침을 유도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구조물에 따르면, 지중에 박히는 본체 지주부의 내측에 보조 지주부가 삽입될 때 보조 지주부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부가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본체 지주부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는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 기초 구조물이 이중으로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고, 기초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보조 지주부가 본체 지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체 지주부의 하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주 기초 구조물(100)은 지주의 기초가 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지주부(110) 및 보조 지주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지주부(110)는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11)이 하부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관통홀(111)이 본체 지주부(110)의 하부 측면 둘레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체 지주부(110)의 하단부(112)는 지중에 박히기 쉽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있다.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 개구부에는 제1 타격봉(미도시)의 하단부가 걸림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제1 타격봉의 상부를 타격할 경우 본체 지주부(110)의 하단부(112)가 지면에 박히게 된다. 여기서, 제1 타격봉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에 접촉하여 걸리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단턱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 돌출부가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 개구부에 대한 걸림 삽입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러한 제1 타격봉의 타격 시에는 상기 단턱과 부딪히는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 둘레 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 둘레 부분에 베이스판(115)을 용접 또는 조립 등으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베이스판(115)은 플랜지 역할을 하며 그 상부에는 실제 지주 본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판(115)의 표면 상에는 복수의 결합홀(1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주 본체와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주부(120)는 상부판(121)과, 상기 상부판(121)의 둘레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다리부(122)의 개수는 상기 관통홀(11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다리부(122)가 상부판(121)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다리부(122)는 지중에 대한 박힘의 안정성 등을 위하여 평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잔넬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다리부(122) 형태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다리부(122)는 상부판(1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다리부(122)는 상부판(12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그 평단면이 원통형인 것 즉, 파이프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다리부(122)가 원통형으로 구현된 경우 또한 그 하단부의 형상은 테이퍼진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보조 지주부(120)는 상기 상부판(121)과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122)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프레임(12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프레임(124)은 상부판(121)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판(1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체결프레임(124)의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122)가 각각 회동 결합된다.
상기 다리부(122)는 그 말단이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판(121)에 결합되는 상단 모서리 일부분에는 커팅면(126)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체결프레임(124)에 대한 다리부(122)의 펼침 회동 시에, 상기 다리부(122)의 커팅된 모서리 부분 즉 커팅면(126) 부분이 상기 상부판(121)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다리부(122)의 펼침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부(122)의 펼침 각도는 커팅면(126)의 커팅 위치와 커팅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커팅면(126)은 다리부(122)의 형태(ex, 잔넬, 파이프)와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 지주부(120)는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본체 지주부(1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지주부(120)가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122)가 상기 상부판(121)에 대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다리부(122)가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111)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여 지중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도 1에서 보조 지주부가 본체 지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다리부(122)는 상기 커팅면(126)에 따른 펼침 각도 제한 범위 한도 내에서 다양한 회동 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지주부(120)의 삽입 시에는 보조 지주부(120)의 상부를 타격하는 제2 타격봉(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타격봉의 타격 횟수 또는 강도를 조절하면 본체 지주부(110)에 대한 상기 상부판(12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상부판(121)의 삽입 깊이에 따라 다리부(122)의 이탈(노출)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주부(120)의 타격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보조 지주부(120)를 구성하는 상부판(121)의 상면에는 홈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25)에는 제1 타격봉(미도시)과 유사 형태를 갖는 제2 타격봉의 하단부가 걸림 삽입 가능하다. 하단부가 홈부(125)에 삽입된 제2 타격봉의 상면을 타격하면, 상기 보조 지주부(120)는 본체 지주부(11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다리부(122)는 상부판(121)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타격 시에 타격 힘에 의해 상부판(121)이 하강하면서 다리부(122)가 바깥으로 회동하여 관통홀(111)의 외부로 빠져나가 그 끝단이 지중에 박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주 기초 구조물(100)은 본체 지주부(110)의 테이퍼진 말단부(112)를 통한 1차적 고정과 함께 다리부(122)를 통한 2차적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지주 기초 구조물(100)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지중에 삽입 또는 매설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에 박히는 본체 지주부(110)의 내측에 보조 지주부(120)가 삽입될 때 보조 지주부(120)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부(122)가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본체 지주부(11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는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 기초 구조물이 이중으로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주의 안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하단부(112) 내측에는 상기 보조 지주부(120)의 삽입 시 상기 다리부(122)의 펼침을 유도하는 가이드편(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체 지주부(110)의 내부 공간에 보조 지주부(120)가 삽입될 때, 상기 다리부(122)의 테이퍼진 말단부 부분이 상기 가이드편(114)에 부딪혀서 자연스럽게 외부로 미끄러지면서 다리부(122)가 쉽게 바깥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가이드편(114)은 본체 지주부(110)에 대한 보조 지주부(120)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다리부(122)가 상기 관통홀(111)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과정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다리부(122)의 테이퍼진 말단부 부분은 다리부(122)의 펼침 전에는 지면에 대해 사선으로 경사진(테이퍼진) 형태를 갖지만 펼침 과정 중에는 점차로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둘레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 부분부터 하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형성된 돌출 라인(113)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 라인(113)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된 예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1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 지주부(110)에 대한 상기 보조 지주부(120)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돌출 라인(113)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123)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123)의 개수는 상기 돌출 라인(113)의 개수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체 지주부(110) 내에 보조 지주부(120)가 삽입되는 과정(도 3 참조)에서, 상기 보조 지주부(120)의 상부판(121)이 본체 지주부(110)의 내주면 상에서 회전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판(121) 부분이 돌출 라인(113)을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수직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11)은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하부 측면 둘레에 상하로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다리부(122)의 펼침 각도와 무관하게 다리부(122)가 쉽게 외부로 이탈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관통홀(111)의 상하 길이 범위 내에서 다리부(122)의 펼침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 라인(113)은 본체 지주부(110)에서 상기 관통홀(111)이 형성된 둘레 부분과 어긋난 둘레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 지주부(110)의 둘레 방향에 대해, 돌출 라인(113) 부분과 관통홀(111) 형성 부분이 본체 지주부(110)의 평단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90도 각도로 어긋난 예를 나타낸다.
만약, 돌출 라인(113)이 관통홀(111)이 형성된 둘레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에서 시작되는 돌출 라인(113)이 관통홀(111) 부분에 이르면서 도중에 끊기게 된다. 따라서, 관통홀(111)의 상단 부분까지만 상부판(121)의 가이딩이 가능하게 되고, 그 아래 부분에서는 상부판(121)이 하강할 때 본체 지주부(110) 내에서 상부판(121)이 회전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122)가 지중에 비틀린 상태로 박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지주 기초 구조물의 고정이 안정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본체 지주부(110)는 그 상단부 내지 상기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는 직경이 균일한 원형의 평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부의 중앙 이하 부분은 상기 원형에서 변형된 타원형의 평단면을 가진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본체 지주부(110)는 상단부에서 하부 중앙까지는 단면을 원형으로 유지하다가 하부 중앙 이하 부분부터 자연스럽게 타원형으로 변형되는 형태를 갖고 있다. 여기서, 타원의 단축 지름 또는 장축 지름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하여, 본체 지주부(110)의 하단부(112)를 테이퍼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121)은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원형의 상부판(121)은 본체 지주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강 시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만 삽입 가능하고, 중앙 이하 부분으로는 타원형의 단면이 제동 역할을 하게 되어 상부판(121)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다.
이와 대응되어, 상기 돌출 라인(113)은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상단 부분부터 시작하여 상기 본체 지주부(110)의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물론, 돌출 라인(113)은 본체 지주부(110)의 하단 부분까지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도 4는 도 2의 본체 지주부의 하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의 경우는 본체 지주부(110)의 하단부(112) 내측 공간에 가이드편(114a)이 충전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가이드편(114)의 상부 부분은 상기 다리부(122)의 펼침을 가이드 하도록 상향을 향해 폭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편(114)의 상부 단면은 직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b)는 도 1과 같은 가이드편(114)은 유지하되, 하단부(112)의 외표면에 보조판(114b)을 덧대어 하단부(112)의 강도를 강화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체 지주부(110)의 타격 시에 그 하단부(112)가 돌 등에 부딪혀서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는 관통홀(111) 및 그에 대응되는 다리부(122)의 개수가 각각 2개인 것을 실시예로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관통홀(111)은 본체 지주부(110)의 둘레를 따라 3개 등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리부(122) 또한 관통홀(111)에 대응되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주 기초 구조물 110: 본체 지주부
111: 관통홀 112: 하단부
113: 돌출 라인 114: 가이드편
115: 베이스판 120: 보조 지주부
121: 상부판 122: 다리부
123: 가이드 홈 124: 체결프레임
125: 홈부 126: 커팅면

Claims (6)

  1.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중에 박히는 하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본체 지주부; 및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둘레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보조 지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주부가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가 상기 상부판에 대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여 지중에 박히며,
    상기 본체 지주부의 둘레 내주면에는 상기 상단 부분부터 하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형성된 돌출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 지주부에 대한 상기 보조 지주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돌출 라인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본체 지주부의 하부 측면 둘레에 상하로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라인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둘레 부분과 어긋난 둘레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지주 기초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부 내지 상기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는 직경이 균일한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의 중앙 이하 부분은 상기 원형에서 변형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은 상기 본체 지주부의 상단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며 상기 하부의 중앙 부분까지 삽입되는 지주 기초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는 상기 상부판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로서, 말단이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는 상단 모서리 일부분이 커팅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지주부는 상기 상부판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각각 회동 결합되는 체결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프레임에 대한 상기 다리부의 펼침 회동 시에 상기 커팅된 모서리 부분이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다리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지주 기초 구조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주부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보조 지주부의 삽입 시 상기 다리부의 펼침을 유도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된 지주 기초 구조물.
KR1020120031932A 2012-03-28 2012-03-28 지주 기초 구조물 KR10120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932A KR101209819B1 (ko) 2012-03-28 2012-03-28 지주 기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932A KR101209819B1 (ko) 2012-03-28 2012-03-28 지주 기초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819B1 true KR101209819B1 (ko) 2012-12-07

Family

ID=4790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932A KR101209819B1 (ko) 2012-03-28 2012-03-28 지주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105B1 (ko) * 2013-03-29 2013-06-26 주식회사 성지엔지니어링 지반 보강용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 파일
KR101742292B1 (ko) 2016-07-05 2017-05-31 윤상범 지주용 지지장치
KR102050001B1 (ko) * 2019-05-23 2019-11-28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KR102247857B1 (ko) * 2019-10-25 2021-05-04 홍지애 지주용 앙카식 기초말뚝
KR20230154509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의 기초 구조체
KR102602356B1 (ko) 2023-03-27 2023-11-16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 기초파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243B2 (ja) 1999-04-05 2001-02-19 保宏 藤田 土木工事用杭
KR100938613B1 (ko) 2009-08-10 2010-01-22 세종기술주식회사 전주의 기초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243B2 (ja) 1999-04-05 2001-02-19 保宏 藤田 土木工事用杭
KR100938613B1 (ko) 2009-08-10 2010-01-22 세종기술주식회사 전주의 기초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105B1 (ko) * 2013-03-29 2013-06-26 주식회사 성지엔지니어링 지반 보강용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 파일
KR101742292B1 (ko) 2016-07-05 2017-05-31 윤상범 지주용 지지장치
KR102050001B1 (ko) * 2019-05-23 2019-11-28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KR102247857B1 (ko) * 2019-10-25 2021-05-04 홍지애 지주용 앙카식 기초말뚝
KR20230154509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의 기초 구조체
KR102602356B1 (ko) 2023-03-27 2023-11-16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 기초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819B1 (ko) 지주 기초 구조물
US10180011B2 (en) Post support apparatus
JP2009197539A (ja) 支柱用支持具
ES2586725T3 (es) Cabezal de soporte para la construcción de una superestructura
KR102247857B1 (ko) 지주용 앙카식 기초말뚝
KR101742292B1 (ko) 지주용 지지장치
US6178651B1 (en) Reusable batter board support
US20230035050A1 (en) Multi-spike fence post anchor
KR100945892B1 (ko) 유로폼 및 알루미늄폼 겸용 외벽 지지구
KR20080006192A (ko) 은폐된 보강구성을 갖는 가로등
KR200232450Y1 (ko) 삼각 측량용 영구조표
KR20090059746A (ko) 조립식 이동 가변형 안전발판 지지장치
CN105604474B (zh) 一种带伸缩脚的维修梯
KR200297784Y1 (ko) 지주받침용 지지봉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KR20170050255A (ko) 농작물 지주대 타격장치
KR101955246B1 (ko) 내진 보강용 강재 근입형 제트그라우팅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27596B1 (ko) 그라운드 앵커 장치
KR20180007180A (ko) 박음식 파라솔 지주
CN205422506U (zh) 一种带伸缩脚的维修梯
KR20100059366A (ko) 설립식 지주
KR200376595Y1 (ko) 사다리의 안전장치
RU186907U1 (ru) Держатель анкерующих стержней грунтового анкера
JP6855052B2 (ja) 板材ホルダ及び板材補助ホルダ
KR20110087354A (ko) 펜스 기둥 설치용 기초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