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561B1 -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561B1
KR101209561B1 KR1020100067468A KR20100067468A KR101209561B1 KR 101209561 B1 KR101209561 B1 KR 101209561B1 KR 1020100067468 A KR1020100067468 A KR 1020100067468A KR 20100067468 A KR20100067468 A KR 20100067468A KR 101209561 B1 KR101209561 B1 KR 10120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gate
selector
digi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808A (ko
Inventor
박점복
Original Assignee
허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관욱 filed Critical 허관욱
Priority to KR102010006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5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마다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한 매칭정보 저장부 및,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정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주문순서대로 도서를 분류한다.

Description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book on demand for making marc data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문도서가 주문 순서대로 입고되는 것이 아닌 수 백 수천 개에 이르는 출판사의 특성과 여건에 따라 입고순서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이를 안정적으로 주문순서대로 도서를 분류하여 마크데이터(marc data) 구축의 신속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분류장치의 경우 물류업체에서 활용하는 빈도가 높으며 지역별로 자동분류되는 시스템의 경우 지역코드로 정리되고 있고, 과일선별기에서도 과일의 무게를 고려한 자동선별기가 운영되고 있으나, 주문도서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장치는 현재 없는 상태이다.
도서의 특성은 많은 출판사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도서 데이터(marc data) 작업시, 작업 후 납품에 이르는 전과정이 주문도서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문도서 순으로 정리하기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실정이다. 특히, 전업무 자체가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단점으로 인건비의 과다와 광대한 작업공간이 필요하는 불편함이 산재되어 있으며, 수작업으로 인한 정확성도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도서상단에 주문번호를 연필로 기재하거나 수기로 쓴 간지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통상의 분류로 인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주문처에서 주문시 정해진 도서주문 순서대로 자동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는,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마다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한 매칭정보 저장부 및,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는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를 스캔하는 주문번호 리더부, 상기 주문번호 리더부에 의해 스캔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번호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확인하는 게이트번호 확인모듈 및, 상기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open)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방법은,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마다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번호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open)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서의 주문번호에 따라 도서선별기 게이트의 열림, 닫힘 동작을 자동 제어하여 소정 위치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주문도서가 주문 순서대로 입고되는 것이 아닌 수 백 수천 개에 이르는 출판사의 특성과 여건에 따라 입고순서가 제각각으로 인해 발생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주문순서대로 도서를 분류할 수 있다.
2. 도서상단에 주문번호를 연필로 기재하거나 수기로 쓴 간지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통상의 분류로 인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3. 육안으로 검수하고 수작업으로 분류해야함으로 과다한 시간이 걸리는 점과, 분류하기 위해 많은 장소가 필요로 하는 점을 해결하여 신속, 정확하게 주문순서대로 도서를 분류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도서 자동 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의 전체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동작을 상세 도시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도서 자동 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어장치는 크게 매칭정보 저장부(100)와, 도서의 주문번호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도서선별기의 게이트(1번 ~ 9번)의 열림, 닫힘 동작을 제어하여 도서를 소정 위치에 안착시키는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200)로 된 구조이다.
즉,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마다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한 매칭정보 저장부(100)와,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100)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200)로 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100)는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의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한 메모리이다. 예를 들어, 도서 주문 번호가 000 ~ 999까지 세 자리로 된 경우, 세번째 자리의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 , 900번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킨다. 그리고, 두번째 자리의 10번대, 20번대, 30번대, ... , 90번대 별로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킨다. 마지막으로, 첫번째 자리의 1번대, 2번대, 3번대, ... , 9번대 별로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킨다. 상기한 예는 주문 번호가 세자리수로 된 경우(000번부터 ~ 999번까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나, 주문 번호가 두 자리(00 ~ 99까지) 또는 네 자리 등으로 설정된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200)는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100)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서 주문 번호가 796인 경우, 1차 분류시 주문 번호에서 세번째 자리의 번호대(예: 700번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예: 7번)를 매칭정보 저장부(100)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고, 2차 분류시 주문 번호에서 두번째 자리의 번호대(예: 90번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예: 9번)의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고, 마지막 3차 분류시 주문 번호에서 일번대(예: 6번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예: 6번)의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1 ~ 3차 분류는 도서 주문 번호가 세 자리로 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리수가 더 늘어나거나(예: 네 자리), 더 줄어들 경우(예: 두 자리)엔 분류 횟수도 그에 비례적으로 더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상기한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의 바람직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200)는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예: 바코드 형태로 된 주문 번호)를 스캔하는 주문번호 리더부(201), 상기 주문번호 리더부(201)에 의해 스캔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번호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100)에서 확인하는 게이트번호 확인모듈(202), 상기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open)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모듈(203)로 된 구조이다.
이하, 이러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도 2, 도 3 참조).
먼저, 주문번호가 부여된 라벨을 출력해서 도서에 부착한다.
그리고, 도서 주문번호의 각 자리의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매칭정보 저장부(10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서 주문 번호가 000 ~ 999까지 세 자리로 된 경우, 세번째 자리의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 , 900번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킨다.
그리고, 두번째 자리의 10번대, 20번대, 30번대, ... , 90번대 별로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킨다. 마지막으로, 첫번째 자리의 1번대, 2번대, 3번대, ... , 9번대 별로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킨다.
다음, 이러한 매칭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가 있는 경우,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200)는 먼저, 라벨에 부착된 그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예: 바코드 형태로 된 주문 번호)를 스캔한다(S100~S200).
그런 다음, 스캔된 주문 번호에서 맨 앞자리 번호대를 독출한다(S301).
그리고 나서, 맨 앞자리 번호대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 번호를 확인한다(S302).
그런 다음,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오픈(open) 시킨다(S303).
즉, 도서의 주문 번호에서 맨 앞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어 있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가 796인 경우, 맨 앞자리 즉, 세번째 자리의 번호대 "7"을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그 번호대 "7"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 번호(예: 7번)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확인된 7번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오픈시킨다.
그 결과, 도서 선별기가 회전되면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가 7번 게이트 위치로 떨어져 1차 분류가 이루어진다.
단, 주문 번호가 한 자리수로 된 경우엔 더 이상의 분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 1차 분류가 끝나면 2차 분류를 개시한다(S304~S307).
구체적으론, 다음과 같다.
2차 분류할 도서의 주문 번호에서 맨 앞자리 다음 자리의 번호대를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그 맨 앞자리 다음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된 게이트 번호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오픈(open) 시킨다.
즉, 도서의 주문 번호에서 맨 앞자리 다음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를 열리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분류할 도서의 주문 번호가 796인 경우, 맨 앞자리 다음 자리 즉, 두번째 자리의 번호대 "9"를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그 번호대 "9"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 번호(예: 9번)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확인된 9번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오픈시킨다.
그 결과, 도서 선별기가 회전되면서 분류할 도서가 9번 게이트 위치로 다시 떨어져 2차 분류된다.
다음, 2차 분류가 끝나면 마지막 3차 분류를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3차 분류할 도서의 주문 번호에서 맨 앞자리 다음 다음 자리의 번호대를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그 맨 앞자리 다음 다음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 번호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오픈(open) 시킨다.
즉, 도서의 주문 번호에서 맨 앞자리 다음 다음 자리의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를 열리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분류할 도서의 주문 번호가 796인 경우, 맨 앞자리 다음 다음 자리 즉, 첫번째 자리의 번호대 "6"을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그 번호대 "6"에 매칭되어 있는 게이트 번호(예: 6번)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확인된 6번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오픈시킨다.
그 결과, 도서 선별기가 회전되면서 분류할 도서가 6번 게이트 위치로 떨어져 3차 분류된다.
그 결과, 도서를 주문 번호 즉, 주문 순서대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예는 주문 번호가 세 자리수로 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나, 주문 번호가 두 자리(1 ~ 99까지) 또는 네 자리(1 ~ 9999까지) 등으로 설정된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 ~ 3차 분류는 도서 주문 번호가 세 자리로 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리수가 더 늘어나거나(예: 네 자리), 더 줄어들 경우(예: 두 자리)엔 분류 횟수도 그에 비례적으로 더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매칭정보 저장부 200 :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
201 : 주문번호 리더부 202 : 게이트번호 확인모듈
203 : 게이트 제어모듈

Claims (4)

  1.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마다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한 매칭정보 저장부; 및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상기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모두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서선별기 게이트 제어부는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를 스캔하는 주문번호 리더부;
    상기 주문번호 리더부에 의해 스캔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번호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확인하는 게이트번호 확인모듈; 및
    상기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open) 제어하는 동작을 상기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모두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게이트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2. 삭제
  3. 도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마다 번호대 별로 특정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매칭시켜 매칭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소정도서의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자리의 번호대에 매칭되는 도서 선별기의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찾아 그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상기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모두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서 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상기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모두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는
    소정의 도서 분류 명령 입력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문 번호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된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해당 번호대에 매칭되는 게이트 번호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에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게이트 번호에 대응되는 도서선별기 게이트를 열도록(open) 제어하는 동작을 상기 주문 번호의 각 자리별로 모두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데이터(marc data)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방법.





  4. 삭제
KR1020100067468A 2010-07-13 2010-07-13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0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68A KR101209561B1 (ko) 2010-07-13 2010-07-13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68A KR101209561B1 (ko) 2010-07-13 2010-07-13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08A KR20120006808A (ko) 2012-01-19
KR101209561B1 true KR101209561B1 (ko) 2012-12-07

Family

ID=4561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68A KR101209561B1 (ko) 2010-07-13 2010-07-13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74B1 (ko) 2013-09-25 2015-03-1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369A (ja) 1999-01-12 2000-07-25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369A (ja) 1999-01-12 2000-07-25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08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614A (en) Level-by-level explosion method for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US6055327A (en) Method of detecting data entry errors by sorting amounts and verifying amount order
CN102636704B (zh) 一种电子产品的测试方法、装置及系统
US6598748B2 (en) Line of travel sequence transformation in mail processing applications
EP0021614A1 (en) Document sorting method
CN100411418C (zh) 以预定次序打印扫描文档的成像设备及其方法
WO2008105611A1 (en) Database auto-building method for link of search data in gis system using cad drawings
ES2375403T3 (es) Un método para la indexación automática de documentos.
CN109086591A (zh) 验证码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1990015386A1 (en) Document identification by characteristics matching
RU2002119566A (ru) Навигация
CN106355375A (zh) 一种物料自动确认方法
KR101209561B1 (ko) 마크데이터 작성을 위한 주문도서 자동 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991661B1 (ko) 도서의 디디씨/케이디씨 자동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251479A (zh) 一种钞币绑定设备网点全流程定位追踪方法
US3662400A (en) Subsidiary document identification system
US5305450A (en) Method of software standardization by unifying and standardizing the names and attributes of data items in developed software
JP4518141B2 (ja) 画像照合方法及び画像照合装置並びに画像照合プログラム
US20030201324A1 (en) Multi-pass merge process for the check processing control system
CN101128727B (zh) 车辆质量分析系统和多数据管理方法
CN114029250A (zh) 物品分拣方法与系统
CN110825872B (zh) 一种提取和分类诉讼请求信息的方法及系统
CN103488615B (zh) 一种软硬件接口定义的源文件自动生成方法和装置
KR102303692B1 (ko) 디브리핑 제도에 기반한 제안서 작성을 위한 제안서 데이터 선별 시스템 및 방법
JP2862551B2 (ja) 文字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