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012B1 -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012B1
KR101209012B1 KR1020120009944A KR20120009944A KR101209012B1 KR 101209012 B1 KR101209012 B1 KR 101209012B1 KR 1020120009944 A KR1020120009944 A KR 1020120009944A KR 20120009944 A KR20120009944 A KR 20120009944A KR 101209012 B1 KR101209012 B1 KR 10120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robot
play
stage
t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경
김효용
이득우
김진성
현승철
Original Assignee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8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physical entities controlled by simulated intelligence so as to replicate intelligent life forms, e.g. based on robots replicating pets or humans in their appearance or behavi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07Signa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극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캐릭터 로봇을 통해 연극 참여자가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가상 무대의 연극 캐릭터가 동작됨으로써 오프라인상에서의 연극 제작을 위한 무대 비용이나 캐릭터 연출 비용 부담없이 연극 연습 및 공연이 가능하고, 연극 연습시 실제 무대와 같은 느낌으로 연극 연습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몰입도와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Play Interface Device For Education Using Character Robot}
본 발명은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극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캐릭터 로봇을 통해 연극 참여자가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가상 무대의 연극 캐릭터가 동작됨으로써 오프라인상에서의 연극 제작을 위한 무대 비용이나 캐릭터 연출 비용 부담없이 연극 연습 및 공연이 가능하고, 연극 연습시 실제 무대와 같은 느낌으로 연극 연습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몰입도와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극은 희곡, 무대 및 배우(캐릭터)가 삼위 일체로 이루어지는 예술로서 유치원 교육부터 교육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단체 수업에 있어서 범용적으로 활용되는 분야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극을 공연하기 위해서는 연극의 내용에 맞는 무대 배경을 준비하여야 하고, 배우 또는 캐릭터를 실제 내용과 유사하게 연출하여야 하므로 공연 비용이 매우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교육용 연극에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희곡만을 가지고 연극 연습을 수행하게 되므로 연극의 리얼리티가 떨어지고, 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흥미 유발이 어려우므로 교육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극의 특성상 연극 참여자는 직접 대중 앞에 나서서 연극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대중에서 나서서 이야기하는 능력이 부족한 저학년 또는 소심한 성격의 학생에게는 연극 수업 자체가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극 수업에서 많은 준비와 시간이 필요 없는 캐릭터 로봇을 활용한 가상연극을 제공하여 시간과 장소에 대한 구애 없이 연극 수업이 가능하고, 연극에서 중요한 상황 연출이 가능하고 캐릭터를 통해 명확한 감정표현을 할 수 있으므로 연극의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는 연극의 장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캐릭터 로봇과 연극에 필요한 무대 배경을 제공하고 등장하는 연극 캐릭터를 상기 무대 배경에 삽입하고, 상기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무대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로봇은 캐릭터 주체의 제어에 따른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합하는 로봇 컨트롤러와 상기 취합된 센싱 정보를 가상 무대 제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부는 캐릭터 로봇의 동작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모듈과 연극의 스토리 텔링에 따른 상기 캐릭터 로봇의 표정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표정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거리 감지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캐릭터 로봇의 수직 이동 및 점프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를 통해 캐릭터 로봇의 수평 이동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표정 관리 모듈은 캐릭터 로봇의 평상시 표정, 웃는 표정, 우는 표정 및 화난 표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동작 정보와 상기 표정 관리 모듈로부터 표정 변화 정보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가상 무대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는 상기 캐릭터 로봇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원하는 연극을 검색하고, 검색된 연극의 무대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대 관리부와 캐릭터 로봇 조종자가 원하는 연극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캐릭터 관리부와 상기 무대 관리부와 캐릭터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 무대와 연극 캐릭터를 믹싱하고,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무대 제어부 및 동작 정보, 연극 정보, 캐릭터 정보 및 녹화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관리부는 무대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에 삽입될 캐릭터를 선택하는 캐릭터 선택 모듈과 상기 선택된 기본 연극 캐릭터의 크기, 외모, 의상 등 연극 캐릭터의 외형을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캐릭터 편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편집 모듈은 특정 연극 캐릭터를 담당하는 참여자의 사진, 이미지를 상기 기본 연극 캐릭터의 외모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캐릭터 로봇의 센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정보와 매핑하여 캐릭터 로봇의 동작 또는 표정 변화를 추출하는 동작 판단 모듈과 상기 추출된 캐릭터 로봇의 동작 또는 표정 변화를 캐릭터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 캐릭터로 변환하는 동기화 모듈과 상기 변환된 연극 캐릭터를 상기 무대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무대 배경에 삽입하여 동작하도록 가상 무대 영상을 제어하는 화상 믹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상 믹싱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무대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는 연극 수업에서 많은 준비와 시간가 필요 없는 캐릭터 로봇을 활용한 가상연극을 제공하여 시간과 장소에 대한 구애 없이 연극 수업이 가능하고, 연극에서 중요한 상황 연출이 가능하고 캐릭터를 통해 명확한 감정표현을 할 수 있으므로 연극의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인형극처럼 무대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대중에 나서서 연극을 수행하는 능력이 부족한 저학년이나 소심한 성격의 학생들도 캐릭터 로봇을 통해 자신감 있는 연극 참여가 가능하므로 연극을 통한 자신감 배양시키고, 발표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로봇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무대 제어기의 동작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는 연극의 장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캐릭터 로봇(10)과 연극에 필요한 무대 배경을 줄거리 내용에 따라 제공하고 연극에 등장하는 연극 캐릭터를 상기 무대 배경에 삽입하고 상기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무대 제어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극 참여가 캐릭터 로봇(10)을 조종하여 가상 무대에서의 연극 캐릭터의 동작을 조종하고, 실제 음성을 통해 연극에 참여하므로 인형극과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릭터 로봇(10)은 캐릭터 주체의 제어에 따른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부(110)와 상기 동작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합하는 로봇 컨트롤러(120)와 상기 취합된 센싱 정보를 가상 무대 제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110)는 캐릭터 로봇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서모듈(111)과 상기 캐릭터 로봇의 표정 변화를 제어하는 표정 관리 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111)은 연극의 참여자가 캐릭터 로봇을 움직일 때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 모듈을 의미한다.
상기 센서 모듈(111)은 거리 감지 센서(DMS 센서)와 기울기 센서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캐릭터 로봇은 캐릭터 형상의 외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무대에서 동작하는 캐릭터는 걷기, 뛰기, 오르기, 점프, 팔 흔들기 등의 간단한 동작의 수행만을 필요로 하므로 캐릭터 로봇은 머리, 몸통과 양팔로만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로봇(10)이 기본적인 동작인 걷기, 뛰기, 오르기, 점프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몸통 부분에 형성되는 하나의 거리 감지 센서와 기울기 센서만으로 동작을 특정할 수 있으며, 팔의 움직임까지 구현하기 위해서는 팔부분에 추가로 2개의 기울기 센서를 장착하여 세부적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세부적인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더 많은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다리의 움직임까지 구현하기 위해서 캐릭터 로봇은 머리, 몸통, 양팔 및 양발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다리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다리에 2개의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로봇은 교육용으로 제작되어 초등학생, 중학생 등의 연극 연습에 활용될 수 있으며, 연극에 참여하는 학생이 직접 캐릭터 로봇을 조종해야 하므로 지나치게 많은 관절을 구비할 경우 동작 제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머리, 몸통, 양팔로 구분되어 몸통에 1개의 거리 감지 센서와 몸통에 1개, 양팔에 2개의 기울기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로봇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캐릭터 로봇 조종자가 캐릭터 로봇(10)을 일방향(예를 들어, 우측)으로 기울이면 캐릭터 로봇의 몸통에 장착된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다단계(예를 들어, 8단계)로 판단하여 캐릭터 로봇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반대방향(좌측)으로 기울이면 캐릭터 로봇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릭터 로봇 조종자가 캐릭터 로봇을 들었다 놓으면, 캐릭터 로봇의 몸통에 장착된 거리 감지 센서(DMS 센서)가 수직 하부 방향으로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로봇의 점프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캐릭터 로봇의 양팔에 기울기 센서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캐릭터 로봇의 양팔은 각각 1축 120도의 자유로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으며, 캐릭터 로봇 조종자가 상기 양팔을 원하는 형태로 흔들면 상기 양팔에 부착된 기울기 센서가 각도를 측정하고, 양팔의 기울기를 다단계(예를 들어, 8단계)로 판단하여 캐릭터 로봇의 양팔의 움직임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표정 관리 모듈(112)은 캐릭터 로봇 전면 또는 배면에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평상시 표정, 웃는 표정, 화난 표정 및 슬픈 표정 중 하나의 표정으로 표정 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표정 관리 모듈(112)은 상기 4개의 표정을 대표하는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캐릭터 로봇을 조종하는 연극 참여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해당 표정으로 표정이 변화한다.
연극은 줄거리 전개에 따라 캐릭터의 동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정 변화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캐릭터에 표정 변화를 제어함에 따라 연극 참여자가 연극에 몰입하고 감정 이입을 유도하여 연극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릭터 로봇이 동작하여 센서 모듈(111) 또는 표정 관리 모듈(112)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면 로봇 컨트롤러(120)는 상기 감지된 신호를 센싱하고 통신부(130)를 통해 가상 무대 제어기(20)로 송신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가상 무대 제어기의 통신부와 RF,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30)는 케이블을 통해 가상 무대 제어기와 캐릭터 로봇이 연결되는 유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무대 제어기(20)는 연극의 무대 배경에 연극 캐릭터를 삽입시키고, 상기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가 동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20)는 별도의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지만,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무대 제어기의 동작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20)는 상기 캐릭터 로봇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와 원하는 연극을 검색하고, 검색된 연극의 무대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대 관리부(220)와 캐릭터 로봇 조종자가 원하는 연극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캐릭터 관리부(230)와 상기 무대 관리부와 캐릭터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 무대와 연극 캐릭터를 믹싱하고,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무대 제어부(240)와 동작 정보, 연극 정보, 캐릭터 정보 및 녹화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250)와 상기 가상 무대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동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260)와 가상 무대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70) 및 출력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녹화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구조는 미리 제작된 가상의 무대 배경과 상기 무대 배경에 삽입되는 연극 캐릭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대 관리부(220)는 연극에 참여하는 참여자에게 원하는 연극에 대한 무대 배경을 선택받아 제공하는 구성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연극 중 원하는 특정 연극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연극에 포함된 무대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되는 연극 정보는 특정 연극 제목에 포함되는 무대 배경이 매핑되어 저장 관리된다.
따라서, 특정 연극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연극에 포함되는 줄거리에 따른 무대 배경이 매핑되어 저장되므로, 연극 참여자가 연극의 줄거리에 따른 특정 무대 배경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관리부(230)는 무대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에 삽입될 캐릭터를 선택하는 캐릭터 선택 모듈(231)과 상기 선택된 기본 연극 캐릭터의 크기, 외모, 의상 등 연극 캐릭터의 외형을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캐릭터 편집 모듈(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50)에는 연극 정보와 연관된 기본 연극 캐릭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캐릭터 선택 모듈을 통해 기본 연극 캐릭터가 선택되면, 연극 참여자는 캐릭터 편집 모듈을 통해 상기 기본 연극 캐릭터의 크기, 얼굴, 의상 등 캐릭터와 관련된 외형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극 참여자가 메모리에 사진이나 이미지를 저장시킬 경우 상기 캐릭터에 연극 참여자의 사진이나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으며, 연극 참여자는 자신의 얼굴을 보면서 연극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생동감 있는 연극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240)는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캐릭터 로봇의 센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정보와 매핑하여 캐릭터 로봇의 동작 또는 표정 변화를 추출하는 동작 판단 모듈(241)과 상기 추출된 캐릭터 로봇의 동작 또는 표정 변화를 캐릭터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 캐릭터로 변환하는 동기화 모듈(242)과 상기 변환된 연극 캐릭터를 상기 무대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무대 배경에 삽입하여 동작하도록 가상 무대 영상을 제어하는 화상 믹싱 모듈(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되는 동작 정보는 캐릭터 로봇(10)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와 동작 신호 정보가 매핑된 동작 테이블을 포함하여 있으므로, 상기 동작 판단 모듈(241)은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가 캐릭터 로봇의 어떤 동작 도는 표정 변화를 의미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모듈(242)은 캐릭터 로봇(10)의 동작을 연극 참여자가 선택한 연극 캐릭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캐릭터 로봇(10)으로부터 센싱 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동작 판단 모듈(241)을 통해 캐릭터 로봇의 동작이 판단되면 상기 연극 캐릭터의 동작으로 동기화하여 화상 믹싱 모듈(243)로 제공한다.
상기 화상 믹싱 모듈(243)은 연극 참여자로부터 선택된 무대 배경에 상기 동기화 모듈을 통해 변환된 연극 캐릭터의 동작을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상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TV, 프로젝터 등 화면 송출이 가능한 수단은 무엇이나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20)는 상기 화상 믹싱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연극에 대한 동화상을 저장하여 메모리(250)에 저장하는 녹화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화부(280)는 화상 녹화시 마이크를 이용하여 캐릭터 로봇을 조종하는 연극 참여자의 음성을 함께 녹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극 참여자는 녹화부(280)를 통해 녹화된 연극 동화상을 보면서 자신의 연기와 동작을 리뷰하면서 잘못된 연기 부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캐릭터 로봇 110 : 동작부
120 : 로봇 컨트롤러 130 : 통신부
20 : 가상 무대 제어기 210 : 통신부
220 : 무대 관리부 230 : 캐릭터 관리부
240 : 가상 무대 제어부 250 : 메모리
260 : 출력부 270 : 전원부
280 : 녹화부

Claims (10)

  1. 연극의 장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캐릭터 로봇과;
    가상 무대 제어기는
    상기 캐릭터 로봇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연극에 필요한 무대 배경을 제공하고 등장하는 연극 캐릭터를 상기 무대 배경에 삽입하고, 상기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무대 제어기를 포함하고;
    가상 무대 제어기는
    원하는 연극을 검색하고, 검색된 연극의 무대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대 관리부와, 캐릭터 로봇 조종자가 원하는 연극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캐릭터 관리부와, 상기 무대 관리부와 캐릭터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 무대와 연극 캐릭터를 믹싱하고, 캐릭터 로봇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극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무대 제어부 및 동작 정보, 연극 정보, 캐릭터 정보 및 녹화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로봇은
    캐릭터 주체의 제어에 따른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합하는 로봇 컨트롤러와;
    상기 취합된 센싱 정보를 가상 무대 제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캐릭터 로봇의 동작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모듈과;
    연극의 스토리 텔링에 따른 상기 캐릭터 로봇의 표정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표정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거리 감지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캐릭터 로봇의 수직 이동 및 점프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를 통해 캐릭터 로봇의 수평 이동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표정 관리 모듈은
    캐릭터 로봇의 평상시 표정, 웃는 표정, 우는 표정 및 화난 표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동작 정보와 상기 표정 관리 모듈로부터 표정 변화 정보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가상 무대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관리부는
    무대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에 삽입될 캐릭터를 선택하는 캐릭터 선택 모듈과;
    상기 선택된 기본 연극 캐릭터의 크기, 외모, 의상 등 연극 캐릭터의 외형을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캐릭터 편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편집 모듈은
    특정 연극 캐릭터를 담당하는 참여자의 사진, 이미지를 상기 기본 연극 캐릭터의 외모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무대 제어기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캐릭터 로봇의 센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정보와 매핑하여 캐릭터 로봇의 동작 또는 표정 변화를 추출하는 동작 판단 모듈과;
    상기 추출된 캐릭터 로봇의 동작 또는 표정 변화를 캐릭터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연극 캐릭터로 변환하는 동기화 모듈과;
    상기 변환된 연극 캐릭터를 상기 무대 관리부를 통해 선택된 무대 배경에 삽입하여 동작하도록 가상 무대 영상을 제어하는 화상 믹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믹싱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무대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20009944A 2012-01-31 2012-01-31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KR10120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44A KR101209012B1 (ko) 2012-01-31 2012-01-31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44A KR101209012B1 (ko) 2012-01-31 2012-01-31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012B1 true KR101209012B1 (ko) 2012-12-24

Family

ID=4790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944A KR101209012B1 (ko) 2012-01-31 2012-01-31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57B1 (ko) * 2013-09-10 2015-07-10 주식회사 씨에스 다기능 놀이학습용 완구
CN115064019A (zh) * 2022-08-05 2022-09-16 安徽淘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教学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82B1 (ko) * 2001-08-28 2005-04-29 주식회사유진로보틱스 로봇의 지능 보완 방법 및 시스템, 이에 의한 로봇을이용한 다이나믹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101088406B1 (ko) * 2008-06-27 2011-12-01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교육시 로봇을 이용한 양방향 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82B1 (ko) * 2001-08-28 2005-04-29 주식회사유진로보틱스 로봇의 지능 보완 방법 및 시스템, 이에 의한 로봇을이용한 다이나믹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101088406B1 (ko) * 2008-06-27 2011-12-01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교육시 로봇을 이용한 양방향 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57B1 (ko) * 2013-09-10 2015-07-10 주식회사 씨에스 다기능 놀이학습용 완구
CN115064019A (zh) * 2022-08-05 2022-09-16 安徽淘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教学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882B1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Tricart Virtual reality filmmaking: Techniques & best practices for VR filmmakers
CN103249461B (zh) 用于使得手持设备能够捕获交互应用的视频的系统
US102624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n computer
US92360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experience service
CN103218198B (zh) 运动用户的声音定位
CN103357177B (zh) 使用便携式游戏装置来记录或修改在主游戏系统上实时运行的游戏或应用
CN103390287B (zh) 用于增强现实的装置和方法
US201500303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age performance using digital characters
US201801965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n computer
Barakonyi et al. Agents that talk and hit back: Animated agents in augmented reality
CN110688005A (zh) 混合现实的教学环境、教师、教具互动系统及互动方法
JP6290467B1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CN105324738A (zh) 在头戴式显示器中切换操作模式
CN105378596A (zh) 用于头戴式显示器中在透明模式与非透明模式之间转变的系统和方法
US201803009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n computer
WO2011082405A1 (en) Interactive game environment
KR102186607B1 (ko) 증강현실을 통한 발레 공연 시스템 및 방법
JP5928757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6100033A (ja) 再生制御装置
CN111028597B (zh) 混合现实的外语情景、环境、教具教学系统及其方法
KR101209012B1 (ko) 캐릭터 로봇을 이용한 교육용 연극 인터페이스 장치
JP2018125003A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6554139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461322B2 (ja) 制御装置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