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78B1 -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78B1
KR101208978B1 KR1020060063639A KR20060063639A KR101208978B1 KR 101208978 B1 KR101208978 B1 KR 101208978B1 KR 1020060063639 A KR1020060063639 A KR 1020060063639A KR 20060063639 A KR20060063639 A KR 20060063639A KR 101208978 B1 KR101208978 B1 KR 10120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button
transmitted
patter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827A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01H2013/026Light-emitting indicator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 ligh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push button switch that illuminate separate zones of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8Optical grid, collimator or microlou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의 몸체에 장착된 키패드를 구성하는 버튼이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투광성 부재는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일정 영역에 패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동일 버튼 영역에서 표시되는 기능 수행 또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기호 등의 형상이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단일 형상으로 버튼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될 수 있고, 따라서, 각 버튼의 영역 전체의 크기와 상응하는 표시영역을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한편, 버튼에 표기되는 형상의 디자인을 유연하게 변형 또는 최적의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편광, LED, 투광성 부재, 키패드, 버튼, 단말기

Description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KEYPAD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버튼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첫 번째 시트의 편광 영역을 투과하지 못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키패드 버튼을 투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두 번째 시트의 편광 영역을 투과하지 못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키패드 버튼을 투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세 번째 시트의 편광 영역을 투과하지 못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키패드 버튼을 투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키패드 버튼을 구성하는 각 시트에 형성된 편광 영역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버튼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첫 번째 시트의 편광 영역을 투과하지 못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키패드 버튼을 투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두 번째 시트의 편광 영역을 투과하지 못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키패드 버튼을 투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세 번째 시트의 편광 영역을 투과하지 못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키패드 버튼을 투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키패드 버튼을 구성하는 각 시트에 형성된 편광 영역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적용된 통신 단말기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는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통신 단말기 11 ... 제 1 몸체
12 ... 제 2 몸체 13 ... 표시 영역
14 ... 힌지유닛 100 ... 버튼 유닛
110 ... 제 1 시트 120 ... 제 2시트
130 ... 제 3 시트 111,121,131 ... 편광 패턴부
112,122,132 ... 투과부 113,123,133 ... 표시영역
200 ... 광원
본 발명은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특정인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특정 상대의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해서 수신자의 단말기에 지정된 고유번호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기지국과 같은 경유수단(또는 매개수단)을 통해 특정 상대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을 특정 상대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는 일정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입력부에 해당되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패드가 구비되는데, 상기와 같은 키패드는 야간이나 또는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키패드의 내부에 조명 수단으로 작용하는 광원이 내장된다.
이와 같은 광원에 의해서 키패드의 버튼에 형성된 일정 형상의 광투과 영역을 통해 버튼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종래의 키패드 버튼에 표시되는 형상이 여러 개의 형상이 표시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표시되어야 하는 형상들에 할당되는 영역이 매우 작기 때문에 표시되는 형상이 매 우 작게 구성될 수밖에 없었다.
다시 말해서, 문자와 숫자 및 기호가 동일 버튼을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된 경우 하나의 버튼 영역에 문자와 숫자 및 기호가 모두 표시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문자와 숫자 및 기호의 인쇄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고, 이 경우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들은 사용에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고 있다.
또한, 버튼에 다수개의 기호 또는 문자 등이 표기되는 경우 버튼 크기의 제약으로 인하여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정 형상의 디자인이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키패드 버튼은 위와 같은 구성의 문제로 인하여 버튼에 표기되는 디자인의 변경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동일 버튼 영역에서 표시되는 기능 수행 또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기호 등의 형상이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단일 형상으로 버튼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버튼에 표기되는 형상의 디자인을 유연하게 변형 또는 최적의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키패드 버튼은 기판에 장착된 스위치를 눌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키패드의 버튼이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투광성 부재는 특정 모드에서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시 킬 수 있는 패턴부가 일정 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위의 키패드 버튼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는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고, 각 투광성 부재는 모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와 특정 모드에서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패턴부가 형성되며, 스위치를 눌러 특정 신호가 발생 되게 하는 다수개의 버튼과;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어 버튼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일정 형상의 표시영역을 형성시키게 되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의 두 예에 있어서, 투광성 부재는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시트에 형성되는 패턴부는 편광 패턴을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를 도면에 도시되 것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적층 되게 배열하는 구성 이외에도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를 가로방향으로 배열되게 구성하여 각 투광성 부재에 대한 영역에서 투광성 부재에 형성되는 패턴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빛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트는 특정 파장의 빛이 차단되는 영역에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특정 형상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특정 파장의 빛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특정 형상을 이루게 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 역에 편광 패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파장의 빛은 청색, 노란색, 빨간색, 녹색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는 문자가 형성되는 시트, 숫자가 형성되는 시트, 기호가 형성되는 시트 또는 특정 형상이 형성되는 시트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버튼을 구성하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키패드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버튼 중 특정 기호, 문자, 수자 또는 형상이 조합되어 표기되는 버튼만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되는 편광 패턴부를 갖는 투광성 재질의 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키패드 버튼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의 일 예로는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어 버튼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일정 형상의 표시영역을 형성시키게 되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광원과;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고, 각 투광성 부재는 모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와 특정 모드에서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패턴부가 형성되며, 스위치를 눌러 특정 신호가 발생 되게 하는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투광성 부재는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특정 파장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패턴부는 편광 패턴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는 편광 패턴부가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편광 패턴부가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시트는 문자가 형성되는 시트, 숫자가 형성되는 시트, 기호가 형성되는 시트 또는 특정 형상이 형성되는 시트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키패드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버튼 중 특정 기호, 문자, 수자 또는 형상이 조합되어 표기되는 버튼만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되는 편광 패턴부를 갖는 투광성 재질의 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키패드를 통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특정 파장의 빛은 청색, 노란색, 빨간색, 녹색 중에서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광원으로는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LED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각 LED는 청색, 노란색, 빨간색 및 녹색 광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광원은 키패드 버튼의 입력에 의해 출력 모드가 제어되어 해당 광원이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버튼 및 키패드 버튼을 갖는 통신 단말기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투광성 부재는 기본적으로 세 개의 색상을 가지는 각 광원을 통해 각각의 형상을 표시하게 되는 세 개의 시트로 이루어진 구성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광성 부재는 이하 설명되는 적층 구조의 시트 이외에도 선택적으로 빛을 차단시킬 수 있는 패턴을 가지는 투광성 부재가 가로로 배열되는 구조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튼 유닛(100)은 다수개의 시트가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각 시트는 각각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편광 패턴영역을 갖는다. 상기 각 시트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영역은 특정의 파장에 대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편광 패턴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를 통해 버튼유닛(100)의 구성과 상기 버튼유닛(100)을 구성하게 되는 각 시트(110,120,130)의 구성, 그리고, 각 시트를 투과하게 되는 빛 의 서로 다른 진행 경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버튼유닛(100)은 제 1 시트(110), 제 2 시트(120), 그리고 제 3 시트(130)로 구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튼유닛(100)을 구성하는 시트들의 숫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시트(110,120,130)는 각이 투과부(112,122,132) 및 편광 패턴부(111,112,1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시트(110,120,130)는 각각이 투광성 재질의 시트에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정 형상의 편광 패턴부(111,121,131)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편광 패턴부(111,121,131)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편광 렌즈의 제조과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각 시트(110,120,130)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개별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이 다른 파장의 빛을 차단시 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111,121,131)를 형성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110)에 형성된 편광 패턴부(111)가 청색의 빛을 차단시 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111)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 1 시트(110)는 제 1 시트(110)를 통해 청색의 빛이 투과될 때, 편광 패턴부(111)의 영역에는 청색의 빛이 차단되고, 편광 패턴부(111)가 형성되지 않는 투과부(112)의 영역으로만 청색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시트(110)의 편광 패턴부(111)의 영역에 의해 빛이 차단된 부 분의 형상이 어두운 형상의 패턴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그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청색의 바탕에 상기 편광 패턴부(111)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은 영역이 형상이 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시트(120)에 형성된 편광 패턴부(121)가 노란색의 빛을 차단시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121)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 2 시트(120)는 제 2 시트(120)를 통해 노란색의 빛이 투과될 때, 편광 패턴부(121)의 영역에는 노란색의 빛이 차단되고, 편광 패턴부(121)가 형성되지 않는 투과부(122)의 영역으로만 노란색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2 시트(120)의 편광 패턴부(121)의 영역에 의해 빛이 차단된 부분의 형상이 어두운 형상의 패턴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그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노란색의 바탕에 상기 편광 패턴부(121)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은 영역이 형상이 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제 3 시트(130)의 경우 제 3 시트(130)에 형성된 편광 패턴부(131)가 초록색의 빛을 차단시 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131)로 형성된다면, 제 3 시트(130)는 상기 제 3 시트(130)를 통해 초록색의 빛이 투과될 때, 편광 패턴부(1331)의 영역에는 초록색의 빛이 차단되고, 편광 패턴부(131)가 형성되지 않는 투과부(132)의 영역으로만 초록색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3 시트(130)의 편광 패턴부(131)의 영역에 의해 빛이 차단된 부분의 형상이 어두운 형상의 패턴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그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초록색의 바탕에 상기 편광 패턴부(131)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은 영역이 형상이 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시트(110,120,130)를 조합하여 하나의 버튼유닛(100)을 구성하게 되면, 광원(20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중 일정 파장에 해당되는 빛을 상기 버튼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시트(110,120,130) 중 어느 일 시트에 의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특정 시트에 의해 빛이 차단되면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시키게 되는 시트의 편광 패턴부의 형상이 노출되어 패턴부를 이루게 되는 형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도 2a 내지 도 3c를 통해 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각 시트(110,120,130)에 형성되는 패턴, 즉 편광 패턴부(111,121,131)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버튼 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시트(110,120,130)에 대하여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시트(110)에 숫자로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111)가 형성되고,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시트(120)에 기호로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121)가 형성되며,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3 시트(130)에 문자로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131)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을 기초로 하여 볼 때,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튼 유닛(100)에 광원(200)으로부터 청색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제 1 시트(110)의 편광 패턴부(111) 영역을 통해서는 청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영역인 투과부(112)를 통해서만 청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시트(110)의 편광 패턴부(111)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즉, 투과부)으로만 투과된 청색 파장의 빛은 제 2 시트(120)를 투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2 시트(120)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112)는 청색 파장 빛의 투과에 대한 차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시트의 편광 패턴부(111)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제 1 시트(110)의 투과부(112) 영역에 대한 모든 빛이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시트(120)를 투과한 청색 파장의 빛은 제 3 시트(130)를 투과하게 되는데, 이때도, 상기 제 3 시트(130)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132)는 청색 파장 빛의 투과에 대한 차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시트의 편광 패턴부(111)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제 1 시트(110)의 투과부(112) 영역에 대한 모든 빛이 상기 제 2 시트(120)를 투과할 때와 마찬가지로 제 3 시트(130)를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 유닛(100)을 투과하게 되는 청색 파장의 빛은 제 1 시트(110)의 편광 패턴부(111)에 해당되는 영역이 표시영역(113)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청색 파장의 빛이 버튼 유닛(100)에 조사된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숫자가 표시영역(113)으로 나타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튼 유닛(100)에 광원(200)으로부터 노란색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제 1 시트(110)의 편광 패턴부(111)는 청색 파장의 빛만 차단 시키고, 다른 파장의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 1 시트(110)에 의해서는 어느 영역에서도 노란색 파장의 빛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란색 파장의 빛은 상기 제 1 시트(110)의 전체 영역을 그대로 투과하여 제 2 시트(120)를 투과하게 된다. 이때, 제 2 시트(120)의 편광 패턴부(121) 영역을 통해서는 노란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영역인 투과부(122)를 통해서만 노란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시트(120)의 편광 패턴부(121)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즉, 투과부)으로만 투과된 노란색 파장의 빛이 상기 제 2 시트(120)를 투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시트(120)의 편광 패턴부(121)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제 2 시트(120)의 투과부(122) 영역에 대한 모든 빛이 상기 제 2 시트(120)를 투과하여 제 3 시트(130)를 투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3 시트(130)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132)는 노란색 파장 빛의 투과에 대한 차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2 시트의 편광 패턴부(121)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제 2 시트(120)의 투과부(122) 영역에 대한 모든 빛이 제 3 시트(130)를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 유닛(100)을 투과하게 되는 노란색 파장의 빛은 제 2 시트(120)의 편광 패턴부(121)에 해당되는 영역이 표시영역(123)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노란색 파장의 빛이 버튼 유닛(100)에 조사된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호가 표시영역(123)으로 나타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 작용 예로,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튼 유닛(100)에 광원(200)으로부터 초록색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제 1 시트(110)의 편광 패턴 부(111)는 청색 파장의 빛만 차단 시키고, 다른 파장의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 1 시트(110)에 의해서는 어느 영역에서도 초록색 파장의 빛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란색 파장의 빛은 상기 제 1 시트(110)의 전체 영역을 그대로 투과하여 제 2 시트(120)를 투과하게 된다. 이때에도, 제 2 시트(120)의 편광 패턴부(121) 영역을 통해서는 노란색 파장에 대한 빛만 차단하게 되고, 노란색 파장의 빛을 제외한 다른 파장의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 2 시트(120)에 의해서는 어느 영역에서도 초록색 파장의 빛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시트(110) 및 제 2 시트(120)를 그대로 투과하게 된 초록색 파장의 빛은 제 3 시트(130)를 투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 3 시트(130)의 편광 패턴부(131)의 영역을 통해서는 초록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영역인 투과부(132)를 통해서만 초록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 유닛(100)을 투과하게 되는 초록색 파장의 빛은 제 3 시트(130)의 편광 패턴부(131)에 해당되는 영역이 표시영역(133)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록색 파장의 빛이 버튼 유닛(100)에 조사된 경우에는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문자가 표시영역(133)으로 나타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적용 예와는 그 구성이 서로 반대로 구성되는 적용예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 시되어 있다.
상기 버튼 유닛(300)은 상기 첫 번째 적용 예의 구성과 같이 다수개의 시트가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각 시트는 각각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편광 패턴영역을 갖는다. 상기 각 시트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영역은 특정의 파장에 대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 시키는 역학을 하게 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편광 패턴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를 통해 버튼유닛(300)의 구성과 상기 버튼유닛(300)을 구성하게 되는 각 시트(310,320,330)의 구성, 그리고, 각 시트를 투과하게 되는 빛의 서로 다른 진행 경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상기 첫 번째 적용 예와 유사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버튼유닛(300)은 제 1 시트(310), 제 2 시트(320), 그리고 제 3 시트(330)로 구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튼유닛(100)을 구성하는 시트들의 숫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시트(310,320,330)는 첫 번째 적용예와 같이 각각 투과부(312,322,332) 및 편광 패턴부(311,312,3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시트(310,320,330)는 각각이 투광성 재질의 시트에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정 형상의 편광 패턴부(311,321,331)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311,321,331)는 상기 첫 번째 적용 예와는 서로 반대의 개념으로 형성된다. 즉, 첫 번째 적용 예는 편광 패턴부가 형상을 이루게 되었으나, 여기서는 편 광 패턴부가 바탕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편광 패턴부(311,321,331)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개별적으로 차단시 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310)의 경우는 상기 제 1 시트(310)에 형성된 편광 패턴부(311)가 청색의 빛을 차단시 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311)로 형성시켜 제 1 시트(310)의 편광 패턴부(311)의 영역에 의해 빛이 차단된 부분 이외의 영역으로 투과된 청색의 빛이 일정 형상의 패턴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그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편광 패턴부(311)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은 어두운 영역의 바탕에 청색의 빛이 투과된 일정 형상의 패턴이 표시영역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시트(320)의 경우는 상기 제 2 시트(320)에 형성된 편광 패턴부(321)가 노란색의 빛을 차단시 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321)로 형성시켜 제 2 시트(320)의 편광 패턴부(321)의 영역에 의해 빛이 차단된 부분 이외의 영역으로 투과된 노란색의 빛이 일정 형상의 패턴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그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편광 패턴부(321)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은 어두운 영역의 바탕에 노란색의 빛이 투과된 일정 형상의 패턴이 표시영역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또한, 제 3 시트(33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시트(330)에 형성된 편광 패턴부(331)가 초록색의 빛을 차단시 킬 수 있는 편광 패턴부(331)로 형성시켜 제 3 시트(330)의 편광 패턴부(331)의 영역에 의해 빛이 차단된 부분 이외의 영역으로 투과된 초록색의 빛이 일정 형상의 패턴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그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편광 패턴부(331)에 의해 빛이 투과되지 않은 어두운 영역의 바탕에 초록색의 빛이 투과된 일정 형상의 패턴이 표시영역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시트(310,320,330)를 조합하여 하나의 버튼유닛(300)을 구성하게 되면, 광원(20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중 일정 파장에 해당되는 빛을 상기 버튼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시트(310,320,330) 중 어느 일 시트에 의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특정 시트에 의해 빛이 차단되면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 시키게 되는 시트의 편광 패턴부를 제외한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이 노출되어 패턴부를 이루게 되는 형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도 5a 내지 도 5c를 통해 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각 시트(310,320,330)에 형성되는 패턴, 즉 편광 패턴부(311,321,331)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버튼 유닛(300)을 구성하는 각 시트(310,320,330)에 대하여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시트(310)에 숫자를 형성하게 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바탕을 이루게 되는 영역에 편광 패턴부(311)가 형성되고,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시트(320)에 기호를 형성하게 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편광 패턴부(321)가 형성되며,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3 시트(330)에 문자를 형성하게 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편광 패턴부(331)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을 기초로 하여 볼 때,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튼 유닛(300)에 광원(200)으로부터 청색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제 1 시트(310)의 편광 패턴부(311) 영역을 통해서는 청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영역인 투과부(312)를 통해서만 청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시트(310)의 편광 패턴부(311)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즉, 투과부)으로만 투과된 청색 파장의 빛은 제 2 시트(320) 및 제 3 시트(330)를 투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2 시트(320) 및 제 3 시트(330)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311,321,331)는 청색 파장 빛의 투과에 대한 차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시트의 편광 패턴부(311)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제 1 시트(110)의 투과부(312) 영역에 대한 모든 빛이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적용 예에서와 같이 도 6a에 형성된 숫자가 표시영역(313)을 이루게 되는데, 여기서는 첫 번째 적용 예와는 달리 숫자가 청색 파장의 빛에 의해 표시되고, 나머지 배경 영역이 어두운 영역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튼 유닛(300)에 광원(200)으로부터 노란색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제 1 시트(3310)의 편광 패턴부(311)는 청색 파장의 빛만 차단 시키고, 다른 파장의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 1 시트(310)에 의해서는 어느 영역에서도 노란색 파장의 빛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란색 파장의 빛은 상기 제 1 시트(310)의 전체 영역을 그대로 투과하여 제 2 시트(320)를 투과하게 된다. 이때, 제 2 시트(320)의 편광 패턴부(321) 영역을 통해서는 노란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영역인 투과부(322)를 통해서만 노란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시트(320)의 편광 패턴부(321)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즉, 투과부)으로만 투과된 노란색 파장의 빛이 상기 제 2 시트(120)를 투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호 형상을 이루게 되는 영역으로만 노란색 파장의 빛이 투과된다.
이와 같이 제 2 시튼(320)를 투과한 노란색 파장의 빛은 제 3 시트(330)를 투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 3 시트(330)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부(331)는 노란색 파장 빛의 투과에 대한 차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2 시트의 편광 패턴부(321)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제 2 시트(320)의 투과부(322) 영역에 대한 모든 빛이 제 3 시트(330)를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적용 예에서와 같이 도 6b에 형성된 기호가 표시영역(323)을 이루게 되는데, 여기서는 첫 번째 적용 예와는 달리 기호가 노란색 파장의 빛에 의해 표시되고, 나머지 배경 영역이 어두운 영역으로 나타나게 된다.
마지막 작용 예로,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튼 유닛(300)에 광원(200)으로부터 초록색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제 1 시트(310)의 편광 패턴부(311)는 청색 파장의 빛만 차단 시키고, 다른 파장의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 1 시트(310)에 의해서는 어느 영역에서도 초록색 파장의 빛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 2 시트(320)의 편광 패턴부(321) 영역을 통해서는 노란색 파장에 대한 빛만 차단하게 되고, 노란색 파장의 빛을 제외한 다른 파장의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 2 시트(320)에 의해서도 어느 영역도 초록색 파장 의 빛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시트(310) 및 제 2 시트(320)를 그대로 투과하게 된 초록색 파장의 빛은 제 3 시트(330)를 투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 3 시트(330)의 편광 패턴부(331)의 영역을 통해서는 초록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영역인 투과부(332)를 통해서만 초록색 파장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적용 예에서와 같이 도 6c에 형성된 문자가 표시영역(333)을 이루게 되는데, 여기서는 첫 번째 적용 예와는 달리 문자가 초록색 파장의 빛에 의해 표시되고, 나머지 배경 영역이 어두운 영역으로 나타나게 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 유닛을 구성하는 시트와 편광 패턴부의 형상은 상기 적용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를 통해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버튼 유닛은 일반적인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적용될 수 있는데,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통신 단말기(10)에 적용된 예를 도시된 도면을 통해 설명을 하면, 하나 통신 단말기(10)는 버튼 유닛(100)과 표시영역(13)이 구비되는 제 1 몸체(11)와 제 2 몸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두 몸체(11,12)는 힌지 유닛(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과 같은 통신 단말기(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바디(11)에 구성되는 버튼 유닛은 일반적인 버튼 유닛과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유닛(100)이 함께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유닛(100,300)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 유닛의 하부위치에는 광원(200)과 스위치(11-2)를 포함하는 기판(11-1)이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광원(200)의 위치는 일반적인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광원의 위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원(2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파장을 가지는 다수개의 광원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LED(Light-Emitting Diode) 또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다른 발광 수단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LED는 다양한 발광색을 가지는 각각의 LED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20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를 구성하게 되는 버튼 유닛(100)으로 구성되는 입력부(100-1)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20)를 통해 제어하여 해당 신호에 적합한 모드(31,32,33)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드와 상응하는 버튼의 표시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버튼의 표시 형상이 표시되는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해당 파장을 갖는 광원이 발광될 수 있도록 작동되게 한다.
예들 들어 상기 모드 1(31)은 통화를 위하여 숫자가 필요한 모드이고, 모드 2(32)는 게임 등을 위하여 특정 기호가 필요한 모드이며, 모드 3(33)은 문자 메세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문자가 필요한 모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통화 또는 계산 등과 같은 모드에 있어서는 숫자를 이용하게 되고,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광원이 발광 되어 숫자가 버튼 유닛(100,30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등과 같은 모드에 있어서는 기호를 이용하게 되고, 기호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광원이 발광 되어 기호가 버튼 유닛(100,30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문자 메세지를 이용하기 위한 모드에 있어서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광원이 발광 되어 문자가 버튼 유닛(100,30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편광 패턴을 갖는 키패드 버튼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상기 설명에 의한 구조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버튼 영역에서 표시되는 기능 수행 또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기호 등의 형상이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단일 형상으로 버튼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버튼의 영역 전체의 크기와 상응하는 표시영역을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에 표기되는 형상의 디자인을 유연하게 변형 또는 최적의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어 버튼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일정 형상의 표시영역을 형성시키게 되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광원과;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고, 각 투광성 부재는 모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와 특정 모드에서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패턴부가 형성되며, 스위치를 눌러 특정 신호가 발생 되게 하는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성 부재는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되는 시트이고,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패턴부는 편광 패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편광 패턴부가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편광 패턴부가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문자가 형성되는 시트, 숫자가 형성되는 시트, 기호가 형성되는 시트 또는 특정 형상이 형성되는 시트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파장의 빛은 청색, 노란색, 빨간색, 녹색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7.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어 버튼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일정 형상의 표시영역을 형성시키게 되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광원과;
    다수개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고, 각 투광성 부재는 모든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와 특정 모드에서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패턴부가 형성되며, 스위치를 눌러 특정 신호가 발생 되게 하는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키패드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버튼 중 특정 기호, 문자, 숫자 또는 형상이 조합되어 표기되는 버튼만 특정 파장의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키패드 버튼의 입력에 의해 출력 모드가 제어되어 해당 광원이 발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LED는 청색, 노란색, 빨간색 및 녹색 광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KR1020060063639A 2006-07-06 2006-07-06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KR10120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39A KR101208978B1 (ko) 2006-07-06 2006-07-06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39A KR101208978B1 (ko) 2006-07-06 2006-07-06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27A KR20080004827A (ko) 2008-01-10
KR101208978B1 true KR101208978B1 (ko) 2012-12-06

Family

ID=3921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639A KR101208978B1 (ko) 2006-07-06 2006-07-06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665A (ja) * 1998-07-27 2000-02-18 Polymertech Kk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665A (ja) * 1998-07-27 2000-02-18 Polymertech Kk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27A (ko)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5961B2 (en) Electronic equipment, backlight structure and keypad for electronic equipment
EP0508563B1 (en) Illuminated pushbutton keyboard
CN1738328B (zh) 便携式终端设备的按键结构
US7335844B2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730760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flective panel
JP2009146652A (ja) 操作キー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2674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장치
JP2004355368A (ja) 表示装置
JP2012058756A (ja) 表示デバイス、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TWI756738B (zh) 發光模組及其鍵盤
JP4981056B2 (ja) 情報提示装置
KR101208978B1 (ko) 키패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KR100600778B1 (ko) 2방향 키패드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45664B1 (ko) 휴대 단말기
JP2010145477A (ja) 発光表示装置
KR200370057Y1 (ko) 휴대폰용 하프미러 키패드
JP4094602B2 (ja) 電子機器のキーボタン照明構造
KR20025302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명구조
JP2009181413A (ja) キー入力装置、現金自動払い出し装置、暗証番号入力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4296208A (ja) 電子機器
JP3143541U (ja) マルチモード表示機能付押ボタン構造
JP2008009526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834286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200400532Y1 (ko) 난반사 인쇄부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KR100856440B1 (ko) 멀티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엘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