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35B1 -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35B1
KR101208735B1 KR1020120037685A KR20120037685A KR101208735B1 KR 101208735 B1 KR101208735 B1 KR 101208735B1 KR 1020120037685 A KR1020120037685 A KR 1020120037685A KR 20120037685 A KR20120037685 A KR 20120037685A KR 101208735 B1 KR101208735 B1 KR 10120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nlight
light emitting
light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씨이티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이티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이티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35B1/ko
Priority to PCT/KR2013/003096 priority patent/WO20131543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외에 설치되어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면서 태양광을 채광하되, 태양광에 포함된 태양열을 제거하고 가시광선 영역대의 태양광을 집중적으로 채광하는 채광유닛; 상기 채광유닛을 통해 채광된 상기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전달유닛;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되, 상기 채광유닛을 통해 채광되는 상기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이 더 많을 수 있도록,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발광유닛;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실내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INDOOR TYPE SOLAR PHOTOVOLTAT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HAVING HIGH EFFICIENCY}
본 발명은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채광하는 부분과 채광된 태양광으로부터 발전하는 부분을 각각 실외와 실내에 구분하여 배치하고, 채광되는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더 많은 단위면적당 광량의 태양광이 발전하는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부각되면서 친환경적인 발전 장치에 대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것이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장치이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 장치의 경우, 태양전지판으로 태양광이 주사될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으로 태양이 일대일로 직접 비춰질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고층 빌딩이 많은 도심에서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물론 넓은 대지가 트여 있는 시골에서도 발생될 수 있지만) 도심에서는 먼지, 화학적 오염물 등 태양전지판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물질이 특히 많이 존재하는 주변환경적인 제약도 있다는 점에서 도심에서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간적인 제약 또는 주변환경적인 제약을 넘어서 태양광 발전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들을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적인 제약 또는 주변환경적인 제약을 넘어서서 태양광 발전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채광하는 부분과 채광된 태양광으로부터 발전하는 부분을 각각 실외와 실내에 구분하여 배치하고, 채광되는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더 많은 단위면적당 광량의 태양광이 발전하는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는, 실외에 설치되어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면서 태양광을 채광하되, 태양광에 포함된 태양열을 제거하고 가시광선 영역대의 태양광을 집중적으로 채광하는 채광유닛; 상기 채광유닛을 통해 채광된 상기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전달유닛;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되, 상기 채광유닛을 통해 채광되는 상기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이 더 많을 수 있도록,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발광유닛;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실내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에 집광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기설정된 구역으로 발광시키는 다수의 발광홀과, 상기 케이스에 집광된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발광홀을 통해 모두 발광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마련된 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대향하는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태양전지판은 상기 다수의 발광홀에 대응하는 셀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단위 발전 세트라 할 때,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실내에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다수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반구 형상으로 인해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의 방향이 일정하게 고정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의 내측 곡면이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하게 상기 발광부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광부의 내측 곡면에 대향하는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태양전지판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는 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단위 발전 세트라 할 때,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실내에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넷으로 구성되되, 상기 캐비넷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상기 캐비넷의 내측 일면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넷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만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광유닛에서 발광되는 상기 태양광의 일부가 실내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발전 세트를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광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이 투과되는 이중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중 플레이트를 투과한 상기 태양광을 채광하여 반사시키는 제1 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반사경에서 반사된 상기 태양광을 재반사시키는 제2 반사경과, 상기 제2 반사경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광유닛은, 상기 이중 플레이트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이중 플레이트 내부의 밀폐공간에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광유닛은,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된 회동부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별도로 마련된 태양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기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는 상기 발전유닛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축전할 수 있는 축전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에 의하면, 태양광을 채광하는 부분과 채광된 태양광으로부터 발전하는 부분을 각각 실외와 실내에 구분하여 배치하고, 채광되는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더 많은 단위면적당 광량의 태양광이 발전하는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공간적인 제약 또는 주변환경적인 제약을 넘어서서 태양광 발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실내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광유닛 및 발전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광유닛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광유닛 및 발전유닛의 변형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채광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채광유닛의 하우징 내측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좌측?우측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실내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광유닛 및 발전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광유닛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광유닛 및 발전유닛의 변형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채광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채광유닛의 하우징 내측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는 채광유닛(100), 광전달유닛(200), 발광유닛(300), 발전유닛(400), 고정유닛(500), 축전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채광유닛(100)은 실외에 설치되어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면서 태양광을 채광하는 구성요소로서, 태양광에 포함된 태양열을 제거하고 가시광선 영역대의 태양광을 집중적으로 채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채광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구성 및 형상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채광유닛(100)은 하우징(110)과, 이중 플레이트(120, 130)와, 제1 반사경(140)과, 제2 반사경(150)과, 수광부(160)와, 열교환부(170)와, 회동부(180)와, 구동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회동부(180)와 구동부(19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태양광이 수광부(160)에 수광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중 플레이트(120, 130)는 하우징(110)의 상면을 덮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경(140)과, 제2 반사경(150)과, 수광부(16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물이 유동되도록 하여 태양열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중 플레이트(120, 130)의 역할 중 태양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중 플레이트(120, 130)는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제1 플레이트(120)와 제2 플레이트(130)로 구성되되, 제1 플레이트(120)와 제2 플레이트(13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면되도록 하고 이격된 소정 간격은 밀폐되도록 하여 태양열(특히, 적외선)을 흡수하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중 플레이트(120, 130) 사이를 물이 유동하면서 태양광에 포함된 태양열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반사경(140) 및 제2 반사경(150)을 통해 수광부(160)로 태양광을 집중시키더라도 수광부(1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태양광이 필터링되어 발전유닛(400)까지 전달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물이 이중 플레이트(120, 130) 전면을 골고루 유동할 수 있도록 격벽이 제1 플레이트(120)와 제2 플레이트(1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 태양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이중 플레이트(120, 130)가 평평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유동하는 물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함은 당연하다.
또한, 태양열을 흡수함에 따라 물이 수증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중 플레이트(120, 130)는 열교환부(170)와 연결된다.
이때, 열교환부(170)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데워진 물을 차가운 물로 교체하여 주는 구성요소로, 이중 플레이트(120, 130)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물을 유입하는 유입관(172)과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74)을 구비한다.
이러한 열교환부(170)는 계속적으로 물을 교체해줄 필요가 없으며, 이중 플레이트(120, 130) 내부의 밀폐공간에서의 물의 온도를 별도의 센서로 감지하거나 흡수되는 태양열에 따라 물이 데워지는 시간을 미리 계산하여 간헐적으로 교체해주면 될 것이다.
아울러, 배출관(17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태양열을 흡수하였으므로 열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는바, 별도로 열 에너지가 필요한 부분(난방, 해수의 담수화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반사경(140) 및 제2 반사경(140)은 하우징의 하면 및 내부에 각각 고정되어 이중 플레이트(120, 130)를 투과한 태양광을 반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2개의 반사경(140, 150)을 통해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이유는, 제1 반사경(140)이 태양광을 채광할 수 있도록 개방된 하우징(110)의 상면 반대방향으로 파라볼릭 형태로 만곡되어 있는데 수광부(160)가 제1 반사경(140)의 초점을 향해 배치되는데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즉, 제1 반사경(140)의 초점에 제2 반사경(140)을 배치하여 재반사시킴으로써, 수광부(160)가 제1 반사경(140)의 초점을 향해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수광부(160)에 태양광이 채광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광부(160)는 태양광을 수광하는 구성요소로, 제1 반사경(140)을 통해 채광되어 반사되고 제2 반사경(150)을 통해 재반사된 태양광을 수광한다.
이러한 수광부(160)는 태양광이 수광되는 방향이 더 넓은 직경을 가질 수 있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반사경(150)을 통해 반사된 태양광이 누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90)는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하우징(110)의 하측에 마련된 회동부(180)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190)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부(190)를 구성하는 모터 및 기어를 작동시켜 회동부(180)를 선회시킬 수도 있으나, 하우징(110)에 별도로 마련된 태양전지(192)를 통해 생성된 전기로 구동부(190)를 구성하는 모터 및 기어를 작동시켜 회동부(180)를 선회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채광유닛(100)을 통해 실외에서 채광된 태양광은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어 발전되는데 이용된다.
이때, 광전달유닛(200)은 실외에서 실내로 태양광을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부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례로, 광전달유닛(200)은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사용하여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태양광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구성하여 전달 중에 태양광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광섬유(optical fiber)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광유닛(300)은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전달된 태양광을 집광하여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발광유닛(300)이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광시키는 것은, 채광유닛(100)을 통해 채광되는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발광유닛(300)에 의해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이 더 많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발광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광시킬 수 있다면 구성 및 형상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 발광유닛(300)은 케이스(310)와, 발광홀(320)과, 반사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310)는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전달된 태양광을 집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케이스(3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유닛(300)이 캐비넷 또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고정유닛(500)을 통해 고정되기 용이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발광홀(320)은 기설정된 구역을 향하는 케이스(310)의 일면에 마련되어 케이스(310)에 집광된 태양광을 기설정된 구역으로 발광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발광홀(320)은 케이스(310)의 일면에 다수 마련될 수 있는데, 그 개수는 발전유닛(400)을 구성하는 태양전지판의 셀 개수에 대응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발광홀(320)의 크기 또한 셀 용량에 따라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반사부재(330)는 케이스(310)에 집광된 태양광이 발광홀(320)을 통해 모두 발광될 수 있도록 케이스(310) 내측면에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반사부재(330)는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이 발광홀(320)이 마련된 케이스(310)의 일면을 향해서만 반사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케이스(310) 내부에서 자유롭게 난반사되어 종국적으로 발광홀(320)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부재(330)는 케이스(310) 내부에 마련되면 그 구성이나 형상에 대하여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330)는 유리나 금속성 물질이 케이스(310)의 내측면을 코팅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발광유닛(300)의 일례와 다른 일례로, 발광유닛(300)은 발광부(340)와, 브라켓(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40)는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전달된 태양광을 집광하여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다수의 반구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발광부(340)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부분과 발광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둔 전술한 발광유닛(300)의 일례와 달리, 태양광을 집광하는 동시에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광부(340)를 반구 형상으로 구성하여 광전달유닛(200)의 단부에서 사방으로 퍼지는 태양광을 반구 형상을 통해 기설정된 구역으로 직진시키도록 함으로써, 태양광을 집광하는 동시에 발광시킨다.
한편, 브라켓(350)은 발광부(340)의 내측 곡면이 기설정된 구역을 향하도록 발광부(340)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광부(34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부(340)를 고정하지 않으면 좌우로 구르게 되어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태양광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350)을 이용하여 발광부(340)를 고정시키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발전유닛(400)은 발광유닛(300)에 의해 태양광이 주사되는 구역인 기설정된 구역에 마련되어,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발전유닛(400)은 발광유닛(300)의 일례를 구성하는 케이스(310)의 일면에 대향하거나 또는 발광유닛(300)의 다른 일례를 구성하는 발광부(340)의 내측 곡면에 대항하는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태양전지판에 포함되는 셀의 개수 및 크기 등은 케이스(310)의 일면에 마련된 발광홀(320) 또는 발광부(340)의 개수 및 크기 등에 대응하여 조정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태양전지판은 케이스(310)의 일면 또는 브라켓(350)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발광유닛(300)과 발전유닛(400)을 단위 발전 세트라 할 때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가 연결되어 실내에 마련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하여는 고정유닛(500)에 대하여 설명할 때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유닛(500)은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을 실내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실내란 격벽(W)을 기준으로 실외랑 구분되어지는 구역으로서 그 크기나 형상에 있어서는 당연히 제한이 없다. 즉, 채광유닛(100) 및 광전달유닛(20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여도 무방하며, 사용자가 내부에서 활동할 수 있는 크기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어떠한 크기의 실내인지와 무방하게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은 태양광이 주사되는 방향이 변경되지 않아야 하므로, 고정유닛(500)을 통해 고정되어야 할 것이며, 이때 고정유닛(500)은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을 고정시킨다면 어떠한 구조나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일례로, 고정유닛(500)은, 발전유닛(400)을 단위 발전 세트라 할 때,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를 수용하는 캐비넷(cabin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캐비넷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의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각 단마다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3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고 직육면체가 아닌 다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캐비넷은 다수의 연결구(520, 530)를 구비하여. 캐비넷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가 캐비넷의 내측 일면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정렬되는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300)의 일례를 구성하는 케이스(310)의 일면과 발광유닛(300)을 구성하는 태양전지판의 일면 각각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결구(520, 530)는 발광유닛(300)을 정렬시키는 제1 연결구(510)와, 발전유닛(400)을 정렬시키는 제2 연결구(520)로 구분하여 캐비넷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이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위 발전 세트를 하나의 연결구로 정렬시킬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캐비넷은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홀(53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채광유닛(100)에서 태양열을 차단하였지만, 모든 태양열을 완전히 차단한 것은 아니며 발전유닛(400)에서 전기를 발생하는 과정에서도 발열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환풍홀(530)이 필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고정유닛(500)의 일례와 다른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500)은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가 벽체(W)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540)는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나의 단위 발전 세트만이 벽체(W)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발전 세트를 벽체(W)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고정부재(540)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할 것인데, 고정부재(540)는 단위 발전 세트를 벽체(W)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역할만 수행한다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므로, 고정시키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540)는 발광유닛(300)에서 발광되는 태양광의 일부가 실내를 향할 수 있도록 단위 발전 세트를 벽체(W)의 내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로부터 발광유닛(300)을 실내 조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유닛(400)을 벽체(W)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발광유닛(300)을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하며 발광홀(320)이 마련된 발광유닛(300)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태양광이 일부 발광될 수 있도록 하여 직접 조명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발광유닛(300)을 벽체(W)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발전유닛(400)을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발광유닛(300)이 발전유닛(400)이 배치된 기설정된 구역으로 태양광을 발광시킬 때 새어나올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간접 조명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유닛(500)은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은 실내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데, 각각 하나의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만을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각 하나의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을 단위 발전 세트로 구성하여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를 고정유닛(500)을 통해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여 고정시킨다는 점에서, 작은 실내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때,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는 광전달유닛(20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고 볼 수 있는데, 어느 하나의 단위 발전 세트가 이상이 있을 경우에 다른 단위 발전 세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광전달유닛(200)에 의해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것보다 발전 효율도 더 좋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한편, 축전유닛(600)은 발전유닛(400)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축전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고정유닛(500)과 이격되어 실내의 별도의 일 지점에 마련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500)을 캐비넷으로 구성한다면 캐비넷의 하나의 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재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광유닛(100)을 이용하여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면서 태양광을 채광한다. 이때, 채광유닛(100)을 구성하는 이중 플레이트(120, 130) 내부에 물을 유동시켜 태양광에 포함된 태양열을 제거하고, 가시광선영역의 태양광이 채광유닛(100)을 통해 채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채광유닛(100)을 통해 실외에서 채광된 태양광은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실내에 마련된 발광유닛(300)으로 전달된다. 이때, 실외에 마련된 채광유닛(100)과 실내에 마련된 발광유닛(300)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의 좌/우측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의 상측에 인접하여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렇게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발광유닛(300)으로 전달된 태양광은 발광유닛(300)을 구성하는 케이스(310)에서 집광되어 발광홀(320)을 통해 기설정된 구역에 마련된 발전유닛(400)으로 발광되거나, 또는 발광유닛(300)을 구성하는 발광부(340)를 통해 집광되는 동시에 기설정된 구역에 마련된 발전유닛(400)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유닛(300)으로부터 집중적으로 태양광을 조사받은 발전유닛(400)은 발전하게 되어, 실내에 필요한 양의 전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축전유닛(600)에 전기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은 고정유닛(500)을 통해 실내의 일 지점에 고정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유닛(500)을 캐비넷으로 구성하여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 각각을 하나의 단위 발전 세트로 구성하여 다수의 단위 발전 세트를 캐비넷의 내측 일면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거나, 또는 고정유닛(500)을 고정부재(540)로 구성하여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 각각을 하나의 단위 발전 세트로 구성하여 하나의 단위 발전 세트를 벽체(W)의 내측면에 고정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을 실외에 배치되는 채광유닛(100)과 분리하여 실내에 배치함으로써,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은 문제점 또는 불편함들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유닛(500)을 이용하여 발광유닛(300) 및 발전유닛(400)을 고정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 및 외관상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광유닛(300)을 통해 발광되는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을 채광유닛(100)을 통해 채광되는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많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태양광 발전 장치보다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 : 벽체
100 : 채광유닛 110 : 하우징
112 : 밀폐부재 120 : 제1 플레이트
130 : 제2 플레이트 140 : 제1 반사경
150 : 제2 반사경 160 : 수광부
170 : 열교환부 172 : 유입관
174 : 배출관 180 : 회동부
190 : 구동부 192 : 태양전지
200 : 광전달유닛
300 : 발광유닛 310 : 케이스
320 : 발광홀 330 : 반사부재
340 : 발광부 350 : 브라켓
400 : 발전유닛
500 : 고정유닛 510 : 제1 연결구
520 : 제2 연결구 530 : 환풍홀
540 : 고정부재
600 : 축전유닛

Claims (15)

  1. 실외에 설치되어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면서 태양광을 채광하되, 태양광에 포함된 태양열을 제거하고 가시광선 영역대의 태양광을 집중적으로 채광하는 채광유닛;
    상기 채광유닛을 통해 채광된 상기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전달유닛;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되, 상기 채광유닛을 통해 채광되는 상기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보다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의 단위면적당 광량이 더 많을 수 있도록,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발광유닛;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실내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채광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이 투과되는 이중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중 플레이트를 투과한 상기 태양광을 채광하여 반사시키는 제1 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반사경에서 반사된 상기 태양광을 재반사시키는 제2 반사경과, 상기 제2 반사경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에 집광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기설정된 구역으로 발광시키는 다수의 발광홀과,
    상기 케이스에 집광된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발광홀을 통해 모두 발광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마련된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대향하는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태양전지판은 상기 다수의 발광홀에 대응하는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단위 발전 세트라 할 때,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실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광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된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해 발광시키는 다수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반구 형상으로 인해 상기 기설정된 구역에 주사되는 상기 태양광의 방향이 일정하게 고정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의 내측 곡면이 상기 기설정된 구역을 향하게 상기 발광부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광부의 내측 곡면에 대향하는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태양전지판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는 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발전유닛을 단위 발전 세트라 할 때,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실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캐비넷으로 구성되되, 상기 캐비넷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상기 캐비넷의 내측 일면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9. 상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10.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다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나의 상기 단위 발전 세트만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광유닛에서 발광되는 상기 태양광의 일부가 실내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발전 세트를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유닛은,
    상기 이중 플레이트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이중 플레이트 내부의 밀폐공간에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유닛은,
    태양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된 회동부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별도로 마련된 태양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기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축전할 수 있는 축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0120037685A 2012-04-12 2012-04-12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20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85A KR101208735B1 (ko) 2012-04-12 2012-04-12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PCT/KR2013/003096 WO2013154388A1 (ko) 2012-04-12 2013-04-12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85A KR101208735B1 (ko) 2012-04-12 2012-04-12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735B1 true KR101208735B1 (ko) 2012-12-06

Family

ID=4790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685A KR101208735B1 (ko) 2012-04-12 2012-04-12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8735B1 (ko)
WO (1) WO2013154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8986A3 (en) * 2021-09-10 2023-05-31 Eagle Sekkei, Co., Ltd.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8795B1 (en) * 2018-10-17 2020-03-03 Orenko Limited Light collection housing
US10483906B1 (en) * 2018-10-17 2019-11-19 Orenko Limited Photovoltaic solar conver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423A (ja) 2002-12-30 2004-07-29 Dejiko Kyokyu Center Kk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1216835A (ja) 2010-04-01 2011-10-27 Eiji Suzuki 照明光発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925A (ja) * 1993-04-15 1994-10-28 Asahi Glass Co Ltd 太陽光集光照明装置
JPH0854577A (ja) * 1994-08-10 1996-02-27 Chikyu Kankyo Sangyo Gijutsu Kenkyu Kiko 太陽光集光伝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423A (ja) 2002-12-30 2004-07-29 Dejiko Kyokyu Center Kk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1216835A (ja) 2010-04-01 2011-10-27 Eiji Suzuki 照明光発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8986A3 (en) * 2021-09-10 2023-05-31 Eagle Sekkei, Co., Ltd.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388A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5297A1 (en) Sunlight Collecting System for Illumination
KR100991600B1 (ko) 태양광 채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증기 발생장치
US9279416B2 (en) Solar power system
US20090205699A1 (en) Solar-power collector
US20100154864A1 (en) Photovoltaic-thermal hybrid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208735B1 (ko) 고효율 실내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244406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
CN102074606B (zh) 聚光式太阳能综合收集与转化装置
WO2013008665A1 (ja) 集光器、集光システム、太陽光発電装置、及び、ソーラーシステム
KR20190006472A (ko)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구비한 양면태양광모듈
CN202253341U (zh) 高能量太阳光照明导光系统
KR2021004199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태양 에너지 복합 발전 시스템
KR20120123944A (ko) 다목적 태양광 집광장치
KR101027636B1 (ko) 광파이프 태양광 채광장치 및 분배 집광장치
KR102030850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생산 시스템
KR20170142631A (ko) 태양광 멀티목적 집광장치
KR101391613B1 (ko) 태양열 발전장치
KR101123365B1 (ko)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온풍기
KR20090116670A (ko) 태양 에너지 이용을 위한 다양한 블라인드 유로 슬랫
KR20110119430A (ko) 엘이디와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선라이트시스템
CN219960418U (zh) 具有光纤集光与带内反射镜照射的月表蓄热式温差发电器
CN219640465U (zh) 带有菲涅尔透镜阵列的太阳能光热利用聚能装置
CN211701910U (zh) 一种非仰面太阳能板
KR20120008568A (ko) 태양열 집열판용 진공집열관
KR200229113Y1 (ko) 히타용오목반사경을이용한가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