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05B1 -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05B1
KR101208705B1 KR1020090022775A KR20090022775A KR101208705B1 KR 101208705 B1 KR101208705 B1 KR 101208705B1 KR 1020090022775 A KR1020090022775 A KR 1020090022775A KR 20090022775 A KR20090022775 A KR 20090022775A KR 101208705 B1 KR101208705 B1 KR 10120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information
sensory information
smm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501A (ko
Inventor
신현순
정기숙
윤재관
한인탁
이해룡
박광로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9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실감있는 미디어서비스를 위해 미디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효과 및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차세대 신개념의 미디어를 비디오/오디오를 비롯한 여러 디바이스들을 연동하여 재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기존의 미디어에 실감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및 동기화 정보가 추가된 새로운 구조의 확장형 미디어(ne-미디어)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감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새로운 구조의 확장형 미디어의 메타데이터(neo-data)를 분석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및 복수의 디바이스 간 연동을 통해 실감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of ne-media service based on SMMD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실감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미디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효과 및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차세대 신개념의 미디어를 비디오/오디오를 비롯한 여러 디바이스들을 연동하여 제어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10-01, 과제명: SMMD 기반 유비쿼터스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개발].
일반적으로 미디어 서비스는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미디어를 AV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즉, 하나의 미디어를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현하도록 한다.
유비쿼터스 IT(Information Technology) 시대에는 인간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실감 기술과 디바이스 간 자율 협업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기술이 미디어에 복합 적으로 적용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를 재현하는 방식으로는 구현이 어렵다. 즉, 실감을 내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와 미디어가 연동하고 미디어의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가 작동되어야 가능하다.
현재의 미디어 서비스는 하나의 미디어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현되는 SMSD(Single Media Single Device) 기반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유비쿼터스 홈에서의 미디어 재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미디어가 복수 개의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재현되는 SMMD(Single Media Multi Devices) 기반의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디어와 디바이스의 연동을 통해 미디어가 재현되는 SMMD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어 구조 및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기존의 미디어에, 실감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및 동기화 정보가 추가된 새로운 구조의 확장형 미디어(ne-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장형 미디어의 메타데이터(neo-data)를 분석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및 여러 디바이스 간 연동을 위한 SMMD 제어 구조를 구축하고, SMMD 제어 구조하에서 미디어와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SMMD 기반의 실감형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는, 미디어와,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를 갖는 네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로서, 상기 실감정보를 재현하는 디바이스,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요청 입력 시, 상기 네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와 상기 디바이스를 맵핑하고, 상기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실감정보의 동기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감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구동 시작 명령 및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구동 중지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화 제어부는,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중지 요청 시,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모두 중지될 때까지 상기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이 중지된 후에 상기 미디어의 재생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화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구동 종료 시, 상기 디바이스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동기 신호 정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은, 미디어와,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를 갖는 네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요청 입력 시, 상기 네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와 상기 실감정보를 재현할 디바이스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실감정보의 동기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감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로의 구동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구동 시작 명령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실감정보가 재현되는 단계, 및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중지 요청 입력 시,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맵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확장형 미디어를 객체별로 파싱하여, 상기 미디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를 갖는 네오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맵핑하는 단계 이전에, 홈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네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네오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에 대한 동기 신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동기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네오데이터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네오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실감정보와 상기 디바이스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오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와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정보의 동기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실감정보의 재생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 중 해당 실감정보의 재생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실감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로의 구동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실감정보가 재현되는 동안,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를 읽어 버퍼링을 수행하는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링 수행 후 상기 미디어에 대한 재생 명령이 출력되기 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맵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미디어를 재생시키기 위한 미디어 재생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미디어 제어부와 연동하며, 해당 미디어의 재생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실감정보를 재현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중지 요청 입력 시, 해당 시점에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로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생 중인 미디어를 중지시키기 위한 재생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재생 중인 미디어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각 디바이스 정보 및 그의 동기 정보를 제거하고,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기존의 미디어에 실감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및 동기화 정보가 추가된 새로운 구조의 확장형 미디어(ne-미디어)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감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확장형 미디어의 메타데이터(neo-data)를 분석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및 복수의 디바이스 간 연동을 통해 실감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본 발명은 SMMD(Single Media Multi Devices) 기반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확장형 미디어(이하, 'ne-미디어'라 칭함)는 기존의 미디어(media)인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외에 향기, 냄새, 촉감, 온도/습도 등의 부가적인 정보가 추가된 네오 데이터(neo-data)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재현하기 위한 장치는,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개인의 취향 및 주변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특정 효과를 함께 재현하도록 함으로써 실감 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네오 데이터는 새로운 형식의 메타 데이터로서, 확장형 미디어를 통해 재현할 실감정보가 기록된다. 즉, 네오 데이터에는 일반적인 미디어 정보 외에, 객체형 미디어, 체험형 미디어, 실감형 미디어 등 추가로 부가된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네오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디바이스(129)에 대한 제어 정보, 동기(sync) 정보 및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때, 기록된 부가정보는 각각의 미디어가 연동될 디바이스 정보와 동기화된다.
또한, 네오 데이터에는 확장형 미디어를 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디바이스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확장형 미디어 재현 시, 미디어 재생기(117)를 통해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 은 미디어를 재생시킨다. 한편, 실감정보는 그외 복수의 디바이스(129)를 통해 재현하도록 한다. 이때, 실감정보를 재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바이스(129)로는 조명장치(129a), 핸드폰(129b) 및 발향장치(129c)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서 사용자 주변의 디바이스(129)에 대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는, ne-미디어 생성부(101), ne-미디어 저장부(103), 브라우저 제어부(105), 동기화 제어부(107), ne-미디어 파서(109), 네오 데이터 분석기(111), 미디어 제어부(113), 미디어 디코더(115), 미디어 재생기(117), 디바이스 프로파일 관리부(119),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21), 디바이스 속성 관리부(123), 디바이스 제어부(125),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7) 및 복수의 디바이스(129)를 포함한다.
ne-미디어 생성부(101)는 SMCF(SMMD ne-Media Create Function) 모듈로서, 네오 데이터와 미디어 리소스를 결합하여 ne-미디어를 생성한다.
ne-미디어 저장부(103)는 ne-미디어 생성부(101)에 의해 생성된 ne-미디어가 저장된다.
브라우저 제어부(105)는 SBCF(SMMD Browsing Control Function) 모듈로서,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GUI)인 ne-미디어 브라우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각 기능 모듈과 연동 제어를 수행한다.
동기화 제어부(107)는 SSCF(SMMD Synchronization Control Function)를 수행하는 모듈로서, 미디어와 연동될 디바이스(129)를 검색하고 동기 정보를 관리하며, 미디어와 디바이스(129) 사이의 동기 제어 및 디바이스(129)를 통해 실감 정보를 재현하기 위한 연동 제어를 수행한다.
ne-미디어 파서(109)는 SMPF(SMMD ne-Media Parsing Function) 모듈로서, ne-미디어를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A/V 신호)와, 디바이스1, 디바이스2, ... 등의 실감 정보를 포함하는 네오데이터(neodata) 등으로 각 객체를 분리한다.
네오 데이터 분석기(111)는 SNAF(SMMD neodata Analysis Function) 모듈로서, 네오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디어와 연동될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구성한다.
미디어 제어부(113)는 SAVPF(SMMD AV Media Play Function) 모듈로서,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한다.
미디어 디코더(115)는 SMDH(SMMD Media Decoder Hardware) 모듈로서, 미디어를 디코딩하여 미디어 재생기(117)를 통해 미디어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재생기(117)는 TV, MP3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쓰이는 미디어 재생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디바이스 프로파일 관리부(119)는 SPMF(SMMD Device Profile Management Function) 모듈로서, 홈 내 디바이스(129)의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해당 디바이스(129)의 프로파일 검색을 지원한다.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21)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관리부(119) 및 디바이스 속성 관리부(123)에 의한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 및 디바이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가 저장된다.
디바이스 속성 관리부(123)는 SDAMF(SMMD Device Attribute Management Function) 모듈로, 각 디바이스(129)들의 속성을 수집 및 분석하고, 관리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25)는 SSDCF(SMMD Software Device Control Function) 모듈로서, 미디어와 연동될 각각의 디바이스(129)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해당 디바이스(129)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7)는 SHDCF(SMMD Hardware Device Control Function) 모듈로서, 여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디바이스(129)의 하드웨어 연결을 제어한다.
디바이스(129)는 미디어 재생기(117) 외에 실감정보를 재현하는 수단이다. 일 예로는, TV, 오디오,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 및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의 휴대 단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4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e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에서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를 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ne-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선택된 미디어의 재생을 요청하면(S301), 브라우저 제어부(105)는 선택된 미디어의 정보와 함께, 동기화 제어부(107)로 ne-미디어의 재생을 요청한다(S302).
동기화 제어부(107)는 'S302' 과정에서 브라우저 제어부(105)의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 프로파일 관리부(119) 및 디바이스 속성 관리부(123)로부터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에 연결된 디바이스(129)의 프로파일 및 해당 디바이스(129)의 사용자 정보를 확보하고(S303), 해당 디바이스(129)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한다(S304).
'S304' 과정에서, 동기화 제어부(107)는 디바이스(129)의 상태 점검이 완료되면, ne-미디어 파서(109)로 해당 미디어를 읽어, 파싱할 것을 요청한다(S305).
이때, ne-미디어 파서(109)는 해당 미디어를 외부로부터 전송받거나, ne-미디어 저장부(103)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미디어를 확보하고, 확보된 미디어를 객체 단위로 파싱한다(S306). 또한, ne-미디어 파서(109)는 객체 단위의 파싱 결과를 이용하여 네오데이터를 구성하고(S307), 동기화 제어부(107)로 파싱 결과를 통보하도록 한다(S308).
동기화 제어부(107)는 'S308' 과정의 파싱 결과로부터, 미디어 제어부(113)로 미디어를 읽어, 버퍼링할 것을 요청한다(S309). 또한, 동기화 제어부(107)는 네오 데이터 분석기(111)로, 'S308' 과정의 파싱 결과로부터 네오데이터를 분석할 것을 요청한다(S310).
이후, 도 3b 및 도 3c의 'A' 이후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제어부(113)는 'S309'과정에서 동기화 제어부(107)의 요청에 따라, 파싱된 미디어를 읽어 버퍼링을 수행하고(S311), 동기화 제어부(107)로부터 재생 시작 명령이 인가되기까지 대기하도록 한다(S312). 상세하게는, 도 3c에서 'S319' 과정이 끝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한다.
만일, 동기화 제어부(107)로부터 미디어 제어부(113)로 미디어의 재생 시작시간과 함께 미디어 재생명령이 인가되면(S320), 미디어 제어부(113)는 동기화 제어부(107)로부터 인가된 미디어 재생명령에 따라 재생 시작 시간에 맞추어 미디어의 재생이 시작되도록 한다(S321). 이때, 미디어 디코더(115)는 미디어 제어부(113)의 제어 신호에 따라 미디어 재생기(117)를 통해 미디어가 재생되도록 한다. 이후, 동기화 제어부(107)는 미디어 제어부(113)와 연동하며, 미디어의 재생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계속해서 재생 상태를 감시하도록 한다(S322).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오 데이터 분석기(111)는 'S309'과정에서 동기화 제어부(107)의 요청에 따라, 바이너리 형태의 네오 데이터를 XML 형태로 분석하여(S313), 네오데이터 정보를 테이블로 구성한다(S314). 이후, 네오 데이터 분석기(111)는 해당 네오데이터 정보를 동기화 제어부(107)로 통보하도록 한다(S315).
동기화 제어부(107)는 'S315' 과정의 네오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와 연동될 디바이스(129)들을 초기화 시키고(S316), 디바이스 속성 관리부(123)로부터 획득된 디바이스(129)의 속성 정보를 분석하여(S317), 구동할 디바이스(129)를 맵핑하도록 한다(S318).
동기화 제어부(107)는 'S313' 내지'S318' 과정을 통해 미디어와 연동될 디바이스(129)의 준비가 완료되면, 'B'의 경로를 통해 미디어 제어부(113)로 미디어의 재생 시작시간과 함께 미디어 재생명령을 인가하도록 한다(S319).
따라서, 미디어 제어부(113)는 'S319' 과정에서 동기화 제어부(107)로부터 인가된 미디어 재생명령에 따라 도 3b의 'B' 이후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동기화 제어부(107)는 'S319' 과정을 수행한 후에, 도 3d의 'C' 이후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제어부(107)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 및 동기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S323), 미디어 재생 중 해당 실감 정보의 재생시간에 도달하면(S324), 디바이스 제어부(125)로 해당 디바이스(129)의 구동 시작 명령을 인가하도록 한다(S325).
디바이스 제어부(125)는 'S325' 과정에서 인가된 구동 시작 명령에 따라 구동 디바이스(129), 해당 디바이스(129)의 구동 시간 및 인테페이스를 확인하고(S326), 해당 디바이스(129)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합을 수행함으로써(S327), 하드웨어 디바이스 제어부(125)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하드웨어 디바이스 제어부(125)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129)를 구동 시킨다(S328).
이후, 동기화 제어부(107)는 디바이스 제어부(125)와 연동하며, 각 디바이스(129)의 재생 상태를 관리하도록 한다(S329). 여기서, 'S323' 내지 'S329' 과정은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네오데이터의 실감정보를 모두 재현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중인 미디어의 재생이 완료되면(S330), 미디어 제어부(113)는 동기화 제어부(107)로 미디어의 재생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331). 이때, 동기화 제어부(107)는 브라우저 제어부(105)로 해당 미디어의 재생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동시에, 동기화 제어부(107)는 각 디바이스 정보 및 그의 동기 정보를 제거한 후(S332), ne-미디어 파서(109), 네오 데이터 분석기(111), 미디어 제어부(113), 디바이스 제어부(125) 등의 동작을 초기화하여, 다음 미디어의 처리를 위한 준비상태가 되도록 한다(S333).
'S333' 과정을 끝으로, 브라우저 제어부(105)는 사용자가 다른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를 통해 다른 미디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334).
도 4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에서 재현하고 있는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를 중지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ne-미디어 서비스를 중지하기 위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선택된 미디어의 재생 중지를 요청하면(S401), 브라우저 제어부(105)는 동기화 제어부(107)로 해당 ne-미디어의 재생 중지를 요청한다(S402).
'S402' 과정의 재생 중지 요청에 따라, 동기화 제어부(107)는 해당 시점에 구동 중인 디바이스(129)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03). 만일, 'S403' 과정의 확인 결과, 구동 중인 디바이스(129)가 존재하면, 동기화 제어부(107)는 해당 디바이 스(129)의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디바이스 제어부(125)로 해당 디바이스(129)에 대한 구동 중지 명령을 인가하도록 한다(S404).
이때, 디바이스 제어부(125)는 'S404' 과정의 구동 중지 명령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129)의 구동을 강제로 중지시키도록 한다(S405).
여기서, 'S403' 내지 'S405' 과정은 구동 중인 디바이스(129)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이후, 구동 중인 디바이스(129)가 존재하지 않으면, 동기화 제어부(107)는 미디어 제어부(113)로 재생중인 미디어의 재생 중지 명령을 인가하도록 한다(S406). 이때, 미디어 제어부(113)는 동기화 제어부(107)의 재생 중지 명령에 따라 재생 중인 미디어의 재생을 중지하고(S407), 동기화 제어부(107)로 미디어의 재생이 중지되었음을 통보한다(S408).
'S408' 과정 이후, 동기화 제어부(107)는 브라우저 제어부(105)로 ne-미디어의 재생이 중지되었음을 통보한다. 이때, 브라우저 제어부(105)는 'S409' 과정을 끝으로, 사용자가 다른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를 통해 다른 미디어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40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재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에서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재현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에서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종료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미디어와,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를 갖는 네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확장형 미디어를 객체별로 파싱하여, 상기 미디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를 갖는 네오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네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네오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에 대한 동기 신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동기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네오데이터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요청 입력 시, 상기 네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실감정보와 상기 실감정보를 재현할 디바이스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를 재생시키기 위한 미디어 재생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실감정보의 동기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감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로의 구동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구동 시작 명령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실감정보가 재현되는 단계; 및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중지 요청 입력 시,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미디어 제어부와 연동하며, 해당 미디어의 재생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네오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실감정보와 상기 디바이스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맵핑하는 단계 이전에, 홈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네오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와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정보의 동기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실감정보의 재생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 중 해당 실감정보의 재생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실감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로의 구동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실감정보가 재현되는 동안,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를 읽어 버퍼링을 수행하는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링 수행 후 상기 미디어에 대한 미디어 재생 명령이 출력되기 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실감정보를 재현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미디어의 재생 중지 요청 입력 시, 해당 시점에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로 구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중인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생 중인 미디어를 중지시키기 위한 재생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17. 청구항 4에 있어서,
    재생 중인 미디어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각 디바이스 정보 및 그의 동기 정보를 제거하고,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방법.
KR1020090022775A 2008-03-17 2009-03-17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08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4583 2008-03-17
KR1020080024583 2008-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501A KR20090099501A (ko) 2009-09-22
KR101208705B1 true KR101208705B1 (ko) 2012-12-06

Family

ID=4135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775A KR101208705B1 (ko) 2008-03-17 2009-03-17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427B1 (ko) * 2011-11-14 2014-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미디어용 4d 이펙트 구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501A (ko)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7441B2 (ja) 音声要求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161238B2 (en) Mobile device monitoring and testing
CN101594279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US201201979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5072143A (zh) 基于人工智能的智能机器人与客户端的交互系统
CN109474843A (zh) 语音操控终端的方法、客户端、服务器
CN105518614A (zh) 用于多屏幕应用程序的屏幕录制
KR20140013478A (ko) 다 수의 미디어 기기에서의 미디어 재생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5247874A (zh) 用于显示节目指南的装置和方法
WO2019128829A1 (zh) 动作执行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3327021A (zh) 一种多设备互动方法及相关设备、系统
CN104777986A (zh) 一种导航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638190B1 (ko) 사용자 입력 피드백을 이용한 디지털 미디어 서버의 콘텐츠 플립 리스트를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118018A (zh) 一种基于dlna的媒体资源同步播放方法及装置
CN106899881B (zh) 音视频文件的播放方法及播放装置
KR101208705B1 (ko) Smmd 기반의 확장형 미디어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62224B1 (ko) 태스크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N101951497B (zh) Iptv业务系统、中央、区域业务管理系统及运营方法
EP3249936A1 (en) Audio debugging method and device for television
CN112380871A (zh) 语义识别方法、设备及介质
CN102572533A (zh) Iptv中央、区域业务管理系统
KR100929871B1 (ko) 확장형 미디어 파싱 장치 및 방법
KR101528859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기기에서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자동 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7307B1 (ko) 개선된 성능을 가지는 모바일용 미디어 플레이어 구동 방법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19161374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