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693B1 -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693B1
KR101208693B1 KR1020120038649A KR20120038649A KR101208693B1 KR 101208693 B1 KR101208693 B1 KR 101208693B1 KR 1020120038649 A KR1020120038649 A KR 1020120038649A KR 20120038649 A KR20120038649 A KR 20120038649A KR 101208693 B1 KR101208693 B1 KR 10120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wireless
receiv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열
배경원
박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테크
Priority to KR102012003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3Application domotique, e.g. for house automation, bus connected switches, sensors, loads or intelligent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도 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무소의 최종 퇴실자가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자동적으로 실내의 모든 콘센트의 전력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무소내의 최종 퇴실자가 전원스위치(1)를 오프시키면 조명등(2)이 꺼지게 되고 콘트롤박스(10)의 조도센서(3)에서 이를 감지하여 이 신호를 신호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 제어부(5)로 보내므로 제어부(5)에서는 무선송신기(6)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무선수신부(20)내의 무선수신기(7)쪽에서는 상기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8)로 보내면 제어부(8)에서는 전원차단부(9)를 제어하여 멀티콘센트의 AC 공급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APPARATUS OF SWTCHING CUT OFF ATMOSPHERIC POWER BY AUTOMATIC}
본 발명은 조도 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무소의 최종 퇴실자가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자동적으로 조도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원스위치 부근에 설치된 콘트롤박스를 통하여 팩스, 비상등, 소방기기, 서버 등의 상시 전원공급기를 제외하고는 실내의 모든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소 등에서 전원단으로부터 연결되는 콘센트를 통하여 플러그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콘센트에는 자체에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원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오프 스위치를 눌러 주어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타이머 설정기능을 가진 콘센트가 제안되어 사용자가 일정시간 타이머를 설정하여 주면 설정된 시간동안만 전원이 공급되다가 설정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조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콘센트의 전원을 일반 리모콘을 사용하여 오프시키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반드시 리모콘을 사용하여 전원을 오프시켜 주어야 하므로 리모콘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콘센트 전원을 차단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대기전력을 자동감지 후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발로 콘센트를 살짝 건드리거나 진동시켜 자동차단하도록 하는 방안 또는 최종 퇴실자가 무선통제기를 눌러주어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방안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 콘센트가 발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최종 퇴실자가 무선통제기를 눌러주는 방안도 사용자가 반드시 무선통제기를 눌러주어야 하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행위가 요구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 퇴실자가 실내를 나가면서 조명을 끄기 위하여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조도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박스의 제어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콘센트에 내장된 수신기에서 팩스 등의 상시 전원공급기기만 제외하고는 모든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수신기에 적용되는 무선기술은 지그비 등의 저전력 기술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며, 무선송신기를 라우터를 통해 로컬서버 또는 웹서버에서 파워모니터링 및 콘트롤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무소의 출입구쪽의 전원스위치 부근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에, 조도센서와 신호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제어부와 무선송신기를 구비하여 조명이 꺼지면 조도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무선송신기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사무소 바닥의 기존 멀티콘센트에 별도로 수신기를 부착하거나 또는 콘센트자체에 무선수신부가 내장되도록 하여 상기 무선송신기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팩스 등을 제외하고 콘센트전원을 오프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송신기는 사무소 출입구의 전원스위치쪽에 설치하고, 무선수신기는 각 직원들 책상 밑 콘센트나 사무기기 밑 콘센트에 설치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수신부(20)는 전원 On 또는 전원 Off 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작동이 완료되면, 작동 완료에 대한 신호를 무선송신기(6)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수신부(20)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송신기(6)에는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완료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LED 램프로 이루어진 알람수단(4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원스위치 부근에 조도센서를 가진 콘트롤박스를 설치하여 최종 퇴실자가 전원을 오프시키면 자동적으로 조도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콘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콘센트쪽으로 신호를 송신하여 콘센트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므로 콘센트의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팩스나 서버 등의 상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기기기에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소프트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별도의 무선수신부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무소에 설치되는 무선송신기와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개 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수신부를 기존의 멀티콘센트와 별도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 크게 사무소 출입구쪽의 전원스위치 부근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10)와, 사무소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박스(1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멀티콘센트에 공급되는 AC전원을 차단하는 무선수신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0)는, 조명등(2)이 오프되면 이를 감지하는 조도센서(3)와, 상기 조도센서(3)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인터페이스부(4)와, 상기 신호 인터페이스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무선송신기(6)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상기 무선송신기(6)의 RF주파수는 사무소내의 100M거리까지는 송신가능하다.
상기 무선수신부(20)는, 사무소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송신기(6)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7)와, 상기 무선수신기(7)의 신호에 따라 콘센트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부(8)의 제어에 의해 멀티콘센트로 입력되는 AC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차단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상기 무선수신부(20)는 멀티콘센트내에 내장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하나의 무선송신기를 통해 다수의 무선수신기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송신기(6)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On 또는 전원 Off 신호를 통해 멀티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전원차단부(9)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무선 수신부(20)는 전원 On 또는 전원 Off 신호에 따라 전원차단부(9)를 작동시키는 동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이에 대한 신호, 다시말해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무선송신기(6)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수신부(20)에는 콘트롤 박스(10)와 마찬가지로 조도센서(3)가 내장되게 구성됨으로써, 무선 수신부(20) 주변의 조명등에 의한 조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조도량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8)를 통해 무선송신기(6)로 전송하여 조명에 대한 전력 낭비를 줄여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선송신기(6)에는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완료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여 알려주는 알람수단(40)이 구성된다.
알람수단(40)은 다양한 색상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고, 무선 수신부(20)의 작동에 따라 전원 상태가 On 상태를 유지할 때, 녹색 램프(42)가 켜지면서 이를 외부로 알려주고, 전원 상태가 Off 상태로 전환되면, 적색 램프(44)가 켜지도록 함으로써, 무선 수신부(20)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기존의 멀티콘센트(30)전단에 별도로 무선수신부(20)를 연결하고 이를 전원콘센트(11)에 연결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를 들어, 사무소의 출입구(12)쪽에 전원스위치(1)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스위치(1)부근에 콘트롤박스(10)가 설치되며, 사무소 바닥쪽에 무선수신부(20)가 설치된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은 사무소 실내에 예를 들어, 직원들이 근무를 하고 있어 조명등(2)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조도센서(3)에서 이를 감지하여 신호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 제어부(5)로 보내므로 제어부(5)에서는 무선송신기(6)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멀티콘센트(20) 쪽으로 보내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콘센트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무선수신부(20)에서는 상기 무선 송신기(6)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므로 제어부(8)를 통해 전원차단부(9)를 제어하지 않아 멀티콘센트로 AC전원이 계속하여 공급된다.
즉, 조명등(2)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멀티콘센트로 AC전원이 계속 공급되므로 이러한 멀티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 및 전기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게 된다.
만일, 최종 퇴실자가 사무소를 퇴실하면서 출입구쪽의 전원스위치(1)를 오프시키면 조명등(2)이 꺼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조명등(2)이 꺼지면 상기 전원스위치 부근에 설치된 콘트롤박스(10)의 조도센서(3)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조도센서(2)는 주간과 야간만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조도센서(3)에서 조명등(2)이 꺼진 것을 감지하여 이 신호를 신호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 제어부(5)로 보내면, 제어부(5)에서는 무선송신기(6)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사무소 바닥에 설치된 무선수신부(20)내의 무선수신기(7)쪽에서는 상기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8)로 보내게 되며, 제어부(8)에서는 전원차단부(9)를 제어하여 콘센트의 AC 공급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8)내에는 팩스, 서버 등의 상시전원공급기기의 공급전원을 계속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할 경우, 콘센트에 연결된 팩스의 전원은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가능하나, 상기 팩스, 서버 등의 전원 연결은 별도로 항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시 전원스위치(1)가 온되어 조명등(2)이 켜지면 콘트롤박스(10)에서는 조명등(2)이 켜짐에 따른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되고, 무선수신부(2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8)에서 콘센트 전원 차단부(9)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멀티콘센트로 전원이 공급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멀티콘센트내에 처음부터 무선수신부(20)를 내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기존의 멀티콘센트(30)전단에 별도의 무선수신부(20)를 연결하고 이 무선수신부(20)를 전원콘센트(11)에 끼워 사용할 수 도 있다.
단, 이 경우 도 4와 같이 무선수신부(20)의 전단을 플러그형태로 전원콘센트에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하고, 후단은 멀티콘센트(30)를 끼울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전원스위치 2:조명등
3:조도센서 4:신호인터페이스부
5:제어부 6:무선송신기
7:무선수신기 8:제어부
9:전원차단부 10:콘트롤박스
11:전원콘센트 12:출입구
20:무선수신부 30:멀티콘센트

Claims (7)

  1. 사무소의 전원스위치(1) 부근에 설치되며, 전원스위치 오프에 따른 조명등 소등시 이를 감지하는 조도센서(3)와, 상기 조도센서(3)의 신호를 인터페이싱시키기 위한 신호 인터페이스부(4)와, 상기 신호인터페이스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무선송신기(6)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콘트롤박스(10)와;
    사무소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송신기(6)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7)와, 상기 무선수신기(7)의 신호에 따라 전원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8)로 된 무선수신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가, 상시 전원공급기기의 전원은 차단하지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수신기(7), 제어부(8), 전원차단부(9)로 된 무선수신부(20)를 전원콘센트(11)와 멀티콘센트(30)사이에 연결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무선수신부(20)의 전후단에 플러그를 형성하여 전원콘센트와 멀티콘센트에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선수신부(20)는 전원 On 또는 전원 Off 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작동이 완료되면, 작동 완료에 대한 신호를 무선송신기(6)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수신부(20)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기(6)에는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완료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LED 램프로 이루어진 알람수단(4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부(20)에는 무선 수신부(20) 주변의 조명등에 의한 조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조도량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8)를 통해 무선송신기(6)로 전송하여 조명에 대한 전력 낭비를 줄여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도센서(3)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38649A 2012-04-13 2012-04-13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KR10120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49A KR101208693B1 (ko) 2012-04-13 2012-04-13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49A KR101208693B1 (ko) 2012-04-13 2012-04-13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693B1 true KR101208693B1 (ko) 2012-12-06

Family

ID=4790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649A KR101208693B1 (ko) 2012-04-13 2012-04-13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3B1 (ko) * 2017-09-25 2019-02-22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125B1 (ko) 2009-04-20 2009-09-03 백명순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시스템
KR101037757B1 (ko) * 2010-11-12 2011-05-2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125B1 (ko) 2009-04-20 2009-09-03 백명순 소음제거 및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연결시스템
KR101037757B1 (ko) * 2010-11-12 2011-05-2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3B1 (ko) * 2017-09-25 2019-02-22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23017B1 (ko) 건축물의 스마트절전시스템
KR100436114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GB2438655A (en) A socket adapter for saving standby power
WO2011050055A3 (en) Wireless demand response system
US113306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auxiliary power unit and wireless receiver function, and lamp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GB201115022D0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KR100760279B1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1864025B1 (ko) 지능형 인체감지를 통한 전기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101208693B1 (ko) 조도센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KR200408667Y1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20120087257A (ko)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KR100919866B1 (ko) 거리정보를 이용한 절전방법 및 장치
JP6502563B1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101318862B1 (ko) 조명 제어장치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101264062B1 (ko) Ip 분배용 자동 제어 멀티탭, 그리고 이를 장착한 ip 분배용 멀티 콘센트 일체형 책상 및 개인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KR20160070455A (ko) 적외선 신호가 송신가능한 콘센트 허브
KR100921659B1 (ko) 재실관리 시스템용 콘센트
KR10220174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US20160284209A1 (en) Interior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123684B1 (ko) 대기전력/과부하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과부하 차단방법
CN202601992U (zh) 一种具有遥控功能的电源插线板
KR100792160B1 (ko) 지능형 전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